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369B1 -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369B1
KR101122369B1 KR1020090113294A KR20090113294A KR101122369B1 KR 101122369 B1 KR101122369 B1 KR 101122369B1 KR 1020090113294 A KR1020090113294 A KR 1020090113294A KR 20090113294 A KR20090113294 A KR 20090113294A KR 101122369 B1 KR101122369 B1 KR 101122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m
layers
films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407A (ko
Inventor
추안-쿠안 웨이
Original Assignee
추안-쿠안 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안-쿠안 웨이 filed Critical 추안-쿠안 웨이
Publication of KR2010005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 파장 대역(reflected wavelength band)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층 광학 필름은 서로 결합된 다층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iridescent unit films)로 구성된다.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의 개수 및 조합 패턴(combination pattern)을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서로 다른 파장 대역들을 갖는 다양한 다층 광학 필름들이 선택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다양한 반사장비 및 반사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OPTICAL FILM ADJUSTABLE IN REFLECTED WAVELENGTH BA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층이 결합하여 색이 변화하는 다층 필름으로 구성된 고반사율(high-reflectivity)을 갖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색이 변화하는 필름들(iridescent films)의 개수 및 콤비네이션 패턴(combination pattern)을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백색광, 적색광, 보라색광, 청록색광 등과 같은 다양한 색상의 광들을 반사하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들을 갖는 다양한 광학 필름들이 선택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존의 반사 필름은 일반적으로 진공증착공정에 의해 금속코팅이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일정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물질로 형성된다.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은과 같은 금속코팅이 증발(evaporation) 공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공법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 코팅된다. 상기 금속코팅이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은 가시광선 및 적외선 부분을 반사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반사율은 처리공정의 조건 들에 따라 달라진다. 고반사율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증착공정을 여러 번 수행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제조시간이 더 길어지고, 제조비용이 더 커지게 된다. 더욱이,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된 금속코팅은 오랜 시간 동안 습기, 햇빛 또는 기타 다른 광원에 노출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산화되어 반사율이 떨어지게 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금속코팅이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어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반사되어야 할 파장대의 광이 증착공정에 의해 형성된 금속코팅에 의해 선택되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가시광선을 반사하기 위해 사용될 때, 적외선을 반사할 수도 있다. 이는 반사시스템 또는 반사장비의 열하중(heat load)을 증가시켜 반사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조정가능한 반사광 파장을 갖는 반사판의 제공이 요구된다.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iridescent reflective film)은 서로 평행한 다층의 투명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구성된다. 인접한 층들은 각각 서로 적어도 0.03, 바람직하게는 0.06 이상의 굴절도의 차이를 갖는 서로 다른 수지물질들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필름은 적어도 10개의 층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는 35개의 층, 바람직하게는 약 70개의 층을 포함한다.
상기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을 형성하는 각 열가소성 수지층은 일반적으로 약 30~500 nm(나노미터)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50~400 nm의 두께를 갖는다. 이를 통해 많은 경계면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파들(light waves) 사이에 보강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은 개개의 층 두께 및 중합체(polymer)의 굴절도에 따라, 반사 필름을 투과하는 나머지 광에 비해 주파장(dominant wavelength)을 갖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반사광의 주파장은 쌍을 이루는 개개의 층들의 굴절도 및 광학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굴절도 차(refractivity difference), 각 층의 광학 두께비(optical thickness ratio), 층들의 개수, 두께 균일성 등과 같은 인자들(factors)에 의해 반사율 및 색 강도(color intensity)가 결정된다. 인접한 층들이 동일한 굴절도를 갖는 경우, 층들 사이에 계면 반사(interface reflection)가 없어 보강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와 같은 조건하에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은 어떠한 색상도 나타낼 수 없다. 반대로, 서로 오버랩되는 인접한 개개의 층들이 적어도 0.0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6 또는 그 이상의 굴절도 차를 갖는 경우 및 개개의 층들이 동일한 광학 두께를 갖는 경우, 1차 반사(first-order reflection)에 관하여 가장 높은 반사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광학 두께비가 5:95와 95:5 사이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당히 높은 반사비가 여전히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비를 갖는 한, 개개의 층들의 개수가 심지어 10개인 경우에도, 상기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은 색상을 확실하게 반사할 수 있다. 그러나, 최대 반사율 및 색 강도와 관련하여서는, 상기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을 형성하는 개개의 층들의 개수는 바람직하게 35개에서 1000개 또는 그 이상의 범위 내에 있다. 높은 색 강도는 피크(peak)에서 높은 반사비를 갖는 매우 좁은 반사 대역과 관련된다.
