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889B1 -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 - Google Patents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889B1
KR101123889B1 KR1020110068598A KR20110068598A KR101123889B1 KR 101123889 B1 KR101123889 B1 KR 101123889B1 KR 1020110068598 A KR1020110068598 A KR 1020110068598A KR 20110068598 A KR20110068598 A KR 20110068598A KR 101123889 B1 KR101123889 B1 KR 101123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ying unit
frame
prism
conventional surveying
point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주 filed Critical 김은주
Priority to KR102011006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 거리측량을 실시할 때,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받침대를 구비하며, 받침대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가 가능한 지지축부와, 받침대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제1기준점에 배치된 제1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제1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수행하는 제1광파측량부와, 이러한 제1광파측량부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제2기준점에 배치된 제2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제2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수행하는 제2광파측량부와, 제1광파측량부로부터 제1프리즘까지의 거리와, 제2광파측량부로부터 제2프리즘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포인트 디텍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POINT DETECTOR FOR POSSIBLE DISTANCE MEASURE OF TWO POINT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 거리측량을 실시할 때,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설계된 도면에 의해, 건축물이 축조될 장소에 별도의 지점을 설정하여 좌표로 산출하고, 그 산출된 좌표를 광파기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량하게 된다.
이때, 통상적인 거리 측량 과정은, 정해진 위치(기준점)에 거리 측량기계(이하, 광파기)를 설치하고, 기 설정된 좌표 혹은 임의의 좌표를 설정한 후, 그 좌표가 해당하는 범위에 프리즘을 설치한다. 이를 통해, 광파기에서 조사된 광을 프리즘이 반사를 하면서, 상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기준점에 광파기를 설치한 후 임의의 좌표마다 인력이 동원되어 반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진행되기 때문에, 기준점보다 거리가 멀거나 프리즘의 반사가 원활하지 않을 겨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 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프리즘 조절에 별도의 인력이 필요치 않아도 되고, 거리 측량 상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가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 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서로 다른 기준점에 배치된 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실시간으로 거리 측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부에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가 가능한 지지축부;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제1기준점에 배치된 제1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수행하는 제1광파측량부; 상기 제1광파측량부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제2기준점에 배치된 제2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2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수행하는 제2광파측량부; 및 상기 제1광파측량부로부터 상기 제1프리즘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광파측량부로부터 상기 제2프리즘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포인트 디텍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1광파측량부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제1바닥판; 상기 제1바닥판의 중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상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개구된 부위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광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2광파측량부는, 상기 제1광파측량부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제2바닥판; 상기 제2바닥판의 중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운데 일부 부위가 개구된 ㅁ자 형상을 갖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개구된 부위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광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1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회전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2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원하는 각도에서 회전을 고정시키도록 고정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과 동일 중심으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광파측량부는, 상부면에 수평여부를 표시하는 수준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닥판 및 상기 제2바닥판은, 외주면을 따라 원주의 각도 눈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광파측량부 및 상기 제2광파측량부는, 거리 측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는, 전 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서로 다른 기준점에 배치된 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여 거리 측량에 충원되는 인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시간 단축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는, 거리 측량과정을 육안으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에 있어서, 제1광파측량부 및 제2광파측량부의 상세구성과, 이와 더불어 구성 간 작동관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가, 서로 다른 기준점에 배치된 프리즘과의 거리를 삼변측량법 및 후방교회법을 응용하여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가 현장에서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100)는, 크게 지지축부(110)와, 제1광파측량부(130)와, 제2광파측량부(150) 및 모니터부(17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먼저, 지지축부(110)는, 상부에 받침대(112)를 구비하는 삼각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축부(110)는 받침대(112)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축부(110)는 레벨기(114)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레벨기(114)를 통해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광파측량부(130)은, 받침대(112)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또한, 제1광파측량부(130)는 거리 측량의 제1기준점에 배치된 제1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1광파측량부(130)는, 받침대(112)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제1바닥판(131)과, 상기 제1바닥판(131)의 중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회전축(132)과, 상기 제1회전축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상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133)과, 상기 제1프레임(133)의 개구된 부위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광파기(135)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2광파측량부(150)는, 제1광파측량부(130)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또한, 제2광파측량부(150)는 거리 측량의 제2기준점에 배치된 제2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2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2광파측량부(150)는, 제1광파측량부(130)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제2바닥판(151)과, 상기 제2바닥판(151)의 중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회전축(152)과, 상기 제2회전축(152)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운데 일부 부위가 개구된 ㅁ자 형상을 갖는 제2프레임(153)과, 상기 제2프레임(153)의 개구된 부위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광파기(1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광파측량부(150)는, 상부면에 수평여부를 표시하는 수준기(15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준기(156)가 제2광파측량부(150)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수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모니터부(170)는, 제1광파측량부(130)로부터 제1프리즘까지의 거리와, 제2광파측량부(150)로부터 