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366B1 - 기능성 즉석압즙기 - Google Patents

기능성 즉석압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366B1
KR101124366B1 KR1020090125982A KR20090125982A KR101124366B1 KR 101124366 B1 KR101124366 B1 KR 101124366B1 KR 1020090125982 A KR1020090125982 A KR 1020090125982A KR 20090125982 A KR20090125982 A KR 20090125982A KR 101124366 B1 KR101124366 B1 KR 10112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juice
plate
juic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299A (ko
Inventor
송하견
Original Assignee
송하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하견 filed Critical 송하견
Priority to KR102009012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3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3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cone or rea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즉석 압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즙하판의 상부에 적정량의 세척된 과일 또는 녹즙재료를 넣고 회전손잡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상하이동축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즙상판이 압즙하판에 밀착되면서 신선한 과즙이 즉석에서 생성되며 생성된 과즙은 배출구로 배출되어 쥬스처럼 복용할 수 있게 되는바 간편하게 과즙 또는 녹즙을 얻게 되고 각 부속품을 분리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후처리를 할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고 기계 부품 자체에 전혀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기능성 즉석압즙기에 관한 것이다.
수동형, 즉석압즙기

Description

기능성 즉석압즙기{Functional pressure appliance}
본 발명은 기능성 즉석압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즙하판의 상부에 적정량의 세척된 신선한 과일 또는 녹즙재료를 넣고 회전손잡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상하이동축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즙상판이 압즙하판에 밀착되면서 신선한 과즙이 즉석에서 단시간에 생성되며 생성된 과즙은 배출구로 배출되어 쥬스처럼 복용할 수 있게 되는바 간편하게 신선한 과즙 또는 녹즙을 즉석에서 얻게 되고 각 부속품을 분리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후처리를 할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고 기계 부품 자체에 전혀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기능성 즉석압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압즙기는 서로 기어와 기어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야채나 과일 등을 분쇄 압착하여 과일즙이나 녹즙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즙기는 서로 맞물리는 압즙부의 기어가 금속성이므로 기어 서로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금속이 재료와 함께 배출되므로서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과즙제조기는 싱싱한 과일을 증기압으로 가열압착시켜 과즙을 착출하거나 과즙을 얻기위해 과일을 세절하여 원심분리기에 넣어 원심력으로 수분을 착출시키거나 강판에 갈아서 과즙을 얻게한 것인데 원심분리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고속회전으로 유효성분의 손실이 많은 결점이 있었고, 강판에 갈아서 즙을 얻는 것은 작업과정이 복잡하고 성가신 불편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과일을 갈아서 즙을 냇기 때문에 껍질이나 씨앗 및 섬유질이 있어 마실때에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과일을 압착해 즙만 착출해 마시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압즙하판의 상부에 적정량의 세척된 과일 또는 녹즙재료를 넣고 회전손잡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상하이동축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즙상판이 압즙하판에 밀착되면서 신선한 과즙이 즉석에서 생성되며 생성된 과즙은 배출구로 배출되어 쥬스처럼 복용할 수 있게 되는바 간편하게 과즙을 얻게 되고 각 부속품을 분리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후처리를 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한 즉석압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는 압즙하판의 상부에 적정량의 세척된 과일을 넣고 회전손잡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상하이동축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즙상판이 압즙하판에 밀착되면서 신선한 과즙 또는 녹즙이 즉석에서 생성되며 생성된 과즙은 배출구로 배출되어 쥬스처럼 복용할 수 있게 되는바 간편하게 과즙을 얻게 되고 각 부속품을 분리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후처리를 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한 즉석압즙기이다.
본 발명은 야채, 과일, 녹즙재료 등을 수동으로 직접 압착하여 신선한 즙을 얻을 수 있으며, 기어와 기어의 직접적인 마찰에 의한 중금속이 즙액과 같이 배출 되지 않아 건강에 매우 유익하고 각 부속품을 분리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기계 부품 자체에 전혀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으므로 압즙기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분해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는 압착하여 과일즙을 만들거나 빙수를 만들기 위해 어름을 갈아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압측하판(20)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면이 상부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반원구 형태의 압즙상판(10)과, 상기 압측상판(20)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면이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압즙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구(22)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구 형태의 압즙하판(20)과, 상기 압즙하판(20)이 안쪽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액즙통(30)과, 하단에 압즙상판(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 측면에 상하이동용 랙기어(52)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과일표시부(54)가 결합되어 있는 상하이동축(50)과, 상기 상하이동축(50)에 형성된 랙기어(5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과 상하부지지축(82,80)을 연결하도록 형성한 연결브라켓(70)과 상기 연결브라켓은 렉기어와 연결된 피니언기어의 회전축(60)을 고정하도록 회전축커버(64)가 축고정볼트(66)로 고정하였다.