색이 변화하는 다층 반사 필름은 캐스트 필름 기술(cast film technique)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상기 색이 변화하는 다층 반사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T-다이 피드블록(T-die feedblock)이 이용된다. 주물(molten materials)을 모아 원하는 패턴 속에 층들을 배열하기 위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압출기(extruder)가 각각 이용된다. 미국특허 US 3,565,985 및 US 3,773,882는 전술한 유형의 피드블록들을 개시하고 있다. 극히 얇은 다층의 흐름이 상기 T-다이를 통해 흘러, 개개의 층들이 동시에 상기 T-다이의 폭으로 퍼져 최종적으로 상기 T-다이의 방출구의 두께로 얇아지게 된다. 층들의 개수 및 두께 분포는 다양한 피드블록 모듈(feedblock module)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반사 필름의 각 면에 있는 최외각 층(또는 층들)은 다른 개개의 층들보다 더 두껍다.
또한, 일본특허 JP 9-300540은 개선된 색이 변화하는 다층 반사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의 경우, 인접하는 층들을 이루는 물질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엘라스토머(polybutylene terephthalate elastomer)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LLDPE)) 및 아크릴계 중합체(acrylic polymer)의 중합체 혼합물이 채택된다. 이를 통해 개개의 층들 사이의 분리의 문제를 개선하여 상기 색이 변화하는 다층 반사 필름의 강도(rigid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은 주파장 대역(dominant wavelength band)에 대해 높은 반사율을 가지며, 금속증착공정으로부터 자유롭고, 층들 사이의 부착력이 높고, 높은 강도를 갖는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상기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은 반사광의 주파장 대역이 매우 좁아, 상기 주파장 대역 밖의 파장을 갖 는 광은 거의 반사하지 못한다. 또한, 반사광의 파장 대역을 선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반사시스템 또는 반사장비들의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3가지 주요 색상들의 가색 혼합(additive color mixing)에 기초하여 결합된, 색이 변화하는 다층 반사 필름들로 구성된 광학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광학 반사 필름은 주파장 대역(dominant wavelength band)에 대해 높은 반사율을 가지며, 금속증착공정으로부터 자유롭고, 층들 사이의 부착력이 높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더 넓은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을 갖는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사 파장 대역(reflected wavelength band)이 조정될 수 있어, 반사 램프셰이드(reflective lampshade), 반사 장식 스트립(reflective decorative strip),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반사판(reflective board) 및 백라이트 모듈(backlight module)과 같은 다양한 반사시스템 및 반사장비에 적용될 수 있는 광학 반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광학 반사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적색 반사 필름, 적어도 하나의 녹색 반사 필름, 적어도 하나의 청색 반사 필름 및 적어도 하나의 본딩층(bonding layer)을 포함한다. 상기 적색 반사 필름은 630~780nm(나노미터) 범위 내의 반사 주파장 대역 피크(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 peak) 및 100~400nm(나노미터) 범위 내의 주파장 대역폭(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을 갖는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이다. 상기 녹색 반사 필름은 490~630nm(나노미터) 범위 내의 반사 주파장 대역 피크(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 peak) 및 100~400nm 범위 내의 주파장 대 역폭(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을 갖는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이다. 상기 청색 반사 필름은 380~490nm 범위 내의 반사 주파장 대역 피크(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 peak) 및 100~400nm 범위 내의 주파장 대역폭(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을 갖는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이다.
