KR101126044B1 - 진동자 - Google Patents

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044B1
KR101126044B1 KR1020110092052A KR20110092052A KR101126044B1 KR 101126044 B1 KR101126044 B1 KR 101126044B1 KR 1020110092052 A KR1020110092052 A KR 1020110092052A KR 20110092052 A KR20110092052 A KR 20110092052A KR 101126044 B1 KR101126044 B1 KR 10112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housing
coupled
inner diameter
transmis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리스
Priority to KR102011009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도가 우수한 진동을 발생시키고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작동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진동자는, 외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에 있어서, 내경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부가 형성되어 하우징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판, 상기 진동전달판에 상하로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진동요크, 상기 진동요크에 고정되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 함께 자기장을 형성하여 진동요크를 상하로 진동시키도록 배치된 전자코일, 상기 진동전달판의 안착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우징의 내경으로 결합되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을 고정시키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자{OSCILLATOR}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도가 우수한 진동을 발생시키고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작동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진동자는 증폭기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종래기술로는 2003년 03월 21일자로 출원된 특허공개 제2004-0083169호 ‘진동자 및 그 제조방법’, 2010년 10월 29일자로 출원된 등록실용신안 제0453116호 ‘진동자’등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특허공개 제2004-0083169호의 기술적인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돌출부(14)를 갖는 원반(12)과; 고리형상으로 내측이 상기 돌출부(14)의 외측벽 부위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원반(12) 가장자리 상측에 밀착되어 안착 설치되는 영구자석(16)과; 고리 형상으로 상기 돌출부(14)의 외측벽 부위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영구자석(16)의 상측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링(18)과; 상호 결합되는 상기 원반(12)과 영구자석(16)의 상측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링(18)을 중심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연장된 외측으로부터 중심 부위가 탄력 작용하도록 하는 진동판(22)과; 상기 진동판(22)의 외측 부위를 지지 고정토록 하는 상?하부 커버(24, 26); 및 상기 상부커버(24)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링(18)과 돌출부(14)의 외측벽 사이로 삽입 위치되며, 그 부위에 외부로부터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인가되는 솔레노이드 코일(28)이 권선된 관형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자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22)은 상기 원반(12)과 영구자석(16) 및 지지링(18)이 결합된상태의 중심 부위와 상기 상?하부 커버(24, 26)에 지지되는 외측 부위 사이에 탄력 작용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소정 굵기의 브리지(68)가 일체의 연장된 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링(18)과 영구자석(16)의 접촉면의 면과 면사이 부위에 소정의 하드록으로 접합하여 고정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브리지(68)는 그 중심 부위를 기준하여 외측 방향으로 점차 확장되는 나선 형상으로 연장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원반(12)과 영구자석(16) 및 지지링(18)이 결합되는 중심 부위와 상기 상?하부 커버(24, 26)에 지지되는 외측 부위사이에 탄력 작용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그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연결 길이를 연장시키는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회 굴곡되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상부커버(24)와 하부커버(26)의 진동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판(22)의 체결홀(66)을 관통하는 볼트를 통해 진동판(22)을 하부커버(26)와 고정체결하고 그 접촉하는 면과 면 사이에 접합체 수단을 부가하여 접합 고정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진동판(22)을 하부커버(26)에 고정시키기 위해, 볼트를 나사결합하는 과정 중 쇳가루가 발생되어 영구자석(16)에 자력으로 이끌려 들러붙고, 이로 인해 작동 시 소음이 발생되거나 쇼트(short, 쇳가루에 의해 영구자석과 솔레노이드코일 사이의 접속)로 인한 진동자의 작동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0453116호의 기술적인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에 있어서, 설치공간을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커버(20), 상기 하우징(10)의 설치공간에 상하로 진동가능하게 배치된 진동케이스(30), 상기 진동케이스(3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코일작동공간(31)을 유지하도록 내장되는 영구자석(40), 상기 코일작동공간(31)에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20)에 연결되어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40)과 함께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진동케이스(30)를 상하로 진동시키는 코일(50), 상기 진동케이스(30)의 진동을 하우징(10)으로 전달하도록 연결된 진동전달판(60), 상기 진동전달판(60)을 상기 진동케이스(30)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고정링(7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링(70)의 내경 단부는 하향으로 벤딩되어 결합환림(71)을 형성하고, 상기 진동케이스(30)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정링(70)의 결합림(71)이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환홈(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 또한, 진동전달판(60)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판고정볼트(63)를 하우징(10)의 탭홀에 나사결합하는 과정 중 쇳가루가 발생되어 영구자석(40)에 자력으로 이끌려 들러붙고, 이로 인해 작동 시 소음이 발생되거나 쇼트로 인한 진동자의 작동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진동전달판(60)-진동판(22)을 포함한다-은 그 두께가 얇을수록 부드러운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우수한 감도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진동전달판(60)이 판고정볼트(63)에 의해 하우징(10)에 고정될 때 그 가장자리의 상하면에 굴곡이 발생되는 것을 고려하여, 진동전달판(60)은 소정 두께(현재는 실질적으로 0.4㎜)이상으로 형성되는데, 이같은 두께로 형성된 진동전달판(60)은 둔탁하고 약한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감도는 좋지않기 마련이다. 