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465B1 -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65B1
KR101124465B1 KR1020090011040A KR20090011040A KR101124465B1 KR 101124465 B1 KR101124465 B1 KR 101124465B1 KR 1020090011040 A KR1020090011040 A KR 1020090011040A KR 20090011040 A KR20090011040 A KR 20090011040A KR 101124465 B1 KR101124465 B1 KR 10112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clutch
housing
park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713A (ko
Inventor
김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Priority to KR102009001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465B1/ko
Priority to PCT/KR2009/003684 priority patent/WO2010093093A1/ko
Publication of KR2010009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7Disposition of hand control with electrical power as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주차 브레이크 작동부에 연결되는 작동 케이블을 잠금방향 및 해제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작동 케이블이 잠금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플레이트와; 구동플레이트와 선택적으로 연결 및 해제 가능하며, 연결시 구동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면서 작동 케이블을 잠금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유닛과; 구동플레이트와 연동유닛의 연결을 강제로 연결 및 해제시키는 연결/해제유닛과; 구동플레이트와 연동유닛의 연결 해제시, 연동유닛을 가동시켜 작동 케이블이 해제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및 입력신호에 따라서 구동유닛 및 연결/해제유닛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 주차 브레이크, 전기, 솔레노이드, 클러치

Description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An electric parking brake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식으로 동작하는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행 중에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감속 브레이크 장치와, 정차 및 주차시 차량바퀴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다.
이 중에서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통상적으로 운전석에 인접하여 설치된 레버를 손으로 당기거나 발로 누르면, 그 브레이크 레버에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이 복수의 바퀴에 마련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서 브레이크가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주차 브레이크는 주로 운전자가 큰 힘을 들여서 수동으로 레버를 동작시켜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킹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높은 수준의 힘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기식으로 잠금 및 해 제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소위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레버의 동작에 의해서 브레이크 케이블을 당기거나 풀려나도록 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데 반하여,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장치의 경우에는, 전동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케이블을 당기거나 복귀시키는 동작을 통해서 주차 브레이크를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전동모터를 정/역회전시켜서 브레이크 케이블을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브레이크 케이블의 통상 위치(복귀시)에 있어서 위치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히스테리시스가 누적되면 성능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센서(sensor) 및 센서를 통해 전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알고리즘 및 회로의 신뢰성이 더욱더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제어부가 복잡해지고, 전자부품들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구적으로도 케이블의 왕복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고, 왕복 작동 중에 스톨(stall)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기구적인 구조 및 전자회로 및 제어알고리즘의 신뢰성 확보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전동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시켜서 브레이크를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해야 하므로, 전기에너지의 소모가 많아지고, 반응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전기식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되는 히스테리시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어알고리즘 및 제어회로 및 기구적인 구성이 간단하며, 그 유지 관리 비용이 저렴하도록 개선된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주차 브레이크 작동부에 연결되는 작동 케이블을 잠금방향 및 해제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케이블이 상기 잠금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플레이트와;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선택적으로 연결 및 해제 가능하며, 연결시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 케이블을 상기 잠금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유닛과;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상기 연동유닛의 연결을 강제로 연결 및 해제시키는 연결/해제유닛과;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상기 연동유닛의 연결 해제시, 상기 연동유닛을 가동시켜 상기 작동 케이블이 해제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및 입력신호에 따라서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해제유닛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플레이트는, 외측면에 마찰부를 가지는 원반형의 제1클러 치부와; 상기 제1클러치부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이가 형성된 종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동유닛은,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플레이트의 제1클러치부에 접촉시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클러치 디스크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랙기어부를 가지는 랙기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축부와; 상기 제1클러치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축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클러치부의 마찰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한 제2클러치부; 및 상기 축부의 외주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부에 연결되는 연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부와 상기 제2클러치부의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는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루브(Groove) 패턴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결/해제유닛은, 상기 구동플레이트를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강제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 및 구동시 상기 구동플레이트를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랙기어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 부재를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 다.
