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784B1 - 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 - Google Patents

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784B1
KR101125784B1 KR1020090069252A KR20090069252A KR101125784B1 KR 101125784 B1 KR101125784 B1 KR 101125784B1 KR 1020090069252 A KR1020090069252 A KR 1020090069252A KR 20090069252 A KR20090069252 A KR 20090069252A KR 101125784 B1 KR101125784 B1 KR 10112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panel
seat
storage spa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1830A (en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이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웅 filed Critical 이재웅
Priority to KR102009006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784B1/en
Publication of KR2011001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7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용 발판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후방측에 후면 내측에 수납공간부를 형성된 테이블을 장착하고 상기 테이블의 수납공간부로부터 발판이 절첩되게 구성함으로써, 테이블로부터 펼쳐지는 발판을 이용하여 뒷좌석의 탑승자가 발을 올려 놓고 편안하게 자동차를 탑승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에 형성된 수납공간부측으로 탑승객의 발을 뻗어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이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테이블의 상단측에 테이블의 상단측으로부터 인출입되는 보조테이블을 더 구성하여 보조테이블에 음식을 올려 놓고 먹거나 또는 노트북을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ar footrest, mounting the table formed in the rear of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car and configured to fold the footrest from the storage space portion of the table By using the footrest that extends from the table, the rear seat occupant can comfortably ride the car with his feet up, and the passengers can lie down and rest by allowing the passenger's foot to be extended to accommodate th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table. In addition, the auxiliary table which draws in and ou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ble at the upper side of the table can be further configured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by placing food on the auxiliary table or using a laptop. Car tables with scaffolding It woul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전석(111)과 조수석(112)의 후방측에 밀착되고 후면 내측에 수납공간부(110)가 형성된 테이블(100)과; 상기 테이블(100)의 후면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부(110)의 하단에 양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거나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내측으로 접어지는 제1판넬과, 상기 제1판넬의 선단측에 연결되고 테이블의 후면 상단으로부터 탈착되는 제2판넬로 구성되어 테이블의 후면측으로 펼쳐져 뒷좌석 탑승객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2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11 and the passenger seat 112 of the vehicle and the storage space 110 is formed inside the rear; Both sides ar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110 formed inside the rear of the table 100 to extend outward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or the storage space of the table 100 ( 110) the first panel which is folded inward, and the second panel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anel and detached from the top of the rear of the table is extended to the rear side of the table, the footrest 200 is raised foot of the rear seat passenger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상기 발판(200)은,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하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210)과; 상기 브라켓(210)에 핀결합되고 선단에 고정홀(221)이 통공된 2개의 가이드링크(220)와; 상기 2개의 가이드링크(220)의 고정홀(221)이 고정핀(231)에 의해 결합되도록 후단 양측면에 각각 고정핀결합홀(232)이 통공되고 선단 양측에 연결홀(233)이 통공된 제1판넬(230)과; 상기 제1판넬(230)의 연결홀(233)에 연결고정되는 연결링크(241)에 의해 후단이 연결고정되고 후면 상단에 주철판(242)이 구비된 제2판넬(240)과; 상기 제2판넬(240)의 후면 상단에 구비된 주철판(242)이 탈부착되도록 상기 테이블(100)의 후면 상단에 부착된 자석(2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The footrest 200, the bracket 21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Two guide links 220 pin-coupled to the bracket 210 and having fixing holes 221 through the ends thereof; The fixing pins 221 of the two guide links 220, the fixing pins 231 through the holes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to be coupled by the fixing pins 231 and the connecting holes 233 through both ends 1 panel 230; A second panel 240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and fixed by a connection link 24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33 of the first panel 230 and having a cast iron plate 242 at an upper end of the rear panel; The magnet 250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rear of the table 100 so that the cast iron plate 242 provided on the top of the rear of the second panel 240 is detachable.

자동차용발판, 자동차용테이블, 자동차용 발안착판 Car Scaffolding, Car Table, Car Footrest

Description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Automotive table with footrest {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후방측에 테이블을 구성하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절첩되는 발판을 더 구성하여, 자동차 뒷좌석의 탑승자가 테이블로부터 펼쳐지는 발판에 발을 올려 놓고 편안하게 자동차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내부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신문이나 잡지 등과 같은 물품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테이블의 수납공간측으로 탑승객의 발을 넣어 뒷좌석 탑승객의 누워잘 수 있는 수면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rest mounted on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configure a table on the rear side of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and further configure a footrest folded from the table, so that the occupant of the rear seat of the automobile is unfolded from the table. Not only can you put your feet on the car comfortably, but also can form a storage space on the inside of the table to accommodate items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It relates to a car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to be used as a means of sleeping for the rear seat passengers to sleep.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발전 기술은 날로 진보되고 있으며, 자동차 고유의 능력 즉 속도와 같은 부분에서의 발전은 물론, 탑승객이 편안하게 자동차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In general, the power generation technology of automobiles is being advanced day by day, and the development in terms of the inherent ability of the vehicle, that is, the speed, as well as the development that allows the passengers to comfortably ride the vehicle, is being made at the same time.

