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700B1 -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700B1
KR101124700B1 KR1020080068827A KR20080068827A KR101124700B1 KR 101124700 B1 KR101124700 B1 KR 101124700B1 KR 1020080068827 A KR1020080068827 A KR 1020080068827A KR 20080068827 A KR20080068827 A KR 20080068827A KR 101124700 B1 KR101124700 B1 KR 101124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lone
lactic acid
seed extract
grapefruit seed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383A (ko
Inventor
조영철
김해섭
이영재
박정욱
박인배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08006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7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0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4/22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2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제로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의 배합비, 농도의 최적화와 이 항균제를 이용한 전복 가동 기술과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전복을 동결하지 않고 냉장상태로 저장, 유통, 판매함으로 신선한 상태의 전복을 품질이 유지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는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은 Staphylococcus aureus , Bacillus cereus , Es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 Pseudomonas fluorescens , Vibrio parahaemolyticus 등의 미생물 성장억제 및 살균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물에 용해시킨 1% 자몽종자추출물과 10%젖산의 혼합비율을 35.73:64.27~56.58:43.42(v/v)의 범위로 혼합하는 항균물질 혼합조성물의 제조, 앞의 방법에 의하여 혼합 조제된 항균물질을 물로 51.70~100%로 희석 제조하여 식품류의 가공에서 균의 살균과 증식억제를 목적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물질 조성물을 제조, 전복을 세척, 탈각, 내장제거, 세척, 절단 후 앞의 항균물질에 3내지 15분간(바람직하게는 10분) 침지하여 살균하고, 건져내어 탈수하여 진공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가공품을 제조 및 전복을 세척, 탈각, 내장제거, 세척, 절단 후 앞의 항균물질에 3내지 15분간(바람직하게는 10분) 침지하여 살균하 고, 제2항의 항균물질을 50내지 100배(바람직하게는 80배) 희석한 액에 침지하여 밀봉포장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복 가공품을 제조이를 위하여 살균제로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의 배합비, 농도의 최적화와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하는 살균제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복, 비냉동, 냉장유통, 자몽종자추출물, 젖산

