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199B1 -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199B1
KR101124199B1 KR1020090108929A KR20090108929A KR101124199B1 KR 101124199 B1 KR101124199 B1 KR 101124199B1 KR 1020090108929 A KR1020090108929 A KR 1020090108929A KR 20090108929 A KR20090108929 A KR 20090108929A KR 101124199 B1 KR101124199 B1 KR 10112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owder
filling
filling container
pressure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055A (ko
Inventor
이선우
차태규
Original Assignee
차태규
이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태규, 이선우 filed Critical 차태규
Priority to KR1020090108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199B1/ko
Priority to PCT/KR2010/006117 priority patent/WO2011059169A2/ko
Publication of KR2011005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02Developer
    • G03G2215/0604Developer solid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분말가루를 특정용기 내에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미세분말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압차이를 이용하여 호퍼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을 특정용기 내에 충진하되, 미세분말이 작업장 내에 날리는 현상없이 충진되게 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조성과 함께, 설정된 정확한 량의 미세분말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용기 내에 안정적으로 채워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21)와 개폐문(22)으로 구성되는 감압박스(20) 일측에 진공발생장치(24)를 설치하여 감압박스(20) 내부 기압이 감압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감압박스(20) 내에는 로드셀(27)과 충진용기홀더(28)를 설치하되, 상기 충진용기홀더(28) 상에 충진용기(30)를 안치하고, 충진용기(30) 직상부에는 감압박스(20) 상단에 구성된 노즐(35)이 위치되게 한 다음 충진호스(34)를 통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공급호퍼(60)와 연결되게 하고, 상기 공급호퍼(60) 내에는 작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63)를 설치하여 공급호퍼(6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교반, 유동성이 부여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감압박스(20) 일측에 설치된 진공발생장치(24)를 작동시켜 감압박스(20) 내의 기압이을 감압되게 하면, 감압박스(20)와 공급호퍼(60) 내의 기압차에 의해 미세분말(S)이 노즐(33)을 통하여 충진용기(30)에 충진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MICROPOWDER CHARGING APPARATUS USING PRESSURE DIFFERENCE}
본 발명은 미세분말가루를 특정용기 내에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한 미세분말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압차이를 이용하여 호퍼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을 특정용기 내에 충진하되, 미세분말이 작업장 내에 날리는 현상없이 충진되게 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조성과 함께, 설정된 정확한 량의 미세분말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용기 내에 안정적으로 채워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분말을 특정용기 내에 설정된 정확량을 충진하기 위한 작업은 산업분야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는 작업 중 하나이다.
일예로서 서류복사나 영상물 출력을 위한 복사기나 프린터기에는 미세분말인 토너를 카트리지에 충진하고, 상기 카트리지를 복사기나 프린터기에 장착한 다음 필요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토너와 같은 미세분말을 카트리지, 즉 용기 내에 충진하는 수단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실시되고 있다.
즉 공급호퍼 내에 토너를 충진하고, 상기 호퍼 하단에 카트리지를 설치한 다 음 호퍼 내에 충진된 토너가 카트리지 내로 충진되게 하는 것으로서, 호퍼 내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봉을 설치하되, 상기 축봉 상단에는 토너의 유동성확보(엉겨붙는 현상방지)를 위하여 교반날개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교반날개 아랫쪽에는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호퍼 내에 충진된 토너가 카트리지쪽으로 강제압송되게 하는 수단이다.