특히 근래에 이르러서는 자동차의 선택 기준이 디자인과 안전성 그리고 각종 편의를 위한 장치가 좌우하는 경우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편의 장치 중에서 탑승객 또는 운전자에게 가장 먼저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요소는 시트의 안락함이라고 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selection criteria of automobiles is increasingly determined by design, safety, and devices for various conveniences, and among the various equipments, the first element that makes passengers or drivers feel comfortable is seat comfort. Can be.

때문에 여러 자동차 업계에서 또는 자동차 시트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다자인의 시트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As a result, many automakers or companies that specialize in producing car seats are focusing on developing seats by design.

하지만 시트가 편안하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의자에 앉아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에 입식문화보다 좌식문화에 익숙한 한국인들에게는 발을 구부린 상태에서 자동차에 탑승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거리 탑승시에 뒷좌석의 탑승객이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탑승객의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시트를 보조할 수 있는 발판을 자동차에 구비할 필요성이 있다.However, even if the seat is comfortable, it is basically sitting in a chair, so it is inconvenient for the passengers in the rear seats to ride long distances because Koreans who are more familiar with sitting culture than sitting culture have to bend the car with their feet bent. There is a problem,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footrest to the vehicle to assist the seat to put the foot of the passenger.

이는 특히 아동들의 경우에 발바닥이 닿지 않은 자세로 앉아 있는 경우가 많아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놓이게 됨에 따라, 전면 충돌의 경우 아동이 그대로 전방측으로 신체가 튀어나갈 위험성이 증가하기에 더욱 필요하다고 하겠다.This is especially true for children who are sitting in an out-of-foot position, leaving their feet floating in the air without wearing seat belts. It is more necessary to increase this.

또한 일반적인 승용차의 경우 운행 중 또는 잠시 정차 후 수면을 취하고자 할 때 등받이 시트를 최대한 뒤로 젖힌다 하더라도 탑승객의 발은 여전히 구부러진 상태로 놓이게 됨으로써 그다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 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general passenger car, even when the back seat is leaned back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user wants to sleep while driving or stops for a while, the passenger's foot is still in a bent state, which does not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comfortably lie down.

이에 따라, 자동차의 시트 후방에 뒷좌석 탑승객이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발판들이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footrests for automobiles that allow the rear seat passengers to put their feet behind the seat of the automobile have been variously devised.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52646호인 차량의자용 발판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차량의 좌석등판에 장착되어 착석자의 발이 편안하게 쉴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발판에 관한 것으로, 등판의 하단 즉, 좌석의 밑판과 겹치는 부분에 부착한 조절케이스 내에 장착된 렛치휠과, 이에 탄성스프링에 의해 렛치휠에 걸리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전달하며, 작동손잡이가 부착된 렛치와, 렛치휠에 단단히 체결된 발판과, 이들이 결합되어 작동손잡이의 조절로 사용자가 원하는 발판의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a footrest for a chair of a vehicle, which is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2646, has been devised, which relates to a footrest that is mounted on a seat back of a vehicle to provide a space where a seated foot can rest comfortably. The latch wheel is mounted in the adjustment case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seat and the force is always trans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latch wheel by the elastic spring, and the latch with the operation handle is firmly attached to the latch wheel. The footres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angle of the footrest that the user desires by adjusting the operation handle.

다른 예로서, 특허출원 제10-1996-082365호인 자동차의 시트용 발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뒷좌석 승객이 발을 올려 놓도록 프런트 시트에 설치되는 발판으로서, 상기 프런트 시트의 시트 백 하단으로부터 형성된 공간부에 하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런트 시트의 하부를 통과하는 공조장치의 덕트에 연결된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another example, a footrest for a seat of a vehicle, which is Patent Application No. 10-1996-082365, has been conceived, which is a footrest installed in the front seat so that rear passengers put their feet thereon, and a space formed from the bottom of the seat back of the front seat. The lower end is hinged to the part, and is configured to have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space part, and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duct of the air conditioner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heet is formed.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발판은, 자동차의 뒷좌석 탑승객들이 발판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는 동일하지만, 발판이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트의 후면에 연결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트에 대한 쿠션이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footrest for a conventional automobile has the same effect obtained by allowing the rear passengers of the vehicle to put the foot on the footrest, but since the footres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a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the sea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shion is limited.

다시 말해, 종래 기술들은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후면부를 내측으로 요입 형성한 다음, 이 시트 후면부의 내측으로 절첩되는 발판을 구성함으로써 발판의 두께 만큼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의 후면부가 요입형성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상기 발판이 요입되는 공간만큼 제한을 받게 되어 쿠션부가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prior art narrows the seat back por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nward, and then forms a footrest that is folded inwardly of the seat back portion, thereby narr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by the thickness of the footrest.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nstalled in the space are limited as much as the space in which the scaffold is recessed, thereby reducing the cushion portion.