즉, 진동전달판(60)의 가장자리에는 그 둘레를 따라 세 개(도 2 참조) 또는 네 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진동전달판(60)이 소정 두께 미만으로 형성되면 판고정볼트(63)의 헤드가 접촉되는 진동전달판(60)의 볼트홀 부근의 상?하면만 가압되고, 그 밖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단면상 굴곡이 발생되어 커버의 접촉면에 평평하게 면접촉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진동발생 시 소음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진동전달판(60)을 소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의 사용 없이 그리고 진동전달판의 가장자리 상?하면을 평평한 상태로 하우징에 고정시켜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소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며, 진동판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우수한 감도를 느낄 수 있는 진동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에 있어서, 내경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부가 형성되어 하우징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판, 상기 진동전달판에 상하로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진동요크, 상기 진동요크에 고정되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 함께 자기장을 형성하여 진동요크를 상하로 진동시키도록 배치된 전자코일, 상기 진동전달판의 안착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우징의 내경으로 결합되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을 고정시키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안착홈은 하우징의 개방 단부에서 내측을 따라 형성된 제1 내경과 상기 제1 내경 보다 작게 이루어진 제2 내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관의 외경은 상기 제1 내경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정관의 외측 단부에는 커버의 외경이 결합되는 결합환홈을 형성하도록 환림이 형성되고, 상기 환림에는 커버의 외경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편이 고정관에 결합되는 위치를 설정하도록 복수의 위치설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편은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플랜지에는 복수의 연장편이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의 유동방지홈이 형성되어 커버의 회전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진동요크에는 진동전달판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진동전달판은 0.1㎜ 이상 0.4㎜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전달판의 안착부가 고정관의 단부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압되면서 고정됨에 따라, 종래기술과는 달리 볼트의 사용에 의한 쇳가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소음 및 쇼트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작동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동시에 원가 절감 및 조립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의 연장편이 고정관의 위치설정홈에 결합되어 결합되는 위치를 설정하고 유동방지홈에 결합되어 회전유동이 방지되므로, 작동의 안정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전달판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우수한 감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진동판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진동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동자는, 내경을 따라 안착홈(130)이 형성된 하우징(100), 안착홈(130)에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부(130)가 형성되어 하우징(100)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판(200), 진동전달판에 상하로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진동요크(300), 진동요크에 고정되는 영구자석(400), 영구자석(400)과 함께 자기장을 형성하여 진동요크를 상하로 진동시키도록 배치된 전자코일(500), 진동전달판의 안착부(13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우징(100)의 내경으로 결합되는 고정관(600), 고정관(600)을 고정시키도록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커버(7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설치공간(110)이 구비되고 개방된 상단 둘레에는 플랜지(120)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12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유동방지홈(122)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유동방지홈(122)에는 탭홀(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는 내경을 따라 안착홈(1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안착홈(130)은 설치공간(110)을 구성하는 제1 내경(111)과 제2 내경(112)을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는 제1 내경(111)이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에서 상단부 방향으로는 제1 내경(111) 보다 작게 이루어진 제2 내경(112)이 형성되며, 안착홈(130)은 제1 내경(111)과 제2 내경(112)을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진동전달판(200)은 진동요크(300)의 진동력을 하우징(1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진동전달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부(220)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결합면(210)이 구비되며 그 중심에는 결합공(212)이 천공된다. 그리고 진동전달판(200)의 결합면(210)과 안착부(220) 사이에는 복수의 탄성공(230)이 나선형으로 천공되어 진동 시 탄성을 부여한다.
여기서, 진동전달판(200)의 안착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판(200)의 전체적인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안착부(220)의 두께만을 두껍게 또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진동전달판(200)의 직경은 안착홈(130)에 안착되었을 때, 전후 또는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우징(100)의 제1 내경(111)과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진동전달판(200)은 0.1㎜ 이상 0.4㎜ 미만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향상된 감도를 느낄 수 있는데, 이는 본 출원인이 진동분석기(제조회사:BAKO, 모델명:BF-1021)를 통해 측정한 아래의 표 1 및 표 2를 통해 알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직경 70㎜ 진동자의 감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로 나타내었으며, 표 2는 본 발명에 의해 조립된 직경 44㎜ 진동자의 감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로 나타내었다.
조건 감도(g)
NO 영구자석
크기
(㎜)
진동전달판의두께
(㎜)
IMP
(Ω)
fo
(㎐)
입력
(V)
20
hz
40
hz
80
hz
100
hz
120
hz
160
hz
180
hz
200
hz
1
23.5×5
0.3
16