Description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Antimicrobial agent composition by lactic acid and grapefruit seed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ing abal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제로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의 배합비, 농도의 최적화와 이 항균제를 이용한 전복 가동 기술과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전복을 동결하지 않고 냉장상태로 저장, 유통, 판매함으로 신선한 상태의 전복을 품질이 유지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는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 등[2005. Journal of Life Science, 15(1), 66~70.]의 보고에 의하면, 초기 감염 미생물 수를 줄이고, 그 미생물의 증가를 억제시켜 과일과 채소류의 유통기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지는 향균보존료로는 안식향산, 소르빈산, 프로피온산나트륨, dehydroacetic acid 등이 있지만, 독성이 강하여 사용량과 사용용도에 대해 법적으로 규제되고 있을 뿐 아니라 잔류독성의 문제까지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독성이 없으면서 살균력이 있는 향균제의 개발이 필요했고, 개발된 천연향 균제로는 여러 가지 식물의 추출물질, 특정 단백질 및 효소, 유기산 등이 있다[Ko et . al., 1995. J. Korean Soc . Food Nutr . 24, 690~694, Lee et . al., 1995. Korean J. Sci . Technol . 27, 985~990].
자몽종자추출물(GFSE, Grapefruit seed extract)은 항균, 항진균,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발표되었으며, 독성 실험에서는 안식향산나트륨, 솔빈산 칼륨에 비해서 거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Cho et . al., 1990. Bull . Korean Fish . Soc . 23, 289~296, Cho et . al., 1995. J. Fd Hyg . Safety, 10, 33~39, Reagor et . al., 2002. J. Altern . Complement Med. 8, 325~332, Xiong et . al., 1998. J. Food Prot. 61, 272~275]. 특히, GFSE의 성분 중 ascorbic acid, ascorbyl palmitate 및 tocopherol 등이 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의 세포벽 및 세포막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효소활성을 억제한다고 하였고[Choi et . al., 2000, Korean J. Dietary Culture. 15, 9~15, Giamperi et . al ., 2004. Fitoterapia. 75, 221~224], DNA/RNA에서 비롯되는 세포증식 기작을 방지하여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등에 살균효과를 나타나며 곰팡이의 생륙 및 독소합성에 저해효과를 가진다고 보고한바 있다[Heggers et . al., 2002. J. Altern , Complement Med. 8, 333~340, Sakamoto et . al., 1996. Eisei Shikenjo Hokoku . 114, 38~42].
박과 김[2006. 국식품영양학회지, 19(4), 526~531]은 자몽종자추출물의 항균활성에 대한 보고에서 그람 양성균인 Bacillus cereus , Bacillus subtilis , Listeria monocytogenes와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 Salmonella enteritidis , Serratia marcescens를 대상으로 최소 저해 농도 실험 결과 그람 양 성균에 대한 자몽 종자 추출물의 최소 저해 농도는 12.5ppm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그람 음성균의 최소 저해 농도는 50ppm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균주의 증식에 대한 생육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Bacillus cereus는 1ppm이하, Bacillus subtilis는 6.25ppm, Listeria monocytogenes는 1ppm이하, Escherichia coli는 6.25ppm, Salmonella enteritidis는 25ppm, Serratia marcescens는 25ppm부터 생육이 저해되었다.
한편 육류는 저장기간은 주로 초기 오염정도와 저장조건에 의해 좌우된다[Fung et . al., 1980. J. Food Prot., 43, 547, Kotula and Emswiler-Rose. 1981. J. Food Sci., 46, 471]. 미생물에 의한 육류의 초기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도살시 위생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위생적으로 도살한다고 하더라도 도체의 오염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따라서 도살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도체를 위생처리하는 방법들이 고려되었고 그 중 여러 방법들이 도체의 오염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고 보고되었다. 도체의 오염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 물리적인 방법들로는 도체에 물을 뿌리는 방법[Anderson et . al., 1979. J. Food Prot., 42, 389, Anderson et . al., 1980. J. Food Prot., 43, 568, Anderson et . al., 1981. J. food Prot., 44, 35], 온수를 사용한 열 처리 방법[Bothast et . al., 1968. J. Milk Food Technol., 31, 340, Sheridan. 1982. Meat Sci., 6, 211, Smith and Graham. 1978. Meat Sci., 2, 119], 감마선 조사법[Lefebvre et . al., 1992. Meat Sci., 32, 203, Rodriguez et . al., 1993. J. Food Prot., 56, 505, Shamsuzzaman et . al., 1992. J. Food Prot., 55, 528], 적외선 조사법[Snijers and Gerats. 1977. Fleischwirtschaft., 57, 2216] 등이 있었고,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염소용액의 사용[Emswiler et . al., 1976. J. Anim . Sci., 42, 1145, Kotula et . al., 1974. J. Anim . Sci., 39, 674, Patterson. 1968. Br . Poult . Sci., 9, 129, Titus et . al., 1978. J. Food Prot ., 41, 606], 이산화탄소 중에서의 저장[Gill and Tan. 1980. Appl . Environ , Microbiol., 39, 317, Bala et . al., 1977. J. food Sci., 42, 743], 초산, 구연산 등의 사용[Biemuller et . al., 1973. J. Food Sci., 38, 261, Ockerman et . al., 1974. J. Milk food Technol., 37, 203]이 시도되었다.
특히, 젖산은 항미생물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Ockerman et . al., 1974. J. Milk food Technol., 37, 203, Mountney and O'Mallery. 1965. Poultry Sci., 44, 582, Smulers and Woolthusis. 1983. J. food Prot., 46, 1032], 12%의 젖산용액을 양의 도체에 처리한 경우 호기성 미생물 수를 1log cycle 정도 감소시켰다고 한 보고가 있으며[Ockerman et . al., 1974. J. Milk food Technol., 37, 203], 1%의 젖산용액을 소의 도체에 처리했을 경우도 미생물수가 감소되었다는 보고도 있다[Snijders et . al., 1970. Fleischwirtschaft, 59, 656]. 김[1997. 한국조리과학회지, 13(2), 293~298)]은 닭고기의 항미생물 효과를검토한 결과 2% 젖산 용액이 효과적이다라고 했다.
천연항균제 및 자몽종자추출물 등에 대한 특허로는 천연 식품첨가물 및 저온살균을 이용하여 저장성을 향상한김치의 제조방법[공개특허 10-2004-0096256, 2004. 11. 16],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김치의 저장성 연장방법[공개특허 특2003- 0014865, 2003. 2. 20], 자몽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보존료 조성물[특1993-0009496, 1993. 10. 6] 등이 있으나,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대한 것이나, 이를 전복 가공에 적용한 경우는 찾아 보기 힘들다.
국내의 전복 소비실태는 대부분 횟감, 즉 생물형태로 소비되고 있어 특별한 가공기술에 대한 연구 및 기술 수준은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다만 전복죽제품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레토르트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술이 대기업과 생산자단체 등에서 개발하여 시판되고 있다.