그러나 상기 수단에서 호퍼 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는 호퍼의 내벽면과 근접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토너가 강제압송되는 구조로서, 연속반복되는 충진작업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게 될 뿐 아니라, 그로 인하여 토너 입자에 코팅된 코팅층이 벗겨지는등 변질의 우려가 높고, 또한 카트리지에 충진되는 토너입자가 이송스크류에 의해 가압식으로 충진되므로 이상적인 토너의 충진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상기한 수단으로 충진되는 토너를 이용한 프린터나 복사작업시 이상적인 작업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정확한 량의 충진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미세분말인 토너가 작업장 내에 비산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는 프린트기나 복사기에 사용되는 토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기 내에 미세분말을 충진하고자 하는 작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시정하고자, 호퍼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을 특정용기 내에 충진하되, 미세분말이 작업장 내에 비산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케 함과 동시에, 미세분말에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가하는 현상없이 유동성이 유지된 상태로 오차범위 내에서 설정된 정량의 미세분말을 용기 내에 안정적으로 충진되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미세분말 충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진공발생장치에 의해 내부가 감압되는 감압박스를 설치하되, 상기 감압박스 내에는 중량감지를 위한 로드셀(전자저울)을 설치하고, 상기 로드셀 상단에는 충진용기홀더를 설치하여, 충진용기를 고정설치할 수 있게 하고, 감압박스 상부에는 미세분말이 충진되는 공급호퍼를 설치한 다음 충진호스를 통하여 감압박스와 연결되게 하되, 충진호스 단부에 노즐을 구성하여 충진용기 투입구 직상부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공급호퍼 내에는 교반날개가 형성된 회전축봉을 설치하여 공급호퍼 내에 충진된 미세분말이 교반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공급호퍼 상단에는 미세분말탱크로부터 미세분말을 공급받아 공급호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보조탱크를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감압박스 내에 위치한 충진용기에 미세분말을 충진하고자 할 때, 진공발생장치를 통하여 감압박스 내의 공기를 흡입시키면 감압상태가 유지되고, 따라서 대기압상태를 유지하는 공급호퍼와, 대기압보다 낮게 감압 된 감압박스 사이의 기압차이에 의해 공급호퍼 내에 충진된 미세분말이 별다른 저항이나 스트레스없이 충진호스 및 노즐을 통하여 충진용기 내에 안정적으로 충진되고, 충진이 완료되면 로드셀이 무게를 감지하여 작동이 일시정지되면서 미세분말의 공급이 중지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충진용기를 분리시킨 다음 또다른 충진용기를 교체하고 상기 충진용기 내에 미세분말을 다시 충진하는 수단의 반복으로 작업이 진행되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린터기나 복사기와 같은 기기에 사용되는 토너등과 같은 미세분말을 충진용기 내에 충진하는 미세분말 충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감압박스 내에 로드셀에 의해 중량이 감지되는 충진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감압박스 상단에는 미세분말 공급호퍼를 설치한 다음 충진호스를 통하여 감압박스 내의 충진용기와 연결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진공발생장치를 통하여 감압박스 내의 기압이 감압되게 하면, 공급호퍼 내에 충진된 미세분말이 저항이나 스트레스 없이 기압차이에 의해 자연스럽게 충진용기 내에 충진되게 함으로써, 미세분말이 작업장 내에 비산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위생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미세분말에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가하는 현상없이 정량의 분말이 용기 내에 안정되게 충진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세분말을 프린터기나 복사기에 사용되는 토너를 적용하였고, 충진용기는 토너가 채워지는 카트리지를 실시예로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토너, 즉 미세분말 충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정면 및 측면구성도로서, 받침대(10) 상에 주프레임(11)을 설치하고, 주프레임(11)에는 하부고정판(12)과 중앙고정판(13) 및 상부고정판(14)을 각각 고정설치하였다.
상기 하부고정판(12) 상에는 감압박스(20)와 콘트롤박스(15)를 설치하고, 감압박스(20) 상부에 위치한 중앙고정판(13) 상에는 공급호퍼(60)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공급호퍼(60) 상부에 위치한 상부고정판(14) 상에는 보조탱크(80)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탱크(80)는 공급호스(16)를 통하여 토너, 즉 미세분말탱크(17)와 연결되게 하였다.
이들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감압박스(20)의 구성은 사각형상의 본체(21)와 개폐문(22)으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21) 내부는 개폐문(22)에 의해 외부와 밀폐식으로 개폐되게 구성하였으며, 상기 감압박스(20)는 호스(23)를 통하여 외부에 위치한 진공발생장치(24)와 연결되게 함으로써, 진공발생장치(24)를 작동시키면 감압박스(20) 내부공기가 흡입되면서 내부압력이 감압될 수 있게 구성한다.
감압박스(20) 바닥부에는 승강실린더(25)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실린더(25)의 받침대(26) 상면에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저울, 즉 로드셀(27)을 구성하고, 상기 로드셀(27) 상부에는 카트리지, 즉 충진용기(30)가 안치되는 충진용기홀더(28)를 설치한다.
