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74B1 -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74B1
KR101120474B1 KR1020100117328A KR20100117328A KR101120474B1 KR 101120474 B1 KR101120474 B1 KR 101120474B1 KR 1020100117328 A KR1020100117328 A KR 1020100117328A KR 20100117328 A KR20100117328 A KR 20100117328A KR 101120474 B1 KR101120474 B1 KR 10112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ower
input
signal line
inp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경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코
Priority to KR102010011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3상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3상입력전원의 3개의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되는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을 검출하여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미결선 및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는 전원위상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 상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3상입력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하며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각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 및,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피 앰프(12,14,16)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되는 위상검출부(10); 및 상기 위상검출부(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위상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된 3상입력전원의 위상각을 연산하여 연산된 위상각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기준 위상각 데이터(A)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의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Apparatus To Detect Phase Of Input Power For Pulsewidth Modulation Converter}
본 발명은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WM 컨버터에 인가되는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위상을 검출하여, 상기 전원신호라인의 미결선 및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이상결선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WM 컨버터는 3상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원인 3상입력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후단에 회로구성되는 평활콘덴서 및 인버터로 변환된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설치장소에 3상모터를 장착하고 필요한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실수 또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미결선 및 오결선 등의 결선이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선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3상모터를 구동시킬 경우, 상기 3상모터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역회전하게 되어 각 회로부품이 파손되거나 기능이 상실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3상모터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결선이상을 감지하기 위해 제로크로싱 포인트를 검출하거나 전류에 기반하여 위상을 검출하였는데, 이 경우 입력되는 3상입력전원의 위상 흔들림이나 노이즈성 전원 변동으로 인해 파형이 왜곡되어 출력되었으며, 이로 인해 PWM 컨버터가 오동작하거나 불안정한 상태에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PWM 컨버터에 인가되는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위상을 검출함에 있어서, 3상입력전원의 입력값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위상을 검출할 수 있는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에 따르면, 3상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3상입력전원의 3개의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되는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을 검출하여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미결선 및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는 전원위상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 상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3상입력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하며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각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 및,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피 앰프(12,14,16)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되는 위상검출부(10); 및 상기 위상검출부(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위상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된 3상입력전원의 위상각을 연산하여 연산된 위상각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기준 위상각 데이터(A)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의 경고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및 오결선된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경고표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및 오결선 판단시 상기 경고표시부(6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고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3상입력전원의 입력값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위상을 검출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미결선 및 오결선 등의 결선이상 여부를 신속하게 판별함과 동시에 판별된 결선이상에 대한 현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및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결선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상검출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상검출부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는, 3상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3상입력전원의 3개의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되는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을 검출하여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미결선 및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는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전원신호라인(1,2,3)은,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입력단자에 접속되어 각 전원신호라인(1,2,3)별로 주파수는 같으며 각각 120도의 위상차가 나타나는 형태로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입력신호(R,S,T)가 개별적으로 인가되어 소통하는 신호라인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전원신호라인(1,2,3)이 정상결선된 상태일 경우, 도 1에 도시된 첫번재 전원신호라인(1)은 3상입력전원의 같은 주파수를 가지며 서로 다른 위상각을 갖는 3개의 전원입력신호 중 임의의 전원입력신호(R)이 인가되는 신호라인이고, 두번째 전원신호라인(2)은 상기 전원입력신호(R)와 120도의 위상각이 차이나는 전원입력신호(S)가 인가되는 신호라인이며, 세번째 전원신호라인(3)은 상기 전원입력신호(S)와 120도의 위상각이 차이나는 전원입력신호(T)가 인가되는 신호라인이다.
또한, 상기 PWM 컨버터는 3상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원인 3상입력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후단에 회로구성되는 평활콘덴서 및 인버터로 변환된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는, 위상검출부(10), 제어부(40) 및 경고표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위상검출부(10)는,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접속되어 각 전원신호라인(1,2,3)별로 입력되는 3상입력전원(R,S,T)의 각 위상을 감지하여 상기 위상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압값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어부(40)로 하여금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미결선 및 오결선 등의 이상결선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 상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3상입력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하며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각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 및,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피 앰프(12,14,16)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원신호라인(1,2,3)별로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가 접속되며 하나의 아이솔레이션 앰프의 출력단에는 하나의 오피 앰프가 접속되어, 총 3개의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와 3개의 오피 앰프(12,14,16)로 회로구성된다.
