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331B1 -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331B1
KR101123331B1 KR1020040068449A KR20040068449A KR101123331B1 KR 101123331 B1 KR101123331 B1 KR 101123331B1 KR 1020040068449 A KR1020040068449 A KR 1020040068449A KR 20040068449 A KR20040068449 A KR 20040068449A KR 101123331 B1 KR101123331 B1 KR 10112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mother
pattern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792A (ko
Inventor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3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제조 용 모 패널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단위 어레이 패턴이 구비된 제 1 모기판과, 다수의 단위 컬러필터 패턴이 구비된 제 2 모기판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어레이 패턴 또는 컬러필터 패턴의 테두리에 형성된 씰 패턴에 의해 합착 고정된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어레이 패턴과 컬러필터 패턴이 대향하는 구성되는 다수의 단위패널이 이격간격 없이 이웃하는 단위패널과 절단면을 공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부에 서로 이웃한 단위패널을 이격간격 없이 설계 배치함으로써 기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모 패널을 절단하여 각각의 단위패널로 분리시킴에 있어서도 이격간격이 없이 배치됨으로써 이웃한 단위패널간 절단면이 공유됨으로써 절단 회수를 줄여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모 패널, 이용효율, 절단, 단위패널 구조, 씰 패턴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Mother panel for fabrication of LCD}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일부영역에 대한 입체도.
도 2는 종래의 셀 공정 중 절단 공정 전의 다수의 단위패널이 구비된 모 패널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위패널을 포함하는 모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모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0 : 모 패널 190a : 메인 씰 패턴
190b : 주입구 씰 패턴 193a, 193b : 단위패널간 경계
195 : 얼라인 키 DPA : 데이터 패드 영역
EA : 모 패널의 테두리부 LIA : 주입구
P1, P2, P3, P4 : 단위패널 PA : 패드부
① 내지 ⑥ : 절단선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원판패널 내의 단위 액정패널의 배치 및 절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평판표시장치 중 하나인 액정표시장치가 해상도, 컬러표시, 화질 등이 우수하여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모니터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상기 두 전극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다음, 상기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여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일부영역에 대한 입체도로서, 화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 및 하부기판(15, 5)이 대향하고 있고, 이 상부 및 하부기판(15, 5) 사이에는 액정층(2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5) 상부에는 다수 개의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7, 9)이 서로 교차되어 있고, 이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7, 9)이 교차되는 지점에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배선(7)과 데이터 배선(9)이 교차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화소영역(P)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와 연결된 화소전극(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신호 전압을 인가받는 게이트 전극과, 데이터 신호 전압을 인가받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인가된 게이트 신호 전압과, 데이터 신호 전압 차에 의해 전압의 온(on), 오프(off)를 조절하는 채널(channel)로 구성된다.
다음, 상부기판(15) 하부에는 컬러필터층(16), 공통 전극(18)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컬러필터층(16)은 특정한 파장대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적, 녹, 청색의 컬러필터 패턴과, 상기 각 컬러필터 패턴의 경계부에 위치하여 비정상적으로 구동하는 액정이 위치한 영역상의 빛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기판(15, 5)의 각 외부면에는 편광축과 평행한 빛만을 투과시키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미도시)이 위치하고, 하부 편광판(미도시) 하부에는 별도의 광원인 백라이트(back light)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1)는 화소전극(11)과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r)가 각 화소(P)별로 형성되는 어레이 기판(5)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어레이 기판(5)과 대향되어 공통전극 및 적, 녹, 청색의 컬러필터 패턴이 각 화소(P)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되어 있는 컬러필터 기판(15)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두 공정을 통해 제작된 어레이 기판(5)과 컬러필터 기판(15)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고, 합착하는 셀 공정을 진행하여 완성된다.
