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873B1 -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873B1
KR101123873B1 KR1020110146454A KR20110146454A KR101123873B1 KR 101123873 B1 KR101123873 B1 KR 101123873B1 KR 1020110146454 A KR1020110146454 A KR 1020110146454A KR 20110146454 A KR20110146454 A KR 20110146454A KR 101123873 B1 KR101123873 B1 KR 101123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x
case
rota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후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성설계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11014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6Boxe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평소에는 수납함으로 사용하면서 배전함의 위치를 감추다가 필요할 때에만 배전함을 노출시켜 작업을 할 수 있게 구성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며, 전방이 개방된 육면체의 박스체(11) 전단 상하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단턱(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의 상면 일측에 전선홀(14)이 형성되어 벽체(1)에 매입되는 배관을 통해 전선이 내부로 인입되며, 박스체(11) 상단에 형성된 단턱(12)에 걸쇠(13)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박스체(11)의 전방 개방구가 벽체(1)에 노출되도록 매입 설치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의 후방 하부에 힌지(23)로 회동 가능하게 판체(21)의 일단이 고정되고, 판체(21)의 타단 일측에 누름턱(22)이 형성되며, 판체(21)가 박스체(11) 내부에 전체적으로 위치할 때 고정구(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판체(21)의 상면에 배전기구부(24)가 고정되는 회전판(20); 케이스(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스위치(31)와 연결되고, 스위치(31)는 케이스(10) 내부 상면 전단에 설치되어 회전판(20)의 누름턱(22)에 의해 눌려진 상태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구성되는 전등(30); 회전판(20)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케이스(10) 내부 상면 단부에 고정브라켓(41)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41)에 회전축(43)으로 걸림돌기(4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걸림돌기(42)의 단부가 회전판(20)의 단부에 닿아 고정되며, 고정브라켓(41)의 양쪽에 형성된 핀홀(41-2)에 한쌍의 작동핀(44)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작동핀(44)의 단부와 대응되는 걸림돌기(42) 일측에 볼홈(42-2)이 형성되며, 볼홈(42-2)에 스프링(46)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볼(45)이 삽입되고, 볼(45)이 작동핀(44)의 핀홀(41-2)에 삽입되면서 걸려 위치가 고정되며, 핀홀(41-2)의 일측에 가이드홈(41-3)이 형성되고, 가이드홈(41-3)에 작동핀(44)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4-1)이 삽입되어 작동핀(44)의 거리가 제한되는 고정구(40); 전면에 도어(52)가 개폐가능하게 함체(51)에 형성되고, 회전판(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판과 맞닿게 함체(51)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함체(51)의 하단 전방에 고정힌지(53)가 고정되어 케이스(10)의 박스체(11) 내측 바닥면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납함(50); 으로 구성되어 수납함(50)이 평소에는 케이스(10) 전면에 위치하다가 수납함(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걸쇠(13)를 해제하면 회전하여 회전판(20)이 노출되고 회전판(20)을 회전시키면 배전기구부(24)가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 A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box having a compartment }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소에는 수납함으로 사용하면서 배전함의 위치를 감추다가 필요할 때에만 배전함을 노출시켜 작업을 할 수 있게 구성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배전반이 내장된 배전함이 설치된다. 배전반은,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부하로 분배 및 공급시키는 전원분배기와,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누전 등과 같은 이상 상태 발생시 전기를 신속히 차단시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누전차단기, 또는 이상이 있는 부하 측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배선용 차단기,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하는 전력량계 등의 각종 기기들이 설치되어, 건물 시공시 벽면에 매설된다.
이러한 배전함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침입자에 의해 배전반이 임의로 조작되어 각종 전기기기들로 공급되는 전력이 끊어져 전기기기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배전반을 실수로 조작할 수 있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침입자가 배전함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도록 배전함의 설치위치를 은폐시킬 필요성이 있다.