먼저, 전원신호라인(1)에 접속된 아이솔레이션 앰프(11)는, 전원신호라인(1)을 통해 인가된 전원입력신호(R)를 입력단자2(VIN+)와 입력단자3(VIN-)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전원입력신호(R)가 갖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함과 동시에, 보정된 전원입력신호(R)의 위상각의 크기에 따라 전압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된 전압값은 전원출력단자7(VOUT+)과 전원출력단자6(VOUT-)를 통해 오피 앰프(12)의 두 개의 입력단자(5,6)로 전달되는데, 상기 오피 앰프(12)는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을 상기 제어부(40)가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단자(7)를 통해 상기 제어부(40)의 A/D입력단자로 전달한다. 즉,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와 오피 앰프(12)는, 상기 전원입력신호(1)에 인가된 전원입력신호(R)의 위상각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전압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전원입력신호(R)의 위상각을 수치화된 데이터로 제어부(40)에 제공한다.
또한, 전원신호라인(2)에 접속된 아이솔레이션 앰프(13)는, 전원신호라인(2)을 통해 인가된 전원입력신호(S)을 입력단자2(VIN+)와 입력단자3(VIN-)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전원입력신호(S)가 갖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함과 동시에, 보정된 전원입력신호(S)의 위상각의 크기에 따라 전압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된 전압값은 전원출력단자7(VOUT+)과 전원출력단자6(VOUT-)를 통해 오피 앰프(12)의 두 개의 입력단자(5,6)로 전달되는데, 상기 오피 앰프(14)는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3)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을 상기 제어부(40)가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단자(7)를 통해 상기 제어부(40)의 A/D입력단자로 전달한다. 즉,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3)와 오피 앰프(14)는, 상기 전원입력신호(2)에 인가된 전원입력신호(S)의 위상각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전압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전원입력신호(S)의 위상각을 수치화된 데이터로 제어부(40)에 제공한다.
더불어, 전원신호라인(3)에 접속된 아이솔레이션 앰프(15)는, 전원신호라인(3)을 통해 인가된 전원입력신호(T)을 입력단자2(VIN+)와 입력단자3(VIN-)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전원입력신호(T)가 갖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함과 동시에, 보정된 전원입력신호(T)의 위상각의 크기에 따라 전압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된 전압값은 전원출력단자7(VOUT+)과 전원출력단자6(VOUT-)를 통해 오피 앰프(16)의 두 개의 입력단자(5,6)로 전달되는데, 상기 오피 앰프(16)는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5)로부터 입력된 전압값을 상기 제어부(40)가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단자(7)를 통해 상기 제어부(40)의 A/D입력단자로 전달한다. 즉,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5)와 오피 앰프(16)는, 상기 전원입력신호(3)에 인가된 전원입력신호(T)의 위상각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전압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전원입력신호(T)의 위상각을 수치화된 데이터로 제어부(40)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위상검출부(10)로부터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각 위상각에 대한 전압값을 전달받아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되는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입력신호(R,T,S)에 대한 미결선 및 오결선 등의 결선이상을 판별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위상검출부(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위상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된 3상입력전원의 위상각을 연산하여 연산된 위상각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기준 위상각 데이터(A)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경고표시부(60)는, 별도의 화면창 또는 표시등의 수단을 통해 작업자 및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결선이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0)의 경고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및 오결선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로서, 문자 또는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창을 통해 해당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미결선 또는 오결선된 세부현황을 표시하거나, 소정의 색상으로 구분되는 표시등을 통해 미결선 또는 오결선된 현황을 나타내는 색상의 표시등을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세부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검출부(10)의 각 오피 앰프(12,14,16)으로부터 각 전원입력신호(R,S,T)의 위상각에 대한 전압값을 A/D입력단자를 통해 개별적으로 전달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각 오피 앰프(12,14,16) 중 하나 이상의 오피 앰프로부터 상기 전압값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해당 오피 앰프와 접속된 전원신호라인에 3상입력전원이 미결선되어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표시부(60)와 접속되어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신호라인을 통해 경고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경고표시부(60)를 통해 해당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미결선된 현황을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위상각 데이터(A)는,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입력신호(R,S,T)의 상순이 정상결선 되었을 때, 상기 위상검출부(10)를 통해 검출되는 각 전원신호라인(1,2,3)별로 출력되는 전압값에 대한 데이터로서,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입력신호(R,S,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상이 120도씩 차이나는 교류전원신호이기 때문에 상기 전압값 역시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는 형태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위상검출부(10)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압값의 변화하는 전압값 신호의 형태를 판독함으로써 