제2프리즘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모니터부(170)를 통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거리 측량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시된 모니터부(170)는 제1광파측량부(130)에 위치한 것으로 보이나, 이것은 편의상 도시한 것으로써, 이러한 모니터부(170)의 위치 및 형상은 크게 제한될 필요가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에 있어서, 제1광파측량부 및 제2광파측량부의 상세구성과, 이와 더불어 구성 간 작동관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광파측량부(130)와 제2광파측량부(150)가 서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간 작동관계를 살펴보기에 앞서, 제1광파측량부(130)와 제2광파측량부(13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광파측량부(130)는, 제1바닥판(131)과, 상기 제1바닥판(131)의 중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회전축(132)과, 상기 제1회전축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상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133)과, 상기 제1프레임(133)의 개구된 부위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광파기(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133)은, 제1회전축(132)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132)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1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33)은, 회전이 될 때 별도의 윤활작용을 하는 제1베어링을 구비함에 따라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광파측량부(150)는, 제1광파측량부(130)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제2바닥판(151)과, 상기 제2바닥판(151)의 중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회전축(152)과, 상기 제2회전축(152)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운데 일부 부위가 개구된 ㅁ자 형상을 갖는 제2프레임(153)과, 상기 제2프레임(153)의 개구된 부위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광파기(15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153)은, 제2회전축(152)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152)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2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프레임(153)은, 회전이 될 때 별도의 윤활작용을 하는 제2베어링을 구비함에 따라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파측량부(130)와 제2광파측량부(150)는 동일 중심으로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광파측량부(150)의 제2회전축(152)는, 제1광파측량부(130)의 제1회전축(132)과, 동일 중심으로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제1광파기(135) 및 제2광파기(155)는 각각 제1힌지축(134)과, 제2힌지축(154)과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프레임(133) 및 제2프레임(153)은, 원하는 각도에서 회전을 고정시키도록 고정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바닥판(131) 및 제2바닥판(151)은, 외주면을 따라 원주의 각도 눈금이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133) 및 제2프레임(153)을 원하는 위치에 회전할 때,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제1광파측량부(130) 및 제2광파측량부(150)는, 각각 동일 중심으로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각각 별도의 목표점을 향해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광파측량부(130) 및 제2광파측량부(150)는, 각각 힌지 연결을 통하여 상, 하 회동이 됨으로써, 원하는 목표점을 향하도록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광파측량부(130) 및 제2광파측량부(150)는, 거리 측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가, 서로 다른 기준점에 배치된 프리즘과의 거리를 삼변측량법 및 후방교회법을 응용하여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인트 디텍터(100)를 이용해 현장에서 거리 측량을 실시할 때, 삼변측량법 및 후방교회법을 응용하여 거리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거리 측량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서로 다른 위치의 기준점에 각각의 프리즘(P)을 배치하고, 그 배치된 프리즘(P)을 향해 포인트 디텍터(100)가 임의의 지점을 향하면서 광을 송, 수신하여 거리를 측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100)는, 삼변측량법 및 후방교회법을 응용하여, 서로 다른 위치의 기준점에 각각 배치된 프리즘(P)을 향해, 작업자가 자리를 이동하며,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거리를 측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가 현장에서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공부지 내의 여러 가지 건축 구조물과 도로 등등의 위치를 찾기에 용이한 각 기준점마다 상술한 프리즘(P)을 각각 세팅하되, 삼각대를 활용하여 가능한 한 수직으로 높게 세워두는 것으로 측량작업 시의 현장지형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100)는, 작업자가 위치를 변경해가며 상기 세팅된 프리즘(P)을 향해 광파를 송, 수신하게 된다. 이때, 포인트 디텍터(100)는 다 방향으로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디텍터(100)는, 전 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서로 다른 기준점에 배치된 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포인트 디텍터(100)는, 거리 측량에 충원되는 인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시간 단축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포인트 디텍터(100)는, 거리 측량과정을 육안으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P : 프리즘
100 : 포인트 디텍터
110 : 지지축부
112 : 받침대
114 : 레벨기
130 : 제1광파측량부
131 : 제1바닥판
132 : 제1회전축
133 : 제1프레임
134 : 제1힌지축
135 : 제1광파기
150 : 제2광파측량부
151 : 제2바닥판
152 : 제2회전축
153 : 제2프레임
154 : 제2힌지축
155 : 제2광파기
156 : 수준기
170 : 모니터부

Claims (8)

  1. 상부에 받침대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가 수평이 되도록 설치가 가능한 지지축부;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제1기준점에 배치된 제1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수행하는 제1광파측량부;
    상기 제1광파측량부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며, 제2기준점에 배치된 제2프리즘을 향해 광을 송,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2프리즘과의 거리 측량을 수행하는 제2광파측량부; 및
    상기 제1광파측량부로부터 상기 제1프리즘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2광파측량부로부터 상기 제2프리즘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포인트 디텍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파측량부는,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제1바닥판;
    상기 제1바닥판의 중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상향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개구된 부위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광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광파측량부는,
    상기 제1광파측량부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제2바닥판;
    상기 제2바닥판의 중심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회전축;
    상기 제2회전축의 상부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가운데 일부 부위가 개구된 ㅁ자 형상을 갖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개구된 부위에 힌지 연결되어 상, 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광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디텍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회전축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1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회전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2회전축의 상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2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디텍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원하는 각도에서 회전을 고정시키도록 고정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디텍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과 동일 중심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디텍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파측량부는,
    상부면에 수평여부를 표시하는 수준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디텍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 및 상기 제2바닥판은,
    외주면을 따라 원주의 각도 눈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디텍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파측량부 및 상기 제2광파측량부는,
    거리 측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디텍터.