좀 더 상세히 액정표시장치 특히 액정패널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패널의 제조는 생산성을 높이고자 큰 사이즈를 갖는 모 기판(mother substrate) 내에 15", 17"등의 크기를 갖는 어레이 단위패턴 및 또 다른 모기판에 컬러필터 단위패턴을 다수 개 형성하고, 셀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다수의 어레이 단위패턴과 다수의 컬러필터 단위패턴을 갖는 각각의 모 기판을 상기 각각의 어레이 단위패턴과 컬러필터 단위패턴이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어레이 단위패턴 또는 상기 컬러필터 단위패턴의 테두리에 주입구를 갖는 씰 패턴을 형성한 후 합착하여 다수의 단위패널을 갖는 모 패널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모 패널을 최종적으로 상기 단위패널별로 절단하고, 상기 씰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주입구를 이용하여 액정을 주입하고, 상기 주입구를 봉지함으로서 완성된 상태의 액정패널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액정이 주입된 액정패널은 통상적으로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을 구성하지 않은 상태의 액정표시장치를 지칭하고 이때, 상기 액정패널의 제조공정을 셀 공정이라고 칭한다.
도 2는 종래의 셀 공정 중 절단 공정 전의 다수의 단위패널이 구비된 모 패널을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위패널(P1 내지 P4)로 절단되기 전의 모 패널(80)에 있어서, 15", 17" 등의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의 단위패널(P1 내지 P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단위패널(P1 내지 P4)과 단위패널(P1 내지 P4)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분리시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단위패널(P1 내지 P4)과 단위패널(P1 내지 P4) 사이에는 소정 폭을 갖는 더미 영역(WPA1, WPA2))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각 단위패널(P1 내지 P4)은 그 내부 영역이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 고 있는데 화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 일측에 외부로부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부(PA)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모델에 따라서는 상기 일측과 연접한 상측 또는 하측에 더욱 패드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각 단위패널(P1 내지 P4)의 테두리부 더욱 정확히는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외측의 테두리에는 패드부(PA)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면에 위치한 액정 주입을 위한 주입구 영역(LIA)을 제외하고는 씰 패턴(90a)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모 패널(80)은 도면에 도시한 절단선(①내지 ⑧)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각각의 단위패널(P1 내지 P4)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면에 도시한 4면취 즉, 모 패널(80)에 4개의 단위패널(P1 내지 P4)을 형성한 구조에 있어서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의 절단을 각각 진행하는 절단방법의 경우 상기 모 패널의 상부기판에 8회, 뒤집어서 하부기판에 8회의 절단을 진행해야 각각의 단위패널(P1 내지 P4)로 분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모 패널(80)에 있어서는 일정간격(WPA1, WPA2)을 갖고 이격하여 단위패널(P1 내지 P4)을 형성함으로써 모 패널(80)의 이용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즉 단위패널(P1 내지 P4)과 단위패널(P1 내지 P4) 사이의 이격 간격(WPA1, WPA2)으로 인해 모 패널(80) 배치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단위패널(P1 내지 P4)의 수가 줄어들게 되거나, 또는 모 패널(80)에 형성될 단위패널(P1 내지 P4)의 수 즉, 면취수가 정해지면, 상기 단위패널(P1 내지 P4) 간 이격 간격(WPA1, WPA2)으로 인해 최대로 할 수 있는 단위패널(P1 내지 P4)의 크기 가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모 패널(80)을 형성하는 모 기판(미도시)의 이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모 패널에 구성되는 다수의 단위패널을 이격간격 없이 형성함으로써 모 패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단위패널로 분리하는 절단공정 진행을 위한 절단 선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 패널은 다수의 단위 어레이 패턴이 구비된 제 1 모기판과, 다수의 단위 컬러필터 패턴이 구비된 제 2 모기판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단위 어레이 패턴 또는 단위 컬러필터 패턴의 테두리에 형성된 씰 패턴에 의해 합착 고정된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위 어레이 패턴과 단위 컬러필터 패턴이 대향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단위패널이 이격간격 없이 이웃하는 단위패널과 절단면을 공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 단위패널은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으로 패드영역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액정 주입구 영역을 제외하 고 상기 액티브 영역을 둘러싸며 메인 씰 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액정 