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295B1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295B1
KR101124295B1 KR1020100016126A KR20100016126A KR101124295B1 KR 101124295 B1 KR101124295 B1 KR 101124295B1 KR 1020100016126 A KR1020100016126 A KR 1020100016126A KR 20100016126 A KR20100016126 A KR 20100016126A KR 101124295 B1 KR101124295 B1 KR 101124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urrent
power supply
supply unit
foot
in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724A (ko
Inventor
장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맨
Priority to KR102010001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2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for sick or disabled persons, e.g. persons having osteoarthritis or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등을 통하여 미세전류를 전달함으로써 이에 의해 발바닥의 자극을 억제하고 상처부위로 미세전류가 전달되어 상처치유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 발바닥이 접하는 밑창과 발등 또는/및 측면을 이루는 부위를 감싸는 갑피로 이루어지는 미세전류 발생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고, 발등부위에 접면되는 미세전류접점부와; 상기 미세전류접점부를 통해 전달된 전류를 인체 내부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는 미세전류전도부; 그리고 상기 미세전류전원부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세전류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발등부분을 통해 전달된 미세전류가 저항이 가장 낮은 상처부위 또는 발가락 사이를 통해 인체 내부로 미세전류가 통전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발등부분을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발바닥을 통한 외부적 자극이 전혀 없어 당뇨환자들이 보다 편안하게 신발을 신고 보행하고, 미세전류에 의한 치유기능을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FUNCTIONAL SHOES}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발등을 통하여 미세전류를 전달함으로써 이에 의해 발바닥의 자극을 억제하고 상처부위로 미세전류가 전달되어 상처치유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을 보호하는 신발의 경우, 여러 기능 중 외부로부터 상처의 보호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발에 상처가 간 경우 특별한 조치를 취할 수 없고 항시 신발을 벗은 후, 맨발의 상태에서 발을 치료해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일상생활에선 수면시 또는 휴식시를 제외하고는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것이 현대생활의 패턴이다. 따라서 발에 상처가 난 경우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상처치료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상처치유에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특히 거의 대다수 당뇨 환자는 흔한 합병증의 하나로서 발의 신경 감각 손상을 입을 수 있는데 이러한 증세가 계속 진행되면 발에 궤양이 생길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발을 절단해야 된다. 문제는 발의 신경에 손상이 생기면 발의 감각이 무뎌지는데 이렇게 되면 발에 자그만 상처를 입거나 염증이 생기더라도 나중에 심한 부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당뇨 환자의 경우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발의 신경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 사람에 비교하여 하지 절단 위험성이 10배 이상 높다. 따라서 당뇨 환자는 발에 감각이 둔하여 상처가 생기고 곪더라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발을 우선 자주 들여다 보는 등의 여러 가지 주의가 필요하다. 궤양이 생겼다가 나은 후에는 궤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당뇨화(糖尿靴)라는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당뇨 신발이 갖추어야 할 기본 조건은 우선 발가락 부위가 충분한 공간이 있고 높아야 하고, 가죽이 부드러워서 접혀지는 부분에 눌려서 발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신발의 안쪽 공간에 여유가 있어서 발에 맞는 깔창을 넣을 공간이 있어야 하고, 신발의 안쪽도 부드럽고 발 모양에 따라 변형이 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바닥은 앞에 경사가 져서 발가락의 앞부분에 압력이 덜 가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당뇨 신발은 다수 개발된 상태이다.