해당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되는 전원입력신호의 위상각을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된 3상입력전원의 위상각을 연산하여 연산된 위상각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기준 위상각 데이터(A)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오결선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상순이 정상결선될 때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위상각의 상순이 120도, 240도 및 360도일 경우, 연산된 전원입력신호의 위상각이 120도, 360도 및 240도이거나, 240도, 120도 및 360도이거나, 360도, 240도 및 120도 등과 같이 상순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각 전원신호라인(1,2,3)는 오결선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각 전원신호라인(1,2,3)이 오결선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경고표시부(60)와 접속되어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신호라인을 통해 경고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경고표시부(60)를 통해 해당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오결선된 현황을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오결선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오결선된 상태에서 3상입력전원이 후단에 접속되어 회로구성되는 정류부(50), 평활콘덴서(미도시) 및 인버터(미도시)에 인가되어 각 회로부품이 파손되거나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상기 정류부(50)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복수 개의 스위치(S1,S2,S3)로 회로구성되는 스위칭부(30)를 제어하여 각 전원신호라인(1,2,3)를 단락시킴으로써 후단에 회로구성되는 정류부(50), 평활콘덴서 및 인버터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정상결선될 때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위상각의 상순과 연산된 전원입력신호의 위상각의 상순이 동일할 경우, 정상결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스위칭부(30)의 각 스위치(S1,S2,S3)를 선택적으로 접점시켜 PWM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리액터부(20)와 상기 스위칭부(30)의 동작에 의해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가 같아지도록 하여 역률이 개선된 상태로 상기 3상입력전원을 상기 정류부(50)의 입력단에 인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예에 따른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3상입력전원이 각 전원입력단자에 인가되면 상기 위상검출부(10)는, 각 전원신호라인(1,2,3)별로 입력되는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을 감지하여 상기 위상에 대응하는 크기의 전압값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3상입력전원의 위상을 검출한다.(S100)
이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위상검출부(10)로부터 전달되는 전압값을 감지함으로써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미결선 여부를 판단한다.(S110)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위상검출부(10)의 각 오피 앰프(12,14,16)로부터 상기 전압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전압값이 입력되지 않는 오피 앰프가 하나 이상 발생할 경우, 해당 오피 앰프와 접속된 전원신호라인은 3상입력전원이 미결선되어 인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경고표시부(60)를 통해 해당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미결선된 현황을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경고한다.(S111)
반면에, 모든 오피 앰프(12,14,16)로부터 각각의 전압값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는 미결선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 제어부(40)를 통해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오결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위상검출부(10)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압값의 변화하는 전압값 신호의 형태를 판독함으로써 해당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되는 전원입력신호(R,S,T)의 위상각을 연산한다.(S120)
이후,상기 제어부(40)는,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된 3상입력전원의 위상각을 연산하여 연산된 위상각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기준 위상각 데이터(A)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오결선 여부를 판별한다.(S130)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각 전원신호라인(1,2,3)이 오결선된 것으로 판별될 경우, 상기 경고표시부(60)와 접속되어 제어신호가 전달되는 신호라인을 통해 경고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경고표시부(60)를 통해 해당 전원신호라인에 대한 오결선된 현황을 작업자 또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경고하며, 상기 정류부(50)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복수 개의 스위치(S1,S2,S3)로 회로구성되는 스위칭부(30)를 제어하여 PWM 신호가 차단되도록 각 전원신호라인(1,2,3)를 단락시킴으로써 후단에 회로구성되는 정류부(50), 평활콘덴서 및 인버터 등을 보호할 수 있다.(S131)
반면에, 상기 제어부(40)는, 정상결선될 때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위상각의 상순과 연산된 전원입력신호의 위상각의 상순이 동일할 경우 정상결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스위칭부(30)의 각 스위치(S1,S2,S3)를 선택적으로 접점시킴으로써 PWM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의 각 구성에 의해, 3상입력전원의 입력값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위상을 검출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및 오결선 등의 결선이상 여부를 신속하게 판별함과 동시에 판별된 결선이상에 대한 현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및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결선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2,3...전원신호라인 10...위상검출부
11,13,15...아이솔레이션 앰프 12,14,16...오피 앰프
20...리액터부 30...스위칭부
40...제어부 50...정류부
60...경고표시부

Claims (2)