96
6.93

0.4 4.13 10.1 10.1 11 10.83 11.1 11.4
2 0.4 112 0.18 2.5 9.78 9.8 10.8 10.3 10.1 10.1
3 0.5 150 0 0.93 3.6 3.6 10.1 10.4 10.3 9.7
4 0.6 209 0 0.5 2.28 2.28 9.8 10 10.4 10.4
(주) 영구자석 크기 : 직경×두께
조건 감도(g)
NO 영구자석
크기
(㎜)
진동전달판의두께
(㎜)
IMP
(Ω)
fo
(㎐)
입력
(V)
20
hz
40
hz
80
hz
100
hz
120
hz
160
hz
180
hz
200
hz
1
15.5×4
0.3
16

111
6.93

0.09 4.9 9.78 13.65 13.94 13.2 13.09 13.1
2 0.4 130 0 2.7 9.5 11.42 11.37 13.1 11.97 11.98
3 0.5 160 0 0 1.5 4 7.8 12.9 12.42 12.12
4 0.6 196 0 0 1.6 1.2 6 12.5 12.9 12.41
(주) 영구자석 크기:직경×두께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로부터, 직경 70㎜ 진동자보다 직경 44㎜ 진동자의 감도가 더 우수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진동전달판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록 우수한 감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0.3㎜에서 가장 우수한 감도를 나타내었다.
진동요크(300)는 진동전달판(200)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어 상하로 진동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진동요크(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결합부(310)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결합부(310)의 중심에는 결합돌기(31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312)는 진동전달판(200)의 결합공(212)에 끼움결합되고 결합부(310)의 저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결합면(210)에 접착된다.
영구자석(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진동요크(30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데, 이때 영구자석(400)은 그 외경과 진동요크(300)의 내경 사이에 코일작동공간(S)이 형성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영구자석(400)은 그 저면 또는 진동요크(300)의 바닥면으로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진동요크(300)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영구자석(400)은 네오디뮴(Neodymium)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네오디뮴은 상용 자석 중 자력이 가장 높아서 진동자의 소형화 시 작은 크기로도 큰 자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네오디뮴은 산화를 대비하여 그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구자석(400)의 상면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중량판(410)이 부착되어 진동자의 소형화 시 큰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전자코일(500)은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영구자석(400)과 함께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서로 당기거나 반발하는 작용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여 진동요크(300)를 진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전자코일(500)은 커버(700)의 저면 중앙에 구비된 코일관(710)의 외주면으로 감겨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작동공간(S)으로 삽입된다.
고정관(600)은 진동전달판(200)의 가장자리, 즉 안착부(22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관(600)은 둘레가 둥글고 속이 빈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제1 내경(111)으로 끼움결합되며, 이때 고정관(600)의 하단부는 진동전달판(200)의 안착부(220)를 전체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600)의 상단부 외측으로는 환림(610)이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결합환홈(620)을 형성하고, 결합환홈(620)에는 커버(700)의 저면 가장자리(701)가 안착되며, 환림(610)에는 고정관(60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위치설정홈(630)이 형성된다.
커버(7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되어 고정관(60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커버(7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경에는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연장편(720)이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 연장편(720)에는 볼트홀(722)이 천공되어 볼트(B)가 관통된다. 그리고 연장편(720)의 내측은 고정관(600)의 위치설정홈(630)에 결합되어 고정관(600)에 결합되는 커버(700)의 위치를 설정하고, 연장편(720)의 외측은 하우징(100)의 플랜지(120)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22)에 결합되어 커버(700)가 하우징(10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조립 및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구자석(40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중량판(410)을 부착하고, 영구자석(400)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진동요크(300)의 바닥면 중심에 고정되도록 부착하면, 영구자석(400)의 외경과 진동요크(300)의 내경 사이에 코일작동공간(S)이 형성된다.