예를 들면, 종래기술로 국내특허공개 제10-2005-0031107호의 당뇨환자용 폴리에터 우레탄 신발인솔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현재 재질은 단단한 재료를 사용하므로 신발을 오래 신고 있으면 발이 부어 여행 중에 차 속에서 신발을 벗고 심지어 양발까지 벗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발포 우레탄을 물 발포로 하여 친환경의 재질이 되도록 하여 다이옥신 등 유해한 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 재료의 특징과 부드러운 재질이 풍만하도록 인솔 내부를 약간 굴곡지게 하면서 신발이 발을 압박하지 않게 한 모양과 재질의 합성한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인솔의 상면은 폴리에틸렌 발포 재질로 하고 발가락 굴곡을 따라 형상을 유지시키고 아래 면은 폴리우레탄으로 하여 복원능력이 뛰어나게 하며 발포할 때 시중의 항균제를 첨가하여 세균번식을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33813호의 신발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인솔에 따르면, 당뇨 신발 인솔 저면에 PCM(Phase Change Material;상변화물질)이 포함된 TPU재질의 팩을 부착함으로써 당뇨 신발에 필수적인 신발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인솔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기능성 당뇨신발은 발의 보호뿐만 아니라 한의학적 접근을 통하여 일반 보행시에도 발가락의 췌장 반사구 부분을 지압함으로써 인슐린분비를 촉진시키고 췌장을 강화하기 위한 신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당뇨 신발은 신발 속의 조그만 실밥 등에 의해서도 발의 상처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외형에만 국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특수 신발을 신는 것이 당뇨병 환자에게 도움이 되지만, 일반적인 당뇨 환자의 문제인 괴질로 인한 발아래쪽의 혈행이 좋지 않아 상처부위가 쉽게 감염이 되게 되며, 면역성이 떨어지는 당뇨환자의 경우 치료가 어렵고, 썩을 수도 있으며 결국 절단까지 갈 수도 있다.
따라서, 당뇨 환자를 위한 가장 좋은 신발은 아무런 자극이 가해지지 않아 발바닥 특히 발가락 주위에 조그마한 상처도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 좋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어떠한 형태의 신발을 사용하더라도 조그마한 상처의 발생은 필연적으로 생길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조그마한 상처가 발생될 경우 최대한 빠른 치유를 수행할 수 있는 신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기치료학 분야에서 미세전류(약1000이하의 전류)가 염증 및 상처부위에 전달될 경우, 염증의 치료 및 상처의 복원력이 보다 빨리 달성된다는 것이 알려진 정설이다. 이러한 미세전류를 이용한 상처 및 염증의 치유를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 상처부위에 미세전류 전달을 위한 침 같은 전극을 붙이고, 미세전류를 통전시키면, 미세전류의 기작에 의해 염증 및 상처의 복원력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처라 불리우는 창상(wound)은 피부파열이 포함된 신체적 상처이며, 현재 창상의 치유에는 생체공학적 피부요법(bioengineered skin), 전기자극요법(electrostimulation), 레이저치료(lasers), 초음파치료(ultrasound)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전기자극요법에 의한 치료가 최근에 가장 각광받고 있으며, 동물과 인간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전기자극이 창상치유에 상당한 치유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Griffin 등, 1991; Lundebrg 등, 1992; Taskan 등, 1997; Wess 등, 1990)
따라서, 당뇨용 신발에 있어서도, 이러한 미세전류를 이용한 신발이 본 출원자에 의해 다수개 출원되었으며, 그 기본원리는 미세전류가 발바닥 또는 발가락 사이로 전달되어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이에 따른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바닥에 전극전달을 위한 지압부가 구성되거나, 또는 발가락 구획부재가 구비되어 지압부 또는 발가락 구획부재를 통하여 미세전류가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당뇨병 환자들 또는 잠재적 당뇨환자들의 경우, 발바닥 또는 발가락 부위에 가장 손상이 쉽게 일어나고, 조그마한 물리적 자극도 상처 또는 염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물리적 자극이 가해지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상처가 발생한 경우에는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상처가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따라서 외부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미세전류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조그마한 상처 또는 염증이 발생한 부위가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치료가 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바닥 또는 발가락에 어떠한 물리적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발등부위로 미세전류를 통전시키고, 이러한 미세전류가 저항이 가장 적은 상처부위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처 및 염증의 조기 치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당뇨신발은, 발바닥이 접하는 밑창과 발등 또는/및 측면을 이루는 부위를 감싸는 갑피로 이루어지는 미세전류 발생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고, 발등부위에 접면되는 미세전류접점부와; 상기 미세전류접점부를 통해 전달된 전류를 인체 내부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는 미세전류전도부; 그리고 상기 