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084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084A
KR20110136084A KR1020100055869A KR20100055869A KR20110136084A KR 20110136084 A KR20110136084 A KR 20110136084A KR 1020100055869 A KR1020100055869 A KR 1020100055869A KR 20100055869 A KR20100055869 A KR 20100055869A KR 20110136084 A KR20110136084 A KR 2011013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arch
portable terminal
time
setting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식
조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6084A/ko
Priority to PCT/KR2011/004339 priority patent/WO2011159084A2/en
Priority to US13/160,299 priority patent/US20110307516A1/en
Priority to EP11795950.2A priority patent/EP2580869A4/en
Publication of KR2011013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447Temporal browsing, e.g. timel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한 후, 시간 영역에 따라 검색 컨텐츠를 분류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한 후, 시간 영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인 시간 설정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4차원 데이터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OF CONTENT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한 후, 기 검색된 컨텐츠를 시간 영역에 따라 재검색하여 분류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서 남녀 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매체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 및 단말기 제조자는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제품(또는 서비스)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일정 관리 기능,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들어 지도를 활용한 부가 서비스가 인터넷의 유망 사업모델로 등장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도 상기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지도를 활용한 부가 서비스는 단순히 평면상의 지도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위성사진 기능, 3D 입체 화면과 같이 고급화되며 서비스 업체에 의해 지도 정보가 수시로 업데이트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도를 활용한 부가 서비스는 인터넷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응용한 컨텐츠 검색이 가능하여 뉴스 서비스, 부동산 서비스와 같은 다수의 서비스와 연동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컨텐츠의 종류가 늘어나고 상기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엔진이 발달함에 따라 지도를 활용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한번에 검색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A라는 사건을 검색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정해진 영역에서 발생한 A라는 사건을 모두 검색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년도, 장소에 상관없이 A라는 사건을 검색하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검색 결과를 하나하나 확인하여 자신이 필요하는 컨텐츠를 찾아햐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방대한 양의 컨텐츠를 직관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시간 변경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4차원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한 후, 시간 영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인 시간 설정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4차원 데이터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방법은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한 후, 시간 영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인 시간 설정 메뉴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검색 결과를 검색 시간 영역에 따라 분류하도록 하는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쉽게 검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검색 결과를 시간 영역에 따라 분류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간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기검색된 컨텐츠를 재분류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컨텐츠 검색에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컨텐츠 검색에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넓은 간격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및,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넓은 간격으로 시간 영역을 감소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컨텐츠 검색 결과를 검색 시간 영역에 따라 재분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 정보, 특정 지역에 대한 뉴스, 사건/사고, 부동산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 검색 결과를 시간 영역에 따라 분류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 메모리부(108), 입력부(110), 표시부(112) 및 통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는 설정 시간 확인부(104) 및 4차원 데이터 획득부(10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컨텐츠 등록시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4차원 정보를 함께 등록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4차원 정보는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위치(지도) 정보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위도, 경도, 고도 정보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시간(시기) 정보(예; 컨텐츠 생성(발생) 시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컨텐츠 검색 요청이 발생할 경우, 상기 요청에 포함된 키워드를 획득한 후, 기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가운데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컨텐츠를 검색한 후, 사용자로부터 검색 시간 영역이 변경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검색 시간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분류하여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컨텐츠 등록시 4차원 정보도 함께 등록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는 상기 컨텐츠 등록시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컨텐츠와 함께 등록한다. 이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검색할 경우, 단순히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를 시간 영역 별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텐츠 검색 및 등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자체에서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를 관리하는 서버와 연결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서버와 연결하여 컨텐츠를 관리할 경우,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는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4차원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의 설정 시간 확인부(10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시간 영역을 확인하여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로 제공한다. 즉, 상기 설정 시간 확인부(104)는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시간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의 4차원 데이터 획득부(106)는 상기 컨텐츠와 함께 등록할 4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위도, 경도, 고도) 정보와 시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로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108)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및,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12)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4)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102)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에 등록시키거나 상기 컨텐츠들을 관리하는 특정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201단계에서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한 후, 203단계로 진행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위치 정보로 상기 컨텐츠가 위치한 지역의 위도, 경도, 고도 정보를 의미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등록할 컨텐츠의 시간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생성 시기와 같은 정보로 사용자의 키워드에 대한 컨텐츠 결과를 시간 영역 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 정보와 상기 시간 정보를 합하여 본 발명에서는 4차원 정보라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4차원 정보를 설정한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4차원 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매핑시키는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4차원 정보를 상기 컨텐츠의 태그 정보에 입력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차원 정보를 매핑한 컨텐츠를 업로드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자체의 메모리 또는 특정 서버에 상기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컨텐츠 업로드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특정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에서 컨텐츠 검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컨텐츠 검색 이벤트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뉴스, 사건/사건, 부동산 정보, 위치 정보 등을 검색하는 이벤트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뉴스, 사건/사건, 위치 정보, 부동산 정보 등을 컨텐츠라 한다.