또한, 현재에는 모든 제품과 건축물의 부분 부분이 디자인이 중시되어 구성되고 건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종래의 배전함은 단지 배전함의 기능만 가지고 있어서 공간활용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전함의 케이스를 두개의 공간부로 나누어 전방에는 수납함이 위치하게 하고, 후방에 배전함실이 위치하게 하여 평소에는 배전기구부가 보이지 않다가 수납함을 이탈시키면 회전판이 수평이 되면서 배전기구부가 노출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회전판이 회전하여 수평이 되었을 때 자동으로 전등이 켜져 배선 작업 등 배전함 관련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회전판을 지지하는 고정구가 간편하게 고정 및 해제가 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방이 개방된 육면체의 박스체(11) 전단 상하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단턱(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의 상면 일측에 전선홀(14)이 형성되어 벽체(1)에 매입되는 배관을 통해 전선이 내부로 인입되며, 박스체(11) 상단에 형성된 단턱(12)에 걸쇠(13)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박스체(11)의 전방 개방구가 벽체(1)에 노출되도록 매입 설치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의 후방 하부에 힌지(23)로 회동 가능하게 판체(21)의 일단이 고정되고, 판체(21)의 타단 일측에 누름턱(22)이 형성되며, 판체(21)가 박스체(11) 내부에 전체적으로 위치할 때 고정구(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판체(21)의 상면에 배전기구부(24)가 고정되는 회전판(20); 케이스(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스위치(31)와 연결되고, 스위치(31)는 케이스(10) 내부 상면 전단에 설치되어 회전판(20)의 누름턱(22)에 의해 눌려진 상태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구성되는 전등(30); 회전판(20)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케이스(10) 내부 상면 단부에 고정브라켓(41)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41)에 회전축(43)으로 걸림돌기(4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걸림돌기(42)의 단부가 회전판(20)의 단부에 닿아 고정되며, 고정브라켓(41)의 양쪽에 형성된 핀홀(41-2)에 한쌍의 작동핀(44)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작동핀(44)의 단부와 대응되는 걸림돌기(42) 일측에 볼홈(42-2)이 형성되며, 볼홈(42-2)에 스프링(46)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볼(45)이 삽입되고, 볼(45)이 작동핀(44)의 핀홀(41-2)에 삽입되면서 걸려 위치가 고정되며, 핀홀(41-2)의 일측에 가이드홈(41-3)이 형성되고, 가이드홈(41-3)에 작동핀(44)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4-1)이 삽입되어 작동핀(44)의 거리가 제한되는 고정구(40); 전면에 도어(52)가 개폐가능하게 함체(51)에 형성되고, 회전판(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판과 맞닿게 함체(51)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함체(51)의 하단 전방에 고정힌지(53)가 고정되어 케이스(10)의 박스체(11) 내측 바닥면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납함(50); 으로 구성되어 수납함(50)이 평소에는 케이스(10) 전면에 위치하다가 수납함(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걸쇠(13)를 해제하면 회전하여 회전판(20)이 노출되고 회전판(20)을 회전시키면 배전기구부(24)가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 수납함이 벽체 전면에 노출되어 있어서, 수납함으로 사용하므로, 외부의 침입자가 배전함으로 인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함으로 사용하여 편리한 점이 있다.
그리고 수납함을 회전시켜 완전히 케이스에서 이탈시키고,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배전기구부가 노출되면서 배전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판이 회전하여 수평이 되면 전등이 자동으로 점등하게 되므로 별도의 조명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한 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을 도시한 도 3의 원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에서 배전기구부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의 고정구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벽체(1)에 매입되는 케이스(10)의 내부 후방이 회전판(20)에 의해 배전함실(15)로 형성되고, 회전판(20)의 전방으로 수납함(5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수납함(50)이 회전되어 케이스(10) 외부로 이동하였을 때 회전판(20)의 회전되어 배전기구부(24)가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회전판(20)이 회전되었을 때 케이스(10)의 박스체(11) 내부 상면에 고정된 전등(30)이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0)는 전방이 개방된 육면체로 이루어진 박스체(11)로 이루어지고, 박스체(11)의 전단 상하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단턱(12)이 형성되며, 박스체(11)의 상면 일측에 전선홀(14)이 형성되어 벽체(1)에 매입되는 배관을 통해 전선이 내부로 인입된다. 인입된 전선(2)은 배전기구부(24)에 연결되고, 후술할 전등(30)에 연결된다.
박스체(11) 상단에 형성된 단턱(12)에 걸쇠(13)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걸쇠(13)는 후술할 수납함(50)의 상단부를 걸어서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하여 준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10)의 박스체(11) 전방 개방구가 벽체(1)에 노출되도록 매입 설치된다.
회전판(20)은 사각형 판체(21)로 이루어지고, 판체(21)의 일단이 케이스(10) 내부의 후방 하부에 힌지(23)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회전판(20)의 길이는 케이스(10)의 내부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회전판(20)의 후방으로 배전함실(15)이 형성된다.
회전판(20)의 판체(21)에서 힌지(23)가 고정된 반대편 단부 일측에 누름턱(22)이 형성되고, 누름턱(22)이 스위치(31)를 누른 상태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형성된다.
회전판(20)의 판체(21)가 박스체(11) 내부에 전체적으로 위치할 때 고정구(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판체(21)의 상면에 배전기구부(24)가 고정된다.
전등(30)은 케이스(10)의 박스체(11)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스위치(31)와 연결되고, 스위치(31)는 케이스(10) 내부 상면 전단에 설치되어 회전판(20)의 누름턱(22)에 닿아 눌려지고, 이렇게 눌려진 상태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구성된다.