미세전류전원부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세전류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발등부분을 통해 전달된 미세전류가 저항이 가장 낮은 상처부위 또는 발가락 사이를 통해 인체 내부로 미세전류가 통전되도록 하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 미세전류 전도부는 발자체 또는 전도성 양말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전도성 양말은 발등이 위치되는 발의 전방부분에만 전도성을 띠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전류전원부는, 밧데리로 이루어지고, 갑피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신발의 발뒤꿈치 부위에 해당하는 밑창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가 발등부분을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발바닥을 통한 외부적 자극이 전혀 없어 당뇨환자들이 보다 편안하게 신발을 신고 보행하고, 미세전류에 의한 치유기능을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신발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발의 신경 감각을 강화시켜주기 때문에 당뇨 환자가 이를 착용하면 발에 궤양이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며 발의 통증 감각을 더 잘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의 단면도이고, 도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신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동화를 대표 예로서 설명하지만, 이 발명에 관계되는 신발은 구두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구두, 스포츠화, 부츠, 안전화, 등산화 그 밖의 신발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당뇨 환자는 발가락주변에서 상처(a)가 가장 날 나타나며, 이로 이해 상처(a)가 치유되지 않아 발가락을 절단하는 시술이 통상 취해지는 경우가 가장 많다. 그리고, 보통 사람의 발의 경우 비교적 딱딱한 굳은살이 표피로 이루어진 발바닥면이 발등보다도 저항이 크게 나타난다. 보통 발바닥의 경우 저항계로 측정할 경우 수천 내지 수만 Ω의 저항이 나타나나, 동일한 발바닥이더라도 미세한 상처가 나 내부 조직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상처(a)난 부위는 특히 저항이 낮아져 수십 내지 수백Ω 정도의 저항이 나타난다. 따라서 발바닥면으로 미세전류가 통전될 경우, 저항이 가장 낮은 상처부위로 전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되, 발바닥 특히 발가락 주위에는 어떠한 물리적 자극에 의한 손상이 이루어 지지 않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세전류를 발에 전달하되, 물리적 자극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미세전류 접점부(100)와, 접점부를 통해 전달되는 미세전류를 상처(a)가 난 부위로 전달하는 미세전류전도부(200) 그리고 미세전류의 전원을 생성하는 미세전류 전원부(300)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미세전류 접점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미세전류 접점부(100)는 신발(10)의 갑피(20)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발등이 위치되는 신발의 갑피(20)부분의 내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미세전류접점부(100)를 발등에 위치토록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당뇨환자 또는 잠재적 당뇨환자의 경우 발에 상처(a)가 나는 경우는 발바닥부터 상처가 발생되기 시작하며, 특히 발가락부위에서 시작되어 상처(a)가 낮지 않고 번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처의 번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가락 부위의 절단 또는 이를 포함한 발의 일부분 절단 등의 수술을 통해 상처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발바닥을 통하여는 어떠한 외부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자극에 의한 상처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극을 없애는 것이 최선이다. 이를 위해 미세전류접점부(100)는 발바닥 특히 발가락 부위가 아닌 발등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발등에 위치된 미세전류접점부(100)를 통해 발바닥 특히 발가락의 상처(a)부위로 미세전류가 전달되어 상처치유에 도움이 되는 과정을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미세전류전도부(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미세전류전도부(200)는 발등을 통해 전달되는 미세전류를 발바닥 특히 발가락 사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발자체 또는 전도성양말을 이용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미세전류전도부(200)가 발자체를 이루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미세전류는 전도성 물체 내에서 가장 저항이 약한 부분을 통하여 전류가 전도되는 것이 일반적인 전기이론이다. 따라서 발등에 위치된 미세전류접점부(100)를 통해 전도되는 미세전류는 발등, 발바닥 또는 발가락 중 저항이 가장 약한 부분을 통해 인체내부로 전도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인체기관중 발의 경우 발바닥 표면이 발등보다는 저항이 크며, 발가락 사이가 발등보다는 저항이 적다. 이는 발의 질병을 가지는 경우 특히 발가락의 저항은 매우 적어 수내지 수십 오옴(Ω)에 불과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장 흔한 발의 질병인 습진 또는 무좀의 경우 발가락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발가락 사이가 상대적으로 습기가 차게 되고, 피부조직이 연화된다. 