만일, 상기 301단계에서 컨텐츠 검색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301단계에서 컨텐츠 검색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어(키워드) 입력을 확인한다. 즉, 상기 303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으로 키워드 및 검색 지역, 검색 시간 범위와 같은 검색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한 후,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5단계의 검색 결과(검색한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색한 컨텐츠에 대하여 시간 영역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간 영역으로 검색하는 것은 상기 307단계에서 출력된 검색 결과를 시간 영역으로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 컨텐츠 검색시 설정한 검색 범위를 변경한 후, 상기 변경된 검색 범위에 따라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309단계에서 상기 검색한 컨텐츠에 대하여 시간 영역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요청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7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09단계에서 상기 검색한 컨텐츠에 대하여 시간 영역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요청이 발생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시간 설정 메뉴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시간 설정 메뉴는 상기 컨텐츠 검색시 설정된 검색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로써 상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메뉴이다. 또한, 상기 시간 설정 메뉴는 상기 설정된 검색 범위의 증가 또는 감소 정도를 유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기설정된 검색 범위인 시간 영역이 변경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기설정된 검색 범위인 시간 영역이 변경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1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13단계에서 상기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기설정된 검색 범위인 시간 영역이 변경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시간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315단계는 상기 305단계에서 검색한 컨텐츠에서 상기 변경된 시간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만을 재분류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15단계에서 재분류된 컨텐츠를 출력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다수의 컨텐츠 가운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를 상기 특정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공받은 검색 결과를 출력한 후, 시간 설정 메뉴를 출력하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는 시간 영역을 상기 특정 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변경된 시간 영역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간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기검색된 컨텐츠를 재분류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1단계로 진행하여 시간 설정 메뉴를 출력한 후,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시간 설정 메뉴의 방향을 확인한다.
상기 시간 설정 메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검색시 설정된 검색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로써 상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메뉴이다. 상기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 방향을 확인하는 것은 설정된 검색 범위를 증가시킬 것인지 또는 감소시킬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간 설정 메뉴를 지구 자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검색 범위를 일정 크기로 증가시키고, 상기 시간 설정 메뉴를 지구 자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검색 범위를 일정 크기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403단계에서 지구 자전 방향으로 시간 설정 메뉴가 회전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 검색에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킨다. 이는 상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일정 크기로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403단계에서 지구 자전 반대 방향으로 시간 설정 메뉴가 회전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 검색에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영역을 감소시킨다. 이는 상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일정 크기로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검색 범위를 변경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3의 315단계로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컨텐츠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컨텐츠의 검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컨텐츠 검색에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5(a)와 같은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된 시간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결과를 재검색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구 자전 방향으로 검색 화면(시간 설정 메뉴가 별도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음)을 회전(501)시킬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시간 설정 메뉴가 회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1950~1960년)을 증가시켜 컨텐츠 검색을 위한 설정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면 회전을 통해 컨텐츠 검색을 위한 설정 시간은 1960~1970년으로 증가되며 상기 도 5(a)와 같은 검색 결과는 변경된 설정 시간에 맞게 재검색되게 된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시간 설정 메뉴를 통해 컨텐츠 검색에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5(a)와 같은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 영역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된 시간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결과를 재검색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구 자전 반대 방향으로 검색 화면(시간 설정 메뉴가 별도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음)을 회전(503)시킬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시간 설정 메뉴가 회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1950~1960년)을 감소시켜 컨텐츠 검색을 위한 설정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면 회전을 통해 컨텐츠 검색을 위한 설정 시간은 1940~1950년으로 감소되며 상기 도 5(a)와 같은 검색 결과는 변경된 설정 시간에 맞게 재검색되게 된다.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넓은 간격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설정된 검색 범위의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시간 설정 메뉴의 변경 범위를 유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고정된 범위로 시간 영역을 변경할 경우, 오래 시간의 영역 변경시 시간 설정 메뉴의 많은 회전을 수행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넓은 간격으로 시간 영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상측 방향으로 검색 화면(시간 설정 메뉴가 별도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음)을 회전(505)시킬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시간 설정 메뉴가 회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1950~1960년)을 50년 간격으로 증가시켜 컨텐츠 검색을 위한 설정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면 회전을 통해 컨텐츠 검색을 위한 설정 시간은 19000~2000년으로 증가되며 상기 도 5(a)와 같은 검색 결과는 변경된 설정 시간에 맞게 재검색되게 된다.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넓은 간격으로 시간 영역을 감소시키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e)를 참조하면, 좁은 간격으로 시간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하측 방향으로 검색 화면(시간 설정 메뉴가 별도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음)을 회전(507)시킬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시간 설정 메뉴가 회전되었다고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1950~1960년)을 50년 간격으로 감소시켜 컨텐츠 검색을 위한 설정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면 회전을 통해 컨텐츠 검색을 위한 설정 시간은 1955~1956년으로 감소되며 상기 도 5(a)와 같은 검색 결과는 변경된 설정 시간에 맞게 재검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4차원 데이터 검색부
104: 설정 시간 확인부 106: 4차원 데이터 획득부

Claims (14)

  1.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한 후, 시간 영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인 시간 설정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4차원 데이터 검색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는,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감소시켜 상기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는,
    상기 검색 범위를 변경하는 시간 설정 메뉴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증가시킨 후, 기 검색한 컨텐츠들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증가된 검색 범위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재분류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4차원 데이터 검색부는,
    상기 검색 범위를 변경하는 시간 설정 메뉴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감소시킨 후, 기 검색한 컨텐츠들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감소된 검색 범위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재분류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설정 메뉴는,
    미리 정해진 범위 또는 유동적으로 설정한 범위로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변경하는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위도, 경도, 고도 정보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시간(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 정보, 특정 지역에 대한 뉴스, 사건/사고, 부동산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장치.