뿐만 아니라, 종래 자동차용 발판의 경우 공간이 좁은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후면부에 구성되기 때문에,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의 후면에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편의성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ar scaffolding, since the space is configur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torage space cannot be formed in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thereby limiting convenience. have.

더욱이, 종래 자동차용 발판의 경우에는, 발을 올려 놓는다 하더라도 시트의 후면측으로부터 발판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탑승객이 발을 뻗은 후 누워 잘 수 없기 때문에, 뒷좌석 탑승객의 편안한 휴식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ar footrest, even if the foot is placed, the footrest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eat, so that passengers can't sleep after extending the foot. .

본 발명은 종래 자동차용 발판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후방측에 후면 내측에 수납공간부를 형성된 테이블을 장착하고 상기 테이블의 수납공간부로부터 발판이 절첩되게 구성함으로써, 테이블로부터 펼쳐지는 발판을 이용하여 뒷좌석의 탑승자가 발을 올려 놓고 편안하게 자동차를 탑승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테이블에 형성된 수납공간부측으로 탑승객의 발을 뻗어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이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테이블의 상단측에 테이블의 상단측으로부터 인출입되는 보조테이블을 더 구성하여 보조테이블에 음식을 올려 놓고 먹거나 또는 노트북을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ar footrest, mounting the table formed in the rear of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car and configured to fold the footrest from the storage space portion of the table By using the footrest that extends from the table, the rear seat occupant can comfortably ride the car with his feet up, and the passengers can lie down and rest by allowing the passenger's foot to be extended to accommodate th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table. In addition, the auxiliary table which draws in and ou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ble at the upper side of the table can be further configured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greatly improved by placing food on the auxiliary table or using a laptop. Car tables with scaffolding As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은,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후방측에 밀착되고 후면 내측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후면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부의 하단에 양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테이블의 수납공간부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거나 테이블의 수납공간부 내측으로 접어지는 제1판넬과, 상기 제1판넬의 선단측에 연결되고 테이블의 후면 상단으로부터 탈착되는 제2판넬로 구성되어 테이블의 후면측으로 펼쳐져 뒷좌 석 탑승객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able for an automobi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and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rear; Both sides ar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ear of the table to extend outwardly of the storage space of the table or to fol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table, an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panel. The second panel is connected to and detached from the rear top of the table and extends to the rear side of the table.

또한, 상기 발판은, 상기 테이블의 수납공간부 하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핀결합되고 선단에 고정홀이 통공된 2개의 가이드링크와; 상기 2개의 가이드링크의 고정홀이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후단 양측면에 각각 고정핀결합홀이 통공되고 선단 양측에 연결홀이 통공된 제1판넬과; 상기 제1판넬의 연결홀에 연결고정되는 연결링크에 의해 후단이 연결고정되고 후면 상단에 주철판이 구비된 제2판넬과; 상기 제2판넬의 후면 상단에 구비된 주철판이 탈부착되도록 상기 테이블의 후면 상단에 부착된 자석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caffolding, the bracke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of the table; Two guide links pin-connected to the bracket and having fixing holes through the ends thereof; A first panel in which fixing pin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two guide links, respectively, and fixing holes of the two guide lin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econd panel having a rear end connected and fixed by a connecting link fixed to a connection hole of the first panel, and having a cast iron plate at an upper end of the rear panel; It includes a magnet attached to the top of the rear of the table so that the cast iron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rear of the second panel detachable.

또한,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절첩되는 보조테이블이 더 구성되되, 상기 보조테이블은, 상기 테이블의 상면 양측에 결합고정되고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홈이 통공되며 상단에 내측으로 절곡진 걸림편이 형성된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의 상부측에 안착되어 상기 걸림편에 의해 걸어지는 걸림돌기가 하단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내측에 롤러가 축설되며 외면에 레버고정부가 형성된 상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의 레버고정부에 결합되는 고정편이 양단에 입설되고 상기 하부레일의 고정홈에 인입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하단에 형성된 레버와; 상기 레버고정부와 레버의 고정편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비틀림스프링과; 상기 상부레일의 상면에 하면이 결합고정되는 제1보조테이블과; 상기 제1보조테이블의 선단측에 링크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보조테이블측으로 접어지거나 제1보조테이블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보조테이블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table fol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he auxiliary tabl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through the outer surface is bent inward to the top A lower rail having a locking piece formed thereon; An upper rail seat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rail and bent by the locking piece to be bent outward at a lower end thereof, and having a roller built therein and a lever fixing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lever having a fix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lever fixing part of the upper rail at both ends and having a fixing protrusion fixed to the fixing groove of the lower rail at a lower end thereof; A torsion spring fitted between the lever fixing part and the fixing piece of the lever; A first auxiliary table having a lower surface coupled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rail; A second subsidiary table hing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subsidiary table by a link and folded toward the first subsidiary table or spread outward of the first subsidiary table is included.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은,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후방측에 밀착되는 테이블을 더 구성하되, 상기 테이블의 후면내측에 수납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부의 내측으로 접어지거나 수납공간부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발판을 더 구성함으로써 뒷좌석의 탑승객이 테이블의 수납공간부로부터 펼쳐지는 발판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하게 자동차를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Car table having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tabl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rear side of the car, forming a storage space in the rear inner side of the table, folded into the storage space or inside the storage space By further configuring the footrest that extends to the outside, the passengers in the rear seats can put their feet on the footrest that extends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table so that the passengers can ride the car more comfortably.