상기 회전축(60)을 회전시키도록 형성한 회전축커버(64)와 상기 회전커버에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회전손잡이(68)를 구성하여 상기 회전손잡이를 회전시켜 상하이동축이 이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손잡이는 회전축커버(64)가 축고정볼트(66)와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커버(64)의 테두리면에 회전손잡이가 장착되어 있어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면 회전축커버에 고정된 회전축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피니언기어(62)가 장착되어 랙기어(52)와 맞물려 상하이동축(50)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연결브라켓(70)의 하부에는 결합되며, 액즙통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40)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형성한 지지판(90)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하부지지축(80)과, 상기 연결브라켓(70)을 고정하는 축고정볼트(76)를 사용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지지축의 상단에 과일표시부(54')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부면에 고정돌기날(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볼트홈(114)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모터부(160)의 장축(166)과 결합되어 있는 원형 형태의 압즙상판(110)과, 내부 바닥면에 칼날(120)이 장착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액즙통(130)과, 하단에 압즙상판(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 측면에 상하이동용 랙기어(5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장축(166)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1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회전모터부(160)가 결합되어 있는 상하이동축(150)을 형성하였다.
상기 회전모터부(160)는 상하이동축(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161)가 브라켓(162)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162)의 하부에 통공된 볼트(164)를 사용하여 장축(166)이 결합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상하이동축(150)의 랙기어(5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브라켓(70)을 사용하여 상하이동축(50)과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커버(64)가 축고정볼트(66)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60)을 형성하였다.
상기 회전축커버(64)에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회전손잡이(68)을 형성하여 상하이동축을 상하부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브라켓(70)의 하부에 축고정볼트(76)를 사용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액즙통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40)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지지판(90)이 결합되어 있는 하부지지축(80)을 형성하였다. 상기 연결브라켓(70)의 상부에 축고정볼트(76)를 사용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에 과일표시부(54')가 결합되어 있는 상부지지축(82)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는 압즙하판(20)의 상부에 적정량의 세척된 과일을 넣고 회전손잡이(68)를 회전시키면 상하이동축(5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즙상판(10)이 압즙하판(20)에 밀착되면서 과즙이 생성되며 생성된 과즙은 배출구(32)로 배출되어 쥬스처럼 복용할 수 있게 되는바, 간편하게 과즙을 얻게되고 각 부속품을 분리하여 액즙통(30)에 남아있는 과일을 별도로 처리하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후처리를 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한 즉석압즙기이다.
본 발명의 과즙제조기는 담겨진 과일을 직접 신속하게 수동으로 과즙을 얻기 때문에 위생적이면서 사용이 간편할뿐 아니라 가정에서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 있어 신선하고 영양가가 높은 과즙을 취향에 맞도록 조리하여 복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고, 영양손실이 적을 뿐만아니라 과일의 종류에 따라 가압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고 외관이 간결한 이점이 있고, 과즙기의 부품을 모두 분해하여 세척하고 다시 결합시킬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효과적으로 과일에 가압을 공급하여 과즙의 착출이 달성되게 되므로 수율이 높은 장점이 있을뿐 아니라 각 부속품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기계 부품 자체에 전혀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른 가사일을 하면서 과즙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여가선용에 도움을 줄수 있는 장점도 있는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즙기는 상하이동축(5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과일표시부(54)및 상부지지축(82)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과일표시부(54')에 도 4와 같이 파인애 플, 오렌지, 사과, 배 또는 딸기와 같은 과일을 직접 전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는 내부 바닥면에 칼날(120)이 장착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액즙통(130) 내부에 얼음을 넣고 전원을 연결하여 회전모터부(160)의 모터(161)를 작동시키면 장축(166)이 회전되고 장축(166)에 결합되어 있는 압즙상판(110)이 회전하면서 빙수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에서 압즙상판(110)은 하부면에 고정돌기날(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볼트홈(114)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모터부(160)의 장축(166)과 결합되어 있는 원형 형태의 상판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의 상하이동축(50)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모터부(160)는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하이동축(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161)가 브라켓(162)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브라켓(162)의 하부에 통공된 볼트(164)를 사용하여 장축(166)이 결합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는 액즙통(130) 내부에 얼음을 넣고 회전손잡이(68)를 회전시키면 상하이동축(5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즙상판(110)이 하강 밀착되어 빙수를 생성하며 생성된 빙수는 쥬스와 함께 복용할 수 있게 되는바 간편하게 과즙 또는 녹즙을 얻게되고 각 부속품을 분리하여 액즙통에 남아있는 과일을 별도로 처리하면 간단하고 편리하게 후처리를 할수 있어 취급이 용이하고, 기계 부품 자체에 전혀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즉석압즙기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모양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분해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즉석압즙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즙상판 20: 압측하판
22: 관통구 30: 액즙통
32: 배출구 34: 내부걸림턱
40: 받침대 50: 상하이동축
52: 상하이동용 랙기어 54, 54': 과일표시부
60: 회전축 62: 피니언기어
64: 회전축커버 66,76,86: 축고정볼트
68: 회전손잡이 70: 연결브라켓
80: 하부지지축
90: 지지판