최근 전복훈제제품, 통조림, 간장절임제품 등의 가공기술이 개발되어 홈쇼핑 및 인터넷 쇼핑을 중심으로 소량 판매되고 있다. 또한, 전복의 일반성분 및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조성, 지방산조성 등 일반적인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일부 기능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가공기술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국내생산량의 70%가량을 소비하는 일본의 수출길이 막힐 경우 전복양식산업은 큰 위기에 닥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형태를 갖춘 가공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세계적으로 전복은 일본 시장이 가장 크나 일본 또한 소비형태가 우리나라와 비슷하여 양식전복을 생회 등으로 섭취하고 있으며 2차 가공기술은 국내와 유사하게 열악하다. 서양에서는 껍질이 한쪽밖에 없는 전복을 먹으면 사랑에 실패한다는 속설 등으로 금기시 했던 어패류로 최근에 웰빙식품으로 인식되어 소비가 늘고 있다. 호주의 경우 동북아시아시장을 목표로 보일드통조림 제품개발 등으로 가공기술개발을 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는 건전복을 이용하여 한방소재 및 요리에 이용하고 있을 뿐 가공기술은 단순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복의 소비 향상과 신선한 상태로 소비자에게 까지 유통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간구하고, 활전복의 과다한 물류비를 해결하고자, 비냉동상태(냉장상태)에서 저장, 유통되어 식재료 또는 선어회로 소비가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위생적인 가공기술 개발과 적절한 살균제의 최적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제로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의 배합비, 농도의 최적화와 이 항균제를 이용한 전복 가동 기술과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전복을 동결하지 않고 냉장상태로 저장, 유통, 판매함으로 신선한 상태의 전복을 품질이 유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은, 1% 자몽종자추출물 수용액과 10% 젖산 수용액을 35.73:64.27 ~ 56.58:43.42(v/v)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은, 1% 자몽종자추출물 수용액과 10% 젖산 수용액을 35.73:64.27 ~ 56.58:43.42(v/v)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그 혼합용액을 물로 51.70 ~ 100%로 희석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을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은, 자몽종자추출물과 젓산이 포함된 항균제 조성물에 전복을 침지시킨 후 탈수하여 진공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을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은,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전복은 그 항균제 조성물에 3 ~ 15분간 침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을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은, 자몽종자추출물과 젖산이 포함된 항균제 조성물에 전복을 침지시킨 후 그 전복을 자모종자추출물과 젖산이 포함된 항균제 조성물을 물로 희석시킨 희석액에 침지하여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을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은,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전복은 상기 항균제 조성물에 3 ~ 15분간 침지시키며, 상기 희석액은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균제 조성물을 50 ~ 100배 희석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은 Staphylococcus aureus , Bacillus cereus , Esherichia coli ,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fluorescens , Vibrio parahaemolyticus 등의 미생물 성장억제 및 살균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물에 용해시킨 1% 자몽종자추출물과 10%젖산의 혼합비율을 35.73:64.27~56.58:43.42(v/v)의 범위로 혼합하는 항균물질 을 제조하고, 그 항균물질을 물로 51.70~100%로 희석 제조하여 식품류의 가공에서 균의 살균과 증식억제를 목적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을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은, 전복을 세척, 탈각, 내장제거, 세척, 절단 후 앞에서 제시한 항균물질에 3내지 15분간(바람직하게는 10분) 침지하여 살균하고, 건져내어 탈수하여 진공포장하거나, 전복을 세척, 탈각, 내장제거, 세척, 절단 후 앞의 항균물질에 3내지 15분간(바람직하게는 10분) 침지하여 살균하고, 앞에서 제시한 항균물질을 50내지 100배(바람직하게는 80배) 희석한 액에 침지하여 밀봉포장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은, 항균제로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의 배합비, 농도의 최적화와 이 항균제를 이용한 전복 가동 기술과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전복을 동결하지 않고 냉장상태로 저장, 유통, 판매함으로 신선한 상태의 전복을 품질이 유지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한 살균제의 최적화 조건은 전복의 냉장저장, 유통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천연 항균제 사용으로 합성화학항균제에 비하여 안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안한 냉장유통용 가공전복은 전복의 품질 수명 연장으로 인하여 원거리 유통 및 물류비용의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복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과 가공중에 오염될수 있는 균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천연항균제를 검토하여 젖산은 Vibrio parahaemolyticus에 특히 강한 항균력을 보이고 자몽종자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 Bacillus cereus , Esherichia coli ,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fluorescens 등에 강한 항균력을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의 적정 배합비와 희석 농도를 최적화 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실시한 결과 최적화시킨 처리조건의 범위는 1% 자몽종자추출물 수용액:10% 젖산 수용액의 혼합비율 = 35.73:64.27 ~ 56.58:43.42(v/v)의 범위였으며, 항균제 조성물은 상기 젖산 수용액과 자몽종자추출물 수용액이 배합된 혼합용액을 51.70 ~ 100% 범위의 농도로 희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들 결과를 전복 가공에 적용하여 최적 범위에 들어가는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제조하고 그 살균수를 처리한 실험구와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를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하며 저장기간에 따라 신선도를 측정한 결과 살균수를 처리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2내지 3배의 저장기간 연장 효과가 있었다.
이하에서는 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의 최적화와 이를 이용한 전복 가공품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 항균제 조성물의 최적 조건 확립>
1. 표준균주와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의 배합비 및 희석비 최적화
항균활성 실험을 위해 사용한 표준균주는 6종을 사용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미생물의 종류, 배지 조성 및 최적 생육 온도는 표 1과 같다.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www.brc.re.kr)에서 분양받았으며, 균의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배지는 trypticase soy agar(TSA), nutrient agar, marine agar는 Difco(USA)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항균활성 측정을 위하여 직경 10mm의 페이퍼디스크를 사용하여 항균물질을 투여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였으며, 항균력의 측정은 균의 생육저해 환의 직경(크기, mm)으로 나타내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자몽종자추출물은 (주)에프에이뱅크에서 판매하는 DF-100을, 젖산은 신원무역상사에서 판매하는 것을 각각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미생물 배지조성 온도(℃) 균주기호(약어)
Gram 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Bacillus cereus KCTC 1012
Gram negative bacteria
Esherichia coli KCTC 1039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5
Pseudomonas fluorescens KCTC 1645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2729

