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116B1 -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 Google Patents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116B1
KR101125116B1 KR1020090069317A KR20090069317A KR101125116B1 KR 101125116 B1 KR101125116 B1 KR 101125116B1 KR 1020090069317 A KR1020090069317 A KR 1020090069317A KR 20090069317 A KR20090069317 A KR 20090069317A KR 101125116 B1 KR101125116 B1 KR 10112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upport device
frame
support member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873A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09006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대해 프레임의 하측을 다양한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 및 이 프레임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기울기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파티션용 프레임 하측의 원하는 위치마다 쉽게 하부지지장치를 설치하여 프레임의 하측방향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이 하부지지장치에 레그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탈부착할 수 있어 파티션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파티션, 포스트, 휨, 지지부재, 레그

Description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PARTITION HAVING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티션용 프레임 하측의 원하는 위치마다 쉽게 하부지지장치를 설치하여 프레임의 하측방향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이 하부지지장치에 레그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탈부착할 수 있어 파티션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사무공간이나 작업공간을 영역별, 기능별 부서별로 특화시키거나 분할하여 구분 짖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티션은 외곽의 틀을 이루는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외곽틀이 견고하게 형틀을 유지시키거나 휨현상을 방지하도록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파티션은 측방향으로 소정의 밀리는 힘에 의해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파티션 각각은 양측 가장자리만을 지지하도록 조립되어지기 때문에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티션용 프레임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측포스트에 축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지지부재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파티션의 하부휨을 방지하고자 한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양측에 기울기방지부재를 형성하여 파티션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일차적으로 방지하고, 기울기방지부재에 레그를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파티션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이차적으로 방지하고자 한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은: 바닥에 대해 프레임의 하측을 다양한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 및 이 프레임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기울기방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프레임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측과 양측으로 개방된 삽입홈부를 형성하고, 프레임과 체결부재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이 바람직하 다.
상기 기울기방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각각 레그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어져스트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방지부재는 하측으로 개방된 개방공간을 갖고, 상기 기울기방지부재는 내외측으로 연통되는 수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레그는 상기 수용구에 삽입되면서 상기 기울기방지부재를 지지하는 수용돌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돌부는 양측면에 제 1가이드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개방공간의 마주하는 내측면은 상기 레그의 단부와 상기 제 1가이드돌부에 동시에 접하는 한 쌍의 제 2가이드돌부를 각각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돌부는 상기 기울기방지부재와 결속부재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은 종래 기술과 달리 파티션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측포스트에 축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지지부재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하측포스트를 포함한 파티션의 하부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양측에 기울기방지부재를 형성하여 파티션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일차적으로 방지하고, 기울기방지부재에 레그를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파티션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이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 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하부지지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은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10) 및 이 프레임(10)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장치(100)를 포함한다.
특히, 프레임(10)은 한 쌍 구비되는 수직포스트(20), 이 수직포스트(20)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측포스트(30) 및 이 수직포스트(20)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측포 스트(40)를 포함한다.
이때, 상측포스트(30)와 하측포스트(40)는 각각 수직포스트(20)에 수직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하측포스트(40)는 하나의 상측포스트(30)와 한 쌍의 수직포스트(20)를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하측포스트(40)는 하중을 많이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하측포스트(40)는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측포스트(40)는 하부지지장치(100)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하부지지장치(100)는 하측포스트(40)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하측포스트(40)를 충분히 지지함에 따라 하측포스트(40)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하부지지장치(100)는 지지부재(110) 및 기울기방지부재(12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0)는 바닥에 대해 하측포스트(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부재(110)는 하측포스트(4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하측포스트(40)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다. 즉, 지지부재(110)는 하측포스트(4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어 바닥에 대해 하측포스트(40)의 하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지부재(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지지부재(110)는 내측에 하측포스트(40)를 안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부재(110)에 지지되는 하측포스트(4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하측포스트(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지지부재(110)는 상측과 양측으로 개방된 삽입홈부(130)를 함몰 형 성한다. 이 삽입홈부(130)는 하측포스트(40)의 축방향에 대해 일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 삽입홈부(130)는 하측포스트(40)의 일부를 억지 끼움하는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측포스트(40)의 일부란 하측포스트(40)의 축방향에 대해 지지부재(110)와 접하는 길이만큼을 의미함과 동시에 삽입홈부(130)의 내측면과 접하는 하측포스트(40)의 둘레면을 의미한다.