주입구에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의 절곡되며 형성된 양끝은 이웃한 단위패널의 패드영역까지 연장 형성된 것이 특징이며, 이때, 상기 메인 씰 패턴의 폭은 0.1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씰 패턴의 주입구는 이웃한 단위패널의 패드영역 중 액티브 영역 내의 배선과 연결되는 패드부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주입구의 절곡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은 그 폭이 메인 씰 패턴의 폭보다는 좁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패널은 다수의 단위 어레이 패턴이 구비된 제 1 모기판과, 다수의 단위 컬러필터 패턴이 구비된 제 2 모기판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단위 어레이 패턴 또는 단위 컬러필터 패턴의 테두리에 형성된 씰 패턴에 의해 합착 고정되며, 제조 시 장비 내에서 정렬을 위한 얼라인 키가 중앙부에 위치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가 형성된 영역을 수직 및 수평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이격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영역에 정의되는 다수의 영역에서는 상기 각각의 어레이 패턴과 컬러필터 패턴이 대향하는 구성되는 다수의 단위패널이 이격간격 없이 이웃하는 단위패널과 절단면을 공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 단위패널은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으로 패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액정 주입구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을 둘러싸며 메인 씰 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액정 주입구에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의 절곡되며 형성된 양끝은 이웃한 단위패널의 패드부까지 연장 형성된 것이 특징이며, 이때, 상기 메인 씰 패턴의 폭은 0.1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씰 패턴의 주입구는 이웃한 단위패널의 패드영역 중 액티브 영역 내의 배선과 연결되는 패드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주입구의 절곡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은 그 폭이 메인 씰 패턴의 폭보다는 좁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패널은 전술한 기재에 의한 모 패널에 이웃한 단위패널간 서로 공유된 경계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분리되어, 패드부가 형성된 영역에 이웃한 단위패널에서 연장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 일부가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위패널의 제조 방법은 서로 이격간격 없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어레이 패턴을 갖는 제 1 모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모기판의 각 단위 어레이 패턴에 대응하는 단위 컬러필터 패턴을 갖는 제 2 모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모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상기 단위 컬러필터 패턴 또는 단위 어레이 패턴의 테두리를 따라 절곡된 양끝이 이웃한 단위 어레이 패턴 내의 패드영역까지 절곡 연장하는 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2 모기판을 상기 단위 어레이 패턴과 상기 단기 컬러필터 패턴이 대향하 도록 위치시킨 후, 합착하여 이격간격 없이 경계면을 공유하는 단위패널을 갖는 모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 패널의 이웃한 단위패널의 공유되는 경계면을 절단하여 절단회수를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패널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 패널내에 4개의 단위패널이 구비된 즉, 4면취의 모 패널을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실시예로서 보인 4면취 외에 2면취 이상의 모 패널에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모 패널의 크기는 액정표시장치 제조 공정라인의 구성 시 결정되며, 상기 공정라인의 모든 장비가 상기 모 패널 크기에 맞추어 구성되므로 모 패널의 크기가 결정되면 변경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크기가 정해진 모 패널 내에 모델별로 크기를 달리하는 단위패널을 어떻게 배치하는 가에 따라 모 패널의 이용효율이 달라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위패널을 포함하는 모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모 패널 내에 4개의 단위패널이 구비된 것을 일례로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정한 크기를 갖는 모 패널(180)에는 모델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 형성할 수 있는 제 1 내지 제 4 단위패널(P1 내지 P4)이 종래(도 2 참조)와는 달리 각 단위패널(P1 내지 P4)간 이격거리를 형성하지 않고, 즉 이격간격 없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모 패널(180)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단위패널(P1 내지 P4)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 외측으로 일측에는 외부 구동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과 연결되는 패드부(PA)를 구비하는 패드영역(DP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모델에 