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354B1 -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354B1
KR101122354B1 KR1020090119546A KR20090119546A KR101122354B1 KR 101122354 B1 KR101122354 B1 KR 101122354B1 KR 1020090119546 A KR1020090119546 A KR 1020090119546A KR 20090119546 A KR20090119546 A KR 20090119546A KR 101122354 B1 KR101122354 B1 KR 10112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abrasive stone
divided
stone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731A (ko
Inventor
김민웅
Original Assignee
김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웅 filed Critical 김민웅
Priority to KR102009011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3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4Zonally-graded wheels; Composite wheels comprising different abra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은 물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하는 칼 등을 연마하는 연마석과 이를 구동하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면 연마석을 분할하여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다수개의 분할 평면 연마석이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연마와 함께 연마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인 분할 평면 연마석은, 평면 연마석을 다수개로 분할한 연마석을 이를 탑재하는 연마석 고정판에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은 고경도 연마석과 저경도 연마석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연마석 고정판에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된 연마석들을 동일한 크기로 좌, 우 양분하는 가상 절단선 의 연장선이 연마석 고정판의 중심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분할된 연마석들을 연마석 고정판에 배치한다.
또한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을 구동하는 장치는, 고경도 연마석과 저경도 연마석이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연마석 고정판과, 상기 연마석 고정판에 형성되는 지지대에 의하여 상기 연마석 고정판과 상호 결합되는 구동원판과, 상기 연마석 고정판 및 구동원판의 외부에 장착되어 물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판과, 상기 비산 방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륜을 두되, 장치대의 상부에는 피 연마물과 분할 연마석들의 연마 접촉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장치가 별도로 장착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는, 평면 연마석을 고경도와 저경도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인하여, 신속한 연마가 가능함과 동시에, 피 절삭물의 연마면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연마석들과 면접촉을 하는 구성이어서, 피 연마물의 연마면(칼날)이 연마석의 굴곡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분할 평면 연마석, 각도 조정장치, 미세조정나사부, 연마석 고정판, 실린더, 구동원판, 비산 방지판, 높이 조절륜, 원추부

Description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Grinding Stone with Split plane and polishing device}
본 발명은 가정은 물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하는 칼 등을 연마하는 연마석과 이를 탑재하여 구동하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 연마물(1)인 칼 등을 연마하는 장치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수직 연마석(2)를 구동시키는 모터(3)를 회전시켜 피 연마물(1)의 칼날을 연마하는 연마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연마장치는 구조가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상기 수직 연마석(2)의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위험할 뿐만 아니라, 연마 후의 연마면이 거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별도의 마무리 연마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피 연마물(1)이 조기에 마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칼날 거치대(4)가 구비되고 평면 연마석(5)이 설치된 연마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피 연마물(1)과 접촉되는 평면 연마석(5)의 거칠기(입자)가 동일하여, 용도에 따라 상기 연마석(5)을 빈번히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입자를 가진 절단 연마석(6)을 고경도 연마석(11)과 저경도 연마석(12)으로 구분하고, 이를 원판형(도너츠 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평면 분할 연마석(10)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위 기술은 절단 연마석(6)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규격화 및 대량 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피 연마물(1)의 연마면과 접촉되는 절단 연마석(6)의 표면의 강도가 상이하여 별도의 평면 유지장치(7)설치하여 절단 연마석(6)의 평면을 유지하여야하는 점과 함께, 이로 인한 연마석의 조기 마모로 유지관리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평면 연마석을 동일한 크기로 규격화 되도록 분할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분할 연마석을 순차적으로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연마와 함께 연마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분할 평면 연마석은, 평면 연마석이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평면 연마석을 연마석 고정판에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은 고경도 연마석과 저경도 연마석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연마석 고정판에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된 연마석들을 동일한 크기로 좌, 우 양분하는 가상 절단선의 연장선이 연마석 고정판의 중앙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분할된 연마석들을 연마석 고정판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을 구동하는 연마장치는, 고경도 연마석과 저경도 연마석이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연마석 고정판과, 상기 연마석 고정판에 형성되는 지지대에 의하여 상기 연마석 고정판과 상호 결합되는 구동원판과, 상기 연마석 고정판 및 구동원판의 외부에 장착되어 물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판과, 상기 비산 방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륜을 