  8. 키워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한 후, 시간 영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인 시간 설정 메뉴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을 기준으로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증가시키는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감소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 범위를 변경하는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설정 메뉴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증가시키는 과정과,
    기 검색한 컨텐츠들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증가된 검색 범위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재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 검색한 컨텐츠를 재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 범위를 변경하는 시간 설정 메뉴의 회전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 설정 메뉴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감소시키는 과정과,
    기 검색한 컨텐츠들의 태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감소된 검색 범위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재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설정 메뉴는,
    미리 정해진 범위 또는 유동적으로 설정한 범위로 상기 기 설정된 검색 범위를 변경하는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위도, 경도, 고도 정보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시간(시기)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 정보, 특정 지역에 대한 뉴스, 사건/사고, 부동산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검색 방법.
KR1020100055869A 2010-06-14 2010-06-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136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69A KR20110136084A (ko) 2010-06-14 2010-06-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1/004339 WO2011159084A2 (en) 2010-06-14 2011-06-14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ntent in a portable terminal
US13/160,299 US20110307516A1 (en) 2010-06-14 2011-06-14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ntent in a portable terminal
EP11795950.2A EP2580869A4 (en) 2010-06-14 2011-06-14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 O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869A KR20110136084A (ko) 2010-06-14 2010-06-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84A true KR20110136084A (ko) 2011-12-21

Family

ID=4509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869A KR20110136084A (ko) 2010-06-14 2010-06-14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307516A1 (ko)
EP (1) EP2580869A4 (ko)
KR (1) KR20110136084A (ko)
WO (1) WO201115908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57A (ko) * 2014-10-21 2016-04-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결과 내 재검색을 위한 검색 장치, 결과 내 재검색을 위한 검색 시스템, 결과 내 재검색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60357A (ko) * 2014-11-20 2016-05-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데이터저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11A1 (ko) * 2015-08-18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798567A (zh) * 2019-08-14 2020-02-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短信分类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2987A1 (en) * 1999-07-29 2001-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ographic web browser and iconic hyperlink cartography
US8028249B2 (en) * 2001-05-23 2011-09-2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large digital multimedia object collections
US20050108643A1 (en) * 2003-11-17 2005-05-19 Nokia Corporation Topographic presentation of media files in a media diary application
US7577651B2 (en) * 2005-04-28 2009-08-18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mporal search results in response to a search query
US8166415B2 (en) * 2006-08-04 2012-04-2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backup management
KR20080093507A (ko) * 2007-04-17 2008-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KR20080094289A (ko) * 2007-04-19 2008-10-23 주식회사 버츄얼웨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97059A (ko) * 2007-04-30 2008-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컨텐츠 관리 방법
US20080294663A1 (en) * 2007-05-14 2008-11-27 Heinley Brandon J Creation and management of visual timelines
AU2008100718B4 (en) * 2008-04-11 2009-03-26 Kieran Stafford Means for navigating data using a graphical interface
KR20100066606A (ko) * 2008-12-10 201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457A (ko) * 2014-10-21 2016-04-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결과 내 재검색을 위한 검색 장치, 결과 내 재검색을 위한 검색 시스템, 결과 내 재검색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60357A (ko) * 2014-11-20 2016-05-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데이터저장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9084A3 (en) 2012-04-26
WO2011159084A2 (en) 2011-12-22
US20110307516A1 (en) 2011-12-15
EP2580869A2 (en) 2013-04-17
EP2580869A4 (en)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4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KR10144254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 방법
US94739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ccess points in portable terminal
KR102160975B1 (ko) 전자장치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96819A1 (en) System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real estate property interface
KR20120042306A (ko) 부동산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394871B2 (en) Photo tak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GB2502395A (en) Sending location-relevant data to a user device for predicted locations of interest
US20230284000A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CN105430071A (zh) 一种推送信息的方法及装置
US20110225151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lassifying digital media files based on associated geographical identification metadata
US20150099545A1 (en) Location information-base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location information-based communication application apparatus
CN105022760A (zh) 一种新闻推荐方法及装置
US20160292239A1 (en) Method for sorting and displaying data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705988B (zh) 路况展示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1614759A (zh) 资源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8656010B2 (en) Data use status tracking system, manager device, agent device, data use status track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1013608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302441B (zh) 一种屏幕尺寸调节方法和终端设备
CN108322611B (zh) 一种锁屏信息推送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052304A (ko) 위치 기반의 컨텐츠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KR2010012758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190064B (zh) 清单记录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957741A (zh) 用于访问基于位置的服务的方法和设备
CN106210230B (zh) 一种联系人增加方法和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