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75B1 - HfO2 을 삽입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HfO2 을 삽입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75B1
KR101120475B1 KR1020100055643A KR20100055643A KR101120475B1 KR 101120475 B1 KR101120475 B1 KR 101120475B1 KR 1020100055643 A KR1020100055643 A KR 1020100055643A KR 20100055643 A KR20100055643 A KR 20100055643A KR 101120475 B1 KR101120475 B1 KR 10112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evice
resistance change
layer
metal oxide
chang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742A (ko
Inventor
조만호
임동혁
송진호
정광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7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7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metal oxide memory material, e.g. perovski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3Oxides or nitrides
    • H10N70/8833Binary metal oxides, e.g. TaO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특성 향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윈도우 폭을 넓혀 동작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저항층을 이루는 TiO2 금속산화물층 내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TiO2 금속산화물층 위에 ALD 방법으로 HfO2 고유전율층을 원자크기 수준인 1 내지 10 Å으로 적층하였다.
산소 공급원인 수증기와 Hf 공급원인 TEMAH와 퍼지 가스를 펄스 식으로 교대로 공급하며, 공정 챔버의 온도응 220 내지 250 ℃ 로 유지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특성 향상은 X선 흡수스펙트럼으로 분석 및 확인할 수 있었다.

Description

HfO2 을 삽입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HfO2 inserted ReRA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rerof}
본 발명은 금속과 산소 이온의 결합과 분리로 저항변화가 나타나는 금속 산화막을 이용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산소가 부족하게 생성되는 금속산화막의 저항 변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유전율 박막을 삽입하여 제조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산업시대의 발달과 함께 전자 산업, 특히 그 중에서도 PC 산업과 통신 산업의 발달로 모바일(Mobile) 기기들이 발전하게 되었다. 즉 PC 산업과 통신 산업이 팽창되면서 기존의 기술 개발 속도를 능가하는 급속한 고기능화와 다기능화가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보면 반도체 소자는 고성능화 다기능화를 위해서 주어진 면적 내에 다양한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이 주된 발전의 방향이 되어 왔다. 이를 위해서 제조 공정 기술의 미세화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되어 왔으며, 지금까지는 무어의 법칙을 만족시키면서 지속되어 왔다. 특히 최근 각광받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FLASH 소자의 경우 스케일링(Scaling)의 어려움이 있어서, 차세대 테라비트급 비휘발성 메모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용 특성 물질에 기반을 둔 메모리 소자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저항 변화 메모리(ReRAM)는 간단한 공정과 우수한 On/Off 특성으로 인해서 가장 유망한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부상하게 되었다. 저항변화 메모리에 대한 연구는 아직 기술 개발의 초기 단계로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과 우리나라의 기술 격차가 그다지 크지 않은 상태이므로 진입 장벽이 낮은 편이어서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저항변화 메모리는 아직 정확한 스위칭 메커니즘이 알려져 있지 않아 재현성에 상당한 약점을 지니고 있다. 이 밖에도 각 소자 간 동작 전압, 전류, 내구력 등 약간의 편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ReRAM 이 실재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신재료 개발, 스위칭 메카니즘 규명, 공정개발, 공정 장비, 회로 설계 등에 있어서 종합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아래,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구성하는 저항층은 금속산화물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스퍼터 등의 증착 효율이 좋은 방법으로 제작되는 금속산화물 박막에서 금속에 대한 산소의 결합이 충분하지 않아 결함(defect)이 존재하게 된다. 결함이 많을수록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특성 곡선은 소정의 저항값에 밀착하여 나타나지 않고 산만한 푼포를 갖게 되어 셋/리셋 동작의 신뢰성을 좌우하는 윈도우 폭은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09-0098243호에 따르면, 저항변화메모리 소자의 특성 향상을 위해 제조공정 중 결함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처리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백금(Pt) 전극 위에 산화물 박막으로 망간산화물(MnOx)을 증착한 후 산소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여 결함을 줄이고자 하는 저항변화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서와 같은 열처리 방법은, 산소 분압, 열처리 온도 및 시간 등의 공정 관리가 엄격하고, 전극 위에 증착된 금속산화물을 전체적으로 열처리하기 때문에 금속산화물 내에 충분한 산소 공급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구성하는 저항층의 저항변화 특성을 증착 온도, 산소 분압, 증착 방법 등의 금속 산화물 박막의 까다로운 외부 공정조건에 의하지 않고 좀 더 공정 제어가 쉬우면서도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동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접지용 제1 전극과 전압 인가용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저항변화층이,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는 금속산화물층; 및