두되, 장치대의 상부에는 피 연마물과 분할 연마석들의 연마 접촉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장치가 별도로 장착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는, 평면 연마석을 고경도와 저경도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인하여, 신속한 연마가 가능함과 동시에 피 절삭물의 연마면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연마석들과 동시에 면접촉을 하는 구성이어서, 피 연마물의 연마면이 연마석의 굴곡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효과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a, b는 일반적인 수직 및 평면 연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절단 연마석의 사시도와 이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3a, b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의 사시도와 분할 평면 연마석의 사시도 및 연마석 고정판의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에 장착되는 각도 조정장치와 평면 분할 연마석에 의하여 피 연마물이 연마되는 상태도이며, 도 4a는 각도 조정장치의 조립전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각도 조정장치에 장착되는 회전돌기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에 장착되는 연마석 고정판과 비산 방지판 및 각도 조정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의 밀폐캡 내부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의 비산 방지판이 높이조절륜에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6a는 비산 방지판이 미부착된 본 발명인 연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b, c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절륜과 구동원판 각각의 사시도이고, 도 6d, e는 본 발명에 장착되는 연마석 고정판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 결합부의 부분확대도 및 지지대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연마장치가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분할 평면 연마석은 도 3a 내지 도 3c와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면 유지장치(7)의 하부에 평면 연마석이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평면 연마석(10)을 연마석 고정판(40)에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10)은 고경도 연마석(11)과 저경도 연마석(12)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연마석 고정판(40)에 원형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분할된 연마석(11, 12)들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된 연마석(11, 12)들을 동일 한 크기로 좌, 우 양분하는 가상 절단선(c)의 연장선이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마석 고정판(40)의 중앙점(o)과 일치하도록 상기 분할된 연마석(11, 12)들을 연마석 고정판(40)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10)들의 후면(R)과 전면(F)을 이루는 장변(b)과 단변(b')의 길이는 도 3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마석 고정판(40) 내, 외경(D' D)의 0.08배 내외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장변(b)과 단변(b')사이의 길이(L)와 그 두께(t)는 상기 연마석 고정판(40) 외경(D)의 0.16배와 0.085배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연마석 고정판(40)의 외경(D)이 400mm이고, 그 내경이 267mm인 경우에, 상기 평면 분할 연마석(10)의 장변(b)과 단변(b')의 길이는 도 3b와 도 5b,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1.4mm 와 21mm 로 함과 동시에, 두께(t)는 34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할 평면 연마석(10)의 크기가 위 범위보다 작을 경우에는 평면 분할 연마석을 절단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예상되고, 반대로 위 범위보다 클 경우에는 절단비용은 줄어드는 장점은 있으나, 피 연마물(1)의 연마면(s)이 고경도 연마석(11)과 저경도 연마석(12)과의 균일한 면접촉의 결여로 발생되는 연마면의 불균일로 인하여 연마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평면 분할 연마석(10)은 WA(white alundum)계열의 4A(ks 규격)로 하되, 그 입자의 크기(입도)는 고경도 연마석(11)의 입도는 800~1200이 되도록 하고, 저경도 연마석(12)의 입도는 400~600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마석의 입도는 숫돌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1인치당 구멍수를 표시하며, 신속한 연마가 요구되는 초기 연마용 저경도 연마석(거친 숫돌)과, 마무리 연마용 고경도 연마석(극히 고운 숫돌)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는, 신속한 연마와 함께 연마면(s)의 미세한 균질화가 동시에 필요한 피 연마물의 연마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위와 같은 구성이 결여되어 용도별로 다수회 연마하여야 하는 종래 연마장치에 비하여, 고, 저 경도의 연마석이 동시에 피 연마물을 연마되도록 함으로써, 연마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짐과 동시에 피 연마물의 미세한 마무리 연마가 가능해진다.
한편, 분할 평면 연마석(10)을 구동하는 연마장치는, 도 3a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입자의 크기를 갖즌 고경도 연마석(11)과 저경도 연마석(12)이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연마석 고정판(40)과, 상기 연마석 고정판(40)에 형성되는 지지대(41)에 의하여 상기 연마석 고정판(40)과 상호 결합되는 구동원판(50)과, 상기 연마석 고정판(40) 및 구동원판(50)의 외부에 장착되어 물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판(60)과, 상기 비산 방지판(6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륜(70)을 두되, 장치대(100)의 상부에는 피 연마물(1)과 분할 연마석(11, 12)들의 연마 접촉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장치(20)가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피 연마물(1)의 연마면(s)과 평면 분할 연마석(10)과의 접촉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정장치(20)는, 도 4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 연마물(1)의 연마면(s)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비 연마면(s')과 접촉되면서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돌기(21)와, 상기 회전돌기(21)와 미끄럼 접촉하는 면 접촉부(25)가 형성되는 미세 조정나사부(24)와, 상기 미세 조정나사부(24)와 나사 연결되고 외경부에 별도의 걸림턱(23)이 형성되는 조절나사(22)와, 하부 조절나사(26)와 연결되고 상기 조절나사(22)가 삽입되어 높이별로 상, 하강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1, 2단 수직홈(28, 29)과 수평홈(30)이 상부에 형성되는 실린더(27)로 이루어진다.