이어서, 진동전달판(200)의 안착부(220)를 하우징(100)의 안착홈(130)에 안착한 후, 진동요크(300)의 결합돌기(312)를 진동전달판(200)의 결합공(212)으로 끼움결합하면, 진동요크(300)의 결합부(310)는 접착제가 도포된 진동전달판(200)의 결합면(210)에 부착된다.
계속해서, 고정관(600)을 하우징(100)의 제1 내경(111)으로 끼움결합하면, 고정관(600)의 하단부는 진동전달판(200)의 안착부(220)를 전체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데, 이때 고정관(600)의 위치설정홈(630)은 하우징(100)의 유동방지홈(122)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배치시켜야 한다.
다음, 커버(700)의 저면 가장자리(701)가 고정관(600)의 결합환홈(620)에 결합되도록 안착시키면서 연장편(720)이 위치설정홈(630)과 유동방지홈(122)에 결합되고, 이때 전자코일(500)은 코일작동공간(S)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B)를 볼트홀(722)로 관통시켜서 하우징(100)의 탭홀(124)에 나사결합하면, 진동전달판(200)을 가압하고 있는 고정관(300)은 커버(700)에 의해 고정되고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는 커버(700)에 의해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진동자는,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기 신호가 전자코일(500)로 입력되면, 전자코일(500)과 영구자석(400)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서로 당기거나 반발하는 작용에 의해 영구자석(400)이 상하로 진동하고, 이러한 진동은 진동요크(300)를 진동시켜서 진동전달판(200)을 통해 하우징(100)과 커버(700)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동전달판(200)의 안착부(220)가 고정관(600)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압되면서 고정되고, 이에 의해 종래기술과는 달리 볼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음 및 쇼트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작동의 안정을 제고시키며 원가 절감 및 조립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진동전달판(20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우수한 감도를 느끼도록 도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0 : 하우징 130 : 안착홈
200 : 진동전달판 220 : 안착부
300 : 진동요크 400 : 영구자석
500 : 전자코일 600 : 고정관
700 : 커버

Claims (6)

  1. 외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에 있어서,
    내경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부가 형성되어 하우징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판, 상기 진동전달판에 상하로 진동가능하게 결합된 진동요크, 상기 진동요크에 고정되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 함께 자기장을 형성하여 진동요크를 상하로 진동시키도록 배치된 전자코일, 상기 진동전달판의 안착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우징의 내경으로 결합되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을 고정시키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관의 외측 단부에는 커버의 외경이 결합되는 결합환홈을 형성하도록 환림이 형성되고, 상기 환림에는 커버의 외경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편이 고정관에 결합되는 위치를 설정하도록 복수의 위치설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편은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하우징의 개방 단부에서 내측을 따라 형성된 제1 내경과 상기 제1 내경 보다 작게 이루어진 제2 내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관의 외경은 상기 제1 내경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복수의 연장편이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의 유동방지홈이 형성되어 커버의 회전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요크에는 진동전달판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판은 0.1㎜ 이상 0.4㎜ 미만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
KR1020110092052A 2011-09-09 2011-09-09 진동자 KR10112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052A KR101126044B1 (ko) 2011-09-09 2011-09-09 진동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052A KR101126044B1 (ko) 2011-09-09 2011-09-09 진동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044B1 true KR101126044B1 (ko) 2012-03-29

