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242B1 -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 Google Patents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242B1
KR101122242B1 KR1020090132997A KR20090132997A KR101122242B1 KR 101122242 B1 KR101122242 B1 KR 101122242B1 KR 1020090132997 A KR1020090132997 A KR 1020090132997A KR 20090132997 A KR20090132997 A KR 20090132997A KR 101122242 B1 KR101122242 B1 KR 10112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ampler
pattern
clock
out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318A (ko
Inventor
이연성
김현식
권기원
서정욱
위정욱
박경원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2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06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ly on the information in that bit cell
    • H03M5/12Biphase level code, e.g. split phase code, Manchester code; Biphase space or mark code, e.g. double frequency c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37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not specific to the particular type of coding provided for in groups H03M13/03 - H03M13/35
    • H03M13/3707Adaptive decoding and hybrid decoding, e.g. decoding methods or techniques providing more than one decoding algorithm for one c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65Purpose and implementation aspects
    • H03M13/6508Flexibility, adaptability, parametrability and configurability of the imple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볼 타이밍 동기 기법을 개선함으로써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의 듀티(Duty) 비가 부정확하거나, 수신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함에 있어 송신 측과 다른 클럭을 사용하더라도 오류 없이 복호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는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 1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1 샘플러; 상기 제 1 샘플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값을 누적되어 있는 값과 더하는 누적기; 상기 누적기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비교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0을 출력하는 제 1 비교기; 상기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2 클럭 및 제 3 클럭을 생성하는 심볼 클럭 생성기; 상기 제 1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2 샘플러와, 상기 제 1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3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3 샘플러;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 값과 상기 제 3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는 패턴 검출기; 및 상기 패턴 검출기의 패턴 검사 결과,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2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3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3 샘플러에 의해 샘플 링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다중화기를 포함한다.
맨체스터, 코드, 복호, 디코딩, 누적, 제한, 클럭, 샘플링, 비교

Description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decoder for Manchester Coded Signal}
본 발명은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볼 타이밍 동기 기법을 개선함으로써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의 듀티(Duty) 비가 부정확하거나, 수신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함에 있어 송신 측과 다른 클럭을 사용하더라도 오류 없이 복호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맨체스터 복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 심볼 클럭 생성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맨체스터 복호 장치(100)는 제 1 샘플러(110), 패턴 검출기(120), 심볼 클럭 생성기(130) 및 제 2 샘플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샘플러(110)는, 입력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제 1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여 출력한다.
패턴 검출기(120)는 제 1 클럭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 값의 패턴과 미리 알고 있는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펄스는 심볼 클럭 발생기(130)의 카운터를 초기화한다.
심볼 클럭 생성기(130)는 패턴 검출기(120)로부터 펄스가 입력되면 심볼 클럭을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심볼 클럭 생성기(1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알(OR) 연산기(131), 카운터(132) 및 비교기(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오알 연산기(131)는 패턴 검출기(120)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와 비교기(13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OR) 연산하여 출력한다.
카운터(132)는 제 1 클럭에 의해 동작하며, 제 1 클럭이 맨체스터 코드의 심볼 클럭보다 예컨대, 32배 빠른 클럭이라고 한다면, 0부터 31까지 카운트 동작을 수행한다.
비교기(133)는 카운터(132)의 출력 값이 최대값 즉, 31일 때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펄스가 심볼 클럭에 해당한다.
제 2 샘플러(140)는 제 1 샘플러(1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심볼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여 출력한다.
이상으로, 종래 맨체스터 복호 장치는 패턴 검출 펄스에 동기를 맞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심볼 클럭을 발생시킨다.
즉, 종래 맨체스터 복호 장치는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함에 있어, 고정 간격으로 발생이 되는 심볼 클럭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심볼 클럭으로 신호를 복호하게 되면, 수신된 맨체스터 신호의 듀티비가 부정확한 경우에 복호화된 신호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오동작할 가능성 이 매우 높다.