분할 평면 연마석(10)의 조립과 작용에 대하여 주요 구성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할 평면 연마석(10)은 도 5a 및 도 6a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고경도 연마석(11)과 저경도 연마석(12)을 접착제(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연마석 고정판(4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피 연마물(1)의 연마면(s)과 분할 평면 연마석(10)과의 접촉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정장치(20)의 높이는,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 작업시(평시)에 2단 수직홈(29)의 고정부(34)에 위치되어 있던 조절나사(22)의 걸림턱(23)을 수평홈(30)으로 상방향 이동시키면, 실린더(27)내에서 상승하는 조절나사(22)의 상단부(회전돌기)가 평면 분할 연마석(10)이 장착된 연마석 고정판(40)의 상부로 돌출된다.
보다 미세한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각도 조정장치(20)의 미세조정나사부(24)와 하부 조절나사(26)를 회전하여 연마접촉각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미세 조정나사(24)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면 접촉부(25)에 회전돌기(21)의 미끄럼 회전부(31)를 삽입하고 밀봉나사(32)를 밀봉암나사부(34)와 나사 체결하면 각도 조정장치(20)의 설치가 완성된다.
연마석 고정판(40)에 평면분할 연마석(10)의 부착과 각도 조정장치(2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5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암나사부(74)가 형성되는 내륜(73)과, 연결대(71)에 의하여 내륜과 상호 연결되는 외륜(72)으로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륜(70)을, 장치대(100)의 상부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높이조절 수나사부(101)와 승강 및 하강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한다.
이때 높이 조절륜(70)의 높이 조절은, 평면 분할 연마석(10)의 연마정도를 감안하여 높이 조절륜(70)의 암나사부(74)를 장치대(100)에 고정설치되는 상기 높이조절 수나사부(101)와 나사 회전하면서 높이 조절이 되도록 하되, 비산 방지판(60)의 상단부와 평면 분할 연마석(10)의 높이차(h)는 10mm내외가 되도록 한다.
또한, 평면 분할 연마석(10)이 부착된 연마석 고정판(40)을 구동원판(50)에 결합시키는 구성은,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구삽입홈(45)이 형성되는 머리부(44)와, 고정 나사부(46) 및 삽입 돌출부(42)로 이루어지는 지지대(41)를 연마석 고정판(40)의 상부홈(49)에 삽입한다.
지지대(41)가 연마석 고정판(40)의 상부홈(49)에 삽입된 상태에서, 드라이버(미도시) 등을 공구삽입홈(45)에 삽입하여 지지대(41)를 회동시키면, 연마석 고정판(40)에 지지대(41)가 고정(나사결합)된다.
위와 같이 지지대(41)와 연마석 고정판(40)의 조립이 완료되면, 지지대(41)의 저부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암 나사부(43)가 형성되는 삽입돌출부(42)를 구동원판(5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끼움홈(52)에 삽입한다.
삽입 돌출부(42)가 구동원판(50)의 끼움홈(52)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돌출부(42)의 내부에 형성되는 암 나사부(43)에 하부 고정나사(47)를 나사 결합하면 연마석 고정판(40)과 구동원판(50)의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분할 평면 연마석(10)이 장착되는 연마장치의 조립은,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력한 회전력의 전달을 위하여 그 단부가 원추부(85)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축 암나사부(91)가 형성되어 체결볼트(81)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구동축(90)의 상기 원추부(85)는, 구동원판(50)의 저부에 형성되는 원추홈부(86)에 압입된다.
이때, 상기 원추홈부(86)는 구동원판(50)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되, 연마액 등의 직접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밀폐캡(80)을 구동원판(50)의 수 나사부(51)에 장착하는 한편, 상기 밀폐캡(80)의 내측하부와 구동원판(50)의 사이에는 오물의 유입을 2단계로 방지하는 밀폐링(95)이 장착되도록 한다.
원추홈부(86)에 구동축(90)의 원추부(85)가 끼워져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81)를 축 암나사부(91)와 나사 체결하면 구동축(90)의 설치가 완료된다.