따라서는 상기 액티브 영역의 일측면뿐만 아니라,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도 패드부(미도시)가 구비되는 패드영역(미도시)이 더욱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패드영역(DPA) 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테두리에는 연결된 상태의 메인 씰 패턴(190a)과 절곡된 상태의 주입구 씰 패턴(190b)이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씰 패턴(190a, 190b)은 패드부(PA)가 구비되지 않은 각 단위패널(P1 내지 P4)의 타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액정 주입을 위한 주입구(LIA)가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LIA)에 절곡되며 형성된 씰 패턴(190b)의 양끝이 각 단위패널(P1 내지 P4)의 경계(193a) 더욱 정확히는 종방향의 절단선(①, ②)이 위치한 부분을 지나 즉, 도면(도 3)에서 주입구(LIA)의 좌측에 위치한 제 1 또는 제 3 단위패널(P1, P3)의 패드부(PA2))가 형성된 데이터 패드영역(DPA)까지 연장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주입구(LIA)를 이루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씰 패턴(190b)의 일끝단을 단위패널(P1 내지 P4) 간의 절단면에 일치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모 패널(180)을 각 단위패널(P1 내지 P4)로 절단 분리한 후, 액정 주입시 주입구(LIA)에 절곡 형성된 씰 패턴(190b)의 양 끝단이 단위패널(P1 및 P2)의 일측 끝단과 일치하지 않게 되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는 액정 주입 시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주입구(LIA)의 절곡되는 씰 패턴(190b)의 양끝단을 상기 주입구(LIA)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 1, 3 단위패널(P1, P3)의 데이터 패드 영역(DPA)까지 연장 형성함으로써 단위패널(P1 내지 P4)의 절단시 절곡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190b)의 일끝단과 절단면과 일치되도록 한 것이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모 패널(180)을 절단 공정을 진행하여 각 단위패널(P1 내지 P4)로 분리하면 데이터 패드 영역(DPA)에 씰 패턴(190b) 일부가 남게 되지만, 절단선(193a, 193b)을 따라 잘려진 단위패널(P1 내지 P4)의 일측 끝단의 절단면에 정확히 주입구(LIA)를 형성하는 씰 패턴(190b)의 양 끝단이 위치하게 되므로 액정 주입시의 문제될 가능성이 제거된다. 이때, 각 단위패널(P1 내지 P4)의 데이터 패드 영역(DPA)에는 씰 패턴(190a)의 일부가 남게 되지만 이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씰 패턴(190a, 190b)에 있어 주입구의 절곡된 씰 패턴(190b)을 제외한 전체적인 메인 씰 패턴(190a)의 씰 폭(w1)은 0.1mm이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지 주입구(LIA)의 절곡된 부분의 씰 패턴(190b)의 씰 폭(w2)은 주입구(LIA)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 메인 씰 패턴(193a)의 씰 폭(w1)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위패널(P1 내지 P4)로 분리하기 위한 절단공정 진행시 상기 주입구(LIA)의 절곡되어 타 단위패널 영역까지 연장 형성된 씰 패턴(190b) 부분을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주입구(LIA)의 씰 패턴(190b)의 씰 폭(w2)이 넓게 형성 되면 절단 후 단위패널(P1 내지 P4)을 분리할 경우, 상기 씰 패턴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아 액정패널(P1 내지 P4) 분리 시 뜯김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주입구(LIA) 부분의 절곡된 씰 패턴(190b)의 씰 폭(w2)은 메인 씰 패턴(190a)의 씰 폭(w1)보다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액정 주입구(LIA)가 단위 액정패널(P1 내지 P4)의 일측 중앙에 형성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으나, 각 단위패널(P1 내지 P4)의 중앙이 아닌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즉, 실제적으로 이웃한 단위패널(P1 내지 P4)의 데이터 패드(미도시)가 형성되는 데이터 패드 영역(DPA)에 있어 패드부(PA2)의 구조 즉 형성 위치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의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연결된 패드부(PA2)가 위치한 영역이 아닌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 패널의 테두리부(EA) 즉, 이격간격 없이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단위패널(P1 내지 P4)의 외측부에는 상기 모 패널(180) 제조를 위한 여러 장비(미도시) 내 공정 진행을 위해 상기 장비(미도시) 내에서 정렬을 하기 위한 여러 얼라인 키(align key, 19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모 패널(180) 제조 시 상기 테두리부(EA)에 형성된 얼라인 키(195)에 의해 정렬이 이루어져 정확한 위치에 원하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모 패널(180)을 제조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 패널 내에 각 단위패널 간 이격간격 없이 단위패널을 형성함으로써 생산라인 구성을 위한 초기 모 패널 크기 결정시 단위패널을 소정의 이격간격을 가지며 설계 배치한 종래보다 작은 크기의 모 패널 더욱 정확히는 작은 크기의 모 기판의 크기를 정할 수 있다. 