Trypticase soy agar
Nutrient agar

Nutrient agar
Nutrient agar
Nutrient agar
Marine agar

37
30

37
37
26
25

SA
BC

EC
ST
PF
VP
독립변수 코드화된 수준
-2 -1 0 1 2
X1(v/v) 1% 자몽종자추출물:10% 젖산의 혼합비 0:100
(0)
25:75
(25)
50:50
(50)
75:25
(75)
100:0
(100)
X2(%) 1% 자몽종자추출물:10% 젖산 혼합물의 희석비 20 40 60 80 100
표 2는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항균제의 독립변수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1% 자몽종자추출물과 10% 젖산 혼합물로 만들어진 항균제의 처리조건의 최적화를 위한 실험계획은 중심합성계획에 의하여 설계하였다. 반응표면분석을 위해 “Design-Expert 7.0 program(Stat-Ease.Inc)"을 사용하였다. 항균제 최적화를 위한 독립변수는 1% 자몽종자추출물과 10% 젖산의 혼합비율[0:100~100:0(0~100), X1], 1% 자몽종자추출물과 10% 젖산의 혼합비율로 제조한 항균제의 농도(20~100, X2)를 -2, -1, 0, +1, +2 등 5단계로 코드화하여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3개 구간으로 설정하여 각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 독립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의 항균활성은 표 1에 나타낸 미생물에 대하여 저해환의 크기(㎜)로 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종속변수의 값들은 각각의 항균제 처리조건으로 처리하여 3회 반복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번호 코드화된 수준 실제 처리 수준
X1 1 ) X2 2 ) X1 X2
1 -1 -1 25:75 (25) 40
2 1 -1 75:25 (75) 40
3 -1 1 25:75 (25) 80
4 1 1 75:25 (75) 80
5 -2 0 0:100 (0) 60
6 2 0 100:0 (100) 60
7 0 -2 50:50 (50) 20
8 0 2 50:50 (50) 100
9 0 0 50:50 (50) 60
10 0 0 50:50 (50) 60
11 0 0 50:50 (50) 60
12 0 0 50:50 (50) 60
13 0 0 50:50 (50) 60
반응표면분석을 위한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실험조건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번호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의 저해환 직경의 크기1)(㎜)
Y1(SA) Y2(BC) Y3(EC) Y4(ST) Y5(PF) Y6(VP)
1 24.31 21.21 18.23 16.80 16.07 17.07
2 19.43 25.40 18.63 22.85 24.18 25.79
3 26.82 24.64 18.08 20.10 24.30 25.41
4 25.12 27.61 24.75 27.43 32.02 37.69
5 24.70 20.78 14.58 16.73 14.07 0.00
6 16.13 29.08 23.70 26.99 30.36 34.68
7 20.29 20.46 15.03 15.64 19.90 19.91
8 24.47 27.47 23.53 25.42 28.67 33.05
9 22.56 24.72 20.78 22.98 23.29 30.08
10 23.48 24.53 21.34 23.65 22.89 29.42
11 22.28 24.74 19.52 22.30 23.55 30.00
12 22.95 26.36 20.85 22.67 25.17 30.64
13 22.98 26.01 20.06 22.24 25.05 29.00
표 3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라 항균제를 처리하여 각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의 저해환 직경의 크기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종속변수 2차 다항식 결정계수 유의수준