또한, 맨체스터 부호기와 복호기가 각각,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로 분리되어 서로 다른 심볼 클럭을 사용할 경우에는 심볼 클럭 간에 오차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 간격으로 발생이 되는 심볼 클럭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은 맨체스터 복호 과정이 진행될수록 심볼 클럭 간의 오차가 누적되어 오동작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심볼 타이밍 동기 기법을 개선함으로써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의 듀티(Duty) 비가 부정확하거나, 수신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함에 있어 송신 측과 다른 클럭을 사용하더라도 오류 없이 복호를 할 수 있도록 한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는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 1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1 샘플러; 상기 제 1 샘플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값을 누적되어 있는 값과 더하는 누적기; 상기 누적기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비교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0을 출력하는 제 1 비교기; 상기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2 클럭 및 제 3 클럭을 생성하는 심볼 클럭 생성기; 상기 제 1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2 샘플러와, 상기 제 1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3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3 샘플러;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 값과 상기 제 3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는 패턴 검출기; 및 상기 패턴 검출기의 패턴 검사 결과,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2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3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3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다중화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는, 상기 패턴 검출기의 패턴 검사 결과,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2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제 3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3 클럭을 출력하는 제 2 다중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비교기는, 상기 누적기의 출력 값이 0보다 크면 로직 1을, 0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적기는, 상기 제 1 샘플러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로직 +1 또는 -1을 출력하는 제 3 다중화기; 상기 제 3 다중화기의 출력 값과 제 1 지연기의 출력 값을 더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기의 출력 값을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한기; 및 상기 제한기에 의해 제한된 상기 가산기의 출력 값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상기 제 1 지연기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한기는, 상기 가산기의 출력 값을 미리 정해진 양의 값보다 크고 미리 정해진 음의 값보다 작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볼 클럭 생성기는, 상기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의 엣지(edge)를 조사하여 엣지가 감지되면 펄스를 출력하는 엣지 검출기; 상기 제 1 클럭에 따라 카운트(count)하고, 상기 엣지 검출기로부터 펄스가 입력되면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카운터; 상기 카 운터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비교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0을 출력하는 제 2 비교기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3 비교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0을 출력하는 제 3 비교기;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값과 상기 엣지 검출기가 발생한 펄스를 앤드(AND) 연산하는 제 1 앤드 연산기와, 상기 제 3 비교기의 출력 값과 상기 엣지 검출기가 발생한 펄스를 앤드(AND) 연산하는 제 2 앤드 연산기; 상기 제 2 앤드 연산기의 출력 값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 2 지연기; 상기 제 1 앤드 연산기의 출력 값과 상기 제 2 지연기의 출력 값을 오알(OR) 연산하는 오알 연산기; 및 상기 오알 연산기의 출력 값을 제 2 클럭 및 제 3 클럭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역 다중화기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비교기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비교 값보다 크면 로직 1을, 상기 제 2 비교 값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비교기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3 비교 값보다 크면 로직 1을, 상기 제 3 비교 값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비교 값은 상기 제 2 비교 값보다 큰 값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는 누적된 값을 일정한 범위의 값으로 제한하여 사용하는 누적기와 맨체스터 코드의 전압 전이에 동기를 맞추어 심볼 클럭을 발생시키는 심볼 클럭 생성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누적기와 심볼 클럭 생성기를 사용하게 되면, 듀티(Duty) 비가 부정확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오류 없이 복호화는 것이 가능하고, 맨체스터 부호 장치와 맨체스터 복호 장치가 서로 다른 클럭을 사용할 경우에도 오류 없이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맨체스터 코드는 정보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부호화의 한 형태로서, 신호를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할 때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맨체스터 코드는 하나의 심볼(또는 비트)을 전송할 때, 각 심볼 타임(또는 비트 타임)의 중앙에서 전압의 전이(Transition)를 발생시켜 전송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각 심볼 타임에는 적어도 한 번의 전압 전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송 대역폭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지만, 복호 과정에서 동기가 쉽고,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맨체스터 코드는 OOK(On-Off Keying) 변조 방법을 사용하는 물리 계층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 클럭 생성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임의의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 본 발명의 맨체스터 복호 장치가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누적기(220), 제 1 비교기(230), 제 2 샘플러(240), 제 3 샘플러(250), 제 1 다중화기(260), 제 2 다중화기(280) 및 심볼 클럭 생성기(29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엣지 검출기(291), 카운터(292), 제 2 비교기(293), 제 3 비교기(294), 오알 연산기(298) 및 역 다중화기(299)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200)는 제 1 샘플러(210), 누적기(220), 제1 비교기(230), 제 2 샘플러(240), 제 3 샘플 러(250), 제 1 다중화기(260), 패턴 검출기(270), 제 2 다중화기(280) 및 심볼 클럭 생성기(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샘플러(210)는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도 6의 파형 ① 참조)가 수신되면, 이를 제 1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제 1 클럭은 심볼 클럭보다 예를 들어, 16 또는 32배 빨라야 한다.