미국 특허 US 3,801,429 및 본 출원인의 일본특허 JP 9-300540에 개시된 3가지 색상을 갖는 3종류의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들(iridescent reflective films)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반사 필름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iridescent unit films)로서 채택된다. 복수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이 오버랩핑 패턴(overlapping pattern)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반사 필름을 형성한다.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 각각은 번갈아 서로 오버랩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요소층들(element layers)을 포함한다. 더 좋은 반사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총 개수는 20~500개, 바람직하게는 70~500개의 범위 내이다. 각 요소층은 50~1000nm(나노미터)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제1 요소층들의 중량은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30~50%이다. 상기 제1 요소층들은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요소층들은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hacrylate)와 같이, 분자량이 작은 아크릴계 단량체/중합체(acrylic monomers/polymers)로 만들 어질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제1 요소층들은 주조성물(main composition)로서의 단량체들의 공중합체(copolymer) 및 다른 단량체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요소층들의 중량은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50~70%이다. 상기 제2 요소층들은 중합체들의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요소층들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및/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엘라스토머(polybutylene terephthalate elastomer)와 같은 PBT의 공중합체(coPBT)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LLDPE))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BT는 1,4-부탄디올(1,4-butanediol)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의 촉매 중축합반응(catalytic polycondensation)으로부터 얻은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coPBT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엘라스토머(polybutylene terephthalate elastomer)와 같은 탄성 중합체(elastic polymer)이다. 택일적으로, 상기 coPBT는 상기 PBT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의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LLDPE는 0.85~0.93g/㎤의 비중량(specific weight) 및 1~50의 용융지수(melting index)를 갖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합체"는 중합체(polymer), 2개 또는 그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단량체들로 구성된 공중합체, 저중합체(oligomer) 및 그 합성물, 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random copolymer)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요소층은 80~95%(중량%)의 PBT, 바람직하게는 85~93%(중량%)의 PBT, 3~15%(중량%)의 coPBT, 바람직하게는 5~10%(중량%)의 coPBT 및 0.5~5%(중량%)의 LLDPE, 바람직하게는 1.0~4%(중량%)의 LLDPE를 함유한다. 상기 성분들은 상기 제2 요소층의 형성을 위해 상기 비율로 용융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을 제조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을 형성하는 물질들 각각은 각각의 용융 수지(molten resin)를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2개의 압출기로 공급된다. 이후, 상기 용융 수지를 T-다이(T-die)로 공급하기 위해 캐스트 필름 공정(cast film process)이 수행된다. 상기 용융 수지는 상기 T-다이의 작용하에 퍼진다. 종국적으로, 상기 용융 수지는 상기 T-다이의 방출구 두께로 얇아진다. 번갈아 오버랩핑된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두께는 피드블록 모듈(feedblock module)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최외각 요소층들은 더 큰 두께를 가지는 반면, 상기 최외각 요소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및 제2 요소층들은 더 얇은 두께를 갖는다.
더 큰 반사율을 갖는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을 얻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 사이의 굴절도 차는 0.03~0.17, 바람직하게는 0.06~0.17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요소층은 낮은 굴절도(예를 들어, n=1.49)를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PMMA))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요소층은 1Pa?s의 점도를 갖는 85~93%(중량%)의 PBT, 5~10%(중량%)의 coPBT(PBT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의 공중합체) 및 밀도가 0.92이고, 용융지수(melt index)가 2인 1~4%(중량%)의 폴리에틸렌 (polyethylene)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요소층(즉, 더 낮은 굴절 도를 갖는 수지)에 대한 상기 제2 요소층(즉, 높은 굴절도, 예를 들면, 1.52~1.66의 굴절도를 갖는 수지)의 비는 2:1이다. 총 개수가 140개인 제1 및 제2 요소층들은 피드블록(feedblock)에 의해 번갈아 오버랩된다. 개개 층들의 두께 및 물질들에 대한 제어를 통해, 고반사율을 갖는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이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단축 또는 2축 오리엔테이션 공정(monoaxial or biaxial orientation process)에 의해,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을 강화하도록 결정(crystal)이 배향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 PBT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PEN))와 같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saturated polyester resin)의 굴절도는 배향 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의 굴절도는 배향 후, 눈에 띄게 변화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오리엔테이션 및 스트레칭 공정 후, 상기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의 제1 및 제2 요소층들 사이의 굴절도 차는 더 높은 반사율을 달성하기 위해 증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몇몇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들(즉,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을 결합하기 위해, 그리고 반사 파장 대역(reflected wavelength band)을 조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3개의 제조공정들이 채택된다. 첫 번째 공정에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적어도 2종류의 요소층들을 제조하기 위해, 적색광, 녹색광 및 청색광의 반사를 위한 서로 다른 3가지 종류의 피드블록들(feedblocks)의 조합이 이용된다. 상기 공정에 따라, 상기 피드블록들의 조합은 서로 다른 반사 파장 대 역(reflected wavelength band)에 따라 다르게 바뀔 수 있다. 두 번째 공정에서, 롤투롤 코팅(roll-to-roll coating)에 의해, 적색 반사 필름, 녹색 반사 필름 및 청색 반사 필름이 서로 본딩된다.
