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527B1 - 포인트 소스를 이용한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트 소스를 이용한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527B1
KR101120527B1 KR1020090088135A KR20090088135A KR101120527B1 KR 101120527 B1 KR101120527 B1 KR 101120527B1 KR 1020090088135 A KR1020090088135 A KR 1020090088135A KR 20090088135 A KR20090088135 A KR 20090088135A KR 101120527 B1 KR101120527 B1 KR 10112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hole
laser
measurement
mirror
interfero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143A (ko
Inventor
정미숙
주원돈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5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01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controlling or generating intrinsic radiation properties
    • G01B9/02007Two or more frequencies or sources used for interferometric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4Measuring micro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12Generating the spectrum; Monochromators
    • G01J3/26Generating the spectrum; Monochromators using multiple reflection, e.g. Fabry-Perot interferometer, variable 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42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 G01M11/027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geometrical properties or aberrations by using interferometr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01N21/45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using interferometric methods; using Schlieren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21Depth or shape recovery from laser ranging, e.g. using interferometry; from the projection of structured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ments For Measurement Of Length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빔을 마이크로미터 급(예를 들어, 1마이크로미터)의 핀홀(pinhole)에 통과시킨 포인트 소스 형태의 빔을 기준 빔으로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포인트 소스 형태의 완벽한 기준 빔이 측정 빔과 간섭 무늬를 형성할 때 주위 온도나 진동 등의 주변 환경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게 안정적이고 높은 정밀도로 측정이 가능하고 고가의 정밀 광학계 없이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간섭계는, 핀홀을 갖는 미러를 이용해 레이저 빔을 상기 핀홀에 통과시킨 포인트 소스 형태의 기준 빔과 레이저 빔이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 빔을 발생하여 상기 기준 빔과 상기 측정 빔의 간섭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88135
핀홀(pinhole), 포인트 소스, 기준 빔, 측정 빔, 간섭 패턴(무늬)

Description

포인트 소스를 이용한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Interferometer System using Point Source and Measur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이저빔을 마이크로미터 급(예를 들어, 1마이크로미터)의 핀홀(pinhole)에 통과시킨 포인트 소스 형태의 빔을 기준 빔으로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포인트 소스 형태의 완벽한 기준 빔이 측정 빔과 간섭 무늬를 형성할 때 주위 온도나 진동 등의 주변 환경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게 안정적이고 높은 정밀도로 측정이 가능하고 고가의 정밀 광학계 없이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간섭계는 정밀 측정이 필요한 광학부품 소자 가공 산업, 다이아몬드 연마 공정, 정밀 기계 가공, 반도체 노광 장비 등 정밀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레이저를 간섭계의 광원으로 이용하는 레이저 간섭계는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정밀한 측정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여 1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소 변위까지 측정이 요구되는 경우의 예로서, 반도체 노광 장비에 있어서 마스크와 웨이퍼의 정렬을 위해 스테이지의 변위를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 경우, 원자 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y) 또는 근접 현미경(SNOM: Scanning Near- field Optical Microscopy)과 같은 나노측정 장비의 스테이지의 이동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 나노미터 단위의 오차 범위 내에서의 위치 추적이 필요한 광자기 디스크의 헤드 스캔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경우 등이 있다.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한 정밀 측정의 원리는 레이저빔을 기준 빔과 측정 빔으로 분리하고, 측정 빔이 측정 대상체를 경유하여 나올 때의 빔과 기준 빔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섭 무늬를 분석하는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한 정밀 측정에 의하여 현미경과 같은 광학계나 렌즈 등의 광 부품을 평가할 수 있는데, 기존의 레이저 간섭계에서는 레이저 빔을 광원으로 하여 정밀 광학계를 이용한 기준 빔(reference beam)을 만들고 광학계나 광 부품의 평가를 위하여 고가의 다양한 초점 길이(focal length)를 가진 대물렌즈를 필요로 한다. 즉, 기존의 레이저 간섭계는 많은 정밀 보조 광학계로 구성되며 주위 온도나 진동 등의 주변 환경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장소에 제한이 있다. 최근 이러한 주변 환경에 대하여 영향이 적은 간섭계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 온도나 진동 등의 주변 환경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게 안정적이고 높은 정밀도로 측정이 가능하고 고가의 정밀 광학계 없이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레이저빔을 마이크로미터 급(예를 들어, 1마이크로미터)의 핀 홀(pinhole)에 통과시킨 포인트 소스 형태의 완벽한 빔을 기준 빔으로 이용하여 광학계나 광 부품의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간섭계는, 핀홀을 갖는 미러를 이용해 레이저 빔을 상기 핀홀에 통과시킨 포인트 소스 형태의 기준 빔과 레이저 빔이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 빔을 발생하여 상기 기준 빔과 상기 측정 빔의 간섭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홀의 직경은 마이크로미터 급(예를 들어, 0.1 내지 3 마이크로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간섭계는, 일정 스폿 사이즈의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장치; 상기 레이저 장치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경로의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으로 분리하는 빔 분리기; 및 상기 제1 레이저 빔을 반사시켜 상기 핀홀로 입사시키기 위한 복수의 미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이저 빔이 상기 핀홀을 통과한 빔을 상기 기준 빔으로 이용하고, 상기 제2 레이저 빔이 직접 상기 핀홀을 통과한 빔을 상기 측정 대상체로 입사하는 측정 빔으로 이용한다.