구동축(90)의 규격이 큰 경우에는, 양단부에 수 나사부가 형성되는 별도의 구동축 체결용 연결나사(미도시)를 두되, 상부는 밀폐캡(80)의 내부에 로크너트로 고정시키고, 그 하부는 구동축(90)의 축 암 나사부(91)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90)을 회동시키는 동력 전달기어(87)와 구동모터(3)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치대(100)의 내부에 장착된다.
연마작업은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 연마물(1)의 연마면(s)을 회전하는 분할 평면 연마석(10)과 접촉시켜 연마를 행함과 동시에, 비 연마면(s')은 회전돌기(21)의 돌림턱(33)과 구름접촉되면서 연마작업이 행해진다
한편, 각도 조정장치(20)의 미끄럼 회전부(31)내로 분순물이 유입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연마작업시에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밀봉나사(32)를 밀봉 암나사부(34)에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작업시에 구동축(90)으로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밀폐캡(80)은, 도 5b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형성되는 밀봉 암 나사부(82)와 고정턱(83) 및 고정턱(83)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 나사부(84)로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캡(80)의 작용으로 인하여 습식연마시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연마액(물 등)이 구동축(90)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는, 평면 연마석을 고경도와 저경도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인하여, 신속한 연마가 가능함과 동시에 피 절삭물의 연마면이 서로 다른 경도를 갖는 연마석들과 동시에 면접촉을 하는 구성이어서, 피 연마물의 연마면이 연마석의 굴곡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효과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피 연마물의 종류에 따른 구동원판의 회전수제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초정밀 절단면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피 연마물의 연마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효과도 아울러 예상된다.
본 발명인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예 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인 평면 분할 연마석은 40개로 분할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보다 정밀한 연마가 필요한 경우에는 평면 분할 연마석의 수량을 증가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정밀한 연마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평면 분할 연마석의 수량을 적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방식에 구애되지 않으며, 용도와 규모에 따라 차량에 적재시키는 이동용, 또는 작업장에 설치하는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각각의 연마석(예비 연마석, 주 연마석, 마감 연마석)들은 피 연마물의 재질에 따라 그 입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a, b는 일반적인 수직 및 평면 연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절단 연마석의 사시도와 이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작동상태도이 며,
도 3a, b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의 사시도와 분할 평면 연마석의 사시도 및 연마석 고정판의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에 장착되는 각도 조정장치와 평면 분할 연마석에 의하여 피 연마물이 연마되는 상태도이며,
도 4a는 각도 조정장치의 조립전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각도 조정장치에 장착되는 회전돌기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에 장착되는 연마석 고정판과 비산 방지판 및 각도 조정장치가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의 밀폐캡 내부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인 연마장치의 비산 방지판이 높이조절륜에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6a는 비산 방지판이 미부착된 본 발명인 연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b, c는 본 발명인 높이 조절륜과 구동원판 각각의 사시도이고,
도 6d, e는 본 발명에 장착되는 연마석 고정판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 결합부의 부분확대도 및 지지대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연마장치가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피 연마물 10 : 평면 분할 연마석 20 : 각도 조정장치
40 : 연마석 고정판 50 : 구동원판 60 : 비산 방지판
70 : 높이 조절륜 80 : 밀폐캡 80 : 구동축 100 : 장치대

Claims (5)

  1. 삭제
  2. 칼 등을 연마하는 평면 연마석에 있어서,
    상기 평면 연마석이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평면 연마석(10)을 연마석 고정판(40)에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10)은 고경도 연마석(11)과 저경도 연마석(12)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연마석 고정판(40)에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분할된 연마석들(11, 12)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된 연마석들(11, 12)을 동일한 크기로 좌, 우 양분하는 가상 절단선(c)의 연장선이 연마석 고정판(40)의 중앙점(o)과 일치하도록 상기 분할된 연마석(11, 12)들을 연마석 고정판(40)에 배치하되, 상기 분할 연마석(11, 12)들의 장변(b)과 단변(b')의 길이는 연마석 고정판(40) 내, 외경(D' D)의 0.08배 내외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장변(b)과 단변(b')사이의 길이(L)와 그 두께(t)는 상기 연마석 고정판(40) 외경(D)의 0.16배와 0.085배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평면 연마석.