상기 적색 반사 필름, 녹색 반사 필름 및 청색 반사 필름은 3가지 주요 색상들의 가색 혼합(additive color mixing)에 기초하여 매칭된다. 상기 가색 혼합의 원리에 따라, 상기 3가지 주요 색상들의 반사 필름들은 다양한 색상을 반사하기 위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반사 필름, 녹색 반사 필름 및 청색 반사 필름의 조합은 백색광을 반사할 수 있고, 적색 반사 필름 및 녹색 반사 필름의 조합은 노란색광을 반사할 수 있으며, 녹색 반사 필름 및 청색 반사 필름의 조합은 청록색광을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반사 필름은 주파장 대역(dominant wavelength band)에 대해 높은 반사율을 가지며, 금속증착공정으로부터 자유롭고, 층들 사이의 부착력이 높고, 높은 강도를 가지며, 특히 더 넓은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을 갖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반사 필름은 서로 다른 장비들의 서로 다른 요건들에 따라 반사 필름의 반사 파장 대역(reflected wavelength band)이 조정될 수 있도록,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이 하나(one piece)로 결합될 수 있어, 반사 램프셰이드(reflective lampshade), 반사 장식 스트립(reflective decorative strip),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반사 판(reflective board) 및 백라이트 모듈(backlight module)과 같은 다양한 반사시스템 및 반사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광학 필름(2 또는 3)은 서로 오버랩되는 다층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iridescent unit films: 1)로 구성된다. 도 2는 색이 변화하는 단일의 유닛 필름(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1)(즉, 전술한 색이 변화하는 반사 필름(iridescent reflective film))은 번갈아 서로 오버랩되는 복수의 제1 요소층들(element layers: 111) 및 제2 요소층들(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111, 112)은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1)을 형성하도록 서로 인접한 상태로 번갈아 적층된다.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111, 112)의 총 개수는 20~140개이다.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1)에 있어서, 최상층(113) 및 최하층(114)의 두께는 중간에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111, 112)의 두께보다 두껍다.
학술 논문(scholar article)(J.A. Radford, T. Alfrey 등, "(색이 변화하는 공압출 다층 플라스틱 필름의 반사율)Reflectivity of Iridescent Coextruded Multilayered Plastic Films", Polymer Engineer and Science, May, 1973, Vol. 13, No. 3)을 참조하면, 서로 오버랩되는 2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수지들로 구성된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과 관련하여, 반사 주파장 대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의 피크 값(peak value)은 상기 2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수지층들의 광학 두께와 관련됨을 알 수 있다. 그 등식은 아래와 같다:
λ = 2(n1d1 + n2d2)
상기 등식에서, λ는 반사 주파장 대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의 피크 값(peak value)이고; n1 및 n2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물질들의 굴절도이며; d1 및 d2는 각각 단일의 제1 요소층 및 제2 요소층의 두께이고; n1d1 및 n2d2는 각각 단일의 제1 요소층 및 제2 요소층의 광학 두께이다.
적색광이 반사되고,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총 개수가 140개인 경우, 그 두께는 약 20~24㎛ 라는 것을 상기 등식으로부터 알 수 있다. 적색광 반사 시트(red light reflective sheet)는 최상층 및 최하층을 더해 총 142개의 층을 가지며, 그 두께는 약 25㎛이다. 상기 적색광 반사 시트의 반사 주파장 대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의 피크(peak)는 630~780nm(나노미터)의 범위 내에 있다. 녹색광이 반사되고,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총 개수가 140개인 경우, 그 두께는 약 14~17㎛이다. 녹색광 반사 시트(green light reflective sheet)는 최상층 및 최하층을 더해 총 142개의 층을 가지며, 그 두께는 약 18㎛이다. 상기 녹색광 반사 시트의 반사 주파장 대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의 피크는 490~630nm(나노미터)의 범위 내에 있다. 청색광이 반사되고,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총 개수가 140개인 경우, 그 두께는 약 12~15㎛이다. 청색광 반사 시트(blue light reflective sheet)는 최상층 및 최하층을 더해 총 142개의 층을 가지며, 그 두께는 약 16㎛이다. 상기 청색광 반사 시트의 반사 주파장 대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의 피크는 380~490nm(나노미터)의 범위 내 에 있다. 다른 개수의 층들 또는 다른 종류의 물질로 만들어진 요소층들을 갖는 반사 시트의 대략적인 두께는 상기 등식을 통해 유사하게 계산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3은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1)의 조합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광학 필름(2)의 제1실시예를 보여준다. 상기 다층 광학 필름(2)은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1)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1)의 접착을 위해, 접착층(115)이 상기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1) 사이에 개재된다. 택일적으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1)은 경화되기 전에 서로 융합되도록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다층 광학 필름(2)은 1Pa?s의 점도를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PMMA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및 밀도가 0.92이고, 용융유동지수(melt flow index)가 2인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로 만들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요소층(111)은 상기 PMMA 수지(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다. 