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853B1 -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853B1
KR101123853B1 KR1020100049032A KR20100049032A KR101123853B1 KR 101123853 B1 KR101123853 B1 KR 101123853B1 KR 1020100049032 A KR1020100049032 A KR 1020100049032A KR 20100049032 A KR20100049032 A KR 20100049032A KR 101123853 B1 KR101123853 B1 KR 10112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network
scanning terminal
documen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576A (ko
Inventor
신진섭
안우영
권양수
김성학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85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04N1/00737Optical detectors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er comprising adaptations for scanning a record carrier that is displayed on a display-screen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언제 어디서나 명함, 신분증, 이미지, 문서 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지정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지 검색하여 볼 수 있는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document information using Scannig terminal for document}
본 발명은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언제 어디서나 명함, 신분증, 이미지, 문서 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지정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지 검색하여 볼 수 있는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명함 인식 시스템은 지정된 곳에서 PC나, 노트북에 명함 인식기를 연결하여 명함, 문서 등을 서버에 전송(유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지정된 장소나, PC, 노트북이 없이는 사용할 수 없는 시스템이고, 또한, 지정된 PC에서만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방식으로서 다양한 형태, 그룹별, 업태별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사용할 수 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즉 부연하면, 종래 기술의 경우, 케이블 및 유선 방식으로서 PC나 노트북에 연결되어 있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자신의 데이터만 주고 받으며, 특정한 데이터만 사용해야 한다. 또한, 케이블 및 유선 방식이다 보니 지역적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게 되며,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방식을 탈피하여 무선(Wibro, WiFi, HSDPA)망을 활용하여 지역적, 공간적 제한 없이 문서 스캔 단말기를 활용하여 명함이나, 신분증, 이미지, 서적 등을 스캔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버는 무선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그룹별, 용도별, 사용자별 등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컨텐츠를 문서 스캔 단말기를 활용하여 서버에 무선(Wibro, WiFi, HSDPA)망을 활용하여 접속하여 언제든지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 디스플레이하는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문서 스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 문서 스캔 단말기는, 문서를 스캐닝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로부터 스캐닝된 문서로부터 문자와 이미지로 분리하여 문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문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가 접속하는 망을 검색하여 전환하는 망 전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캔부는 카메라 문자 인식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문서 스캔 단말기는, 상기 문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서 스캔 단말기는, 상기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하는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가 접속하는 다수의 액세스망; 상기 다수의 액세스망 중 하나로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를 연결하는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서버; 연결된 하나의 액세스망과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와 접속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문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문서 정보를 자동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문서 정보를 분류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자동 인식부; 및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에 입력된 검색어를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에 전송하는 검색 기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액세스망은 Wibro(Wireless Broadband)망, WiFI(Wireless Fidelity)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근거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기준은 언어별, 그룹별, 용도별, 사용자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캐닝된 데이터, 이지미를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무선망을 활용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또한 서버에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무선망을 통하여 손쉽게 사용자가 거리, 공간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 컨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기존의 근거리 무선 방식인 Zigbee, RF, 블루투쓰 등은 거리에 제한적이므로 원거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방식으로서 Wibro망이 구축된 곳에서는 Wibro망을, WiFi망이 구축된 곳에서는 WiFi망을, 기타지역에서는 HSDPA망을 활용하여 전국 어디서든지 쉽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영 서버(13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대한 회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를 스캐닝하여 이를 문자 정보로 변환 후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스캔 단말기(100)가 액세스망의 종류에 따라 망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된 문서 정보를 분석하여 언어별, 그룹별, 용도별, 사용자별 등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스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은 문서를 스캔하여 스캐닝된 문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문서 스캔 단말기(100), 이 문서 스캔 단말기(100)가 선택적으로 액세스하는 액세스망(110a 내지 110c), 이 액세스망(110a 내지 110c)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 네트워크망(120), 이 유선 네트워크망(120)과 연결되어 액세스망(110a 내지 110c)과 문서 스캔 단말기(100) 간 망전환시키는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서버(150), 문서 스캔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스캔 문서 정보를 수신하여 이 정보를 분석 및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운영 서버(130) 및 유선 네트워크망(120)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40)를 포함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권고안 IEEE 802.21에 제시되어 있는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해 정책에 기반하여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대해 사용가능한 액세스망(110a 내지 110c)을 선택해 주어 양호한 액세스 망을 통해 통신토록 하되 문서 스캔 단말기(100)로부터 MIH 서버(150)로의 MIH 등록 요청 메시지 전송시에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대하여 양호한 액세스 망을 선택하여 주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6에 도시된다.