Family

ID=4614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052A KR101126044B1 (ko) 2011-09-09 2011-09-09 진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0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382A (ko) * 2002-09-11 2004-03-18 이문기 고추와 피망을 첨가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216273B1 (ko) 2010-12-09 2012-12-28 이문환 진동자
KR101910360B1 (ko) 2018-05-21 2018-10-23 최길운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 및 이를 장착한 자기장 진동슬리퍼
KR200488172Y1 (ko) * 2017-07-28 2018-12-24 시노스 주식회사 바이브레이터
KR20200078124A (ko) * 2018-12-21 2020-07-01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KR20220001025U (ko) * 2020-10-30 2022-05-09 트란사운드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골전도 수신기 및 상기 골전도 수신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173A (ja) * 2002-05-30 2003-02-28 Sanyo Electric Co Ltd 振動式器報知器に用いる板バネ及び音響・振動併用式報知器
KR100990706B1 (ko) * 2005-12-27 2010-10-29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173A (ja) * 2002-05-30 2003-02-28 Sanyo Electric Co Ltd 振動式器報知器に用いる板バネ及び音響・振動併用式報知器
KR100990706B1 (ko) * 2005-12-27 2010-10-29 나미키 세이미츠 호오세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기능형 진동 액츄에이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382A (ko) * 2002-09-11 2004-03-18 이문기 고추와 피망을 첨가한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216273B1 (ko) 2010-12-09 2012-12-28 이문환 진동자
KR200488172Y1 (ko) * 2017-07-28 2018-12-24 시노스 주식회사 바이브레이터
KR101910360B1 (ko) 2018-05-21 2018-10-23 최길운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 및 이를 장착한 자기장 진동슬리퍼
KR20200078124A (ko) * 2018-12-21 2020-07-01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KR102250753B1 (ko) * 2018-12-21 2021-05-11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KR20220001025U (ko) * 2020-10-30 2022-05-09 트란사운드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골전도 수신기 및 상기 골전도 수신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0496728Y1 (ko) * 2020-10-30 2023-04-14 트란사운드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골전도 수신기 및 상기 골전도 수신기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044B1 (ko) 진동자
US8724844B2 (en) Heat dissipating acoustic transducer with mounting means
EP1722590A1 (en) Bone conduction device
US20060110001A1 (en) Inertial voice type coil actuator systems
WO2021093677A1 (zh) 一种发声装置
US20200389738A1 (en) High-quality electromagnetic speaker having improved accuracy of air gap
KR20060049563A (ko) 동전형 여진기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
US9820051B2 (en) Electromagnetic speaker
JP2007175570A (ja)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20180010288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WO2000047013A1 (en) Vibration exciter for creating bending wave vibration
US20130287245A1 (en) Loudspeaker with reinforced frame
US20130287244A1 (en) Loudspeaker with reinforced frame
JP2009028641A (ja) 振動発生装置
KR101216273B1 (ko) 진동자
JP4952211B2 (ja) 骨伝導イヤホン
KR200453116Y1 (ko) 진동자
KR20130125945A (ko) 진동발생장치용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JP2008092560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150108459A (ko) 진동부 조립성이 향상된 선형 진동자
US20110274288A1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JP2020088435A (ja) 骨伝導スピーカー
JP2015070600A (ja) コンデンサヘッドホンユニットおよびコンデンサヘッドホンの固定極組立体の製造方法
JPH10112897A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JP2006165483A (ja) 超磁歪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