Y1(SA)
Y1 = 24.838958 - 0.082022X1 + 0.015459X2 + 0.001590X1X2
- 0.000924X12 - 0.000216X22
0.8595 0.0068

Y2(BC)
Y2 = 11.211875 + 0.129879X1 + 0.211190X2 - 0.000610X1X2
- 0.000141X12 - 0.000823X22
0.9596 0.0001

Y3(EC)
Y3 = 15.847917 - 0.049106X1 + 0.030885X2 + 0.003135X1X2
- 0.000546X12 - 0.000766X22
0.9666 0.0001

Y4(ST)
Y4 = 6.141250 + 0.111434X1 + 0.251148X2 + 0.000640X1X2
- 0.000368X12 - 0.001407X22
0.9785 0.0001

Y5(PF)
Y5 = 6.084167 + 0.242625X1 + 0.124964X2 - 0.000195X1X2
- 0.000696X12 + 0.000207X22
0.9544 0.0001

Y6(VP)
Y6 = -11.232500 + 0.692207X1 + 0.352721X2 + 0.001780X1X2
- 0.004978X12 - 0.002066X22
0.9625 0.0001
표 5는 표 4의 결과를 독립변수 X1과 X2의 처리조건에 따른 종속변수인 균주의 항균활성에 대한 각각의 반응표면 회귀식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종속변수 X1 X2 추정된 반응값(㎜) 정상점 형태
Y1(SA) 43.67 : 56.33 99.68 25.81(최대) 안장점
Y2(BC) 96.33 : 3.67 75.04 29.22(최대) 최대점
Y3(EC) 85.62 : 14.38 88.07 28.06(최대) 안장점
Y4(ST) 91.77 : 8.23 81.99 29.22(최대) 최대점
Y5(PF) 84.05 : 15.95 89.29 32.91(최대) 안장점
Y6(VP) 79.44 : 20.56 92.33 40.35(최대) 최대점
표 6은 능선분석(ridge analysis)을 통한 최적 조건의 예측수준을 나타내었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독립변수 X1은 43.67:56.33, X2의 농도는 99.68%일 때 항균활성 저해환의 크기가 25.81㎜로 추정되었고 정상점의 형태는 안장점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Staphylococcus aureus 항균활성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8595로 1%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표 6 참조).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도면은 도 1a에 나타내었으며 최대값을 나타내는 조건을 벗어날수록 항균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결과 항균제의 혼합비율이 농도에 비해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독립변수 X1은 96.33:3.67, X2는 75.04%일 때 항균활성 저해환의 크기가 29.22㎜로 추정되었고 정상점의 형태는 최대점을 나타내었다. Bacillus cereus 항균활성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9596로 0.1%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표 6 참조).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도면은 도 2a에 나타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결과 항균제의 혼합비율과 농도 모두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Es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독립변수 X1은 85.62:14.38, X2는 88.07%일 때 항균활성 저해환의 크기가 28.06㎜로 예측되었고 정상점의 형태는 안장점을 나타내었다. Esherichia coli 항균활성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9666로 0.1%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표 6 참조). Es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도면은 도 3a에 나타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결과 항균제의 혼합비율과 농도 모두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은 독립변수 X1은 91.77:8.23, X2는 81.99%일 때 최대 항균활성 저해환의 크기가 29.22㎜로 예측되었다. 정상점의 형태는 최대점을 나타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항균활성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9785로 0.1%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표 6 참조).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도면은 도 4a에 나타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결과 항균제의 혼합비율과 농도 모두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Pseudomonas fluorescens에 대한 항균활성 최대값은 독립변수 X1이 84.05:15.95, X2는 89.29%일 때 항균활성 저해환의 크기가 32.91㎜로 예측되었고 안장점 형태를 나타내었다. Pseudomonas fluorescens 항균활성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9544로 0.1%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표 6 참조). Pseudomonas fluoresc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도면은 도 5a에 나타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결과 항균제의 혼합비율과 농도 모두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활성 최대값은 독립변수 X1이 79.44:20.56, X2는 92.33%일 때 항균활성 저해환의 크기가 40.35㎜로 예측되었다. 정상점은 최대점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Vibrio parahaemolyticus 항균활성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9625로 0.1%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표 6 참조).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도면은 도 6a에 나타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결과 항균제의 혼합비율과 농도 모두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독립변수 F-ratio
Y1(SA) Y2(BC) Y3(EC) Y4(ST) Y5(PF) Y6(VP)
X1 10.17** 32.15** 40.05** 62.25** 33.09** 49.99**
X2 4.56* 23.69** 34.01** 45.01** 15.63** 11.00**
* 5% 수준에서의 유의수준.
**1% 수준에서의 유의수준.
항균제 조성물의 항균활성의 회귀모형에 대한 분산분석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미생물에 대해 혼합비와 농도 모두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 예측된 최적조건의 범위
X1 35.73 : 64.27 ~ 56.58 : 43.42
X2 51.70 ~ 100