또한, 발판에 발을 올린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의 수납공간부 내측으로 탑승객의 발을 뻗어 수용할 수 있음에 따라 좌석을 뒤로 젖힌 후 수납공간부측으로 발을 뻗어 누울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내부에서 탑승객이 누워 휴식을 취하거나 숙면을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ssenger's foot can be extended and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space of the table in a state where the foot is placed on the footrest, the passenger can be stretched and laid on the side of the storage space after lying down the seat. You can lie down and get a good night's sleep.

또한, 탑승객의 발을 뻗어 누운 상태에서 휴식이나 숙면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 도중에 뒷좌석의 탑승객은 자동차의 정차시에 운전자의 잠깐의 휴식을 취함이 용이하고 운전자의 잠깐의 숙면을 유도할 수 있어 장거리 운전시에 운전자의 피로감을 쉽게 풀어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ssengers in the back seat can easily take a short break when the vehicle is stopped and induce a short sleep while the vehicle is stopped. It can easily relieve the driver's fatigue in long distance driving.

또한, 테이블의 상면에 인출입되어 펼쳐지는 보조테이블이 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뒷좌석의 탑승객이 노트북을 이용하여 업무를 보거나 함이 용이하고, 뒷좌석의 탑승객의 음식을 먹거나 할 때 음식을 올려 놓을 수 있음으로써 사용성이 크게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table is extended to draw in and o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it is easy for passengers in the rear seats to work or work using a laptop and put food on the back seats when they eat or eat. Usability greatly improves by being there.

또한,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의 후면에 테이블을 구성하지 않고, 운전석과 조수석의 후방측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테이블에 의해 발판을 구성할 수 있어, 운전석과 조수석의 쿠션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Moreover, without forming a table in the back of a seat of a driver's seat and a front passenger's seat, a board | substrate can be comprised by the table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a rear side of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and the cushion of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is not restricted.

또한, 발판이 구비된 테이블만을 따로 구입하여 쉽게 자동차에 장착사용이 가능함으로써 발판이 구비된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를 따로 구입하여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해결된다.In addition,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purchase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seat provided with the footrest can be solved by separately purchasing the table provided with the footrest can be easily used for mounting on the vehicle.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or word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 invention of his or her ow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도 1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구성요부인 발판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구성요부인 발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구성요부인 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보조테이블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보조테이블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레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vehicle table with the inventor's footrest,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automobile table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which is a constituent part of the automobile table, is closed, and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which is a constituent part of the automobile table, is provided with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otrest which is a constituent part of the provided car table,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ar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able, Figure 8 is an auxiliary frame which is a constituent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folded state, 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auxiliary table,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ar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ssential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the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ate of componen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and 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lever of componen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obile table provided with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opera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ever,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tabl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the inventors footrest And,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ar provided with a table for the inventors scaffol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은, 자동차의 운전석(111)과 조수석(112)의 후방측에 밀착되고 후면 내측에 수납공간부(110)가 형성된 테이블(100)과, 상기 테이블(100)의 후면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부(110)의 하단에 양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거나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내측으로 접어지는 제1판넬과, 상기 제1판넬의 선단측에 연결되고 테이블의 후면 상단으로부터 탈착되는 제2판넬로 구성되어 테이블의 후면측으로 펼쳐져 뒷좌석 탑승객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2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1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11 and the passenger seat 112 of the vehicle and the storage space 110 is formed inside the rear side, and Both sides are hing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110 formed inside the rear of the table 100 to extend outward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or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The first panel is folded inward, and the second panel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panel and detached from the rear top of the table. It is done.

상기 테이블(100)은 자동차의 운전석(111)과 조수석(112)의 후방측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운전석(111)과 조수석(112)으로부터 연결되는 실린더나 또는 기타의 연결수단으로 연결 고정된다.The table 100 is fixed to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11 and the passenger seat 112 of the vehicle, the connection is fixed by a cylinder or other connection means connected from the driver's seat 111 and the passenger seat 112. do.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는 테이블(100)의 두께 만큼 통공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공간부(110)에 신문이나 화장지 또는 잡지 등을 넣어 수납하거나 또는 기타의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is formed to be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table 100, the newspaper or toilet paper or magazines, etc. a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0 or other items I can keep 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은, 상기 운전석(111)과 조수석(112)의 후방측에 밀착되어 장착되는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에 탑승객의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발판(200)이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뒷좌석 탑승객이 상기 발판(200)을 이용하여 발을 올려 놓고 편안하게 자동차를 탑승할 수 있기 때문에, 장거리 여행이나 장시간 탑승시에 보다 편안하게 자동차를 탑승할 수 있다.Car table equipp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assenger's feet to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11 and the passenger seat 112, As the footrest 200 that can be placed is further configured, the rear seat occupant can comfortably ride the car with the foot on the footrest 200 by using the footrest 200. You can board a car.