이 경우 정상적인 발가락 사이보다 저항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 발가락뿐만 아니라 발바닥의 상처가 날 경우에도 상처가 난 부위에는 피부조직의 연화가 발생되어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발자체가 전도성일 경우 발등에 위치된 미세전류접점부를 통해 전달된 미세전류는 발가락 사이 또는 상처가 난 부위를 통해 미세전류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세전류전도부(200)를 전도성 양말을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도성 양말은 전도성 물질인 금속 성분이 양말에 함유되어 양말 자체가 전도성이 되도록 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예를 들어 은사(Ag絲)를 섞어서 직조된 양말사용하거나 또는 금속은(Ag) 성분이 양말에 코팅되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전도성양말을 이용하는 경우는 미세전류의 전도가 보다 양호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통상적으로 발이 건조한 경우 발바닥 또는 발등의 표면저항이 보다 크게 나타나므로 발등을 통해 전달되는 미세전류가 발가락 사이 또는 상처난 부위로 쉽게 전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전도성양말을 통해 쉽게 발가락 사이 또는 상처부위로 미세전류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전도성 양말(200)은 그 형태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양말 자체 전체가 전도성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발등을 포함한 양말의 전방부에만 전도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의 앞부분에만 전도성이 되도록 함으로써 발가락 부위에 보다 쉽게 미세전류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등에 위치된 미세전류접점부는 전도성양말의 표면과 접면하므로 전도성양말에 전달된 미세전류는 전도성양말에서 그 다음으로 발의 부위 중 가장 저항이 약한 부분 특히 발가락 사이 또는 상처가 난 부위를 통해 미세전류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발자체가 미세전류전도부인 경우보다 효과적으로 발가락 사이 또는 상처가 난 부위로 미세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다음 미세전류 전원부(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미세전류전원부(300는 치료의 기본이 되는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밧데리나 외부의 물리적 변형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 등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
먼저, 미세전류전원부(300)로 밧데리를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미세전류전원부(300)는 발등이 위치되는 갑피의 외부상단 또는 내부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발뒤꿈치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밧데리를 이용하여 미세전류전원부(300)를 구성하는 경우는 본인의 선출원에 의해 이미 공지되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세전류전원부(300)로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의한 수축변형이 필요함에 따라 발등이 위치되는 갑피부분에는 설치할 수 없으며, 발뒤꿈치에만 가능할 것이다.
미세전류전원부(300)로 밧데리 또는 압전소자중 어느 것을 이용하더라도 본원 발명에 필요로 하는 미세전류인 1㎃이하의 전류를 생성하면 족할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발명에 의한 기능성 신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미세전류전원부(300)가 작동된 상태에서 보행자가 신발(10)을 신고 보행을 하게될 경우, 미세전류전원부(30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미세전류접점부(100)로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미세전류 접점부(100)는 발등에 해당하는 신발(10)의 갑피(20)내면에 위치됨으로 상기 미세전류접점부(100)는 인체의 발등부분에 접면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미세전류접점부(100)는 종래와 달리 어떠한 발바닥에 압박을 가하지 않으므로 보행자는 전혀 압박감을 느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당뇨환자 또는 잠재적 당뇨환자에게 가장 필요로 하는 편안한 신발(10)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등부분에 위치된 미세전류접점부(100)에 전달된 전류는 미세전류전도부(200)를 통하여 인체로 전달되어 미세전류에 의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미세전류전도부(200)로 인체의 맨발(200) 그대로를 이용하는 경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맨발(200)의 경우 발바닥, 발등 발가락사이 순으로 저항이 낮아지므로 발등 부분에 위치된 미세전류접점부(100)를 통해 전달된 전류는 저항이 가장 약한 발가락 사이를 통해 인체 내부를 통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가락 사이 중 일부가 상처(a)를 입은 경우 또는 발바닥의 특정부위에 미세한 상처(a)를 입은 경우 상기 상처(a)부위의 표피가 벗겨진 상태에서는 가장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전류는 우선적으로 상처부위를 통해 인체 내부로 전달되므로 상처부위에서 미세전류에 의한 치료보조 효과가 발생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미세전류전도부(200)로 전도성양말을 사용하는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전류접점부(100)로 전달된 미세전류는 전도성 양말(200)의 표면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이 가장 낮은 상처부위 또는 발가락 사이를 통해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발등의 미세전류접점부를 통해 전달된 미세전류는 저항이 가장 낮은 발가락 사이 또는 상처부위로 미세전류가 전달되되, 발바닥 부위를 통한 외부 물리적 자극이 전혀 없데 되어 당뇨병 환자에게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아야 한다.