독립변수에 대한 종속변수들의 등고선 지도를 겹쳐서 항균활성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처리비와 농도의 범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에 대한 등고선 지도를 이용하여 중첩된 지도를 작성한 결과, 예측된 최적조건 범위는 도 7의 빗금친 부분으로 표 8에 나타낸 예측된 최적조건 범위 1% 자몽종자추출물과 10% 젖산의 비가 35.73 : 64.27 ~ 56.58 : 43.42(v/v)범위, 이 혼합물의 농도가 51.70 ~ 100%로 각각 나타났다.
실험 미생물 예측 항균력(A)1 ) 실제 항균력(B)2 ) B/A×100(%)
Staphylococcus aureus 24.55 24.04 97.92
Bacillus cereus 25.22 24.72 98.02
Esherichia coli 20.20 20.35 100.74
Salmonella typhimurium 22.49 22.54 100.22
Pseudomonas fluorescens 23.89 23.65 99.00
Vibrio parahaemolyticus 28.04 30.32 108.13
1) 종속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예측 항균력(㎜).
독립변수의 조건 : X1 40 : 60(v/v), X2 70%.
2) 3회 실험한 실제 항균력 평균값(㎜)
이상의 예측 모델에 대한 회귀식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적조건 범위내의 임의의 최적점 즉, X1은 40 : 60(v/v), X2 70%로 설정하여 각각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을 실시하고 예측된 값과 비교하여 본 결과는 표 9와 같이 나타났다. 실제 항균력은 예측된 항균력의 97.92~108.1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2. 정리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항균제로서 1% 자몽종자추출물과 10% 젖산의 혼합비율(v/v), 항균제의 농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S. aureus , B. cereus , E. coli , S. typhimurium, P. fluorescens ,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활성을 저해환의 직경(㎜)으로 나타낸 값을 종속변수로 하여 항균제의 처리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각 종속변수의 항균활성에 대한 회귀식의 결정계수(R2)는 0.8595~0.9785의 범위였으며 유의수준 1%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각 미생물의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최적 범위를 예측하기 위해 등고선도를 중첩하여 최적화시킨 처리조건의 범위는 1% 자몽종자추출물:10% 젖산의 혼합비율 = 35.73:64.27 ~ 56.58:43.42(v/v)의 범위였으며, 항균제의 농도는 51.70 ~ 100% 범위로 나타났다. 예측 결과에 대한 모델식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예측된 최적조건 범위내에서 임의의 조건 즉, 항균제의 비율 40:60, 농도 70%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측값은 예측값의 97.92 ~108.13%로 나타나 항균제의 처리조건의 유효성이 인정되었다.
<실시예 2 : 항균제 조성물을 이용한 냉장유통을 위한 전복의 가공>
1. 냉장유통 신선전복의 제조 및 저장 특성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결과를 통하여,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전복을 세척하는 것과 이를 진공포장하여 저온에서 저장, 유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최적 공정에 관한 것이다.
전복은 완도에서 생산되는 것을 활전복 상태로 구입하여 실시 직전에 처리하였으며,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은 실시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으며,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처리한 실험구와 멸균수만으로 처리한 대조구로 각각 처리하여, 25℃, 10℃, 5℃ 및 -20℃에서 각각 8일, 10일, 15일 및 30일간 저장하며, VBN, TBA, pH, texture, 색차, 총균수 등을 측정하여 실험구와 대조구의 저장 기간에 따른 신전도 유지기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제품의 제조공정은 도 13에 나타내었는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원료 전복을 살아있는 상태에서 흐르는 물과 솔을 이용하여 1차 세척을 후 탈각과 내장제거후 흐르는 물로 2차 세척을 실시하였다. 원료 처리된 전복을 통째로 또는 두께 2~4mm로 세절하거나, 5~10×5~10mm로 절단하였다. 절단한 전복을 살균수(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한하는 멸균수)에 10분간 침지하여 살균처리를 하였으며(대조구의 경우 일반 멸균수만을 이용), 완료 후 건져내어 탈수하였다. 이것을 진공포장용 비닐이나 용기에 넣어 진공포장하거나,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멸균수를 멸균수를 이용하여 80배 희석한 액과 함께 침지하여 포장하여 제품화 하였다.
실험구와 대조구의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VBN함량의 변화는 도 8에, TBA함량의 변화는 도 9에, pH의 변화는 도 10에, texture의 변화는 도 11에, 총균수의 변화는 도 12에 각각 나타내었다. -20℃에 저장한 경우는 실험구와 대조구의 차이가 크게 없었으나, 나머지 저장 온도에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VBN함을 나타낸 도 8을 자세히 보면, VBN(휘발성염기질소, Volatile basic nitrogen)은 5~10mg%에서 신선한 육, 15~25mg%에서 보통선도의 육, 30~40mg%에서 초기부패 육, 50mg%이상을 부패한 육으로 판정하게 되는데, 저장 온도 25℃에서 대조구는 0.5일에 4.22mg% 있었던 것이 저장 1일에 12.35mg%로 보통선도로, 저장 2일에 32.05mg%로 초기부패가 시작되었으며, 저장 4일에는 208.76mg%로 완전히 부패되었다. 하지만 실험구에서 저장 1일까지 8.28mg%로 신선한 육을 유지하다가 저장 2일에 12.11mg%로 보통선도를 유지하였다. 저장 10℃에서는 멸균수로만 세척한 처리한 대조구가 2일 까지 5.51mg%로 신선한 육을 유지한 반면, 살균수를 사용한 실험구에서는 저장 4일까지 7.11mg%로 신선한 육을 유지하였으며, 대조구는 저장 6일에, 실험구는 저장 9일경에 초기부패가 진행되었다. 저장온도 -20℃에서는 저장 30일간 모두 5.52mg%이하로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하지만 도 11에서 살펴보면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사용한 실험구의 물성이 동결과 해동에 따른 조직의 파괴로 인하여 대조구에 비하여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저장온도 5℃에서는 멸균수로만 처리한 대조구는 저장 8일까지 8.62mg%로 신선한 육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저장 10일에 11.76mg%로 보통육 상태로 되었다. 하지만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척수로 처리한 실험구는 저장 12일까지 10mg%이하로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15일 이후에도 30mg%이라로 보통선도의 육 상태를 유지하였다. 한편 VBN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머지 결과들도 나타났다.
세척수 저장온도 저장기간(일) Hunter Color
L a b ΔL Δa Δb ΔE
Control 63.64 1.57 6.41 - - - -
멸균수 0 69.31 -2.68 0.61 5.67 -4.25 -5.80 9.16
-20℃ 4 67.40 1.77 7.00 3.76 0.20 0.59 3.81
