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877B1 -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877B1
KR101119877B1 KR1020090017920A KR20090017920A KR101119877B1 KR 101119877 B1 KR101119877 B1 KR 101119877B1 KR 1020090017920 A KR1020090017920 A KR 1020090017920A KR 20090017920 A KR20090017920 A KR 20090017920A KR 101119877 B1 KR101119877 B1 KR 101119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
linoleic acid
carnitine
conjugated linole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427A (ko
Inventor
김정옥
하영래
문연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에이치케이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9001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8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205Amine addition salts of organic acids; Inner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betaine, 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과 함께 L-카르니틴(L-carnit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이며, 이러한 조성물 제조를 위해 L-카르니틴을 먼저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공액리놀레산을 혼합한 후 감압증류하는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에 공액리놀레산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지방감소 효과를 가진다.
공액리놀레산, CLA, 지방감소

Description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Skin Topical Composition For Reduction Of Fa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지방감소에 유용한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특히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과 함께 L-카르니틴(L-carnit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공액리놀레산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지방감소 효과를 가지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현대인의 불규칙적이고 서구화된 식사와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과체중 및 비만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암,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과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공액리놀레산은 체지방감소효과를 비롯한 항당뇨효과, 면역증강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갖는 기능성 물질임이 많은 연구자에 의해 밝혀졌으며, 공액리놀레산 의 체지방 감소 기작은 에너지 섭취의 감소, lipogenesis 저해, lipoprotein lipase activity를 저해, 지방산 산화의 증가, 지방산 유리를 감소, CPT(carnitine acyl transferase)활성을 증가, 지방세포 크기의 감소, 지방축적 감소 등에 기인하여 체지방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최근에 공고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03142호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공액리놀레산 또는 그것의 염을 2~70중량%로 함유하여 지방침착 및 셀룰라이트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국소 투여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03142호에 따른 조성물이 가지는 지방감소 효과는 상당히 미흡하여, 더 높은 지방감소 효과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지방감소용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공액리놀레산과 함께 L-carnitine 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한 지방감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과 함께 L-카르니틴(L-carnit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에 공액리놀레산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지방감소 효과를 가지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이 지용성이고 L-카르니틴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서로 잘 용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상기 공액리놀레산과 함께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L-카르니틴(L-carnitine)이 에탄올에 용해된 제1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제1용액에, c9,t11 CLA(Conjugated Linoleic Acid) 및 t10,c12 CLA를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과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oleic acid (C18:1) 및 linoleic acid (C18:2)을 포함하는 지방산을 혼합하여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용액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액을 준비하는 것은, L-카르니틴과 에탄올을 1:3 내지 1:10의 비율(kg/L)로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감압증류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감압증류에 의해 에탄올이 제거된 조성물과 피부도포용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가능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과 함께 L-카르니틴(L-carnit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에 공액리놀레산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지방감소 효과를 가지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카르니틴을 먼저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공액리놀레산을 혼합한 후 감압증류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상기 공액리놀레산과 함께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인체의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로서,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과 함께 L-카르니틴(L-carnit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공액리놀레산과 함께 L-카르니틴을 포함하는 조성 물의 경우, 종래에 공액리놀레산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지방감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반적으로,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 CLA)은 C18:2 지방산의 위치 및 배위 이성체, 보다 정확하게는 9,11-, 10,12- 및 11, 13-옥타데카디엔산의 시스 및 트랜스 형태의 부류를 포괄한다.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액리놀레산은 잇꽃씨유나 해바라기씨유를 이성화시켜 제조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공액리놀레산의 경우 여러 가지 이성체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크게는 순수 공액리놀레산이 70~80중량%, 상기 순수 공액리놀레산 이외의 지방산이 20~30중량%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순수 공액리놀레산으로는 주로 c9,t11 CLA와 t10,c12 CLA가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고, c9,c11 CLA와 t9,t11 CLA도 소량함유 되어있으며, 상기 순수 공액리놀레산 이외의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oleic acid (C18:1) 및 linoleic acid (C1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03142호는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 CLA) 또는 그것의 염을 2~70중량%로 함유하여 지방침착 및 셀룰라이트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국소 투여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여기서 상기 공액리놀레산 또는 그것의 염의 함량이 순수 공액리놀레산을 대상으로 하는 것인지 상기 순수 공액리놀레산 이외의 지방산을 함께 포함하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으나, 본 발명 및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등록특허와의 저촉을 피하기 위하여, 공액리놀레 산과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순수 공액리놀레산을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순수 공액리놀레산을 순수 CLA로 기재하였다.