아울러, 삽입홈부(130)에 수용된 하측포스트(40)는 지지부재(110)와 견고하게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지지부재(110)는 하측포스트(40)와 체결부재(140)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부재(140)는 지지부재(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된 후 하측포스트(40)의 하측과 체결된다.
이때, 체결부재(140)는 볼트와 같은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울기방지부재(120)는 지지부재(110)의 양측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110)의 양측은 하측포스트(40)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대응되는 지지부재(110)의 양측면을 의미한다.
특히, 기울기방지부재(120)는 지지부재(110)의 양측을 지지한다. 이 기울기방지부재(120)는 바닥에 대해 지지부재(11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그래서, 프레임(10)은 기울기방지부재(120)에 의해 일차적으로 측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측방향이란 하측포스트(40)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 기울기방지부재(120)는 지지부재(110)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지지부재(110)가 하측포스트(40)에 다수 개 구비됨에 따라 기울기방지부재(120)는 다수 개의 지지부재(110) 각각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기울기방지부재(120)가 너무 길게 형성되면 보행자에게 간섭을 주게 된다.
따라서, 기울기방지부재(120)는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프레임(10), 특히 하측포스트(40)의 양쪽 최외측에도 지지부재(110)와 기울기방지부재(120)를 포함하는 하부지지장치(100)가 구비된다. 물론, 하측포스트(40)는 양쪽 최외측에만 하부지지장치(100)가 구비되어도 된다.
특히, 하측포스트(40)와 연결되는 수직포스트(20)가 기울기방지부재(120)를 구비하고, 이 기울기방지부재(120)는 레그(210)를 연장 형성하여 프레임(10)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이차적으로 방지한다. 즉, 레그(210)는 프레임(1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레그(21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울기방지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수직포스트(20)는 하부지지장치(100)에 단독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편의상, 도 2, 도 3 및 도 6에서는 지지부재(110)에 수직포스트(20)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나, 지지부재(110)에 하측포스트(40)도 동일 방식으로 결합된다.
레그(2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울기방지부재(120)의 양측에 형성되는 레그(210)는 동일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지지부재(110)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어져스트(28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레그(210)가 바닥에 대해 지지부재(110)를 지지하게 되는데, 지지부재(110)가 레그(210)에 의해 바닥면과 소정 유격될 경우, 어져스트(280)는 지지부재(110)를 직접적으로 바닥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어져스트(280)는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레그(210)는 기울기방지부재(1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기울기방지부재(120)는 하측으로 개방된 개방공간(220)을 갖는다. 즉, 기울기방지부재(120)는 내측에 중공 형상인 개방공간(220)을 형성한다. 이 개방공간(220)은 기울기방지부재(120)의 하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기울기방지부재(120)는 개방공간(220)과 외측을 연통하는 수용구(230)를 형성한다. 이 수용구(230)는 기울기방지부재(120)의 내외측을 연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용구(230)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수용구(230)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레그(210)는 수용구(230)에 삽입되면서 기울기방지부재(120)를 지지하는 수용돌부(240)를 구비한다. 즉, 레그(210)는 일측으로 수용돌부(240)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수용돌부(240)는 레그(210)의 대략 축방향에 해당되는 양측 중 어느 일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이 수용돌부(240)는 수용구(23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삽입된다. 따라 서, 수용돌부(240)의 일부는 개방공간(22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레그(210)의 일측면과 기울기방지부재(120)의 대응되는 측면은 서로 면접된다. 아울러, 레그(210)는 사분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레그(210)는 바닥에 대해 기울기방지부재(120)를 지지한다.
즉, 기울기방지부재(120)는 레그(210)에 지지되어 바닥에서 소정 떨어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레그(210)는 바닥에 접한 면적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화하고, 기울기방지부재(120)와 지지부재(110)를 바닥에서 소정 유격되도록 지지함에 따라 프레임(10)은 레그(210) 일부가 바닥에 접한 상태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레그(210)는 기울기방지부재(120)에 정위치 슬라이드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수용돌부(240)는 양측면에 제 1가이드돌부(250)를 돌출 형성하고, 개방공간(220)의 마주하는 내측면은 레그(210)의 단부와 제 1가이드돌부(250)에 동시에 접하는 한 쌍의 제 2가이드돌부(260)를 각각 구비한다.
즉, 레그(210)의 일측 단부는 한 쌍의 제 2가이드돌부(260) 중 어느 하나의 제 2가이드돌부(260)를 따라 이동 안내되고, 제 1가이드돌부(250)는 다른 하나의 제 2가이드돌부(260)를 따라 이동 안내된다.
따라서, 수용돌부(240)는 수용구(230)에 정위치 삽입된다.
또한, 수용돌부(240)는 기울기방지부재(120)와 결속부재(270)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돌부(240)가 임의적으로 수용구(230)로부터 이 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결속부재(270)는 볼트 등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하부지지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40: 하측포스트
100: 하부지지장치 110: 지지부재
120: 기울기방지부재 130: 삽입홈부
210: 레그 220: 개방공간
230: 수용구 240: 수용돌부
250,260: 제 1,2가이드돌부