또한, 상기 작동케이블은 한 쌍이 나란하게 상기 하우징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케이블이 양단에 연결되며, 중심부에 상기 연동유닛이 연결되는 케이블 균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작동케이블의 상기 잠금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주차브레이크 작동신호 입력시 상기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되게 제어하고, 주차 해제동작 신호 입력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시켜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가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를 최소로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낮춤은 물론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1개의 구동모터에 의한 정회전 인가신호만을 통해서 구동모터를 제어하면 되므로 종래에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제어해야 하는 제어 알고리즘에 비하여 간단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제동작의 경우에는 별도로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부를 구동시켜 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의 적용 및 해제동작을 별도로 제어하여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차량에 장착이 용이하며, 특히 기존 차량의 수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용이하게 호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부를 동작시켜 주차 브레이크 해제동작을 수행할 때, 소형이면서도 간단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동작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주차 브레이크 작동부(10)에 연결되는 작동케이블(12)을 잠금방향(A) 및 해제방향(B)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케이블(12)이 상기 잠금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30)과, 상기 구동유닛(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플레이트(40)와, 상기 구동플레이트(40)와 선택적으로 연결 및 해제 가능하며 연결시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케이블(12)을 상기 잠금방향(A)으로 이동시키는 연동유닛(5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40)와 상기 연동유닛(50)의 연결을 강제로 연결 및 해제시키는 연결/해제유닛(6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40)와 상기 연동유닛(50)의 연결 해제시, 상기 연동유닛(50)을 가동시켜 상기 구동케이블(12)이 해제위치(B)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70) 및 입력신호에 따라서 상기 구동유닛(30) 및 상기 연결/해제유닛(6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주차브레이크 작동부(10)는 작동케이블(12)에 연결되어 이동시 차량바퀴의 브레이크 디스크(1)에 접촉되어 차량바퀴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이러한 주차브레이크 작동부(10)의 구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20)은 대략 박스형의 케이싱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작동케이블(1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케이블 가이더(21)가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유닛(30)은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축(32)에 마련되는 구동기어(33)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31)는 상기 작동 케이블(12)을 작동위치(A)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차브레이크 작동신호 입력시에 상기 제어유닛(80)의 구동 및 정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 및 정지된다. 상기 구동기어(33)는 상기 구동플레이트(4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웜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플레이트(40)는 하우징(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40)는 외측면에 마찰부(44)를 가지는 원반형의 제1클러치부(41)와, 상기 제1클러치부(41)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유닛(30)의 구동기어(33)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이(42)가 형성된 종동기어부(43)를 구비한다.
상기 제1클러치부(41)의 마찰부(44)는 상기 연동유닛(50)에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마찰력 및 마찰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그루브(Groove) 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종동기어부(43)는 외주에 형성된 기어이(42)가 상기 구동기어(33)에 기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플레이트(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40)는 상기 연동유닛(50)의 클러치 디스크부재(51)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마주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동유닛(50)은 상기 구동플레이트(40)와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클러치부(41)에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클러치 디스크부재(51)와, 상기 하우징(2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작동케이블(12)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51)에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랙기어부(53a)를 가지는 랙기어 부재(53)를 구비한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51)는 하우징(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플레이트(40)와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축부(51a)와, 상기 축부(51a)에서 원반형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1클러치부(41)의 마찰면(44)에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한 제2클러치부(51b) 및 상기 축부(51a)의 외주에 마련되는 연동기어부(51c)를 구비한다.
상기 축부(51a)는 양단 각각이 베어링에 의해 상기 하우징(20) 내부벽 또는 별도의 지지브라켓(25,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지지브라켓(25,26) 각각에 대해 축부(51a)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브라켓(25,26)은 나사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2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축부(51a)의 외주 방향으로 확장되게 상기 제2클러치부(51b)가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클러치부(51b)의 상기 제1클러치부(41)에 마주하는 면에는 마찰면(54)이 형성된다. 상기 마찰면들(44,54)이 접촉된 상태에서는 서로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클러치 디스크부재(51)와 구동플레이트(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클러치부(51b)에 형성된 마찰면(54)도 상기 마찰면(44)에 대응되는 그루브(Groove) 패턴 또는 마찰력이 높은 거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동기어부(51c)는 축부(51a)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랙기어부재(53)의 랙기어부(53a)와 기어연결되는 기어이가 외주에 형성된다.