KR1020110068598A 2011-07-11 2011-07-11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 KR10112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98A KR101123889B1 (ko) 2011-07-11 2011-07-11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598A KR101123889B1 (ko) 2011-07-11 2011-07-11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889B1 true KR101123889B1 (ko) 2012-03-23

Family

ID=4614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598A KR101123889B1 (ko) 2011-07-11 2011-07-11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365A (ja) * 2015-03-31 2018-05-24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lidarシステム
KR20190080828A (ko) * 2019-04-16 2019-07-08 차희열 레이저 수평 수직 조사장치 결합을 위한 수평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622A (ja) * 1995-10-11 1997-04-22 Seikosha Co Ltd 測距装置
JPH10274528A (ja) 1997-03-31 1998-10-13 Nikon Corp 測量用求心装置
KR20090020441A (ko) * 2007-08-22 2009-02-26 이양재 다용도 측량기
JP4293484B2 (ja) 1999-04-22 2009-07-08 今田商事株式会社 測量器用光反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622A (ja) * 1995-10-11 1997-04-22 Seikosha Co Ltd 測距装置
JPH10274528A (ja) 1997-03-31 1998-10-13 Nikon Corp 測量用求心装置
JP4293484B2 (ja) 1999-04-22 2009-07-08 今田商事株式会社 測量器用光反射装置
KR20090020441A (ko) * 2007-08-22 2009-02-26 이양재 다용도 측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365A (ja) * 2015-03-31 2018-05-24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lidarシステム
KR20190080828A (ko) * 2019-04-16 2019-07-08 차희열 레이저 수평 수직 조사장치 결합을 위한 수평 받침대
KR102044656B1 (ko) * 2019-04-16 2019-11-13 차희열 레이저 수평 수직 조사장치 결합을 위한 수평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880B1 (ko) 수평으로 연장하는 컨투어 라인들을 따라 공간 지점들을 측정하고 마킹하는 장치
US7081606B2 (en) Position measuring system
KR101204970B1 (ko) 클리노미터, 이를 이용한 주향 및 경사각 측정 방법
JPH079372B2 (ja) レ−ザ−光線水準計測器
CN105865426A (zh) 一种自动对中与测量的全站仪
KR101123889B1 (ko) 두 지점의 거리를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포인트 디텍터
BR112013017111A2 (pt) aparelho de medição compreendendo uma funcionalidade de mira dinâmica e método associado
KR101193023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도로지형물 측지값을 측정하는 소형 측지 장비
CN211083421U (zh) 一种建筑造价现场测绘装置
KR101318257B1 (ko)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KR101938404B1 (ko) 경사지의 지점별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측량용 표척기구
KR101291451B1 (ko) 반사장치를 구비한 수준측량용 스타프
JPS6126603B2 (ko)
US2014012599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the direction of a polar measurement device
KR101546670B1 (ko) 주향과 경사의 동시측정이 가능한 클리노미터
KR101521843B1 (ko) 3차원 변위 측정장치
KR20150006130A (ko) 파이프 진원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N114045754A (zh) 一种桥梁悬臂施工用挂篮重心竖向位移实时监测方法
KR101487464B1 (ko) 측량 기준점 설치대
KR200463225Y1 (ko) 학습용 주향 및 경사 측정장치
KR101351566B1 (ko) 삼각측량시스템
KR200490100Y1 (ko) 정밀한 각도측정이 가능한 거치장치
CN211718522U (zh) 用于工程测量的激光测距仪
CN214666776U (zh) 一种用于高层建筑的基坑工程检测装置
US20240053474A1 (en) Surveying Distance Measuring System Using La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