반면, 제2 요소층(112)은 PBT 수지, coPBT 수지(PBT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의 공중합체(copolymer))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의 혼합물로 만들어진다. 혼합 후의 수지는 90%(중량%)의 PBT 수지, 7%(중량%)의 coPBT 수지 및 3%(중량%)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LLDPE))을 함유하며, 그 밀도가 0.92이고, 용융유동지수(melt flow index)가 2이다. 상기 제1 요소층(111)과 제2 요소층(112) 사이의 굴절도 차는 0.06이다. 상기 물질들은 각각 온도가 서로 다른 2개의 건조기에 저장된 후, 압출률(extrusion rate) 및 작동온도가 서로 다른 2개의 제1 압출기와 제2 압출기(extruder)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요소층(112)(상기 PBT, coPBT 및 LLDPE의 혼합수지)의 압출을 위한 제2 압출기의 작동온도는 240~260℃ 범위 내로, 압출률은 150~200kg/hr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요소층(111)(PMMA 수지)의 압출을 위한 제1 압출기의 작동온도는 230~250℃ 범위 내로, 압출률은 150~200kg/hr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요소층(111)(PMMA 수지)의 압출을 위한 압출기의 작동온도는 230~250℃ 범위 내로, 압출률은 120~150kg/hr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들에서 압출된 용융수지(molten resin)는 2개의 피드블록(feedblock)의 조합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상기 시스템의 제어하에, 상기 수지는 약 240개의 층으로 분리되며, 그 중 절반의 제1 및 제2 요소층들은 나머지 절반의 제1 및 제2 요소층들 두께의 약 2배의 두께를 갖게 된다. 상기 피드블록의 조합을 통과한 후, 상기 절반의 최상부의 요소층(113) 및 상기 나머지 절반의 최하부의 요소층(114)의 형성을 위해 상기 PBT, coPBT 및 LLDPE의 혼합수지가 첨가된다. 이후, 상기 접착층(115)이 개재된다. 그 다음, T-다이(T-die)를 거쳐 30~40℃ 범위의 온도를 갖는 고온 형상화 캐스팅 필름 롤러(high-temperature shaping casting film roller)로 압출된다. 이후, 평온 형상화 롤러 어셈블리(normal-temperature shaping roller assembly)에 의해 상기 필름의 두께 및 폭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이후, 균일한 두께를 갖는 필름은, 필름의 MDO 및 TDO를 각각 3.5배 늘리기 위해, 150~220℃ 범위의 작동온도에 있는 2축 스트레칭 머신(biaxial stretching machine)으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상기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총 두께가 약 33㎛인 다층 광학 필름(2)의 형성을 위해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층 광학 필름(2)의 반사율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더블-빔 분광광도계(double-beam spectrophotometer)(히타치(Hitachi)사(社)의 U-4100)가 이용된다. 도 5를 통해, 결합된 후의 다층 광학 필름(2)이 각각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1)의 부가적인 반사 도메인(additive reflection domain)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20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0%이다. 한편, 적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20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0%이다. 상기 테스트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제2실시예>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인 제2실시예에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물질 비율이 채택된다.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2개의 건조기에 각각 물질들이 저장된 후, 서로 다른 압출률 및 작동온도를 갖는 2개의 제1 압출기와 제2 압출기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요소층(112)(상기 PBT, coPBT 및 LLDPE의 혼합수지)의 압출을 위한 제2 압출기의 작동온도는 240~260℃ 범위 내로, 압출률은 100~150kg/hr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요소층(111)(PMMA 수지)의 압출을 위한 제1 압출기의 작동온도는 230~250℃ 범위 내로, 압출률은 80~100kg/hr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들에서 압출된 용융수지(molten resin)는 피드블록 시스템(feedblock system)으로 전달된다. 상기 시스템의 제어하에, 상기 수지는 약 140개의 층으로 분리된다. 최상부의 요소층(113) 및 최하부의 요소층(114)의 형성을 위해 상기 PBT, coPBT 및 LLDPE의 혼합수지가 첨가된다. 이후, 상기 접착층(115)이 개재된다. 이후, T-다이(T-die)를 거쳐 30~40℃ 범위의 온도를 갖는 고온 형상화 캐스팅 필름 롤러(high-temperature shaping casting film roller)로 압출된다. 이후, 평온 형상화 롤러 어셈블리(normal-temperature shaping roller assembly)에 의해 상기 필름의 두께 및 폭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이후, 균일한 두께를 갖는 필름은, 필름의 MDO 및 TDO를 각각 3.5배 늘려, 총 두께가 약 25㎛인 적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을 얻기 위해, 150~200℃ 범위의 작동온도에 있는 2축 스트레칭 머신(biaxial stretching machine)으로 전달된다. 동일한 작동온도에 있는 동일 제조장비 및 서로 다른 압출률을 갖는 압출기들을 이용하여, 약 18㎛의 두께를 갖는 녹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 및 약 16㎛의 두께를 갖는 청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3종류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다이코팅머신(die coating machine)에 의해 처리된다. 아크릴계 접착제(acrylic adhesive)가 메틸벤젠(methylbenzene)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접착제 저장통에 저장된다. 이후, 접착제를 상기 유닛 필름에 균일하게 도포하도록, 상기 접착제를 흡입하여 슬롯다이코터(slot die coater)로 보내기 위해 정량펌프(quantitative pump)가 이용된다. 이후, 적색-녹색-청색 조합의 다층 광학 필름(3)의 형성을 위해,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유닛 필름에 나머지 2개의 유닛 필름들이 접착되어 오븐(baker)을 통해 건조된다. 