누적기(220)는 제 1 클럭에 따라, 제 1 샘플러(210)의 출력 값을 이미 누적되어 있는 값과 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누적기에 누적된 값은 일정한 양(positive)의 값보다 크지 않고, 일정한 음(negative)의 값보다 작지 않은 값으로서,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제한된 값이다.
구체적으로, 누적기(2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다중화기(221), 가산기(222), 제한기(223) 및 제 1 지연기(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다중화기(221)는 제 1 샘플러(210)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이를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로직 +1 또는 -1을 출력한다. 예컨대, 제 1 샘플러(210)의 이전 출력 값이 임계값보다 작고 제 3 다중화기(221)의 이전 출력 값이 -1이라고 할 때 제 1 샘플러(210)의 현재 출력 값이 임계값보다 크면, 제 3 다중화기(221)는 출력 값을 -1에서 +1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제 1 샘플러(210)의 출력 값이 임계값보다 다시 작아지면, 제 3 다중화기(221)는 출력 값을 +1에서 -1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가산기(222)는 제 3 다중화기(221)의 출력 값과 제 1 지연기(224)의 출력 값을 더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결과를 제한기(223)로 출력한다.
제한기(223)는 가산기(222)의 출력 값을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가산기(222)의 출력 값을 미리 정해진 양의 값보다 크고 미리 정해진 음의 값보다 작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제 1 지연기(224)는 제한기(223)에 의해 제한된 가산기(222)의 출력 값을 지연하여 가산기(22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누적기(220)로부터 출력되는 값은 도 6의 파형 ②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제한된다. 따라서, 듀티(Duty) 비가 부정확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오류 없이 복호화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비교기(230)는 도 6의 파형 ③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누적기(220)의 출력 값을 입력받아, 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비교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0을 출력한다. 예컨대, 누적기(220)의 출력 값이 0보다 크면 로직 1을, 0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한다.
심볼 클럭 생성기(290)는 제 1 클럭에 따라, 수신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 또는 제 1 샘플러(210)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6의 ④ 및 ⑤ 파형과 같은 제 2 클럭 및 제 3 클럭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 2 클럭 및 제 3 클럭이 심볼 클럭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심볼 클럭 생성기(29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엣지(Edge) 검출기(291), 카운터(292), 제 2 비교기(293), 제 3 비교기(294), 제 1 앤드(AND) 연산기(295), 제 2 앤드 연산기(296), 제 2 지연기(297), 오알(OR) 연산기(298) 및 역 다중화기(29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엣지 검출기(291)는 제 1 클럭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의 엣지를 조사하여 엣지가 감지되면 도 7의 파형 ⓐ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를 출력한다. 여기서, 엣지는 신호가 로직 0에서 로직 1로 변하는 시점 또는 로직 1에서 로직 0으로 변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또한, 엣지는 신호가 어떤 임계값을 기준으로 임계값보다 큰 값에서 작은 값으로 또는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변하는 시점을 의미할 수도 있다.
카운터(292)는 도 7의 파형 ⓑ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클럭에 따라 값을 증가시키며, 엣지 검출기(291)로부터 펄스가 입력되면 현재까지 카운트한 값을 초기화한다. 또한, 카운터(292)는 현재까지 카운트한 값을 제 2 및 제 3 비교기(293, 294)로 출력한다.
제 2 비교기(293)는 도 7의 ⓒ 파형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운터(292)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비교 값(도 7의 파형 ⓑ의 T1)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로직 0을 출력한다. 즉,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비교 값(T1)보다 크면 로직 1을, 제 2 비교 값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한다.
제 3 비교기(294)는 도 7의 파형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운터(292)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3 비교 값(도 7의 파형 ⓑ 에서 T2)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로직 0을 출력한다. 즉,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3 비교 값(T2)보다 크면 로직 1을, 제 3 비교 값(T2)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한다. 여기서, 제 3 비교 값(T2)은 제 2 비교 값(T1)보다 크다.
제 1 앤드 연산기(295)는 엣지 감지 펄스와 제 2 비교기(293)의 출력 값을 앤드 연산하여 오알 연산기(298)로 출력하고, 제 2 앤드 연산기(296)는 엣지 감지 펄스와 제 3 비교기(294)의 출력 값을 앤드 연산하여 제 2 지연기(297)로 출력한다.
제 2 지연기(297)는 제 2 앤드 연산기(296)의 출력 값을 지연하여 오알 연산 기(298)로 출력한다.