상기 감압박스(20) 상단 일측에는 차단실린더(31)를 설치하고, 상기 차단실린더(31) 축봉 단부에는 스토퍼(32)를 설치하여 차단실린더(31)의 작동에 의해 스토퍼(32)가 전후진작동되게 한다.
상기 감압박스(20) 상면중앙부에는 감압박스(20)를 관통하는 노즐(33)을 설치하고, 상기 노즐(33)은 투명재질로 구성된 충진호스(34)를 통하여 공급호퍼(60) 하단부와 연결되게 하였으며, 상기 노즐(33) 직상부에는 개폐밸브(35)를 설치하여 노즐(33) 내에 구성된 통로(36)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한다.
공급호퍼(6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깔대기 형상의 공급호퍼(60) 직상부에 브라켓(61)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브라켓(61) 상에 작동모터(M)를 설치하고, 공급호퍼(60) 내면중앙에는 회전축봉(62)을 직립설치한 다음, 구동모터(M)의 축봉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구동모터(M)가 작동하면 회전축봉(62)이 회전되게 하였으며, 회전축봉(62) 단부에는 교반날개(63)를 설치하였다.
공급호퍼(60) 내면 상단부에는 감지센서(64)를 설치하여 공급호퍼(60) 내에 공급되는 토너, 즉 미세분말(S)의 공급량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게 구성하여 항상 일정량의 미세분말(S)이 공급호퍼(60) 내에 충진될 수 있게 하였으며, 공급호퍼(60) 상단 일측에는 에어필터(65)를 설치하여 공기의 유통은 가능하면서, 미세분말(S)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구성하였다.
공급호퍼(60)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탱크(8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보조탱크(80) 하단에 연결부(81)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81)를 통하여 보 조탱크(80)가 공급호퍼(60) 일측 직상부에 연결되게 하여 공급호퍼(60)와 상통하게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81)에는 보조개폐밸브(82)를 설치하여 연결부(81)의 통로(83)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한다.
상기 보조탱크(80) 직상부에는 브라켓(84)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84)에는 회전모터(M1)를 설치하되, 상기 회전모터(M1)는 보조탱크(80) 내에 위치한 축봉(85)과 연결하여 축봉(85)이 회전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축봉(85) 하단에는 날개(86)를 설치하여 내부에 충진되는 미세분말(S)이 교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보조탱크(80) 상단 일측에는 호스(87)를 설치한 다음 보조진공발생장치(88)와 연결되게 하였으며, 보조탱크(80) 내면 상단부에는 감지센서(89)를 설치하여 보조탱크(80) 내에 채워지는 미세분말(S)이 항상 일정량 유지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승강실린더(25)의 승강작동이나, 로드셀(27)의 중량감지, 차단실린더(31)의 작동, 개폐밸브(35)의 작동, 감지센서(64) 및 작동모터(M)의 작동, 보조개폐밸브(82), 감지센서(89), 회전모터(M1), 진공발생장치(24) 및 보조진공발생장치(88)의 작동은 콘트롤박스(15)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든 작동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세분말 충진장치를 이용한 토너, 즉 미세분말(S)을 카트리지, 즉 충진용기(30)에 충진하는 수단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감압박스(20)에 구성된 개폐문(22)을 열고 도 7에서와 같이 충진용기홀더(28) 상에 카트리지, 즉 충진용기(30)를 설치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승강실린 더(25)를 작동시켜 충진용기(30)를 상승, 도 6에서와 같이 노즐(33) 하단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개폐문(22)을 닫아 감압박스(20) 내부가 완전밀폐되게 하고, 일측에 구성된 진공발생장치(24)를 작동시켜 내부공기를 흡입시키게 되면 감압박스(20) 내부기압이 떨어지면서 저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도시안됨)를 조작하게 되면 도 11에서와 같이 개폐밸브(35)가 작동하여 노즐(33) 내의 통로(36)가 개방된다.
이때 공급호퍼(60) 내에는 상압, 즉 대기압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공급호퍼(6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투명하게 구성된 충진호스(34) 및 노즐(33)을 통하여 기압이 낮은 감압박스(20) 내로 이동하게 되고, 기압차에 의해 감압박스(20) 내로 이동한 미세분말(S)은 노즐(33)을 통하여 충진용기(30) 내로 토출된다.