10 66.98 1.89 9.45 3.34 0.32 3.04 4.53
15 64.38 -1.50 5.68 0.74 -3.07 -0.73 3.24
20 66.47 1.59 6.54 2.84 0.02 0.13 2.84
25 63.28 2.13 7.53 -0.36 0.56 1.12 1.31
30 69.66 -3.94 0.77 6.03 -5.51 -5.64 9.93
5℃ 2 72.72 0.41 6.67 9.08 -1.16 0.26 9.16
4 71.99 -1.17 3.75 8.35 -2.74 -2.66 9.18
6 71.14 -2.66 1.20 7.50 -4.23 -5.22 10.07
8 69.32 0.25 5.84 5.68 -1.32 -0.57 5.86
10 75.08 -3.27 2.26 11.44 -4.84 -4.15 13.10
15 74.81 -3.49 2.56 11.17 -5.06 -3.85 12.85
10℃ 1 71.43 2.26 9.31 7.79 0.69 2.89 8.34
2 70.67 -2.17 1.28 7.03 -3.74 -5.13 9.47
4 72.72 -2.15 3.35 9.08 -3.72 -3.06 10.28
6 73.93 -1.90 3.50 10.29 -3.47 -2.91 11.24
8 71.60 -2.66 1.71 7.96 -4.23 -4.70 10.17
10 70.05 -0.85 4.77 6.41 -2.42 -1.64 7.05
25℃ 0.5 70.82 -0.70 4.23 7.18 -2.27 -2.18 7.84
1 70.08 0.09 5.30 6.44 -1.48 -1.11 6.70
2 72.45 -1.75 4.60 8.81 -3.32 -1.81 9.59
4 71.79 -3.52 1.74 8.15 -5.09 -4.67 10.68
6 72.70 -0.71 10.54 9.06 -2.28 4.13 10.22
8 75.19 -0.77 10.17 11.55 -2.34 3.76 12.37
2.5% 젖산 + 0.25% 자몽종자추출물 0 67.74 1.19 5.74 4.10 -0.38 -0.67 4.17
-20℃ 4 68.29 -3.62 -0.01 4.65 -5.19 -6.42 9.47
10 61.62 -4.70 -3.85 -2.02 -6.27 -10.26 12.19
15 63.79 1.49 8.36 0.15 -0.08 1.94 1.95
20 63.14 2.90 8.25 -0.50 1.33 1.84 2.33
25 65.16 -2.28 3.67 1.53 -3.85 -2.74 4.96
30 63.89 -0.79 5.40 0.25 -2.36 -1.01 2.58
5℃ 2 71.76 -1.85 3.05 8.12 -3.42 -3.37 9.43
4 72.00 1.06 9.08 8.36 -0.51 2.67 8.80
6 71.06 -0.04 6.41 7.42 -1.61 0.00 7.60
8 69.83 3.20 9.98 6.19 1.63 3.57 7.33
10 68.86 -2.68 1.32 5.22 -4.25 -5.09 8.44
15 70.19 -4.40 -0.48 6.55 -5.97 -6.89 11.23
10℃ 1 69.52 -1.76 2.91 5.88 -3.33 -3.50 7.61
2 66.70 2.88 9.94 3.07 1.31 3.52 4.85
4 68.80 0.34 6.12 5.16 -1.23 -0.29 5.31
6 72.53 -2.15 3.08 8.89 -3.72 -3.33 10.19
8 70.28 1.18 6.70 6.64 -0.39 0.29 6.66
10 70.06 -4.10 0.93 6.42 -5.67 -5.48 10.17
25℃ 0.5 69.80 -0.51 5.14 6.16 -2.08 -1.27 6.62
1 67.71 1.61 8.01 4.07 0.04 1.60 4.38
2 64.49 1.28 9.37 0.85 -0.29 2.96 3.09
4 70.11 -1.80 5.91 6.47 -3.37 -0.50 7.31
6 66.93 -1.91 7.83 3.29 -3.48 1.42 4.99
8 77.41 -1.19 7.63 13.78 -2.76 1.21 14.10
표 10에는 이들 실험구과 대조구의 제품을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른 색과 색차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대체로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색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처리한다고 해서 색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지는 않았다. 따라서 이들 살균제의 처리로 인하여 제품의 성상에 큰 변화를 주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정리
이상의 결과로 전복의 가공 과정중에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혼합 조제한 살균수를 처리함으로 저장중에 일어나는 미생물의 증식과 각종 단백질, 지질의 변성과 변패를 억제하여 저장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제품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에서 설명된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a는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그래프
도 1b는 반응표면에 의한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결과 사진
도 2a는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그래프,
도 2b는 반응표면에 의한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결과 사진
도 3a는 Es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그래프
도 3b는 반응표면에 의한 Es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결과 사진
도 4는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그래프
도 4b는 반응표면에 의한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결과 사진
도 5a는 Pseudomonas fluoresc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응표면을 도시한 그래프
도 5b는 반응표면에 의한 Pseudomonas fluorescens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결과 사진
도 6a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등고선도 및 반 응표면을 도시한 그래프
도 6b는 반응표면에 의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결과 사진
도 7은 각각의 미생물의 항균활성에 대한 최적 혼합비와 농도조건을 나타낸 중첩된 지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실험구(-◇-)와 멸균수로만 세척한 대조구(-◆-)의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VBN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실험구(-◇-)와 멸균수로만 세척한 대조구(-◆-)의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TBA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실험구(-◇-)와 멸균수로만 세척한 대조구(-◆-)의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실험구(-◇-)와 멸균수로만 세척한 대조구(-◆-)의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물성값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실험구(-◇-)와 멸균수로만 세척한 대조구(-◆-)의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총세균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2.5% 젖산과 0.25% 자몽종자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냉장유통용 전복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6)