상기 제2 레이저 빔이 상기 측정 대상체로 입사된 후 상기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 빔은 상기 핀홀을 갖는 미러의 하부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기준 빔과 한점에서 모이도록 작동한다.
상기 복수의 미러들은 입사되는 빔을 수직 방향으로 순차 반사시키기 위한 두 개의 미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간섭계는, 상기 복수의 미러들과 상기 핀홀을 갖는 미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미러들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초점을 조절하여 상기 핀홀로 입사시키기 위한 제1 포커싱 렌즈; 및 상기 빔 분리기와 상기 핀홀을 갖는 미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빔 분리기로부터의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초점을 조절하여 상기 핀홀로 입사시키기 위한 제2 포커싱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빔과 상기 측정 빔의 간섭 패턴을 촬영하여 해당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광검출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간섭계의 측정 방법은, 핀홀을 갖는 미러를 이용해 레이저 빔을 상기 핀홀에 통과시킨 포인트 소스 형태의 기준 빔과 레이저 빔이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 빔을 발생하여 상기 기준 빔과 상기 측정 빔의 간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계의 측정 방법은, 광학계의 성능 측정이나 광학계 부품의 특성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에 따르면, 레이저빔을 마이크로미터 급(예를 들어, 1마이크로미터)의 핀홀(pinhole)에 통과시킨 포인트 소스 형태의 완벽한 빔을 기준 빔으로 이용하여, 광학계나 광 부품의 평가 측정 시에 주위 온도나 진동 등의 주변 환경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게 안정적이고 높은 정밀도로 측정이 가능하고 고가의 정밀 광학계 없이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계(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계(100)는, 레이저 장치(110), 빔 분리기(beam splitter)(120), 제1 미러(mirror)(130), 제2 미러(140), 핀홀(pinhole)을 갖는 미러(150), 및 광 검출기(160)를 포함한다.
레이저 장치(110)는 레이저 광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생기(111)와 빔 확장기(beam expander)(112)를 포함한다. 레이저 발생기(111)는 He과 Ne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레이저 발생기(111)는 레이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빔 확장기(112)는 레이저 발생기(111)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광을 적절한 빔 스폿(spot) 사이즈가 되도록 빔의 직경을 확대시킨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다.
빔 분리기(120)는 이와 같이 레이저 장치(110)를 통해 적절한 빔 직경으로 방출되는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경로의 두 개의 레이저 빔으로 분리할 수 있다.