상기 다층 광학 필름(3)의 층들의 총 개수는 약 428개이며, 그 두께는 약 70㎛이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빔 분광광도계(double-beam spectrophotometer)(히타치(Hitachi)사(社)의 U-4100)가 상기 다층 광학 필름(3)의 반사율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6을 통해, 결합된 후의 다층 광학 필름(3)이 각각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1)의 부가적인 반사 도메인(additive reflection domain)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22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5%이다. 한편, 녹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22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5%이다. 한편, 청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22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5%이다. 상기 테스트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제3실시예>
본 실시예인 제3실시예에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물질 비율 및 제조공정이 채택된다.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2개의 건조기에 각각 물질들이 저장된 후, 서로 다른 압출률 및 작동온도를 갖는 2개의 제1 압출기와 제2 압출기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요소층(112)의 압출을 위한 제2 압출기의 작동온도는 240~260℃ 범위 내로, 압출률은 300kg/hr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 요소층(111)의 압출을 위한 제1 압출기의 작동온도는 230~250℃ 범위 내로, 압출률은 200kg/hr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들에서 압출된 용융수지(molten resin)는 피드블록 시스템(feedblock system)으로 전달된다. 상기 시스템의 제어하에, 상기 수지는 약 256개의 층으로 분리된다. 최상부의 요소층(113) 및 최하부의 요소층(114)의 형성을 위해 상기 PBT, coPBT 및 LLDPE의 혼합수지가 첨가된다. 이후, 상기 접착층(115)이 개재된다. 이후, T-다이(T-die)를 거쳐 30~40℃ 범위의 온도를 갖는 고온 형상화 캐스팅 필름 롤러(high-temperature shaping casting film roller)로 압출된다. 이후, 평온 형상화 롤러 어셈블리(normal-temperature shaping roller assembly)에 의해 상기 필름의 두께 및 폭이 정밀하게 제어된다. 이후, 균일한 두께를 갖는 필름은, 필름의 MDO 및 TDO를 각각 3.5배 늘려, 두께가 약 42㎛인 적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을 얻기 위해, 150~200℃ 범위의 작동온도에 있는 2축 스트레칭 머신(biaxial stretching machine)으로 전달된다. 동일한 작동온도에 있는 동일 제조장비 및 서로 다른 압출률을 갖는 압출기들을 이용하여, 약 32㎛의 두께를 갖는 녹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 및 약 24㎛의 두께를 갖는 청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3종류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다이코팅머신(die coating machine)에 의해 처리된다. 아크릴계 접착제(acrylic adhesive)가 메틸벤젠(methylbenzene)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접착제 저장통에 저장된다. 이후, 접착제를 상기 유닛 필름에 균일하게 도포하도록, 상기 접착제를 흡입하여 슬롯다이코터(slot die coater)로 보내기 위해 정량펌프(quantitative pump)가 이용된다. 이후, 적색-녹색-청색 조합의 다층 광학 필름(3)의 형성을 위해,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유닛 필름에 나머지 2개의 유닛 필름들이 접착되어 오븐(baker)을 통해 건조된다. 상기 다층 광학 필름(3)의 층들의 총 개수는 약 776개이며, 그 두께는 약 110㎛이다. 마지막으로, 적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이 약 30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9%이며, 녹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30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9%이며, 청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30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9%라는 것을 알아내기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분광광도계가 이용된다. 상기 테스트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제4실시예>
본 실시예인 제4실시예에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조성 비율 및 공정조건이 채택된다. 유일한 차이점은,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MDO 및 TDO가 각각 2.5배로 감소된다는 것이다. 제조된 후,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 및 평균 반사율이 측정된다. 적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15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80%이다. 한편, 녹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15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80%이다. 한편, 청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15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80%이다. 상기 테스트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제5실시예>
본 실시예인 제5실시예에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조성 비율 및 공정조건이 채택된다. 유일한 차이점은,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MDO 및 TDO가 각각 4.5배로 증가된다는 것이다. 제조된 후,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 및 평균 반사율이 측정된다. 적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23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6%이다. 한편, 녹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23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6%이다. 한편, 청색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반사 주파장 대역폭(reflected dominant wavelength bandwidth)은 약 230nm(나노미터)이고, 그 평균 반사율은 약 96%이다. 상기 테스트 결과는 [표 1]에 나와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로 다른 장비들의 서로 다른 요건들에 따라 반사 필름의 반사 파장 대역(reflected wavelength band)이 조정될 수 있도록,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1)이 하나(one piece)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광학 필름은 서로 다른 상태들(situations)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본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9071777114-pat00001