오알 연산기(298)는 제 1 앤드 연산기(295)의 출력 값과 제 2 지연기(297)의 출력 값을 오알 연산하여 역 다중화기(299)로 출력한다. 이러한 OR 연산기(298)는 도 7의 파형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 감지된 엣지와 가장 최근에 감지된 엣지 사이의 시간을 카운트한 값, 즉 도 7의 파형 ⓑ가 제 2 비교값(T1)보다 크고 제 3 비교값(T2)보다 작으면 한 클럭의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도 7의 파형 ⓔ에서 좌측으로부터 6번째 및 7번째 펄스 참조)하고, 제 3 비교값(T2)보다도 크면 두 클럭의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도 7의 파형 ⓔ에서 좌측으로부터 1번째 내지 4번째 펄스 참조)한다.
역 다중화기(299)는 도 7의 파형 ⓕ 및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알 연산기(298)로부터 펄스를 입력받아, 입력 순서에 따라 제 2 클럭과 제 3 클럭으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심볼 클럭 생성기(290)는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의 엣지에 동기를 맞추어 도 6의 파형 ⑦ 및 ⑧(도 7의 파형 ⓕ 및 ⓖ와 동일)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심볼 클럭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듀티(Duty) 비가 부정확한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신호를 오류 없이 복호화는 것이 가능하고, 맨체스터 부호 장치와 맨체스터 복호 장치가 서로 다른 클럭을 사용할 경우에도 오류 없이 복호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샘플러(240)는 도 6의 파형 ④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비교기(2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 2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고, 제 3 샘플러(250)는 도 6의 파형 ⑤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비교기(2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 3 클럭에 따라 샘플링한다.
패턴 검출기(270)는 제 2 샘플러(240)의 출력 값과 제 3 샘플러(250)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제 1 다중화기(260)는 패턴 검출기(270)의 패턴 검사 결과, 제 2 샘플러(240)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제 2 샘플러(240)의 출 력 값을 출력하고 반면, 제 3 샘플러(250)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제 3 샘플러(250)의 출력 값을 출력한다.
제 2 다중화기(280)는 패턴 검출기(270)의 패턴 검사 결과, 제 2 샘플러(240)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제 2 클럭을 출력하고 반면, 제 3 샘플러(250)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제 3 클럭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삭제
도 1은 종래 맨체스터 복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심볼 클럭 생성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적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 클럭 생성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의 블록 구성별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볼 클럭 생성기의 블록 구성별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종래 맨체스터 복호 장치
110: 제 1 샘플러 120: 패턴 검출기
130: 심볼 클럭 생성기 131: 오알(OR) 연산기
132: 카운터 133: 비교기
140: 제 2 샘플러
200: 본 발명의 맨체스터 복호 장치
210: 제 1 샘플러 220: 누적기
221: 제 3 다중화기 222: 가산기
223: 제한기 224: 제 1 지연기
230: 제1 비교기 240: 제 2 샘플러
250: 제 3 샘플러 260: 제 1 다중화기
270: 패턴 검출기 280: 제 2 다중화기
290: 심볼 클럭 생성기 291: 엣지(Edge) 검출기
292: 카운터 293: 제 2 비교기
294: 제 3 비교기 295: 제 1 앤드(AND) 연산기
296: 제 2 앤드 연산기 297: 제 2 지연기
298: 오알 연산기 299: 역 다중화기

Claims (7)

  1.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 1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1 샘플러;
    상기 제 1 샘플러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의 값을 누적되어 있는 값과 더하는 누적기;
    상기 누적기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비교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0을 출력하는 제 1 비교기;
    상기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2 클럭 및 제 3 클럭을 생성하는 심볼 클럭 생성기;
    상기 제 1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2 샘플러와, 상기 제 1 비교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3 클럭에 따라 샘플링하는 제 3 샘플러;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 값과 상기 제 3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는지를 검사하는 패턴 검출기; 및
    상기 패턴 검출기의 패턴 검사 결과,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2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3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3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다중화기;
    를 포함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검출기의 패턴 검사 결과, 상기 제 2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2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제 3 샘플러의 출력 값의 패턴이 미리 정해진 패턴과 일치하면 상기 제 3 클럭을 출력하는 제 2 다중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교기는,
    상기 누적기의 출력 값이 0보다 크면 로직 1을, 0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기는,
    상기 제 1 샘플러의 출력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로직 +1 또는 -1을 출력하는 제 3 다중화기;
    상기 제 3 다중화기의 출력 값과 제 1 지연기의 출력 값을 더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기의 출력 값을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한기; 및