1% 자몽종자추출물 수용액과 10% 젖산 수용액을 35.73:64.27 ~ 56.58:43.42(v/v)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혼합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몽종자추출물 수용액과 젖산 수용액을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용액은 51.70 ~ 100%의 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자몽종자추출물과 젓산이 포함된 항균제 조성물에 전복을 침지시킨 후 탈수하여 진공포장하되,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전복은 그 항균제 조성물에 3 ~ 15분간 침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을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자몽종자추출물과 젖산이 포함된 항균제 조성물에 전복을 침지시킨 후 그 전복을 자모종자추출물과 젖산이 포함된 항균제 조성물을 물로 희석시킨 희석액에 침지하여 포장하되,
상기 항균제 조성물은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전복은 상기 항균제 조성물에 3 ~ 15분간 침지시키며,
상기 희석액은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균제 조성물을 50 ~ 100배 희석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을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삭제
삭제
KR1020080068827A 2008-07-16 2008-07-16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KR101124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27A KR101124700B1 (ko) 2008-07-16 2008-07-16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827A KR101124700B1 (ko) 2008-07-16 2008-07-16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83A KR20100008383A (ko) 2010-01-26
KR101124700B1 true KR101124700B1 (ko) 2012-03-19

Family

ID=4181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827A KR101124700B1 (ko) 2008-07-16 2008-07-16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288A (ko) * 2011-05-26 2012-12-05 주식회사 씨푸드 표피 피막 색소가 보존된 전복살 제조방법 및 이의 통조림 제조방법
KR20160088658A (ko) 2015-01-16 2016-07-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보존료가 첨가된 양념육과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672A (ko) * 1997-12-30 1999-07-15 조정래 키토산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항균제 조성물
KR100319252B1 (ko) 1999-09-17 2002-01-09 롯데쇼핑주식회사 식품 및 식기용 항균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672A (ko) * 1997-12-30 1999-07-15 조정래 키토산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항균제 조성물
KR100319252B1 (ko) 1999-09-17 2002-01-09 롯데쇼핑주식회사 식품 및 식기용 항균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83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 Braïek et al. Chemistry, safety, and challenges of the use of organic acids and their derivative salts in meat preservation
Köse Evaluation of seafood safety health hazards for traditional fish products: preventive measures and monitoring issues
Mastromatteo et al. Combined use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natural compounds for food preservation
KR102298372B1 (ko) 항미생물 구리 조성물 및 식품 및 표면 처리에서의 용도
CN107183144A (zh) 一种复合保鲜剂及其保鲜冷却肉的应用
CN102499276A (zh) 一种冷鲜鸡肉复合保鲜方法
CN102388954A (zh) 肉制品用复合防腐剂
Chen et al. Effect of combined pretreatment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botanic biopreservative on quality and shelf life of bombay duck (Harpadon nehereus)
CN102615899A (zh) 一种冷鲜肉抗菌包装膜及包装新方法
Da Silva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microbial safety, and shelf life of smoked blue catfish (Ictalurus furcatus)
Singh et al. Using natural antimicrobials to enhance the safety and quality of poultry
Yadav et al. Natural preservatives in poultry meat products
KR101124700B1 (ko) 젖산과 자몽종자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복의 가공 방법
Mukhtar et al. Synergistic effect of chitosan and clove oil on raw poultry meat
El-Shemy et al. Microbiological quality and enzymes activity of refrigerated bolti fish (Tilapia nilotica) pretreated with organic acids
Pastoriza et al. The use of water and ice with bactericide to prevent onboard and onshore spoilage of refrigerated megrim (Lepidorhombus whiffiagonis)
Tumbarski et al. FOOD INDUSTRY APPLICATIONS OF PROPOLIS: A REVIEW.
Mirshekari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of nisin Z and sodium benzoate in vacuum packed Caspian Kutum (Rutilus frisii) fillet stored at 4◦ C
Shahvandari et al. Chitosan/cumin (Cuminum cyminum L.) essential oil edible biodegradable coating: its effect on microbial,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ken meat during referigeration.
Terzi et al. Effects of Chitosan and Lactic Acid Immersion on the Mussels’ Quality Changes During the Refrigerated Storage
Mohamed et al. Effect of some antimicrobials on quality and shelf life of freshwater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W201102012A (en) A method of fresh-keeping and disinfection
Potter et al. Food deterioration and its control
Dikici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 of decontaminants on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ainbow trouts
Can et al. Effects of chitosan coating and rosemary oil o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 1792) fil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