도 1은 3가지 주요 색상들의 가색 혼합(additive color mixing)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iridescent unit film)의 일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은 2개 층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광학 필름의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는 3개 층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광학 필름의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5는 분광계로 측정한, 2종류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 각각의 반사율 및 상기 2종류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광학 필름의 반사율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분광계로 측정한, 3종류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 각각의 반사율 및 상기 3종류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광학 필름의 반사율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28)

  1. 서로 오버랩되는 다층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iridescent unit films)로 구성되며, 각각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은 서로 오버랩되는 적어도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들로 이루어진 적어도 10개의 요소층들(element layers)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reflected wavelength band)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의 접착을 위해,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은 번갈아 서로 오버랩되는 제1 및 제2 요소층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은 서로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의 접착을 위해,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층들은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소층들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및/또는 상기 PBT의 공중합체(copolymer)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BT의 공중합체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엘라스토머(polybutylene terephthalate elasto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절반은 나머지 절반의 두께와 다른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최상층 및 최하층은 상기 최상층 및 최하층 사이의 다른 요소층들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최상층 및 최하층은 상기 최상층 및 최하층 사이의 다른 요소층들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광학 필름은 서로 다른 반사 파장 대역을 갖는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광학 필름은 서로 다른 반사 파장 대역을 갖는 2개의 색이 변화하 는 유닛 필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광학 필름은 서로 다른 반사 파장 대역을 갖는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광학 필름은 서로 다른 반사 파장 대역을 갖는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광학 필름은 서로 다른 반사 파장 대역을 갖는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층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적색 반사 필름들, 녹색 반사 필름들 및 청색 반사 필름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반사 필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적색 반사 필름들, 녹색 반사 필름들 및 청색 반사 필름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반사 필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적색 반사 필름들, 녹색 반사 필름들 및 청색 반사 필름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반사 필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적색 반사 필름들, 녹색 반사 필름들 및 청색 반사 필름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반사 필름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적색 반사 필름들, 녹색 반사 필름들 및 청색 반사 필름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반사 필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은 적색 반사 필름들, 녹색 반사 필름들 및 청색 반사 필름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반사 필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22.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iridescent unit films)의 형성을 위해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복수의 요소층들(element layers)을 오버랩핑(overlapping)하는 단계; 및