빔 분리기(120)에서 분리된 두 개의 레이저 빔 중 제1 레이저 빔은 제1 미러(130) 및 제2 미러(140)를 통해 각각 입사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순차 반사된 후, 핀홀을 갖는 미러(150)의 핀홀로 입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홀을 갖는 미 러(150)의 핀홀을 통과하는 포인트 소스 형태의 기준 빔(151)이 만들어 질 수 있다. 여기서, 핀홀의 직경은 마이크로미터 급의 관통 홀로서, 예를 들어, 0.1 내지 3 마이크로미터의 직경을 갖는 홀일 수 있으며, 핀홀의 직경을 1 마이크로미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빔 분리기(120)에서 분리된 두 개의 레이저 빔 중 제2 레이저 빔은 핀홀을 갖는 미러(150)의 핀홀을 통과해 측정 대상체로 입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핀홀로 통과된 후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 빔(152)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 빔(152)은 핀홀을 갖는 미러(150)의 하부면(예를 들어, 핀홀의 바로 옆)에서 반사되어 기준 빔(151)과 한점에서 모이도록 작동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미러(140)와 핀홀을 갖는 미러(150) 사이에 포커싱 렌즈(focusing lens)를 배치하여, 제2 미러(140)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초점을 조절하여 미러(150)의 핀홀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빔 분리기(120)와 핀홀을 갖는 미러(150) 사이에 다른 포커싱 렌즈를 배치하여, 빔 분리기(120)로부터의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초점을 조절하여 미러(150)의 핀홀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빔(151)과 측정 빔(152)이 한점에서 모아져 간섭 패턴을 형성하도록 작동하면, 광검출기(160)는 해당 간섭 패턴을 촬영하여 해당 영상 신호,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광검출기(16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광검출기(16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컴퓨터 등 신호 분석 장치에 의하여 분석 되어 측정 대상체의 성능이나 특성이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계(100)는, 원자 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y), 근접 현미경(SNOM: Scanning Near-field Optical Microscopy)과 같은 각종 광학계의 성능 측정에 활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광학계에 구비되는 렌즈 등의 부품의 특성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간섭계(100)를 이용한 광학계의 성능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예를 들어, 원자 현미경, 근접 현미경과 같은 각종 광학계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간섭계(100)의 미러(150) 하부에 해당 광학계를 설치하고, 해당 광학계의 하부에는 측정 빔(152)의 반사를 위한 미러를 배치할 수 있다.
레이저 장치(110)에서 일정 스폿 사이즈의 레이저 빔이 발생되면, 빔 분리기(120)에서 분리된 제1 레이저 빔은 제1 미러(130)와 제2 미러(140)를 경유하여 미러(150)의 핀홀로 통과된 후 포인트 소스 형태의 기준 빔(151)이 된다. 빔 분리기(120)에서 분리된 제2 레이저 빔은 미러(150)의 핀홀로 통과된 후, 평가될 해당 광학계를 통과하여 하부의 미러에서 반사된 후 다시 상기 광학계를 투과하여 미러(150) 하부면의 핀홀 바로 옆에서 반사되어 측정 빔(152)으로 나온다.
이와 같은 기준 빔(151)과 측정 빔(152)은 한 점에서 모아져 특성 평가 대상 광학계의 성능(예를 들어, 굴절율, 투과율, 반사율 등)에 따른 간섭 패턴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광검출기(160)는 해당 간섭 패턴을 촬영하여 해당 광학계의 성능 평가를 위한 분석에 이용될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간섭계를 이용한 오목 렌즈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계(100)는, 간섭계(100)의 미러(150) 하부에 오목 렌즈 등 각종 시료를 놓고 측정 함으로써 시료의 광학 특성을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도, 레이저 장치(110)에서 일정 스폿 사이즈의 레이저 빔이 발생되면, 빔 분리기(120)에서 분리된 제1 레이저 빔은 제1 미러(130)와 제2 미러(140)를 경유하여 미러(150)의 핀홀로 통과된 후 포인트 소스 형태의 기준 빔(151)이 된다. 빔 분리기(120)에서 분리된 제2 레이저 빔은 미러(150)의 핀홀로 통과된 후, 평가될 해당 시료에 입사되고 시료의 표면에서 반사된 후 미러(150) 하부면의 핀홀 바로 옆에서 반사되어 측정 빔(152)으로 나온다.
이와 같은 기준 빔(151)과 측정 빔(152)은 한 점에서 모아져 시료, 예를 들어, 렌즈의 표면 특성에 따른 간섭 패턴을 형성하게 되고, 이때 광검출기(160)는 해당 간섭 패턴을 촬영하여 해당 광학계의 성능 평가를 위한 분석에 이용될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섭계(100)에서는 레이저빔을 마이크로미터 급(예를 들어, 1마이크로미터)의 핀홀(pinhole)에 통과시킨 포인트 소스 형태의 빔을 기준 빔으로 이용한다. 이에 따라, 포인트 소스 형태의 완벽한 기준 빔이 측정 빔과 간섭 무늬를 형성할 때 주위 온도나 진동 등의 주변 환경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게 안정적이고 높은 정밀도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가의 정밀 광 학계 없이도 저렴하게 구성하여 각종 정밀 측정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간섭계를 이용한 광학계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간섭계를 이용한 오목 렌즈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6)

  1. 핀홀을 갖는 미러; 일정 스폿 사이즈의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장치; 상기 레이저 장치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경로의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으로 분리하는 빔 분리기; 및 상기 제1 레이저 빔을 반사시켜 상기 핀홀로 입사시키고 상기 핀홀을 통과한 기준 빔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미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저 빔이 상기 핀홀을 통과한 측정 빔을 측정 대상체로 입사한 후 상기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 빔을 상기 핀홀을 갖는 미러의 하부면에서 반사시켜 상기 기준 빔과 한점에서 모이도록 하여 간섭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간섭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의 직경은 0.1 내지 3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계.