  3. 칼 등을 연마하는 평면 연마석에 있어서,
    상기 평면 연마석이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평면 연마석(10)을 연마석 고정판(40)에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10)은 고경도 연마석(11)과 저경도 연마석(12)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연마석 고정판(40)에 배열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분할된 연마석들(11, 12)의 횡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할된 연마석들(11, 12)을 동일한 크기로 좌, 우 양분하는 가상 절단선(c)의 연장선이 연마석 고정판(40)의 중앙점(o)과 일치하도록 상기 분할된 연마석(11, 12)들을 연마석 고정판(40)에 배치하되, 상기 분할 평면 연마석(10)은 WA(white alundum)계열의 4A(ks 규격)로 하되, 그 입자의 크기(입도)는 고경도 연마석(11)의 입도는 800~1200이 되도록 하고, 저경도 연마석(12)의 입도는 400~600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평면 연마석.
  4. 분할 평면 연마석이 장착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마장치는, 고경도 연마석(11)과 저경도 연마석(12)이 순차적으로 부 착되는 연마석 고정판(40)과, 상기 연마석 고정판(40)에 형성되는 지지대(41)에 의하여 상기 연마석 고정판(40)과 상호 결합되는 구동원판(50)과, 상기 연마석 고정판(40) 및 구동원판(50)의 외부에 장착되어 물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판(60)과, 상기 비산 방지판(6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륜(70)을 두되, 장치대(100)의 상부에는 피 연마물(1)과 분할 연마석(11, 12)들의 연마 접촉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장치(20)가 별도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장치(20)는, 상단에 장착되어 피 연마물(1)의 피 연마면(s')과 접촉되면서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돌기(21)와, 상기 회전돌기(21)와 미끄럼 접촉하는 면 접촉부(25)가 형성되는 미세 조정나사부(24)와, 상기 미세 조정나사부(24)와 나사 연결되고 외경부에 별도의 걸림턱(23)이 형성되는 조절나사(22)와, 상기 조절나사(22)와 하부 조절나사(26)로 연결되고 1, 2단 수직홈(28, 29)과 수평홈(30)이 상부에 형성되는 실린더(2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KR1020090119546A 2009-12-04 2009-12-04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 KR10112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546A KR101122354B1 (ko) 2009-12-04 2009-12-04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546A KR101122354B1 (ko) 2009-12-04 2009-12-04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731A KR20110062731A (ko) 2011-06-10
KR101122354B1 true KR101122354B1 (ko) 2012-03-23

Family

ID=4439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546A KR101122354B1 (ko) 2009-12-04 2009-12-04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917B1 (ko) * 2019-10-23 2021-02-25 최윤정 칼 연삭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824A (ja) * 1997-09-16 1999-04-06 Toyoda Mach Works Ltd 砥石修正装置及び砥石修正方法
JP2000326235A (ja) * 1999-05-17 2000-11-28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Elid用砥石とこれを用いたelid平面研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824A (ja) * 1997-09-16 1999-04-06 Toyoda Mach Works Ltd 砥石修正装置及び砥石修正方法
JP2000326235A (ja) * 1999-05-17 2000-11-28 Inst Of Physical & Chemical Res Elid用砥石とこれを用いたelid平面研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917B1 (ko) * 2019-10-23 2021-02-25 최윤정 칼 연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731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9799B1 (en) Multi-abrasive tool
US7540801B2 (en) Oscillating grinding machine
CA2717530C (en) Orbital smoothing device
KR102045341B1 (ko) 핸드 그라인더의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US6402600B1 (en) Bowling ball surface abrading and polishing tool assembly
KR101688911B1 (ko) 드레싱 기능을 포함하는 센터리스 연삭장치
US20080171498A1 (en) Grinding Assemblies for use with Handheld Power Tools
US9089945B2 (en) Orbital smoothing device
KR101122354B1 (ko) 분할 평면 연마석과 연마장치
KR100734025B1 (ko) 유리제품용 내경 연마 장치
CN110712078A (zh) 一种刀片倒棱机
CN202278472U (zh) 柔性去毛刺装置
CN211967005U (zh) 一种齿轮毛刺工业打磨装置
US20170087686A1 (en) Honing Tool
KR101906224B1 (ko) 연마석이 교체 가능한 연마장치
KR101896172B1 (ko) 평면 연마석의 수평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CN112192440A (zh) 一种倒角用组合磨具
KR200201704Y1 (ko) 석재 연마기용 다축 연마헤드
CN110842744B (zh) 一种用于离合器压盘工作面磨平的抛光机构
CN214685993U (zh) 一种立式磨床自动修砂底座
CN102837255B (zh) 一种新型石材磨光机的磨头
CN210678185U (zh) 一种玻璃钢磨削机
CN210757018U (zh) 一种环保型机械加工用磨床
CN211661768U (zh) 一种手持式气动倒角打磨机
CN209348736U (zh) 一种新型便于更换的磨料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