    상기 제한기에 의해 제한된 상기 가산기의 출력 값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상기 제 1 지연기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기는,
    상기 가산기의 출력 값을 미리 정해진 양의 값보다 크고 미리 정해진 음의 값보다 작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클럭 생성기는,
    상기 맨체스터 코드로 부호화된 데이터 또는 상기 제 1 샘플러에 의해 샘플링된 데이터의 엣지(edge)를 조사하여 엣지가 감지되면 펄스를 출력하는 엣지 검출기;
    상기 제 1 클럭에 따라 카운트(count)하고, 상기 엣지 검출기로부터 펄스가 입력되면 카운트 값을 초기화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비교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0을 출력하는 제 2 비교기와,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3 비교 값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여 로직 1 또는 0을 출력하는 제 3 비교기;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값과 상기 엣지 검출기가 발생한 펄스를 앤드(AND) 연산하는 제 1 앤드 연산기와, 상기 제 3 비교기의 출력 값과 상기 엣지 검출기가 발생한 펄스를 앤드(AND) 연산하는 제 2 앤드 연산기;
    상기 제 2 앤드 연산기의 출력 값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 2 지연기;
    상기 제 1 앤드 연산기의 출력 값과 상기 제 2 지연기의 출력 값을 오알(OR) 연산하는 오알 연산기; 및
    상기 오알 연산기의 출력 값을 제 2 클럭 및 제 3 클럭으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역 다중화기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교기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비교 값보다 크면 로직 1을, 상기 제 2 비교 값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3 비교기는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 3 비교 값보다 크면 로직 1을, 상기 제 3 비교 값보다 작으면 로직 0을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3 비교 값은 상기 제 2 비교 값보다 큰 값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KR1020090132997A 2009-12-29 2009-12-29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KR10112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97A KR101122242B1 (ko) 2009-12-29 2009-12-29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997A KR101122242B1 (ko) 2009-12-29 2009-12-29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318A KR20110076318A (ko) 2011-07-06
KR101122242B1 true KR101122242B1 (ko) 2012-03-20

Family

ID=4491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997A KR101122242B1 (ko) 2009-12-29 2009-12-29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0939B (zh) * 2023-11-08 2024-02-02 无锡国芯微高新技术有限公司 Psi5接口的信号解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454A (ja) 2005-02-18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ック再生方法及びマンチェスタ復号方法
US7133482B2 (en) 2002-03-22 2006-11-07 Stmicroelectronics S.R.L. Decoding method and Manchester deco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482B2 (en) 2002-03-22 2006-11-07 Stmicroelectronics S.R.L. Decoding method and Manchester decoder
JP2006262454A (ja) 2005-02-18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ロック再生方法及びマンチェスタ復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318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3583B1 (en) Poisson-based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9584147B2 (en) Isolator system supporting multiple ADCs via a single isolator channel
US7844020B2 (en) Transmission system, transmitter, receiver, and transmission method
JP2015008455A (ja) 受信装置及び受信ビット列の同一値ビット数検出方法
KR100849427B1 (ko) 부호화된 dc 축적을 회피하며, 디코더를 동기화하고전송 에러들을 탐지하기 위한 코딩 위반을 사용할 수 있는통신 시스템의 인코더
KR101122242B1 (ko) 맨체스터 코드 복호 장치
US7668609B2 (en) Digital audio data receiver without synchronized clock generator
US6933866B1 (en) Variable data rate receiver
CN106612168B (zh) 一种基于pcm编码特征的语音失步检测方法
CN100547936C (zh) 接收消息信号的接收电路
US8175194B2 (en)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8023594B1 (en) Asynchronous biphase mark signal receiver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11481217B2 (en)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cluding clock and data recove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KR20010010001A (ko) 4레벨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 복원장치
US9020012B1 (en) Oversampled receiver for transition encoded signaling
CA221538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coding and communication over noisy media
JP4586492B2 (ja) 一線式データ通信方法、及びこの通信方法を用いた一線式データ送受信機
US11677464B2 (en) Optical trans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transceiver
RU2168864C2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JP2012109894A (ja) 受信回路
JP2005142615A (ja) マンチェスタ符号データ受信装置
KR100797078B1 (ko) Tii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CN107517072B (zh) 用于iso7811协议中磁介质信号接收的解码电路
JPH0528547B2 (ko)
JPH0779339B2 (ja) スタ−トビツト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