즉,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스캔 단말기(100)가 액세스망의 종류에 따라 망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예를 들면, 액세스망A(110a)는 Wibro(Wireless Broadband)망이고, 액세스망B(110b)는 WiFI(Wireless Fidelity)망이고, 액세스망C(110c)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일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다른 액세스 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MIH 서버(150)는 문서 스캔 단말기(100)가 연결 가능한 상태의 액세스망(110a 내지 110c)을 권고하기 위한 액세스망 정보에 의거하여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대한 액세스 망 재설정 필요 여부를 확인하여,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대해 액세스 망의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 MIH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했던 액세스 망을 통해, 연결 가능한 상태의 액세스망(110a 내지 110c)으로 재설정할 것을 요청하는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전송함으로써, 문서 스캔 단말기(100)로 하여금 연결 가능한 상태의 액세스망으로 핸드 오버(즉, 망전환)하는 절차를 수행케 하여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대한 핸드 오버를 처리한다.
또한, MIH 서버(150)는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대한 핸드 오버(즉, 망전환)를 처리하고, 문서 스캔 단말기(100)로부터 이전에 사용하던 액세스망에 대한 MIH 등록 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이전에 사용하던 액세스망에 대한 MIH 등록을 해제한 후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MIH 등록 해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운영 서버(130)는 문서 스캔 단말기(100)가 스캔한 문서 정보를 액세스망(110a 내지 110c) 및 유선 네트워크망(120)을 통해 전송받아 문서 정보를 언어별로 분류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그룹별, 용도별, 사용자별로 분류하여 분류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139)에 저장하고, 이 분류된 데이터를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운영 서버(13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다. 도 2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40)는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데이터들, 즉 날씨, 환율, 주식, 실시간 뉴스, 쿠폰, 주요시사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 컨텐츠 제공 서버(140)는 이들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른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컨텐츠 제공 서버(140)에도 수집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1)가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운영 서버(130)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영 서버(130)에는 제어부(132), 이 제어부(132)의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부(131), 문서 스캔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분류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139)의 해당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부(133),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제2 송수신부(135), 문서 스캔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스캐닝된 문서 정보를 자동인식하는 데이터 자동 인식부(137) 등이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3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문서 스캔 단말기(도 1의 100)의 사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및 컨텐츠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용도별, 컨텐츠별, 데이터별, 관리자별 사용할 수 있도록 인덱스화된 검색기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 관리하는 부분이다.
컨텐츠 제공부(131)는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데이터 즉 날씨, 환율, 주식, 실시간 뉴스, 쿠폰, 주요시사등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검색 기능부(133)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전화번호, 주소, 각종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인덱스별, 자음별, 모음별, 다국어별 등을 구분하여 가장 빠른 시간에 사용자에가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내어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송수신부(135)는 랜 카드, 모델 등의 통신 장치 및 회로가 구비되어, 각종 저장된 데이터를 유, 무선을 통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역할을 하다. 또한, 제2 송수신부(135)는 데이터의 손실 방지 및 정확한 데이터를 거리에 상관없이 전송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Wibro, HSDPA, WiFi등의 망을 사용할 수 있다.
부연하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의 망형태에 따라 즉 Wibro망인지, HSDPA망인지, WiFi망인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망에 맞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부분이다.
데이터 자동 인식부(137)는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서 스캔하여 전송된 데이터(문자, 이미지, 서적 등)를 각 나라별 언어를 분리하여 문자,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데이터를 자동인식하여 이들 데이터를 용도별, 컨텐츠별, 데이터별, 관리자별로 분류한다.
분류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139)는 데이터 자동 인식부(137)에 의해 분류된 데이터를 사용자별, 용도별, 데이터별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1의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대한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는,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1), 문서 등을 스캔하는 스캔부(102), 스캔부(102)로부터 스캐닝된 문서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03), 처리된 문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05), 처리된 문서 정보를 도 1의 운영 서버(130)에 전송하거나 이 운영 서버(1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받는 제1 송수신부(109), 액세스망(110a 내지 110c)을 선택하여 망을 전환하는 망전환부(108), 및 수신 또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6) 및 이들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4) 등이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며, 주변의 장치를 동작시키고 제어,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주는 기능을 한다.