상기 금속산화물층 위에 1 내지 10 Å의 두께로 형성되는 HfO2 고유전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상기 금속산화물층은 TiO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HfO2 고유전율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은 백금(Pt)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용 제1 전극과 전압 인가용 제2 전극 사이에 저항변화층을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접지용 제1 전극 위에 금속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산화물층 형성 단계 이후, HfO2 고유전율층을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한층의 원자층으로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fO2 고유전율층을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한층의 원자층으로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산화물층 위에 HfO2 고유전율층을 형성하기 위해, 220 내지 250℃로 온도를 가온 유지하는 공정 챔버 내에 HfO2 를 형성하는 반응물인 수증기(H2O)와 TEMAH(tetrakis (ethylmethylamido) hafnium), 그리고 세정 작용을 하는 퍼지 가스(purge gas)로서 질소(N2)기체를 공급하며,
수증기(H2O)를 펄스 상태로 흘려주고;
퍼지 가스를 펄스 상태로 흘려주고;
TEMAH 유체를 펄스 상태로 흘려주고;
퍼지 가스를 펄스 상태로 흘려주는 것;을 하나의 회전 주기(1 cycle)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HfO2 고유전율층을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한층의 원자층으로 증착하는 단계에서, 수증기 펄스의 폭은 0.2 내지 0.8 초, TEMAH 유체 펄스의 폭은 1 내지 3 초 그리고 퍼지 가스 펄스의 폭은 25 내지 45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퍼터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형성함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층은 TiO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항변화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은 백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산화물층과 전극이 인접하는 계면에 존재하는 결함을 보완하여 셋/리셋 동작의 신뢰성을 좌우하는 윈도우 폭을 증가시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동작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결함의 보완을 금속산화물층 위에 HfO2를 얇은 원자층 수준으로 증착하여 이루어지므로 제어변수가 간단한 공정에 의해 동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적층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는 공정 중 ALD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는 공정 중 ALD 공정에 대한 반응물들과 퍼지 가스 공급 방법을 나타내는 펄스 그래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특성 곡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특성 곡선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X선 흡수스펙트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X선 흡수스펙트럼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보면, Si/SiO2 기판(100) 위에 TiN 전극(200)을 형성하고, 저항층으로서 TiO2로 이루어진 금속산화물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산화물층(300)의 산소 결핍으로 인한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형성된 HfO2 로 이루어진 고유전율층(400)을 형성하고, 백금(Pt) 전극(500)을 형성하여 완성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가 나타나 있다.
저항층으로 적층된 TiO2 금속산화물층(300)은 스퍼터로 적층하며, 이러한 스퍼터 방법에 의한 적층은 적층효율이 우수하나 산소가 결핍된 상태의 금속산화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금속산화물 내부에 결함을 유발하고,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특성 곡선이 소정 값에 밀착되게 나타나지 않고 산만한 분포를 보인다. 이는 곧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셋/리셋 동작의 신뢰성을 좌우하는 윈도우 폭을 좁히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퍼터 방법으로 TiO2 금속산화물층(300)을 적층 한 후,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주기 위해 ALD 방법으로 HfO2을 적층 한다. ALD 방법이 스퍼터 방법에 비해 적층 효율은 다소 낮으나 물질을 원자 단위로 한 층씩 쌓을 수 있어 TiO2 금속산화물층(300) 내의 결함 보완에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한 ALD 방법으로 TiO2 금속산화물층(300) 위에 HfO2 고유전율층(400)을 적층 하는 공정에 따른 단면도가 나와있다.
공정 챔버 안에 TiN 전극(200) 위에 TiO2 금속산화물층(300)이 형성된 상태로 시편을 넣고 반응물들과 퍼지 가스를 흘려주어 화학 반응을 일으켜 HfO2을 적층한다.