10. 신발 20. 갑피
a. 상처 100. 미세전류접점부
200. 미세전류전도부 300. 미세전류전원부

Claims (6)

  1. 발바닥이 접하는 밑창과 발등 또는/및 측면을 이루는 부위를 감싸는 갑피로 이루어지는 미세전류 발생 신발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내면 일측에 설치되고, 발등부위에 접면되는 미세전류접점부와;
    상기 미세전류접점부를 통해 전달된 전류를 인체 내부를 통해 전달되도록 하는 미세전류전도부; 그리고
    상기 미세전류전원부에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미세전류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발등부분을 통해 전달된 미세전류가 저항이 가장 낮은 상처부위 또는 발가락 사이를 통해 인체 내부로 미세전류가 통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 전도부는 발자체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전도부는 전도성 양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양말은,
    발등이 위치되는 발의 전방부분에만 전도성을 띠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5. 제 1 항 또는 제 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전원부는,
    밧데리로 이루어지고, 갑피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6. 제 1 항 또는 제 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전류전원부는,
    밧데리로 이루어지고, 신발의 발뒤꿈치 부위에 해당하는 밑창에 설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KR1020100016126A 2010-02-23 2010-02-23 기능성 신발 KR10112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126A KR101124295B1 (ko) 2010-02-23 2010-02-23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126A KR101124295B1 (ko) 2010-02-23 2010-02-23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24A KR20110096724A (ko) 2011-08-31
KR101124295B1 true KR101124295B1 (ko) 2012-03-27

Family

ID=4493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126A KR101124295B1 (ko) 2010-02-23 2010-02-23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2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55Y1 (ko) * 2005-03-11 2005-06-17 충-이 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마사지 신발
JP2005287920A (ja) * 2004-04-02 2005-10-20 Kozo Oshio 健康履き具
JP2006289077A (ja) * 2005-04-14 2006-10-26 G-Man Co Ltd 機能性履物
JP2010500099A (ja) * 2006-08-09 2010-01-07 ウー アフン,クワング 身長成長促進のための刺激部を備えた機能性履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7920A (ja) * 2004-04-02 2005-10-20 Kozo Oshio 健康履き具
KR200387155Y1 (ko) * 2005-03-11 2005-06-17 충-이 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마사지 신발
JP2006289077A (ja) * 2005-04-14 2006-10-26 G-Man Co Ltd 機能性履物
JP2010500099A (ja) * 2006-08-09 2010-01-07 ウー アフン,クワング 身長成長促進のための刺激部を備えた機能性履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724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6981B1 (ko) 당뇨 예방과, 당뇨 합병증에 의한 당뇨발 예방 및 당뇨성 괴사 궤양 통증 완화를 위한 커스텀 신발
US102135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inhibition of deep vein thrombosis
US9038201B2 (en) Non-slip footwear
CA2783566C (en) Programmabl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foot muscles
JP2019524419A (ja) 治療用のインソール及びフットウェア
KR101124295B1 (ko) 기능성 신발
KR20120051105A (ko) 발가락 교정장치
US20180028116A1 (en) Proprioceptive enhanc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098292B1 (ko) 맨발 느낌을 줄 수 있는 건강 신발
US20140200492A1 (en) Foot orthosis
CN207285216U (zh) 一种缓解扁平足患者运动中足踝部疼痛的矫正分趾运动袜
CN207236230U (zh) 一种糖尿病患者用防护鞋
KR200325063Y1 (ko) 기능성 덧버선
CN213029937U (zh) 一种患者复健助行鞋
KR20220138456A (ko) 발바닥 환부 보호용 깔창
CN215303415U (zh) 适用于足底健康的鞋垫
KR101821041B1 (ko) 당뇨 합병증 예방용 패치 부착체
WO2010008282A1 (en) Carrier to allow of being positioned against a body part
KR101799947B1 (ko) 앞 굽이 높은 신발
CN113558342A (zh) 一种糖尿病足患者专用鞋
KR20110086938A (ko) 신발 구조
KR20110086941A (ko) 신발 밑창
CN2584000Y (zh) 逆向保健鞋
KR20110076033A (ko) 신발용 밑창
Loudon How does diabetes mellitus affect your f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