이때 공급호퍼(60)와 감압박스(30)를 연결하는 충진호스(34)는 투명하게 구성되어 있어 공급호퍼(60) 내의 미세분말(S)이 충진용기(30) 내에 채워지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충진작업의 신뢰성이 유지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노즐(33)을 통하여 공급호퍼(60) 내에 충진된 미세분말(S)이 충진용기(30) 내에 채워지게 되면 충진용기(30)의 무게가 늘어나게 되고, 이를 전자저울, 즉 로드셀(27)이 무게를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충진용기(30) 내에 채워지는 미세분말(S)의 정량이 300g이라고 가정하면, 노즐(33)을 통하여 충진용기(30) 내에 채워지는 미세분말(S)의 량이 약 260g정도 감지되면, 노즐(33)에 구성된 개폐밸브(35)는 약1/2정도 닫히면서 소량의 미세분말(S)이 공급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충진용기(30) 내에 300g의 미세분말(S)이 채워지면 작동이 멈추게 된다.
즉 노즐(33)에 구성된 개폐밸브(35)는 도 12에서와 같이 완전히 잠기면서 노즐(33)의 통로(36)를 차단하게 되고, 진공발생장치(24)의 동작도 멈추게 된다.
동시에 승강실린더(25)가 작동하여 충진용기홀더(28)를 하강시키면 충진용기(30)도 함께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일측에 위치한 차단실린더(31)가 전진하여 단부에 설치된 스토퍼(32)가 노즐(33) 하단에 위치하면서 노즐(33)로부터 흘러내리는 미세분말(S)의 낙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감압박스(30)를 구성하는 개폐문(22)을 열고, 정량의 미세분말(S)이 채워진 충진용기(30)를 분리시킨 다음, 또다른 빈 충진용기(30)를 충진용기홀더(28)에 장치하고, 개폐문(22)을 닫고 작동스위치(도시안됨)를 작동시키면 차단실린더(31)가 작동하여 스토퍼(32)가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승강실린더(25)에 의해 충진용기(30)가 상승하여 노즐(33) 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개폐밸브(35)가 개방, 노즐(33)을 통하여 미세분말(S)이 충진용기(30) 내에 충진되는 동작의 반복으로 미세분말(S)을 충진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공급호퍼(6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충진용기(30) 내에 충진되면서 공급호퍼(6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의 량이 줄어들게 되면 공급호퍼(60) 상단에 설치된 감지센서(64)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센서(64)의 감지작동에 의해 보조탱크(80) 하단 연결부(81)에 설치된 보조개폐밸브(82)가 작동하여 통로(83)를 개방시키게 되고, 따라서 보조탱크(8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낙하하면서 공급호퍼(60)로 유입된다.
이때 공급호퍼(60) 내에 위치한 공기는 에어필터(6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미세분말(S)의 충진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보조탱크(80)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공급호퍼(60)로 유입되면서 미세분말(S)의 충진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감지센서(64)가 이를 감지, 보조탱크(80) 하단연결부(81)에 설치된 보조개폐밸브(82)가 작동하여 연결부(81)의 통로(83)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의 반복으로 공급호퍼(60) 내에는 항상 일정량의 미세분말(S)이 채워지게 되고, 공급호퍼(6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은 작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봉(62) 및 교반날개(63)에 의해 골고루 교반되면서 공급호퍼 내에 충진된 미세분말(S)에 유동성이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63)는 미세분말(S)에 유동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미세분말(S)이 항상 교반되게 함으로써, 특정부위의 미세분말(S)이 집중적으로 공급됨으로 인하여 충진용기(30) 내에 유입될 수 있는 공기를 차단하게 되는 기능도 겸하게 된다.