스캔부(102)는 명함, 사진, 신분증, 도서 등 다양한 매개체를 스캔하여 이미지 저장을 하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해상도(예를 들면, 320*240을 예로 들 수 있음)사이즈의 형태로 압축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스캔부(102)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카메라 문자 인식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카메라 문자 인식 방식은 기존의 종이문서를 스캐너로 입력해서 인식한 것과는 달리 어떤 형태의 문자도 쉽게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카메라 문자 인식은 종이 문서를 스캐너로 입력하는 것 외에 카메라라는 입력 수단에 의해 아주 손쉽게 인식 대상 문자들을 획득하여 인식한 다음, 그 인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문자 인식은 실내 환경뿐만 아니라 실외 환경에 존재하는 문자들도 입력하여 인식할 수 있는데, 그 예로 관광지의 안내문이나 각종 자료에 대한 설명문, 기념비, 간판, 명함 등을 들 수가 있다.
그러나, 카메라 문자 영상은 스캐너 문자 영상과는 달리 문자 영상을 입력하는 조건이 제한되지 않아 주변 조명 및 입력 카메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이 있어서 이를 개선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방법 중 하나는, 카메라 문서 영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 전처리하는 방법으로, 각종 필터를 이용하여 카메라 문서 영상을 개선한 다음, 전역 이진화 및 국소 이진화 방법을 이용하여 카메라 문서 영상을 이진화한 다음, 문자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그 방법 중 둘은, 실환경에 존재하는 문자를 카메라로 획득하여 인식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로 문서 영상을 획득하고 인식하고자 하는 문자영역을 사용자가 지정하여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도 3을 계속 설명하면, 데이터 처리부(103)는 망의 상태 및 데이터 손실여부, 데이터 또는 이미지를 처리하며, 또한 제어부(101)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원활한 상태를 체크하며, 전원부(104)의 잔량, 제1 송수신부(109)의 상태 등을 체크 처리하는 부분이다.
전원부(104)는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외에도 건전지, 또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부(105)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스캐닝된 문서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운영 서버(도 1의 130)에서 제공된 컨텐츠 등을 저장한다.
물론, 메모리부(105)는, 제어부(101)가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05)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USB, SD메모리 등의 확장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6)는 문서 스캔 단말기(100)의 설정 또는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스캐닝된 문서 정보 또는 운영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6)는 LCD, OLED,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된다.
망전환부(108)는 Wibro망인지, HSDPA망인지, WiFi망인지를 자동 감지하여 해당 망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도 1에 도시된 액세스망(110a 내지 110c) 중 하나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송수신부(109)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스캔부(102)에서 스캐닝된 문서 정보를 운영 서버(도 1의 130)에 전송하거나 이 운영 서버(130)로부터 컨텐츠, 또는 분류된 문서 정보를 수신받는 기능을 한다. 물론, 이를 위해 제1 송수신부(109)에는 무선 회로가 구비되며, 전파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09-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입력 수단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키패드 또는 키버튼 등이 문서 스캔 단말기(도 1의 100)에 구비된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닝된 문서 정보를 전송하여 이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를 스캐닝하여 이를 문자 정보로 변환 후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서를 스캔하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스캐닝된 문서를 문자와 이미지(즉, 그림)로 분리한다(단계 S400, S410).
스캐닝된 문서에서 문자 정보(문서 정보라고 하자)만을 추출하여 메모리부(도 3의 105)에 저장하고 운영 서버(도 1의 130)로 전송한다(단계 S42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스캔 단말기(100)가 액세스망의 종류에 따라 망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먼저 액세스망A(110a)을 검색한다(단계 S500). 예를 들면, 액세스망A는 WiBro일 수 있다.
문서 스캔 단말기(도 1의 100)는 액세스망A(도 1의 110a)가 접속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단계 S510). 부연하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가 사용되고 있는 장소에서 액세스망A(110a)과 연결이 가능한 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는 액세스망A(110a)로부터 문서 스캔 단말기(100)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판단 결과, 액세스망A(110a)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액세스망A(110a)와 연결된다(단계 S511).
이와 달리, 판단 결과, 액세스망A(110a)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액세스망B(도 1의 110b)를 검색한다(단계 S520). 여기서, 예를 들면 액세스망B(110b)는 WiFi일 수 있다.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액세스망B(110b)가 접속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단계 S530).
판단 결과, 액세스망B(110b)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액세스망B(110b)와 연결된다(단계 S531).
이와 달리, 판단 결과, 액세스망B(110b)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액세스망C(도 1의 110c)를 검색한다(단계 S540). 여기서, 예를 들면 액세스망C(110c)는 HSDPA일 수 있다.
판단 결과, 액세스망C(110c)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액세스망C(110c)와 연결된다(단계 S551).
이와 달리, 판단결과, 액세스망C(110c)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도 3의 106) 상에 실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60).