상기 랙기어 부재(53)는 상기 연동기어부(51c)에 연결되는 랙기어부(53a)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51)의 회전운동을 상기 랙기어부재(53)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랙기어부재(53)의 일단에는 케이블 균형브라켓(90)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해제유닛(60)은 상기 구동플레이트(40)를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51) 쪽으로 강제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61)와, 구동시 상기 구동플레이트(40)를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5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부(63)를 구비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61)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벽과 상기 구동플레이트(4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구동플레이트(40)를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51)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두 마찰면(44,54)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탄성부재(61)는 구동플레이트(40)와 상기 제2지지 브라켓(26) 사이에 설치되며, 제2탄성부재(61)와 제2지지브라켓(26) 사이에는 지지베어링(27)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2탄성부재(61)가 구동플레이트(40)를 클러치 디스크부재(51)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플레이트(40)와 클러치 디스크부재(51)가 회전시 제2탄성부재(61)도 지지베어링(27)에 지지된 상태로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부(63)는 제어유닛(8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 및 정지되며, 동작시에는 자계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구동플레이트(40)가 제2탄성부재(61)의 탄성력을 이기고 클러치 디스크부재(5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부(63)는 하우징(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구동플레이트(4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부(63)의 동작시에는 구동플레이트(40)와 클러치 디스크부재(51)의 연결이 분리됨으로써, 구동모터(31)에 의한 상기 연동유닛(50) 및 작동케이블(12) 등의 구속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부(63)는 제2지지브라켓(26)에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제1탄성부재(70)는 상기 랙기어부재(53)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부재(53)가 해제방향(B)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70)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작동케이블(12)의 상기 잠금방향(A)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81) 및 제어부(83)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83)는 외부로부터의 주차브레이크 작동신호 입력시에 리미트 스위치(81)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구동유닛(30) 즉, 구동모터(31)가 구동되게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31)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당연히 솔레노이드부(61)는 파워 오프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구동플레이트(40)가 클러치 디스크부재(51)에 접촉되어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제어부(83)는 주차 해제동작 신호 입력시 솔레노이드부(61)를 설정된 시간 동안만 구동되게 제어하여 구동플레이트(40)가 클러치 디스크부재(5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랙기어부재(53)가 해제방향(B)으로 이동하여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운전자에 의해 주차 해제조건에 해당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83)는 미리 설정된 구동프로그램에 의해 솔레노이드부(61)의 구동 및 정지동작을 제어하여 랙기어부재(53)가 해제위치로 이동하여 브레이크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81)는 상기 케이블 균형브라켓(90)의 접촉에 의해 동작되거나, 또는 케이블 균형브라켓(90)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작동 케이블(12)이 잠금방향(A)으로 완전히 이동하였을 때, 케이블 균형브라켓(90)이 리미트 스위치(81)에 접촉 또는 근접되면, 리미트 스위치(81)의 스위칭신호가 제어부(81)로 전달되고, 제어부(81)는 리미트 스위치(81)에서 전달된 스위칭 신호입력시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부(83)는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균형브라켓(90)은 한 쌍의 작동케이블(12)을 균형있게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양측에 상기 한 쌍의 작동케이블(12)이 연결된다. 그리고 그 중심부에 상기 랙기어부재(53)가 연결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작용효과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a 및 도 1b는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는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랙기어부재(53)가 해제방향(B)으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에서 구동모터(31)와 솔레노이드부(63) 각각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즉, 구동모터(31)와 솔레노이드부(63)가 모두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구동플레이트(40)가 제2탄성부재(61)의 탄성력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부재(51)에 밀착되어 연결된 상태이며, 상기 랙기어부재(53)는 해제 방향(B)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작동 케이블(12)은 완전히 해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차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83)는 구동모터(31)에 전원을 구동모터(31)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해서 구동 플레이트(4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구동플레이트(40)에 밀착된 클러치 디스크부재(51)도 구동 플레이트(40)와 함께 회전된다. 그러면 클러치 디스크부재(51)가 회전함에 따라서 연동기어부(51c)에 연결된 랙기어부재(53)가 잠금방향(A)으로 이동되어 작동케이블(12)을 잠금방향(A)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균형브라켓(90)이 상기 리미트 스위치(81)에 감지되고, 리미트 스위치(81)에서의 감지신호는 제어부(83)로 전달된다. 제어부(83)는 리미트 스위치(81)에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동플레이트(40)와 클러치 디스크부재(51)와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작동케이블(12)이 잠금방향(A)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의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해 주차 해제 조건이 입력되면, 제어부(83)는 솔레노이드부(63)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킨다. 그러면 솔레노이드부(63)에 의한 자계력에 의해서 구동플레이트(4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디스크부재(51)에서 이격되어 클러치 디스크부재(51)와 분리된다. 그러면, 상기 제1탄성부재(7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서 상기 랙기어부재(53)가 해제 방향(B)으로 이동되어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어부(83)는 설정된 시간 동안만 솔레노이드부(63)를 구동시킨 뒤 전원을 오프시켜 구동정지시킨다. 즉, 제어부(83)는 미리 설정된 구동프로그램에 의해서 솔레노이드부(63)를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전원 인가를 차단하게 되면, 랙기어부재(53)가 완전히 해제위치로 이동된 후에, 상기 구동플레이트(40)는 다시 도 1a 및 도 1b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주차 브레이크는 해제 상태가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평상시 상태에서 나타내 보인 평면구성도.