모 기판은 크기에 따라 가격이 증가하게 되므로 일예로써 동일한 크기를 갖는 4면취의 단위패널 제조를 위해 큰 사이즈의 모 기판을 사용하는 것 보다 동일 사이즈의 4면취의 단위패널을 구성할 수 있는 작은 사이즈의 이용하는 것이 비용적인 면에서 장점이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이격간격 없이 단위패널을 배치하게 되면 크기가 결정된 모 패널에 있어 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모델을 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서 소정간격의 테두리부를 제외한 400*600mm의 크기를 갖는 모 패널을 이용하여 4개의 단위패널을 생산하는 경우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단위패널 간 이격간격을 고려해야 하므로 상기 이격간격을 10mm로 할 경우 195*295mm 크기를 갖는 단위패널까지 4면취로서 생산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200*300mm 크기를 갖는 단위패널까지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모 기판의 이용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모 패널을 4개의 단위패널로 절단 분리하는 공정 진행시 종래에 있어서는 총 16회의 절단 공정(도 2에 도시한 절단선 참조)을 진행하여 단위패널로 분리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 패널에 있어서는 단위패널간 경계 즉 절단면이 공유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4면취의 경우 4회의 절단공정을 줄일 수 있다. 즉, 모 패널에 있어 상하판 각각 절단하는 절단공정을 진행시는 도면에 나타낸 절단선을 참조하면 총 12회의 절단공정을 진행하여 각각의 단위패널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절단공정 진행 시간을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효과는 모 패널내에 구비된 단위패널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효과가 커지게 됨은 자명하다.
<제 2 실시예>
최근에는 모 기판의 사이즈가 매우 커짐에 따라 상기 모 기판에 어레이 패턴 또는 컬러필터 패턴 형성 시 한번의 공정진행으로 모 기판 전체를 커버할 수가 없게 되었다. 일례로 모 기판에 패턴 형성을 위한 노광공정을 진행시 노광장치의 노광 영역의 한계로 한번의 노광 샷으로는 모기판 전면에 노광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다수의 노광공정을 진행하여 모 기판 전면에 노광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 노광장치의 정렬이 여러 번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노광장치의 정렬을 위해서는 모 기판 상에 노광용 얼라인 키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데, 제 1 실시예에서 보인바와 같이 단위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어레이 패턴 또는 컬러필터 패턴 각각을 전부 이격하지 않고 그 경계를 공유하도록 형성한다면 얼라인 키가 없으므로 장비 내에서 기판의 정렬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정렬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모 기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서 모 기판이 아닌 어레이 패턴이 구비된 모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패턴이 형성된 모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된 상태의 모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도 합착된 상태의 모 패널을 기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모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때, 상기 도 5는 총 4번의 정렬을 통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 패널을 일례로서 보인 것이다. 이때, 상기 정렬은 모 기판의 사이즈에 기인하여 모 기판의 사이즈가 더욱 커지면 커질수록 상기 모 기판을 더 많은 블록으로 쪼개어 공정진행하게 되므로 실시예로 본인 4회 정렬에 의한 실시예뿐 아니라 더 많은 정렬이 필요한 경우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확정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모 패널(280)에 있어 가장 특징적인 것은 이격간격 없이 절단면을 공유하는 다수의 단위패널(P1 내지 P4)을 블록으로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이격간격 없이 절단면을 공유하며 형성된 다수의 단위패널(P1 내지 P4)로 이루어진 블록(B1 내지 B4)과 블럭(B1 내지 B4) 사이에는 소정 폭을 갖는 이격영역(BBA1, BBA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격영역(BBA1, BBA2)에는 정렬을 위한 얼라인 키(29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대형 사이즈의 모 기판에 장비적 한계로 인해 모 기판 전면에 한번의 공정으로 진행이 불가능할 경우, 모 기판을 다수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단위로 정렬을 각각 진행하여 원하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각 블록마다 얼라인 키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고,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모 기판의 중앙 영역(CA)에도 얼라인 키(295)를 구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 기판을 이용하여 합착하여 형성된 모 패널(280)의 중앙부(CA)에 얼라인 키가 형성될 영역과 상기 영역을 기준으로 소정 폭으로 상하 및 좌우로 연장한 영역(BBA1, BBA2)을 기준으로 블록(B1 내지 B4)을 정의하여 동일한 블록(B1 내지 B4)내에 있어서는 각각의 단위패널(P1 내지 P4)을 이격간격 없이 단위패널(P1 내지 P4) 간 절단면을 공유하며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가장 특징적인 것이다.