보조탱크(8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공급호퍼(60)로 공급되어 보조탱크(8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의 량이 줄어들게 되면 보조탱크(80) 내에 설치된 감지센서(89)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센서(89)의 감지작동에 의해 보조탱크(80)에 설치된 보조진공발생장치(88)가 작동하여 보조탱크(80) 내부의 공기를 흡 입, 감압시키게 되면, 미세분말탱크(17)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공급호스(16)를 통하여 보조탱크(80) 내로 공급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기압차에 의해 미세분말탱크(17) 내의 미세분말(S)이 보조탱크(80) 내에 충진되어 일정량이 되면 감지센서(89)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센서(89)의 작동에 의해 보조진공발생장치(88)의 작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미세분말(S)의 공급이 중지되는 동작의 반복으로 보조탱크(80) 내에는 항상 일정량의 미세분말(S)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보조탱크(80) 상단에 설치된 회전모터(M1)는 보조탱크(80) 내에 설치된 축봉(85)을 회전시켜 날개(86)가 회전되게 함으로써, 보조탱크(80) 내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교반되게 하고, 따라서 미세분말(S)에 유동성이 부여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미세분말 충진장치는 감압박스 내에 충진용기를 설치한 다음, 감압박스 내에 기압을 감압, 공급호퍼 내에 충진된 미세분말이 기압차에 의해 저항이나 기계적 스트레스 없이 충진용기 내에 충진되게 함으로써, 미세분말의 충진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세분말의 공급과 충진작업이 모두 밀폐된 공간 내에서 기압차를 이용하여 진행이 되므로 미세분말이 작업장 내를 비산하는 현상을 예방,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일이 없고, 공급호퍼 및 보조탱크 내에는 교반날개가 회전하면서 미세분말에 유동성을 부여하게 되므로 미세분말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항상 일정량의 미세분말이 잔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미세분말 충진장치는 프린터기나 복사기에 사용되는 제품의 충진에만 적용가능한 것이 아니라, 분쇄가공된 곡물류, 분말형의 화장품등 모든 미세분말제품을 용기 내에 정량충진하는 작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 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장치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장치에서 공급호퍼와 보조탱크부분의 단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장치에서 감압탱크부분의 단면구성도로서 승강실린더를 상승시킨 상태도
도 7 : 도 6의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를 하강시킨 상태도
도 8 : 본 발명 장치에 사용되는 감압탱크의 내부정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 장치 내에 미세분말을 충진한 상태도
도 10 : 도 9의 일부확대도
도 11 : 도 9의 일부확대도
도 12 : 도 11의 상태에서 승강실린더를 하강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작동모터 (M1)--회전모터
(S)--미세분말 (10)--받침대
(11)--주프레임 (12)--하부고정판
(13)--중앙고정판 (14)--상부고정판
(15)--콘트롤박스 (16)--공급호스
(17)--미세분말탱크 (20)--감압박스
(21)--본체 (22)--개폐문
(23)--호스 (24)--진공발생장치
(25)--승강실린더 (26)--받침대
(27)--로드셀 (28)--충전용기홀더
(30)--충진용기 (31)--차단실린더
(32)--스토퍼 (33)--노즐
(34)--충진호스 (35)--개폐밸브
(36)--통로 (60)--공급호퍼
(61)--브라켓 (62)--회전축봉
(63)--교반날개 (64)--감지센서
(65)--에어필터 (80)--보조탱크
(81)--연결부 (82)--보조개폐밸브
(83)--통로 (84)--브라켓
(85)--축봉 (86)--날개
(87)--호스 (88)--보조진공발생장치
(89)--감지센서

Claims (7)

  1. 주프레임(11) 상에 공급호퍼(60)를 설치하고, 상기 공급호퍼(60) 내에 교반날개(63)를 설치하여 미세분말(S)이 교반, 유동성이 부여되게 하고, 공급호퍼(60) 하단에는 노즐(33)이 형성된 충진호스(34)를 연결구성하여 공급호퍼(60)에 채워진 미세분말(S)이 진공발생장치(24)에 의해 충진용기(30)에 정량충진되도록 하되, 상기 충진용기(30)는 로드셀(27)이 형성된 충진용기홀더(28) 상에 안치되게 하고, 상기 충진용기홀더(28)는 승강실린더(25)에 의해 승강되게 한 통상의 미세분말 충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공급호퍼(60) 내면상단부에 감지센서(64)를 설치하여 공급호퍼(60)에 공급되는 미세분말(S)의 량을 감지하여 보충할 수 있게 하고, 공급호퍼(60) 아랫쪽에는 본체(21)와 개폐문(22)으로 구성되는 감압박스(20)를 설치하되, 감압박스(20) 상단에 공급호퍼(60)와 연결된 노즐(33)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 감압박스(20) 일측에 진공발생장치(24)를 설치하여 내부기압이 감압될 수 있게 하되, 상기 감압박스(20) 내에 로드셀(27)이 형성된 충진용기홀더(28)와, 충진용기홀더(28)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5)가 위치되게 하고, 상기 