고정구(40)는 회전판(20)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케이스(10) 내부 상면 단부에 고정브라켓(41)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41)에 회전축(43)으로 걸림돌기(4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걸림돌기(42)의 단부가 회전판(20)의 단부에 닿아 된다. 걸림돌기(42)는 고정브라켓(4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데, 회전상태와 고정상태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한다.
고정브라켓(41)의 양쪽에 핀홀(41-2)이 각각 형성되고, 핀홀(41-2)에 한쌍의 작동핀(44)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작동핀(44)은 둘레 일측에 가이드돌기(44-1)가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돌기(44-1)가 삽입되어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가이드홈(41-3)이 핀홀(41-2)에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핀(44)의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이는 작동핀(44)을 밀어 볼(45)이 밀더라도 걸림돌기(4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작동핀(44)의 단부와 대응되는 걸림돌기(42) 일측에 볼홈(42-2)이 형성되고, 볼홈(42-2)에 스프링(46)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볼(45)이 삽입된다. 볼(45)은 작동핀(44)의 핀홀(41-2)에 삽입되면서 걸려 위치가 고정되고, 작동핀(44)을 누르면 볼(45)이 뒤로 밀려 다시 볼홈(42-2)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걸림돌기(42)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작동핀(44)을 눌러 걸림돌기(42)를 회전시키면, 회전판(20)이 회전되면서 누르고 있던 스위치(31)가 밀려나오면서 전원이 연결되어 전등(30)이 켜진다. 전등(30)에는 축전지가 내장되어 항상 충전되고 있다가, 비상시에는 전원이 끊기더라도 바로 작업을 할 수 있게 구성된다.
배전기구부(24)를 은폐하기 위한 수납함(50)이 회전판(20)의 전방으로 고정되는데, 수납함(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회전하여 벽체(1) 밖으로 나오게 된다. 수납함(50)이 회전하면 고정구(40)의 작동핀(44)을 눌러 걸림돌기(42)를 고정상태에서 해제시키면 회전판(20)이 회전하여 수평상태가 되고, 수평상태에서 회전판(20) 상면에 있는 배전기구부(24) 관련 작업을 하게 된다.
수납함(50)의 함체(51) 전면에 도어(52)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판(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판과 맞닿게 함체(51)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함체(51)의 하단 전방에 고정힌지(53)가 고정되어 케이스(10)의 박스체(11) 내측 바닥면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180도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납함(50)은 평소에는 케이스(10) 전면에 위치하다가 수납함(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걸쇠(13)를 해제하면 회전하여 회전판(20)이 노출되고 회전판(20)을 회전시키면 배전기구부(24)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1 : 벽체 2 : 전선
10 : 케이스 11 : 박스체
12 : 단턱 13 : 걸쇠
14 : 전선홀 15 : 배전함실
20 : 회전판 21 : 판체
22 : 누름턱 23 : 힌지
24 : 배전기구부 30 : 전등
40 : 고정구 41 : 고정브라켓
41-1 : 축홀 41-2 : 핀홀
41-3 : 가이드홈 42 : 걸고리
42-1 : 축홀 42-2 : 볼홈
43 : 회전축 44 : 작동핀
44-1 : 가이드돌기 45 : 볼
46 : 스프링 50 : 수납함
51 : 함체 52 : 도어
53 : 고정힌지

Claims (1)

  1. 전방이 개방된 육면체의 박스체(11) 전단 상하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단턱(12)이 형성되고, 박스체(11)의 상면 일측에 전선홀(14)이 형성되어 벽체(1)에 매입되는 배관을 통해 전선이 내부로 인입되며, 박스체(11) 상단에 형성된 단턱(12)에 걸쇠(13)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박스체(11)의 전방 개방구가 벽체(1)에 노출되도록 매입 설치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의 후방 하부에 힌지(23)로 회동 가능하게 판체(21)의 일단이 고정되고, 판체(21)의 타단 일측에 누름턱(22)이 형성되며, 판체(21)가 박스체(11) 내부에 전체적으로 위치할 때 고정구(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판체(21)의 상면에 배전기구부(24)가 고정되는 회전판(20);
    케이스(10)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스위치(31)와 연결되고, 스위치(31)는 케이스(10) 내부 상면 전단에 설치되어 회전판(20)의 누름턱(22)에 의해 눌려진 상태가 전원 오프가 되도록 구성되는 전등(30);
    회전판(20)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케이스(10) 내부 상면 단부에 고정브라켓(41)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41)에 회전축(43)으로 걸림돌기(4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걸림돌기(42)의 단부가 회전판(20)의 단부에 닿아 고정되며, 고정브라켓(41)의 양쪽에 형성된 핀홀(41-2)에 한쌍의 작동핀(44)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작동핀(44)의 단부와 대응되는 걸림돌기(42) 일측에 볼홈(42-2)이 형성되며, 볼홈(42-2)에 스프링(46)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볼(45)이 삽입되고, 볼(45)이 작동핀(44)의 핀홀(41-2)에 삽입되면서 걸려 위치가 고정되며, 핀홀(41-2)의 일측에 가이드홈(41-3)이 형성되고, 가이드홈(41-3)에 작동핀(44)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4-1)이 삽입되어 작동핀(44)의 거리가 제한되는 고정구(40);