반응물로는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수증기(H2O)와 Hf을 공급하기 위한 전구체 TEMAH(tetrakis (ethylmethylamido) hafnium) 유체가 사용되고, 퍼지 가스로는 질소(N2)가 사용된다. 퍼지 가스는 수증기와 TEMAH를 이동하는 캐리어 가스 역할을 하며, 장비나 호스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도 한다.
ALD 공정을 통해 HfO2을 한 층의 원자수준의 두께인 1 내지 10 Å으로 적층하기 위해 각 반응물들의 공급 시간을 매우 짧게 하여 펄스 식으로 공급한다.
화학 반응에서 압력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공정 챔버 내 압력은 1. 0 torr 가 되도록 조절하며, 퍼지 가스는 50 sccm으로 유지되어야 하고, 반응물인 수증기와 TEMAH 유제의 압력은 상기 1.0 torr 에 맞게 공급한다.
도 3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 반응물들과 퍼지 가스를 공급하는 순서와 공급 시간 즉, 펄스 폭이 나와 있다.
먼저 수증기를 공급하여 TiO2 금속산화물층(300) 표면에 OH- 기를 형성한다. 다음 퍼지 가스를 흘려주고, Hf 을 공급하는 반응물인 TEMAH를 공급하고 다시 퍼지 가스를 흘려준다. 반응물인 수증기의 공급은 펄스 폭이 0.2 내지 0.8 초이고 TEMAH의 공급은 펄스 폭이 1 내지 3 초이고 반응물 공급 사이사이 흘려주는 퍼지 가스의 펄스 폭은 25 내지 45 초이다. 따라서, HfO2 고유전율층(400)을 형성하는 1 사이클은 51.2 내지 93.8 초가 된다. 1 사이클 동안 적층 되는 HfO2 고유전율층(400)의 두께가 한 층의 원자층으로 볼 수 있는 1 내지 10 Å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LD 공정은 공정 챔버의 온도를 220 내지 250 ℃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수행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ALD 공정으로 HfO2 고유전율층(400)을 적층하고나면, 백금(Pt) 전극(500)을 형성하여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완성한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살핀다.
도 4는 종래 HfO2 고유전율층 없이 제작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특성 곡선으로 저항고선이 소정값에 밀착하여 나타나지 않고 산만한 분포를 보인다.
또한, 종래 HfO2 고유전율층 없이 제작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X선 흡수스펙트럼인 도 6을 보면 제1 피크(Oxygen K-edge peak)에 앞쪽인 프리에지(pre-edge)에는 여러 개의 피크(peak)들이 나타나며, Jahn-Teller 법에 의한 제1 피크의 가우시안 피크들의 분석 결과에서도 상당히 높은 크기를 갖는 가우시안(Gaussian) 피크가 나타난다. 이는 금속산화물층(300)의 결함에 기인한 것이다.
도 5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특성 곡선이 나와 있다.