또한, 상기 발판(200)이 구성되는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가 테이블(100)의 두께 만큼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탑승객은 상기 발판(200)을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외측으로 펼친상태에서 발을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까지 인입하여 발판(200)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음으로써 탑승객의 발을 완전히 뻗은 상태에서의 탑승이 가능하여 보다 편안하게 안락한 탑승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in which the scaffold 200 is configured is formed in an open state by the thickness of the table 100, the passenger may move the scaffold 200 to a table (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100, the foot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to place the foot on the footrest 200, thereby fully extending the foot of the passenger It is possible to ride in Esau can lead to a more comfortable ride.

더욱이, 수납공간부(110)측으로 탑승객의 발을 완전하게 뻗을 수 있음에 따라, 뒷좌석의 시트를 뒤로 완전히 젖힌 상태에서 탑승객이 거의 누운 상태가 유지 될 수 있어 탑승객의 휴식이나 숙면을 편안하게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장거리 운전시에 운전자로 하여금 휴게소 등에서 잠시 동안 숙면이나 휴식을 유도할 수 있다.Furthermore, as the foot of the passenger can be completely extended toward the storage space 110, the passenger can be almost laid down while the seat of the rear seat is completely folded back, thereby inducing the passenger to rest or sleep better. In addition, the driver may induce a good night's sleep or rest for a while at a rest area during long distance driving.

상기 발판(200)은,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하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210)과, 상기 브라켓(210)에 핀결합되고 선단에 고정홀(221)이 통공된 2개의 가이드링크(220)와, 상기 2개의 가이드링크(220)의 고정홀(221)이 고정핀(231)에 의해 결합되도록 후단 양측면에 각각 고정핀결합홀(232)이 통공되고 선단 양측에 연결홀(233)이 통공된 제1판넬(230)과, 상기 제1판넬(230)의 연결홀(233)에 연결고정되는 연결링크(241)에 의해 후단이 연결고정되고 후면 상단에 주철판(242)이 구비된 제2판넬(240)과, 상기 제2판넬(240)의 후면 상단에 구비된 주철판(242)이 탈부착되도록 상기 테이블(100)의 후면 상단에 부착된 자석(250)으로 구성된다.The scaffold 200 is a bracket 21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the pin 210 is coupled to the bracket 210 and the fixing hole 221 through the tip Two guide links 220 and fixing pins 221 of the two guide links 220 are fix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so that the fixing pins 231 are coupled by the fixing pins 231, respectively. The rear end is connected and fixed by the first panel 230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hole 233 is perforated, and the connection link 241 that is fixed to the connection hole 233 of the first panel 230, and the cast iron plate at the upper rear side. The magnet 250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rear of the table 100 so that the second panel 240 provided with 242 and the cast iron plate 242 provided on the top of the rear of the second panel 240 is detachable. It consists of.

이에 따라,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의 하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210)에 상기 제1판넬(230)이 2개의 가이드링크(220)가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제1판넬(230)이 수납공간부(110)의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수납공간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접어짐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first panel 230 is connected to the two guide links 220 to the brackets 210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The first panel 230 may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110 or may be folded inward of the storage space 110.

또한, 상기 제1판넬(230)과 연결링크(241)에 의해 연결되는 제2판넬(240)이 제1판넬(230)이 수납공간부(110)로부터 펼쳐지거나 접어질 때, 제1판넬(230)과 동일하게 수납공간부(110)측으로 펼쳐지거나 접어짐이 가능하고 더욱이, 상기 제1판넬(230)과 제2판넬(240)이 연결링크(241)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제1판 넬(230)과 제2판넬(240)이 힌지회동이 가능하여 테이블(110)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발판(200)을 펼치거나 접음이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panel 230 is unfolded or folded from the storage space 110, the second panel 240 connected by the first panel 230 and the connection link 241, the first panel ( In the same manner as 230, the storage space 110 may be unfolded or folded, and further, as the first panel 230 and the second panel 24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link 241, Since the first panel 230 and the second panel 240 can be hinged, the footrest 200 can be easily extended or fold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table 110.