    전면에 도어(52)가 개폐가능하게 함체(51)에 형성되고, 회전판(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판과 맞닿게 함체(51)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함체(51)의 하단 전방에 고정힌지(53)가 고정되어 케이스(10)의 박스체(11) 내측 바닥면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납함(50); 으로 구성되어 수납함(50)이 평소에는 케이스(10) 전면에 위치하다가 수납함(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걸쇠(13)를 해제하면 회전하여 회전판(20)이 노출되고 회전판(20)을 회전시키면 배전기구부(24)가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KR1020110146454A 2011-12-29 2011-12-29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KR101123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54A KR101123873B1 (ko) 2011-12-29 2011-12-29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54A KR101123873B1 (ko) 2011-12-29 2011-12-29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873B1 true KR101123873B1 (ko) 2012-03-09

Family

ID=4614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454A KR101123873B1 (ko) 2011-12-29 2011-12-29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8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9653A (zh) * 2013-04-26 2013-07-24 常熟市联合金属制品有限责任公司 带有照明装置的室内配电箱
KR20160002912U (ko) * 2015-02-12 2016-08-22 이영수 배전반 외함 조립체
WO2021102869A1 (zh) * 2019-11-27 2021-06-03 扬州仁智信息科技有限公司 低压抽出式配电柜
CN114310814A (zh) * 2021-11-15 2022-04-12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矿井井下现场水质检测便携式工作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834A (ja) * 1994-01-28 1995-08-18 Sekisui Chem Co Ltd 壁体内収納コンセントボックス
KR200261839Y1 (ko) 2001-10-31 2002-01-24 한국전력공사 배전 자동화용 지상개폐기 커버의 구조
KR200354937Y1 (ko) 2004-03-25 2004-07-01 성일휴 컨트롤 박스의 패널 개폐장치
KR200398634Y1 (ko) 2005-07-21 2005-10-14 박득만 이중 밀폐형 로칼 스위치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834A (ja) * 1994-01-28 1995-08-18 Sekisui Chem Co Ltd 壁体内収納コンセントボックス
KR200261839Y1 (ko) 2001-10-31 2002-01-24 한국전력공사 배전 자동화용 지상개폐기 커버의 구조
KR200354937Y1 (ko) 2004-03-25 2004-07-01 성일휴 컨트롤 박스의 패널 개폐장치
KR200398634Y1 (ko) 2005-07-21 2005-10-14 박득만 이중 밀폐형 로칼 스위치 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9653A (zh) * 2013-04-26 2013-07-24 常熟市联合金属制品有限责任公司 带有照明装置的室内配电箱
KR20160002912U (ko) * 2015-02-12 2016-08-22 이영수 배전반 외함 조립체
KR200483834Y1 (ko) * 2015-02-12 2017-07-11 이영수 배전반 외함 조립체
WO2021102869A1 (zh) * 2019-11-27 2021-06-03 扬州仁智信息科技有限公司 低压抽出式配电柜
CN114310814A (zh) * 2021-11-15 2022-04-12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矿井井下现场水质检测便携式工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873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납겸용 배전함
EP2367241B1 (en) Detachable safety cover for a socket and the like
KR100782518B1 (ko) 안정적인 전기배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주택의 분전함
KR20120020658A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824100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경보시스템
JP2016039755A (ja) 住宅用分電盤
KR100835243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배전선 보호대
ES2959780T3 (es) Conector eléctrico
KR10096807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 배전 박스 구조
JP5875060B2 (ja) 分電盤
KR200458158Y1 (ko) 차단기용 조작 핸들
KR100396816B1 (ko) 모드 일원화가 가능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AU2008221568B2 (en) Improved din rail mounting bracket
KR20170051634A (ko) 분전반 캐비닛의 도어 개폐장치
ES2950733T3 (es) Placa de cubierta y grupo de piezas para aparatos eléctricos modulares de montaje en pared
KR10084999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배전함
JP2012095530A (ja) コントロールセンター
KR200336296Y1 (ko) 가로형 양방향 옥외 분전반
JPH09320408A (ja) 回路遮断器収納箱のインタ−ロック装置
JP5877612B2 (ja) 停電時電源切替システム
KR200419667Y1 (ko) 밀폐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KR100835368B1 (ko) 공동주택의 벽면고정식 분배전반의 안전형 설치구조
KR100662023B1 (ko) 건축물 도어의 재래식 잠금장치
KR100827307B1 (ko) 공동주택의 실내설치형 배전반
JP2020167811A (ja) 配線器具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