이때, 각 블록(B1 내지 B4) 내의 다수의 단위패널(P1 내지 P4)이 구비된 형태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각 단위패널(P1 내지 P4)은 이웃한 단위패널(P1 내지 P4)과 절단면을 공유하며 즉, 단위패널(P1 내지 P4)간 경계(293a, 293b)를 공유하며 이격간격 없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입구(LIA)의 절곡된 씰 패턴(290b)이 이웃한 단위패널(P1, P3)의 패드부(PA2)까지 일부 연장되어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도, 단위패널(P1 내지 P4) 단위로 각각 이격하지 않고 블록(B1 내지 B4)별로 이격하였으므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일한 이유로 모 패널(280)의 이용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절단공정의 진행시도 단위패널(P1 내지 P4) 간 절단면이 공유됨으로써 도면을 참조하면 상하판을 각각 절단하는 절단방법에 의해 단위패널을 분리하는 경우 상하판 각각 12회(절단선 ① 내지 ⑫를 따라 절단)씩 총 24회의 절단 공정에 의해 각 단위패널로 분리될 수 있다. 반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 방법에 의하면 16면취의 경우 상하판 각각 18회 총 36회의 절단 공정에 의해 각각의 단위패널로 분리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모 패널에 있어서도 절단공정의 회수를 줄여 절단공정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변형예는 단순한 예를 보인 것이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은 그 내부에 서로 이웃한 단위패널을 이격간격 없이 설계 배치함으로써 기판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모 패널을 절단하여 각각의 단위패널로 분리시킴에 있어서도 이격간격이 없이 배치됨으로써 이웃한 단위패널간 절단면이 공유됨으로써 절단 회수를 줄여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다수의 단위 어레이 패턴이 구비된 제 1 모기판과, 다수의 단위 컬러필터 패턴이 구비된 제 2 모기판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단위 어레이 패턴 또는 단위 컬러필터 패턴의 테두리에 형성된 씰 패턴에 의해 합착 고정된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위 어레이 패턴과 단위 컬러필터 패턴이 대향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단위패널이 이격간격 없이 이웃하는 단위패널과 절단면을 공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단위패널은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으로 패드영역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액정 주입구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을 둘러싸며 메인 씰 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액정 주입구에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의 절곡되며 형성된 양끝은 이웃한 단위패널의 패드영역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씰 패턴의 주입구는 이웃한 단위패널의 패드영역 중 액티브 영역 내의 배선과 연결되는 패드부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씰 패턴의 폭은 0.1mm이상인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의 절곡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은 그 폭이 메인 씰 패턴의 폭보다는 좁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
  6. 다수의 단위 어레이 패턴이 구비된 제 1 모기판과, 다수의 단위 컬러필터 패턴이 구비된 제 2 모기판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단위 어레이 패턴 또는 단위 컬러필터 패턴의 테두리에 형성된 씰 패턴에 의해 합착 고정되며, 제조 시 장비 내에서 정렬을 위한 얼라인 키가 중앙부에 위치하는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가 형성된 영역을 수직 및 수평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이 격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영역에 정의되는 다수의 영역에서는 상기 각각의 어레이 패턴과 컬러필터 패턴이 대향하는 구성되는 다수의 단위패널이 이격간격 없이 이웃하는 단위패널과 절단면을 공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패널은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외측으로 패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액티브 영역 외측으로 액정 주입구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액티브 영역을 둘러싸며 메인 씰 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액정 주입구에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의 절곡되며 형성된 양끝은 이웃한 단위패널의 패드부까지 연장 형성된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씰 패턴의 폭은 0.1mm이상인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씰 패턴의 주입구는 이웃한 단위패널의 패드영역 중 액티브 영역 내의 배선과 연결되는 패드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의 절곡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은 그 폭이 메인 씰 패턴의 폭보다는 좁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액정표시장치용 모 패널.