  3. 삭제
  4. 삭제
  5. 빔 분리기를 이용해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경로의 제1 레이저 빔과 제2 레이저 빔으로 분리하고,
    복수의 미러들을 이용해 상기 제1 레이저 빔을 반사시켜 핀홀을 갖는 미러의 상기 핀홀로 통과시킨 기준빔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레이저 빔이 상기 핀홀을 통과한 측정 빔을 측정 대상체로 입사한 후 상기 측정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측정 빔을 상기 핀홀을 갖는 미러의 하부면에서 반사시켜 상기 기준 빔과 한점에서 모이도록 하여 간섭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계의 측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광학계의 성능 측정이나 광학계 부품의 특성 측정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계의 측정 방법.
KR1020090088135A 2009-09-17 2009-09-17 포인트 소스를 이용한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 KR10112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35A KR101120527B1 (ko) 2009-09-17 2009-09-17 포인트 소스를 이용한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135A KR101120527B1 (ko) 2009-09-17 2009-09-17 포인트 소스를 이용한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43A KR20110030143A (ko) 2011-03-23
KR101120527B1 true KR101120527B1 (ko) 2012-03-06

Family

ID=4393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135A KR101120527B1 (ko) 2009-09-17 2009-09-17 포인트 소스를 이용한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9284B (zh) * 2019-10-25 2024-04-26 西安驰丰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干涉式激光波长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21324B1 (ko) * 2022-03-03 2023-04-20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입사각을 갖는 오프-액시스 광학계의 정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951A (en) 1988-01-13 1990-09-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thod for making holograms with coherent radiation from a stabilized laser diode that has been actively cooled
KR200279581Y1 (ko) 2002-03-18 2002-06-24 (주) 포코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고정도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951A (en) 1988-01-13 1990-09-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thod for making holograms with coherent radiation from a stabilized laser diode that has been actively cooled
KR200279581Y1 (ko) 2002-03-18 2002-06-24 (주) 포코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고정도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143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7401B2 (en) Trench measurement system employing a chromatic confocal height sensor and a microscope
JP5168168B2 (ja) 屈折率測定装置
WO2012083764A1 (zh) 差动共焦干涉元件多参数测量方法与装置
JPH05256641A (ja) カンチレバー変位検出装置
CN101586947B (zh) 基于谐振梁扫描的差动共焦瞄准触发式显微测量方法与装置
Mastylo et al. A focus sensor for an application in a nanopositioning and nanomeasuring machine
JP5592108B2 (ja) 干渉共焦点顕微鏡および光源撮像方法
KR960013676B1 (ko) 미소변위검출방법
KR101120527B1 (ko) 포인트 소스를 이용한 간섭계 및 그 측정 방법
US8269157B2 (en) Optical imaging system
Michihata et al. Surface imaging technique by an optically trapped microsphere in air condition
JP3726028B2 (ja) 3次元形状計測装置
JP7145030B2 (ja) 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101505745B1 (ko) 이중 검출 반사 공초점 현미경 및 이를 사용하는 시편의 높이의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CN109443240A (zh) 一种基于中介层散射的激光三角光测量装置和方法
CN109443711A (zh) 一种基于针孔随动高速扫描共焦显微技术的大口径光学元件测量装置和方法
Manske et al. Multisensor technology based on a laser focus probe for nanomeasuring applications over large areas
CN109443241A (zh) 一种基于音叉驱动的高速轴向扫描共焦显微测量装置和方法
JPS63241407A (ja) 微細凹部の深さ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CN115307574A (zh) 基于权值分配的共焦测量系统及测量方法
JP2006112872A (ja) 小型角度センサ
CN115790436A (zh) 差分共焦测量方法
JP2002168780A (ja) 屈折率変化測定装置
JPS6175206A (ja) 微小段差測定装置
JPH10103917A (ja) 位置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