물론, 이와 달리, 단계 S560에서 실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망인 Zigbee, RF, 블루투쓰 등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전송된 문서 정보를 분석하여 언어별, 그룹별, 용도별, 사용자별 등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즉, 도 5에 기술된 과정을 통해 문서 스캔 단말기(도 1의 100)가 액세스망(110a 내지 110c)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면, 이 통신망을 통해 문서 스캔 단말기(100)는 운영 서버(도 1의 130)에 스캐닝된 문서 정보(특히 문자 정보)를 전송되며, 운영 서버(도 1의 130)에 구성된 데이터 자동 인식부(도 2의 137)가 이 전송된 문자 정보를 분석한다(단계 S600).
데이터 자동 인식부(137)는 먼저 이 문자 정보를 언어별로 분류한다(단계 S610). 예를 들면, 스캐닝된 문서가 한글, 영어 또는 일본어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인식하여 언어별로 분류하게 된다.
언어별로 분류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검색하기 쉽게 문자 정보를 그룹별, 용도별, 사용자별로 분류한다(단계 S620).
이러한 분류가 완료되면 분류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도 2의 139)에 저장된다(단계 S63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서 스캔 단말기(도 1의 100)를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하고 이를 운영 서버(130)에 전송하면, 운영 서버(130)에 구성된 검색 기능부(133)가 분류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139)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다시 문서 스캔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 문서 스캔 단말기 110a 내지 110c: 액세스망
120: 유선 네트워크망 130: 운영 서버
139: 분류 문서 정보 데이터베이스
140: 컨텐츠 제공 서버 141: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50: MIH 서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문서를 스캐닝하는 스캔부와, 상기 스캔부로부터 스캐닝된 문서로부터 문자와 이미지로 분리하여 문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문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송수신부가 접속하는 망을 검색하여 전환하는 망 전환부를 포함하는 문서 스캔 단말기;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가 접속하는 다수의 액세스망;
    상기 다수의 액세스망 중 하나로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를 연결하는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서버;
    연결된 하나의 액세스망과 연결된 유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와 접속하는 제2 송수신부;
    상기 제2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문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문서 정보를 자동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문서 정보를 분류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자동 인식부; 및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에 입력된 검색어를 상기 제2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문서 스캔 단말기에 전송하는 검색 기능부
    를 포함하는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액세스망은 Wibro(Wireless Broadband)망, WiFI(Wireless Fidelity)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근거리망을 포함하는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언어별, 그룹별, 용도별, 사용자별인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00049032A 2010-05-26 2010-05-26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2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032A KR101123853B1 (ko) 2010-05-26 2010-05-26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032A KR101123853B1 (ko) 2010-05-26 2010-05-26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76A KR20110129576A (ko) 2011-12-02
KR101123853B1 true KR101123853B1 (ko) 2012-03-16

Family

ID=4549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032A KR101123853B1 (ko) 2010-05-26 2010-05-26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8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94A (ko) * 2001-01-31 2002-08-07 강병주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명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63249A (ko) * 2003-05-22 2003-07-28 이효승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사용 명함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94A (ko) * 2001-01-31 2002-08-07 강병주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명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63249A (ko) * 2003-05-22 2003-07-28 이효승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 사용 명함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76A (ko) 201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8906B2 (ja) 電子機器と情報提供サーバとを含むシステムの情報提供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電子機器
US201503623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US101875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documents using print hardware and automatic print device identification based on context correlation
KR101961799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
CN102227611A (zh) 用于提供指示制图应用中上下文数据的光标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CN103064980A (zh)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KR20150040669A (ko) 인쇄 어플리케이션 구성을 커스터마이즈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83102A (ko) 위치정보를 가지는 이미지파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휴대용 단말기
CN104023155A (zh) 图像形成装置和图像形成方法
CN108764051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038261A (zh) 多个设备之间的位置信息管理和共享方法及相关设备
CN105325018A (zh) 无线通信装置和通信控制装置
US20110305406A1 (en) Business card recognition system
JP2016058057A (ja) 翻訳システム、翻訳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14223222A (zh) 终端支付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US985413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ata registration method, and data registration program
KR101123853B1 (ko) 문서 스캔 단말기를 이용한 문서 정보 제공 시스템
CN103475670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KR100372170B1 (ko)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US1040487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etting-value set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setting-value setting program
US20220188348A1 (en) Content management device,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11013608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079432A (ko) 스크린샷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태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4677700A (zh) 身份标识的识别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7192276B2 (ja) スキャンされたコンテンツからの旅行目的地及び推奨事項の生成、キオスク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