Claims (2)

  1. 과일 또는 야채를 밀착하여 즙을 생성하도록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로 상하 작동되는 즉석 압즙기에 있어서,
    압측하판(20)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면이 상부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반원구 형태의 압즙상판(10); 상기 압측상판(20)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면이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압즙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구(22)가 형성되어 있는 반원구 형태의 압즙하판(20); 압즙하판(20)이 안쪽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배출구(32)가 형성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액즙통(30); 하단에 압즙상판(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 측면에 상하이동용 랙기어(52)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과일표시부(54)가 결합되어 있는 상하이동축(50); 상기 상하이동축(50)의 랙기어(5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브라켓(70)을 사용하여 상하이동축(50)과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커버(64)가 축고정볼트(66)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60); 상기 회전축커버(64)에 결합되어 상하이동축을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손잡이(68); 상기 연결브라켓(70)의 하부에 축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액즙통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40)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지지판(90)이 결합되어 있는 하부지지축(80); 및 상기 연결브라켓(70)의 상부에 축고정볼트(76)를 사용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에 과일표시부(54')가 결합되어 있는 상부지지축(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즉석 압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축(50)는
    하부면에 고정돌기날(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볼트홈(114)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모터부(160)의 장축(166)과 결합되어 있는 원형 형태의 압즙상판(110); 내부 바닥면에 칼날(120)이 장착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액즙통(130); 하단에 압즙상판(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중앙부 측면에 상하이동용 랙기어(5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장축(166)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1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회전모터부(160)가 결합되어 있는 상하이동축(50); 상기 상하이동축(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161)가 브라켓(162)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브라켓(162)의 하부에 통공된 볼트(164)를 사용하여 장축(166)이 결합되어 있는 회전모터부(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즉석 압즙기.
KR1020090125982A 2009-12-17 2009-12-17 기능성 즉석압즙기 KR10112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982A KR101124366B1 (ko) 2009-12-17 2009-12-17 기능성 즉석압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982A KR101124366B1 (ko) 2009-12-17 2009-12-17 기능성 즉석압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299A KR20110069299A (ko) 2011-06-23
KR101124366B1 true KR101124366B1 (ko) 2012-03-16

Family

ID=4440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982A KR101124366B1 (ko) 2009-12-17 2009-12-17 기능성 즉석압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3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215U (ko) * 1989-06-12 1991-01-22 이점식 개량 귤즙기
KR19990024850A (ko) * 1997-09-08 1999-04-06 전주범 믹서기가 부착된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215U (ko) * 1989-06-12 1991-01-22 이점식 개량 귤즙기
KR19990024850A (ko) * 1997-09-08 1999-04-06 전주범 믹서기가 부착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299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9707B2 (ja) 滓と汁液の分離装置
US20060169152A1 (en) Reamer structure of a juicer
EP2594167B1 (en) Device for compressing food articles
KR20120051005A (ko) 주방 기기
WO2016058253A1 (zh) 一种真空吸磨式榨汁机
CN103393339B (zh) 旋转式榨汁机
US9730466B1 (en) Fruit slicer and juicer apparatus and method
KR101124366B1 (ko) 기능성 즉석압즙기
CN112294076A (zh) 一种榨汁机
CN106859273B (zh) 一种料理机
US1966978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fruit juice
CN112294073B (zh) 一种家用苹果削皮、去核、切块设备
WO2020244458A1 (zh) 一种家用水压榨汁机
CN203723867U (zh) 手摇式榨汁机
CN210055610U (zh) 一种水果榨汁搅拌器
US3011430A (en) Orange juice extractor
TWM602861U (zh) 榨汁機
CN208875991U (zh) 一种具有转动榨汁头的榨汁机构及应用其的榨汁机
CN220757157U (zh) 一种便于拆卸转动盘的榨汁机
CN205214937U (zh) 一种蔬果榨汁机
CN213820935U (zh) 一种高效榨汁机
CN205214932U (zh) 一种多功能榨汁机
CN214230855U (zh) 一种基于厨房用具的高效榨汁机
CN101785637A (zh) 手摇切挤式碎蒜器
CN217592522U (zh) 一种橙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