도 4에 나타난 종래 HfO2 고유전율층 없이 제작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특성 곡선에 비해, 도 5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 특성 곡선은 소정의 저항값에 밀착하는 곡선을 나타내어 윈도우 폭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의해 금속산화물층(300) 내의 결함 감소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신뢰도가 좋아졌음을 뜻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X선 흡수스펙트럼으로 제1 피크(Oxygen K-edge peak)에 앞쪽인 프리에지(pre-edge)에는 종래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에 대한 X선 흡수스펙트럼인 도 6과 달리 피크가 나타나지 않고 제1 피크를 구성하는 가우시안 피크의 크기도 작아 금속산화물층(300) 내 결함이 크게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Si/SiO2 기판 200: TiN 전극
300: 금속산화물층 400: HfO2 고유전율층
500: 백금 전극

Claims (9)

  1. 접지용 제1 전극과 전압 인가용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저항변화층이,
    상기 제1 전극 위에 형성되는 금속산화물층; 및
    상기 금속산화물층 위에 1 내지 10 Å의 두께로 형성되는 HfO2 고유전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상기 금속산화물층은 TiO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HfO2 고유전율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은 백금(Pt)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4. 접지용 제1 전극과 전압 인가용 제2 전극 사이에 저항변화층을 구비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접지용 제1 전극 위에 금속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산화물층 형성 단계 이후, HfO2 고유전율층을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한층의 원자층으로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HfO2 고유전율층을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한층의 원자층으로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산화물층 위에 HfO2 고유전율층을 형성하기 위해, 220 내지 250℃로 온도를 가온 유지하는 공정 챔버 내에 HfO2 를 형성하는 반응물인 수증기(H2O)와 TEMAH(tetrakis (ethylmethylamido) hafnium), 그리고 세정 작용을 하는 퍼지 가스(purge gas)로서 질소(N2)기체를 공급하며,
    수증기(H2O)를 펄스 상태로 흘려주고;
    퍼지 가스를 펄스 상태로 흘려주고;
    TEMAH 유체를 펄스 상태로 흘려주고;
    퍼지 가스를 펄스 상태로 흘려주는 것;을 하나의 회전 주기(1 cycle)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fO2 고유전율층을 ALD(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한층의 원자층으로 증착하는 단계에서, 수증기 펄스의 폭은 0.2 내지 0.8 초, TEMAH 유체 펄스의 폭은 1 내지 3 초 그리고 퍼지 가스 펄스의 폭은 25 내지 45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퍼터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형성함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층은 TiO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항변화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은 백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020100055643A 2010-06-11 2010-06-11 HfO2 을 삽입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2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643A KR101120475B1 (ko) 2010-06-11 2010-06-11 HfO2 을 삽입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643A KR101120475B1 (ko) 2010-06-11 2010-06-11 HfO2 을 삽입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742A KR20110135742A (ko) 2011-12-19
KR101120475B1 true KR101120475B1 (ko) 2012-02-24

Family

ID=4550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643A KR101120475B1 (ko) 2010-06-11 2010-06-11 HfO2 을 삽입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434B1 (ko) * 2012-04-17 2014-01-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항 스위칭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CN112420923A (zh) * 2020-11-26 2021-02-26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阻变存储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397A (ko) * 2007-06-29 2009-01-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정보기록방법, 저항변화기록소자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397A (ko) * 2007-06-29 2009-01-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저항변화기록소자의 정보기록방법, 저항변화기록소자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저항변화기록소자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LECTRON DEVICES MEETING , 2009 IEEE INTERNATIONAL
NTH UNIVERSITY, HSINCHU, TAIWAN 30012
한국진공학회 제38회 동계정기학술대회 프로그램집, 2010.2, P.206-2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742A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1060B2 (en) Nonvolatile memory element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incorporating nonvolatile memory element
Panda et al. Growth, dielectric properties, and memory device applications of ZrO2 thin films
US9099178B2 (en)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with electric-field strengthened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141322B2 (en) Metal floating gate composite 3D NAND memory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892733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TWI453899B (zh) MOS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221018B2 (en) NROM flash memory with a high-permittivity gate dielectric
JP2008034814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74096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メモリセル
KR101146589B1 (ko) 전하 트랩형 반도체 메모리 소자
CN101542728A (zh) 非易失性存储器件
WO2011040396A1 (ja) 窒化珪素膜の成膜方法および半導体メモリ装置の製造方法
TW201005929A (en) Mo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172588A1 (en) Method For Forming Resistive Switching Memory Elements
JP2008016814A (ja) 不揮発性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48055A1 (en) Methods of tunnel oxide layer formation in 3d nand memory structures and associated devices
JP5460011B2 (ja) 窒化珪素膜の成膜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プラズマcvd装置
KR101120475B1 (ko) HfO2 을 삽입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53310B1 (ko) Mos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라즈마 cvd 장치
TWI637485B (zh) 電阻變化元件及其製造方法
US8330207B2 (en) Flash memory device including multilayer tunnel insula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05276B1 (ko) 다층 터널 절연막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제조 방법
US919649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9666797B1 (en) Memory structure having material layer made from a transition metal on interlayer dielectric
WEI Investigation of high-K dielectric films incorporated with lanthanum and their application in flash memor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