또한, 상기 테이블(100)과 탈부착되는 상기 제2판넬(240)은, 주철판(242)과 자석(250)에 의한 탈부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테이블(100)과 제2판넬(240)에 각각 부착되는 암수 한 쌍의 벨크로테잎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second panel 240 detachably attached to the table 100 is not limited only to the detachment of the cast iron plate 242 and the magnet 250, and the table 100 and the second panel 240. It may consist of a pair of male and female velcro tapes attached to each other.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에는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으로부터 절첩되는 보조테이블(300)이 더 구성되되, 상기 보조테이블(300)은,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 양측에 결합고정되고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홈(311)이 통공되며 상단에 내측으로 절곡진 걸림편(312)이 형성된 하부레일(310)과, 상기 하부레일(310)의 상부측에 안착되어 상기 걸림편(312)에 의해 걸어지는 걸림돌기(321)가 하단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내측에 롤러(322)가 축설되며 외면에 레버고정부(323)가 형성된 상부레일(320)과, 상기 상부레일(320)의 레버고정부(323)에 결합되는 고정편(331)이 양단에 입설되고 상기 하부레일(310)의 고정홈(311)에 인입고정되는 고정돌기(332)가 하단에 형성된 레버(330)와, 상기 레버고정부(323)와 레버(330)의 고정편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레버(33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비틀림스프링(340)과, 상기 상부레일(320)의 상면에 하면이 결합고정되는 제1보조테이블(350)과, 상기 제1보조테이블(350)의 선단측에 링크(36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보조테이블(350)측으로 접어지거나 제1보조테이블(350)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보조테이블(360)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Car table having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is further configured an auxiliary table 300 that is fol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the auxiliary table ( 300, the lower rail 310 is coupled to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11 through the outer surface and the engaging piece 312 bent inwardly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The locking protrusion 321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310 and hooked by the locking piece 312 is bent to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and the roller 32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lever fixing portion 32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upper rail 320 and the fixing piece 331 coupled to the lever fixing part 323 of the upper rail 320 are installed at both ends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311 of the lower rail 310. The lever 33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332, the lever fixing portion 323 and A torsion spring 340 that is fitted between the fixing pieces of the burr 330 and transmits an elastic force to the lever 330, and the first auxiliary table 350, the lower surfac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rail 320 And a second auxiliary table which is hing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auxiliary table 350 by a link 361 and folded toward the first auxiliary table 350 or spread outward of the first auxiliary table 350. 360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보조테이블(300)은,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에서 테이블(100)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거나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에서 운전석(111)과 조수석(112)의 후방측에 각각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able 30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or the driver's seat 111 and the passenger seat 1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The rear side may be divided and configured.

이와 같이 보조테이블(300)이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뒷좌석 탑승객이 신문을 읽거나 또는 노트북을 사용하거나 할 때 받침수단으로 보조테이블(300)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음식을 먹거나 할 경우에는 하나의 식탁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As the auxiliary table 300 is furth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ar seat passenger reads a newspaper or uses a laptop, the auxiliary table 300 may be used as a supporting means. Can be used as a table top.

상기 보조테이블(300)은,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에 결합고정된 하부레일(310)과 이 하부레일(310)의 상단에 구성되어 하부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상부레일(320)에 의해 테이블(100)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어 사용시에 인출하여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인입하여 보관할 수 있음에 따라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The auxiliary table 300 includes a lower rail 310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and an upper rail 320 which is configur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rail 310 and slides along the lower rail 310. It can be withdrawn or withdraw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by using) can be withdrawn and used at the time of use and can be stored and withdrawn at the time of storage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뿐만 아니라, 보조테이블(300)이 제1보조테이블(350)과 제2보조테이블(360)로 구성되되, 상기 제1보조테이블(350)과 제2보조테이블(360)이 링크(361)에 의해 진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2보조테이블(360)을 제1보조테이블(350)로부터 접거나 펼침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시에 폭을 넓게 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폭을 좁게 하여 보관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보관성에 대한 실용성이 크게 향상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able 300 is composed of a first sub-table 350 and a second sub-table 360, the first sub-table 350 and the second sub-table 360 to the link 361 Since the second sub-table 360 can be folded or unfolded from the first sub-table 350, since the second sub-table 360 can be folded or unfolded, the width of the second sub-table 360 can be widened at the time of use. The usability as well as the practicality for storage are greatly improved.

더욱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레일(310)의 외면에 통공된 다수개의 고정홈(311)에 상기 상부레일(320)의 레버고정부(323)에 체결되는 레버(330)의 고정돌기(332)가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하부레일(310)와 상부레 일(320)의 가변되는 위치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14, the fixing of the lever 330 fastened to the lever fixing portion 323 of the upper rail 320 to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11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rail 310. As the protrusion 332 is drawn in and fixed,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wer rail 310 and the upper rail 320 to be appropriately used.

상기 레버(330)는, 상기 비트림스프링(340)에 의해 상기 하부레일(310)의 고정홈(311)측으로 인입되거나 이탈됨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레버(330)를 위측으로 젖히면 상기 레버(330)의 하단에 돌설형성된 고정돌기(332)가 상기 고정홈(311)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고, 젖혀진 레버(330)를 놓게 되면 상기 레버(330)는 비틀림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레버(330)의 고정돌기(332)가 고정홈(311)측으로 인입된다.The lever 330 is capable of being pulled in or out of the fixing groove 311 of the lower rail 310 by the bitrim spring 340. When the lever 330 is tilted upward, the lever 330 When the fixing protrusion 332 which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332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311 and separated, and the laid lever 330 is released, the lever 330 is original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340. The fixing protrusion 332 of the lever 330 is retracted to the fixed groove 311 side.