  1. 3상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3상입력전원의 3개의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되는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을 검출하여 각 전원신호라인(1,2,3)의 미결선 및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는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 상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3상입력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잡음을 보정하며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위상각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 및,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아이솔레이션 앰프(11,13,15)로부터 출력된 전압값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피 앰프(12,14,16)를 포함하여 회로구성되는 위상검출부(10); 및
    상기 위상검출부(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위상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인가된 3상입력전원의 위상각을 연산하여 연산된 위상각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기준 위상각 데이터(A)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오결선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의 경고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3상입력전원의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및 오결선된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경고표시부(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 전원신호라인(1,2,3)에 대한 미결선 및 오결선 판단시 상기 경고표시부(6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고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KR1020100117328A 2010-11-24 2010-11-24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KR10112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328A KR101120474B1 (ko) 2010-11-24 2010-11-24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328A KR101120474B1 (ko) 2010-11-24 2010-11-24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474B1 true KR101120474B1 (ko) 2012-02-29

Family

ID=4584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328A KR101120474B1 (ko) 2010-11-24 2010-11-24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28B1 (ko) * 2016-07-15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오결선 검출 장치 및 방법
CN111244891A (zh) * 2020-01-17 2020-06-05 四川万益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无功补偿配电房的仪表自检接线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677A (ko) * 1993-02-06 1994-09-16 김주용 위상 제어 회로
KR980012760A (ko) * 1997-03-05 1998-04-30 김명동 전선로의 비상보호장치
KR20040089155A (ko) * 2003-04-10 2004-10-21 주식회사 남전사 오결선 검출 및 경보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KR20090103856A (ko) * 2009-08-27 2009-10-01 김보경 절연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677A (ko) * 1993-02-06 1994-09-16 김주용 위상 제어 회로
KR980012760A (ko) * 1997-03-05 1998-04-30 김명동 전선로의 비상보호장치
KR20040089155A (ko) * 2003-04-10 2004-10-21 주식회사 남전사 오결선 검출 및 경보표시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KR20090103856A (ko) * 2009-08-27 2009-10-01 김보경 절연감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28B1 (ko) * 2016-07-15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오결선 검출 장치 및 방법
CN111244891A (zh) * 2020-01-17 2020-06-05 四川万益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无功补偿配电房的仪表自检接线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203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including DC link voltage detection unit
US10579085B2 (en) Power distribution unit and fault detecting method
US10263558B2 (en) Phase loss detection in active front end converters
CN111936874B (zh) 电动机的诊断装置
JP5170318B2 (ja) 高電圧回路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US9871479B2 (en) Fault detection system for isolated two-switch exciter drive gate driver
KR20130029195A (ko) 차량용 구동모터의 레졸버 고장감지시스템
KR101120474B1 (ko) Pwm 컨버터의 전원위상 검출장치
KR101238694B1 (ko) 오결선 검출 및 결선 변경이 가능한 디지털 계전기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감지 및 결선 변경 방법
JP4811026B2 (ja) 電圧センサの異常検出方法、異常検出装置および電圧センサ
JP4993777B2 (ja) VoIPアダプタにおけるACアダプタ誤接続防止装置、及び防止方法
JP2009301418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及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を用いた異常検出方法
JP6456115B2 (ja) 地絡検出回路故障診断装置
JP2016189689A (ja) 電動機駆動装置
US11293994B2 (e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capable of outputting type of leakage curr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150110A (ja) 回路接続性を監視することを含む方法及びシステム
CN106885965B (zh) 一种用于变频器的故障检测的装置和方法
KR101237363B1 (ko) Pwm 컨버터 제어방법
CN107370120B (zh) 三相电源保护装置及电力系统
KR20210148630A (ko)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갖는 교류전류를 생성하는 주소형 화재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시스템
GB2527892A (en) Residual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with detection which is purely dependent on the power supply system voltage.
JP6627503B2 (ja) 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JP4470809B2 (ja) 電子式電力量計
KR102004170B1 (ko) 전력 제어 체크 시스템
JP5457152B2 (ja) 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