Claims (7)

  1. 바닥에 대해 프레임의 하측을 다양한 위치에서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기울기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방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각각 레그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측과 양측으로 개방된 삽입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과 체결부재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어져스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방지부재는 하측으로 개방된 개방공간을 갖고;
    상기 기울기방지부재는 내외측으로 연통되는 수용구를 형성하며;
    상기 레그는 상기 수용구에 삽입되면서 상기 기울기방지부재를 지지하는 수용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돌부는 양측면에 제 1가이드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개방공간의 마주하는 내측면은 상기 레그의 단부와 상기 제 1가이드돌부에 동시에 접하는 한 쌍의 제 2가이드돌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돌부는 상기 기울기방지부재와 결속부재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KR1020090069317A 2009-07-29 2009-07-29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KR10112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17A KR101125116B1 (ko) 2009-07-29 2009-07-29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17A KR101125116B1 (ko) 2009-07-29 2009-07-29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73A KR20110011873A (ko) 2011-02-09
KR101125116B1 true KR101125116B1 (ko) 2012-03-21

Family

ID=4377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317A KR101125116B1 (ko) 2009-07-29 2009-07-29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1441A (ja) 1998-02-23 1999-09-07 Okamura Corp 折り畳みパネルの補助脚
JP2005232869A (ja) * 2004-02-20 2005-09-02 Okamura Corp 間仕切りパネルの安定脚装置
JP2005264549A (ja) * 2004-03-18 2005-09-29 Comany Inc ローパーティションの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1441A (ja) 1998-02-23 1999-09-07 Okamura Corp 折り畳みパネルの補助脚
JP2005232869A (ja) * 2004-02-20 2005-09-02 Okamura Corp 間仕切りパネルの安定脚装置
JP2005264549A (ja) * 2004-03-18 2005-09-29 Comany Inc ローパーティションの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873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067B2 (en) Length-adjustable foot support for a table and support base
US20190142155A1 (en) Privacy screen table connection mechanism
KR101362275B1 (ko)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US8276874B2 (en) Ceiling formwork system
US20060096506A1 (en) Table, especially office and conference table
JPH08252151A (ja) 規則的パターンで配置された多数のばね要素を有するクッションエレメント
US7243887B2 (en) Suspension system
EP2947976B1 (en) Framework for electronic or network cabinets
RU2004112561A (ru) Система стеллажей для хранения и архивирования предметов
KR200478780Y1 (ko) 차량용 멀티 케리어
NO319472B1 (no) System for avtagbart oppheng av hyller, skuffer eller lignende
KR101125116B1 (ko) 하부지지장치를 갖는 파티션
KR100448983B1 (ko) 폴딩 테이블
KR20100118711A (ko) 연장 조립이 용이한 양면형 책 진열대
KR102118686B1 (ko) 착탈식 책상 칸막이보드 결합용 고정클램프
JP7419803B2 (ja) テーブル
JP6654816B2 (ja) 什器
US20020059889A1 (en) Table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GB223234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helving arrangement
JP3790836B2 (ja) 支持装置
JP6680557B2 (ja) 什器システム
EP4339409A1 (en) Structure for sliding doors and related kit for assembly
JP7444578B2 (ja) 支持構造、什器及び取付方法
JP6463964B2 (ja) 手すり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