따라서, 상기 상부레일(320)이 하부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는 상기 레버(330)의 고정돌기(332)가 고정홈(311)으로부터 벗어나 이탈된 상태이고, 슬라이딩 이동된 상부레일(320)이 정지되면, 상기 레버(330)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레버(330)의 고정돌기(332)가 상기 하부레일(310)의 외면에 통공된 다수개의 고정홈(311)들 중 하나의 고정홈(332)에 인입되기 때문에, 이동된 상태에서의 견고한 상부레일(320)의 정지가 가능하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rail 320 is slid along the lower rail 310, the fixing protrusion 332 of the lever 330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311 and the sliding upper rail ( When 320 is stopped, the lever 3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332 of the lever 330 is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11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rail 310. Since it is drawn into the fixing groove 332 of the, it is possible to stop the solid upper rail 320 in the moved st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being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embodiment is simply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known art. Together with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een that the technology that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the inventor's footrest.

도 2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vehicle table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구성요부인 발판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ootrest which is a constituent part of the vehicle table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구성요부인 발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rest unfolds, which is a constituent part of the vehicle table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구성요부인 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caffolding, which is a constituent portion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보조테이블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auxiliary table, which is a constituen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보조테이블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the auxiliary table, which is a constituent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 부인 보조테이블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auxiliary table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out.

도 11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omponents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레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lever, which is a constituen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부인 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1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ever, which is a constituent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table provided with the inventors footrest.

도 15는 본 발명인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vehicle table provided with a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테이블 110 : 수납공간부100: table 110: storage space

111 : 운전석 112 : 조수석 111: driver's seat 112: passenger seat

200 : 발판 210 : 브라켓200: footrest 210: bracket

220 : 가이드링크 221 : 고정홀220: guide link 221: fixing hole

230 : 제1판넬 231 : 고정핀230: first panel 231: fixing pin

232 : 고정핀결합홀 233 : 연결홀232: fixing pin coupling hole 233: connection hole

240 : 제2판넬 241 : 연결링크240: second panel 241: connection link

242 : 주철판 250 : 자석242: cast iron plate 250: magnet

300 : 보조테이블 310 : 하부레일300: auxiliary table 310: lower rail

311 : 고정홈 312 : 걸림편311: fixing groove 312: locking piece

320 : 상부레일 321 : 걸림돌기320: upper rail 321: locking projection

322 : 롤러 323 : 레버고정부322: roller 323: lever fixing

330 : 레버 331 : 고정편330: lever 331: fixing piece

332 : 고정돌기 340 : 비틀림스프링332: fixed protrusion 340: torsion spring

350 : 제1보조테이블 360 : 제2보조테이블350: first auxiliary table 360: second auxiliary table

361 : 링크361: link

Claims (5)