  11. 제 1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기재에 의한 모 패널에 이웃한 단위패널간 서로 공유된 경계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분리되어, 패드부가 형성된 영역에 이웃한 단위패널에서 연장 형성된 주입구 씰 패턴 일부가 남아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단위패널.
  12. 제 11 항 기재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용 단위패널은 서로 이격간격 없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단위 어레이 패턴을 갖는 제 1 모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모기판의 각 단위 어레이 패턴에 대응하는 단위 컬러필터 패턴을 갖는 제 2 모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2 모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에 상기 단위 컬러필터 패턴 또는 단위 어레이 패턴의 테두리를 따라 절곡된 양끝이 이웃한 단위 어레이 패턴 내의 패드영역까지 절곡 연장하는 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2 모기판을 상기 단위 어레이 패턴과 상기 단기 컬러필터 패턴이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합착하여 이격간격 없이 경계면을 공유하는 단위패널을 갖는 모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모 패널의 이웃한 단위패널의 공유되는 경계면을 절단하여 절단회수를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패널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단위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40068449A 2004-08-30 2004-08-30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 KR10112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49A KR101123331B1 (ko) 2004-08-30 2004-08-30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449A KR101123331B1 (ko) 2004-08-30 2004-08-30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92A KR20060019792A (ko) 2006-03-06
KR101123331B1 true KR101123331B1 (ko) 2012-03-26

Family

ID=3712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449A KR101123331B1 (ko) 2004-08-30 2004-08-30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906A (ko) * 2013-11-14 2015-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의 리페어 방법 및 리페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943B1 (ko) 2008-10-31 2011-1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948858B1 (ko) * 2009-02-27 2010-03-22 주식회사 토비스 터치패널 제조용 파레트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614A (ko) * 1992-12-28 1994-07-21 석진철 액정패널의 제조방법
KR19980018573A (ko) * 1996-08-28 1998-06-05 엄길용 액정표시장치
JPH11326948A (ja) * 1998-05-15 1999-11-26 Seiko Epson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光学パネ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5614A (ko) * 1992-12-28 1994-07-21 석진철 액정패널의 제조방법
KR19980018573A (ko) * 1996-08-28 1998-06-05 엄길용 액정표시장치
JPH11326948A (ja) * 1998-05-15 1999-11-26 Seiko Epson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光学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906A (ko) * 2013-11-14 2015-05-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의 리페어 방법 및 리페어 장치
KR102083406B1 (ko) 2013-11-14 2020-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의 리페어 방법 및 리페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92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801B1 (ko) 게이트 인 패널 구조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1717076B1 (ko) 네로우 베젤 타입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302224B1 (ko) 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KR10159895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068518B2 (ja) 表示装置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24535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5301283A (ja) 目視で切断精度を確認するための記号を有するlcdパネル
KR20030073272A (ko) 액정 패널의 절단 방법
JP2008003194A (ja) 基板装置および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20190025629A1 (en) Display device and smart mobile device
CN108983461B (zh) 阵列基板及液晶模组
KR20050035791A (ko) 다양한 크기의 액정표시패널 제조방법
JP2005352419A (ja) デバイス基板の製造方法、デバイス基板およびマザー基板
KR101123331B1 (ko)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패널
KR100854378B1 (ko) 액정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990307B1 (ko) 액정 표시패널의 절단 방법
JP2007114461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09116593B (zh) 母板曝光方法
JPH11133440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15383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66818B1 (ko) 모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JP3800927B2 (ja) 液晶基板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基板、液晶装置用基板及び液晶装置
KR100816330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패널 절단 장치
KR20070015697A (ko) 액정 표시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KR101277748B1 (ko)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모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