도 1b는 도 1a와 동일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2b의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작동케이블 20..하우징
30..구동유닛 40..구동플레이트
50..연동유닛 60..연결/해제유닛
70..제1탄성부재 80..제어유닛

Claims (9)

  1. 주차 브레이크 작동부에 연결되는 작동 케이블을 잠금방향 및 해제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케이블이 상기 잠금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30)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플레이트(40)와;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선택적으로 연결 및 해제 가능하며, 연결시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 케이블을 상기 잠금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유닛(5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상기 연동유닛의 연결을 강제로 연결 및 해제시키는 연결/해제유닛(60)과;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상기 연동유닛의 연결 해제시, 상기 연동유닛을 가동시켜 상기 작동 케이블이 해제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70); 및
    입력신호에 따라서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해제유닛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플레이트(40)는, 외측면에 마찰부를 가지는 원반형의 제1클러치부(41)와; 상기 제1클러치부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이가 형성된 종동기어부(43);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유닛(50)은,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동플레이트의 제1클러치부에 접촉시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클러치 디스크부재(51)와; 상기 하우징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작동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랙기어부를 가지는 랙기어 부재(5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해제유닛(60)은,
    상기 구동플레이트를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강제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61); 및
    구동시 상기 구동플레이트를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강제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부(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동축적으로 설치되는 축부와;
    상기 제1클러치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축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클러치부의 마찰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한 제2클러치부; 및
    상기 축부의 외주에 마련되며, 상기 랙기어부에 연결되는 연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부와 상기 제2클러치부의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면에는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루브(Groove)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랙기어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 부재를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8.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케이블은 한 쌍이 나란하게 상기 하우징 내외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케이블이 양단에 연결되며, 중심부에 상기 연동유닛이 연결되는 케이블 균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작동케이블의 상기 잠금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주차브레이크 작동신호 입력시 상기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될때까지 상기 구동유닛이 구동되게 제어하고, 주차 해제동작 신호 입력시 상기 솔레노이드부를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시켜 상기 구동플레이트와 상기 클러치 디스크부재가 분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20090011040A 2009-02-11 2009-02-11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112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40A KR101124465B1 (ko) 2009-02-11 2009-02-11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PCT/KR2009/003684 WO2010093093A1 (ko) 2009-02-11 2009-07-06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040A KR101124465B1 (ko) 2009-02-11 2009-02-11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713A KR20100091713A (ko) 2010-08-19
KR101124465B1 true KR101124465B1 (ko) 2012-03-15

Family

ID=4256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040A KR101124465B1 (ko) 2009-02-11 2009-02-11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4465B1 (ko)
WO (1) WO201009309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038A (ja) 1984-10-30 1986-05-26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自動パ−キングブレ−キシステム
JP2000211485A (ja) * 1999-01-20 2000-08-02 Nippon Cable Syst Inc パ―キングブレ―キのアシスト装置
KR20060011377A (ko) * 2004-07-30 2006-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70295149A1 (en) * 2006-06-05 2007-12-27 Ventra Group Inc. Self-adjusting parking brake actuator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8688A1 (de) * 2007-06-21 2008-12-24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Automatische Federspeicherbremse für Flurförderzeug (FFZ)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038A (ja) 1984-10-30 1986-05-26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自動パ−キングブレ−キシステム
JP2000211485A (ja) * 1999-01-20 2000-08-02 Nippon Cable Syst Inc パ―キングブレ―キのアシスト装置
KR20060011377A (ko) * 2004-07-30 2006-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70295149A1 (en) * 2006-06-05 2007-12-27 Ventra Group Inc. Self-adjusting parking brake actuator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3093A1 (ko) 2010-08-19
KR20100091713A (ko)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1250B (zh) 电子驻车制动器
CN110219911B (zh) 带有停车功能的电动制动装置
US9605722B2 (en) Electric brake actuator with parking function
JP2001355659A (ja) エレベーター駆動装置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002904A (ja) 電動ブレーキ装置
US8151947B2 (en) Single motor electronic controlled wedge brake system
KR20130008348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JP7449987B2 (ja) 電子機械ブレーキ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4659461B2 (ja) 車両用ホイールモ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446768B2 (en) Brake device actuator and brake device having the same
US20110112741A1 (en) Electric parking brake for vehicle
JP6267968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
KR101124465B1 (ko) 차량의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CN110936974B (zh) 制动器、轨道交通制动系统及轨道交通系统
KR20150025067A (ko) 전기 기계식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2919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KR20110125112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8308110A (ja) 車両用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2000110865A (ja) 電動ブレーキ
KR101621978B1 (ko) 접점스위치를 적용한 전자식 주차제동장치
JP2007118917A (ja) 車両用電動ブレーキ装置
KR20150056982A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
JP4867278B2 (ja) 張力センサ及び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
KR20090067961A (ko) 디스크 제동 장치
KR101294662B1 (ko) 차량용 전자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