    다층 광학 필름의 형성을 위해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들을 오버랩핑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을 형성하는 요소층들의 최상층 및 최하층은 상기 최상층 및 최하층 사이의 다른 요소층들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은 제1 및 제2 요소층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요소층들은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지는 반면, 상기 제2 요소층들은 PBT 수지, coPBT 수지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의 혼합물로 만들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은 접착층들에 의해 서로 오버랩되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을 형성하는 물질들이 각각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2개의 건조기 속에 배치된 후, 서로 다른 압출률(extrusion rate) 및 작동온도를 갖는 제1 압출기와 제2 압출기(extruder)로 공급되며, 상기 제1 요소층들은 제1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는 반면, 상기 제2 요소층들은 상대적으로 제2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며,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요소층들의 개수를 제어하고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최외각 표면에 최상층 및 최하층을 추가시키기 위한 피드블록들(feedblocks)을 갖는 제어시스템으로 상기 압출된 제1 및 제2 요소층들이 전달되며, 이후 평온 형상화 장치(normal-temperature shaping apparatus)에 의해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길이 및 폭이 제어되며, 이후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의 MDO 및 TDO를 2.5~4.5배 늘리기 위해 2축 스트레칭 머신(biaxial stretching machine)으로 상기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이 전달되며, 이후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색이 변화하는 유닛 필름이 상기 다층 광학 필름의 형성을 위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기 온도는 240~260℃ 범위 내로 제어되고, 압출률은 150~200kg/hr 범위 내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출기 온도는 230~250℃ 범위 내로 제어되고, 압출률은 120~150kg/hr 범위 내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2축 스트레칭 머신의 작동온도는 150~220℃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90113294A 2008-11-24 2009-11-23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7145283A TW201020594A (en) 2008-11-24 2008-11-24 Multi-layer optical film capable of adjusting reflection band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097145283 2008-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07A KR20100058407A (ko) 2010-06-03
KR101122369B1 true KR101122369B1 (ko) 2012-03-23

Family

ID=4236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294A KR101122369B1 (ko) 2008-11-24 2009-11-23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2369B1 (ko)
TW (1) TW2010205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5316B (zh) * 2012-08-22 2015-05-21 Extend Optronics Corp 具隔熱光導膜的裝置
US9279921B2 (en) 2013-04-19 2016-03-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stack with overlapping harmonics for wide visible-infrared coverage
US9823395B2 (en) 2014-10-17 2017-11-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film having overlapping harmonics
TWI747575B (zh) * 2020-10-26 2021-11-2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疊層結構的高分子薄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4570A (ja) 2003-04-21 2004-11-11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JP2007003764A (ja) 2005-06-23 2007-01-11 Toray Ind Inc 反射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4570A (ja) 2003-04-21 2004-11-11 Toray Ind Inc 積層フィルム
JP2007003764A (ja) 2005-06-23 2007-01-11 Toray Ind Inc 反射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07A (ko) 2010-06-03
TW201020594A (en) 2010-06-01
TWI446024B (ko) 201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2343A (en) Multilayer light-reflecting film
JP4620526B2 (ja) 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RE31780E (en) Multilayer light-reflecting film
CN110622048B (zh) 具有低光学厚度敏感性的动态反射彩色膜
JP5200709B2 (ja) 偏光反射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SE450473B (sv) Ljusreflekterande flerskiktsfilm
JPH08503312A (ja) 成形可能な反射多層物体
KR101122369B1 (ko) 반사 파장 대역의 조정이 가능한 다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5518447B2 (ja) 積層反射フィルム及び多層光学フィルム
JP7400474B2 (ja) 光源ユニット、表示装置及びフィルム
CN101750660A (zh) 可调整反射波段的多层光学膜片及其制造方法
CN201335892Y (zh) 可调整反射波段的多层光学膜片
KR101340243B1 (ko) 폴리머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15003B1 (ko)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형 편광자
KR101264274B1 (ko) 폴리머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40322B1 (ko) 일체형 광학필름
KR20140021233A (ko) 다층 반사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30960B1 (ko) 일체형 광학필름
KR101354364B1 (ko) 다층 반사형 편광자
TWM364867U (en) Multilayer optical film capable of adjusting the wavelength band of reflection
KR101311090B1 (ko)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형 편광자
JP2023177790A (ja) 多層積層フィルム
KR101354271B1 (ko) 폴리머가 분산된 반사 편광자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40321B1 (ko) 다층 반사형 편광자
KR101930551B1 (ko) 중합체가 분산된 반사형 편광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