자동차의 운전석(111)과 조수석(112)의 후방측에 밀착되고 후면 내측에 수납공간부(110)가 형성된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하단에 양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부(110) 외측방향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접어지는 제1판넬과, 상기 제1판넬의 선단측에 연결되고 테이블의 후면 상단으로부터 탈착되는 제2판넬로 구성되어 테이블의 후면측으로 펼쳐져 뒷좌석 탑승객의 발이 올려지는 발판(200)으로 이루어지는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발판에 있어서,Both sides are hing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11 and the passenger seat 112 of the car and the storage space 110 is formed in the rear side. (110) It consists of a first panel that extends outwardly or folded inward, and a second panel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panel and detached from the top of the rear of the table and spreads to the rear side of the table to raise the rear passengers' feet. In the footrest for cars provided with a footrest made of a losing footrest 200, 상기 발판(200)은, 상기 테이블(100)의 수납공간부(110) 하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브라켓(210)과;The footrest 200, the bracket 21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space 110 of the table 100; 상기 브라켓(210)에 핀결합되고 선단에 고정홀(221)이 통공된 2개의 가이드링크(220)와;Two guide links 220 pin-coupled to the bracket 210 and having fixing holes 221 through the ends thereof; 상기 2개의 가이드링크(220)의 고정홀(221)이 고정핀(231)에 의해 결합되도록 후단 양측면에 각각 고정핀결합홀(232)이 통공되고 선단 양측에 연결홀(233)이 통공된 제1판넬(230)과;The fixing pins 221 of the two guide links 220, the fixing pins 231 through the holes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to be coupled by the fixing pins 231 and the connecting holes 233 through both ends 1 panel 230; 상기 제1판넬(230)의 연결홀(233)에 연결고정되는 연결링크(241)에 의해 후단이 연결고정되고 후면 상단에 주철판(242)이 구비된 제2판넬(240)과;A second panel 240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and fixed by a connection link 24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233 of the first panel 230 and having a cast iron plate 242 at an upper end of the rear panel; 상기 제2판넬(240)의 후면 상단에 구비된 주철판(242)이 탈부착되도록 상기 테이블(100)의 후면 상단에 부착된 자석(25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발판.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250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rear of the table 100 so that the cast iron plate 242 provided on the upper rear of the second panel 240 is detachable Scaffolding.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에는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으로부터 절첩되는 보조테이블(300)이 더 구성되되,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is further configured an auxiliary table 300 that is fol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상기 보조테이블(300)은,The auxiliary table 300,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 양측에 결합고정되고 외면에 다수개의 고정홈(311)이 통공되며 상단에 내측으로 절곡진 걸림편(312)이 형성된 하부레일(310)과;A lower rail 310 which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and ha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11 through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a locking piece 312 bent inwardly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하부레일(310)의 상부측에 안착되어 상기 걸림편(312)에 의해 걸어지는 걸림돌기(321)가 하단 외측으로 절곡형성되고 내측에 롤러(322)가 축설되며 외면에 레버고정부(323)가 형성된 상부레일(320)과;The locking protrusion 321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rail 310 and hooked by the locking piece 312 is bent to the bottom of the lower side, and the roller 32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lever fixing portion 32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The upper rail 320 is formed; 상기 상부레일(320)의 레버고정부(323)에 결합되는 고정편(331)이 양단에 입설되고 상기 하부레일(310)의 고정홈(311)에 인입고정되는 고정돌기(332)가 하단에 형성된 레버(330)와;The fixing piece 331 coupled to the lever fixing portion 323 of the upper rail 320 is placed at both ends, and the fixing protrusion 332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311 of the lower rail 310 is located at the bottom thereof. A lever 330 formed; 상기 레버고정부(323)와 레버(330)의 고정편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레버(33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비틀림스프링(340)과;A torsion spring 340 which is fitted between the lever fixing part 323 and the fixing piece of the lever 330 to transmit an elastic force to the lever 330; 상기 상부레일(320)의 상면에 하면이 결합고정되는 제1보조테이블(350)과;A first auxiliary table 350 having a lower surfac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rail 320; 상기 제1보조테이블(350)의 선단측에 링크(36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보조테이블(350)측으로 접어지거나 제1보조테이블(350)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제2보조테이블(36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발판.The second auxiliary table 360 which is hinged by the link 361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auxiliary table 350 and folded toward the first auxiliary table 350 or spread out of the first auxiliary table 350. Footrest for cars provided with a scaffol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삭제delet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보조테이블(300)은, 상기 테이블(100)의 상면에서 운전석(111)과 조수석(112)의 후방측에 각각 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발판.The auxiliary table 300 is a footrest for a vehicle having a footres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11) and the passenger seat (1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100).
KR1020090069252A 2009-07-29 2009-07-29 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 KR1011257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52A KR101125784B1 (en) 2009-07-29 2009-07-29 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252A KR101125784B1 (en) 2009-07-29 2009-07-29 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30A KR20110011830A (en) 2011-02-09
KR101125784B1 true KR101125784B1 (en) 2012-03-27

Family

ID=4377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252A KR101125784B1 (en) 2009-07-29 2009-07-29 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7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5266B1 (en) 2021-05-13 2022-1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ppor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8282A (en) * 2016-06-02 2017-12-12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A kind of movable table of seat and there is its seat and vehicle
KR102452473B1 (en) * 2017-11-17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able apparatus built-in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313Y1 (en) * 1994-12-05 1997-05-29 이승우 Detachable type table for a vehicle
JP2008307997A (en) * 2007-06-13 2008-12-25 Kanto Auto Works Ltd Leg application device for vehicular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313Y1 (en) * 1994-12-05 1997-05-29 이승우 Detachable type table for a vehicle
JP2008307997A (en) * 2007-06-13 2008-12-25 Kanto Auto Works Ltd Leg application device for vehicular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5266B1 (en) 2021-05-13 2022-1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ppor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30A (en)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48107A1 (en) Stowable vehicle seat
KR20030043903A (en) A bed seat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JP2004131044A (en) Front seat assembly for automobile
KR101125784B1 (en) Table for automobile with folding type footboard
KR20150112473A (en) Mat for a vehicle
KR101305677B1 (en) Always-fitting device for car seat using rear seat
KR20130019877A (en) Vehicle seat with a built-in type baby seat
KR200450572Y1 (en) Chair for the subway
WO2010040293A1 (en) An improved combination vehicle seat and bed
US6315359B1 (en) Child safety seat
JP5092515B2 (en) Auxiliary seat device for vehicle
JP3117215U (en) Leg rest for nap in the car
CN214355678U (en) Front and back slidable handrail in cab
CN202200872U (en) Multifunctional armrest device of back-row seat of automobile
JP2000289503A (en) Conversion structure for infant for vehicle seat
JP3272169B2 (en) Vehicle seat
KR20170001276A (en) Car bed
JP4223497B2 (en) A chair to which the seat plate can be turned and a small vehicle having the chair
KR20230030131A (en) Rear seat for vehicle with air mat
KR20020048453A (en) Screen apparatus for seat of express way bus
KR20230118272A (en) A safety seat for infants using car armrests
KR200369680Y1 (en) Seats for automobile with baby seats
KR101402777B1 (en) uneven type chair for railway vehicle
KR19990017400A (en) Head support of seat
KR19980024030U (en) Bus with versati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