충진용기홀더(28)에 충진용기(30)를 안치하면 충진용기(30) 직상부에 노즐(33)이 위치되게 하고, 충진용기홀더(28) 상에 충진용기(30)가 안치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25)를 상승시켜 충진용기(30)가 노즐(33)과 접하게 한 다음, 진공발생장치(24)를 작동시켜 감압박스(20) 내의 기압이 공급호퍼(60) 내의 기압보다 감압되게 함으로써, 감압박스(20)와 공급호퍼(60)의 기압차에 의해 미세분말(S)이 노즐(33)을 통하여 감압박스(20) 내에 위치하는 충진용기(30)에 충진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108929A 2009-11-12 2009-11-12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KR10112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929A KR101124199B1 (ko) 2009-11-12 2009-11-12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PCT/KR2010/006117 WO2011059169A2 (ko) 2009-11-12 2010-09-09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929A KR101124199B1 (ko) 2009-11-12 2009-11-12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055A KR20110052055A (ko) 2011-05-18
KR101124199B1 true KR101124199B1 (ko) 2012-03-27

Family

ID=4399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929A KR101124199B1 (ko) 2009-11-12 2009-11-12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4199B1 (ko)
WO (1) WO2011059169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819Y1 (ko) * 2004-08-18 2004-11-17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에 분말형 제품을 충전하는 장치
KR20040100731A (ko) * 2003-05-24 2004-12-02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인쇄기기용 토너 리필장치
KR100892392B1 (ko) * 2009-01-19 2009-04-10 (주)유로시스템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81A (ja) * 1994-06-24 1996-01-12 Nippon Sanso Kk 断熱空間への粒状断熱材の充填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731A (ko) * 2003-05-24 2004-12-02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인쇄기기용 토너 리필장치
KR200367819Y1 (ko) * 2004-08-18 2004-11-17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에 분말형 제품을 충전하는 장치
KR100892392B1 (ko) * 2009-01-19 2009-04-10 (주)유로시스템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169A2 (ko) 2011-05-19
KR20110052055A (ko) 2011-05-18
WO2011059169A3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0951B2 (ja) 流れの悪いバルク材の空気輸送方法および装置
US9810363B2 (en) Bulk adhesive transfer devices, knife gate valve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8011394B2 (en) Methodology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liquid components to create custom formulations
WO2011157194A1 (zh) 混凝土搅拌站的掺合料搅拌系统
CN105922581A (zh) 一种原材料自动称重、上料的3d打印机
KR101797085B1 (ko) 혼합 분말 제조용 원료 공급 장치
KR101124199B1 (ko) 기압차를 이용한 미세분말 충진장치
CN207012857U (zh) 一种生产玻璃管用自动配料装置
NL2017649B1 (en) Apparatus &amp;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enzyme, and a system &amp; method for coating pellets with the liquid enzyme
JP2019098295A (ja) 混合物充填装置及び混合物充填方法
JP3711362B2 (ja) モルタル混練装置
KR101297512B1 (ko) 미세분말 정량계량 충진장치
US20160096158A1 (en) Apparatus for mixing and blending of an additive material into a fluid and method
CN214765262U (zh) 粉料自动配料装置
CN210616945U (zh) 粉料自动投料机
EP3328529B1 (en) Sand mixing device and method of mixing sand
JPWO2018100804A1 (ja) 鋳物砂用のバインダ供給装置及びバインダ供給方法
JP4274537B2 (ja) 粉体充填方法
CN219885156U (zh) 一种振动式防架桥肥料计量料仓
CN104383843A (zh) 秋千式搅拌器
KR20230151632A (ko) 토너분말 공급장치 및 토너분말 공급방법
KR20040100731A (ko) 인쇄기기용 토너 리필장치
JP5680281B2 (ja) 粉体の定量フィーダ装置
CN105034342B (zh) 具有补料装置的吹膜印刷机的进料机构
JP2005075371A (ja) トナー充填に用いるエアー脱気装置へのトナー付着制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