한편, L-Carnitine은 체내에서 지방이 분해되어 에너지화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물질로써 지방산을 세포내 미토콘드리아로 이송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운동선수, 어린이, 임산부, 산모와 같이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 사람에게서 많이 생성되는데, 라이신과 메티오닌으로부터 생체내에서 생합성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체지방 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고, 특히 공액리놀레산만 사용하였을 때 보다 L-carnitine을 함께 포함하는 혼합제는 공액리놀레산의 체지방 감소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순수 CLA는 전체 피부도포용 조성물에서 0.1중량% 이상 내지 2중량% 미만의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고, 또한 70중량% 초과 내지 90중량% 이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순수 CLA가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지방감소효과가 떨어지고, 비용측면에서 90중량%를 초과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2중량% 이하 70중량% 범위 이내인 경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03142호와의 저촉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은 에탄올(ethanol) 또는 피부도포용 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피부도포용 제제는 로션, 크림, 겔 또는 패치 형태의 화장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일체의 재료 또는 성분을 뜻하는 것으로, 인체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인데, 일반적으로 공액리놀레산(CLA)은 지용성이고 L-carnitine은 수용성이어서 서로 용해되지 않았다. 그래서, 만약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을 함유하는 혼합제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혼합과정에서 다시 층분리가 일어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을 혼합하는 제품은 종래에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두 불용성 물질들을 서로 완전히 용해하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L-카르니틴(L-carnitine)이 에탄올에 용해된 제1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제1용액에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을 혼합하여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용액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즉, 서로 섞이지 않는 두가지 성분인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을 용액상태로 제 조하기 위해서 먼저 L-carnitine을 ethanol에 녹인다음, 여기에 공액리놀레산을 넣고 용액 상태로 만든다. 이후 상기 용액을 감압증류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만들수 있었다.
또한, 상기 감압증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감압증류에 의해 에탄올이 제거된 조성물과 피부도포용 제제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피부도포용 조성물은 로션, 크림, 겔 또는 패치 형태의 화장품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
먼저,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비율로 L-Carnitine을 에탄올에 용해하였다. 그리고, 상기 L-carnitine/ethanol용액에 공액리놀레산을 혼합하였고, 공액리놀레산, L-carnitine 및 ethanol 혼합용액을 BUCHI Ratavapor R-220 (20L)를 사용하여 80C,  100mmTorr에서  ethanol이 더이상 증류되어 나오지 않을 때 까지 감압농축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조성물에 대하여, 80℃ 수욕조 상에서 30분 이내에 녹는점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 : L-carnitine/ethanol용액]
비율 (w/v, kg/L) 용해성1) 성상
L-Carnitine
(kg)
Ethanol
(L)
1.0 1.0 × 우유빛의 점성이 높은 액상이며 녹지않은 L-carnitine이 바닥에 깔아 앉음
1.0 1.5 × 우유빛의 점성이 높은 액상이며 녹지않은 L-carnitine이 바닥에 깔아 앉음
1.0 2.0 × 점성이 높은 아이보리색의 용액이 되고 저어주지 않으면 불용해 L-carnitine이 바닥에 깔아 앉음
1.0 2.5 아이보리색의 투명액상, 점성이 강하고 완전히 용해되지는 않음
1.0 3.0 맑게 녹은 점성이 있는 투명액상
1)×; 용해도가 낮음, △; 용해성은 강하나 완전히 녹지는 않음, ○; 완전히 녹음
그 결과, L-Carnitine을 ethanol에 용해하여 용액화하는 단계에서 적정한 비율의 L-carnitine과 ethanol 혼합비는,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L-carnitine:ethanol (w/v, 1:3)이었으며, 이에 따라 1:3이상을 사용하여 L-carnitine을 ethanol에 용해함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L-carnitine/ethanol용액에 공액리놀레산을 혼합함에 있어서, 상기 L-carnitine/ethanol용액은 L-Carnitine과 ethanol의 혼합용액(L-carnitine:ethanol : w/v, 1:3)을 사용하였고, 여기에 공액리놀레산으로는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공액리놀레산을 사용하였으며, 그 함량비는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2 : 공액리놀레산의 지방산 구성비]
지방산 구성비 (%) 비고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Oleic acid (C18:1)
Linoleic acid (C18:2)
c9,t11 CLA
t10,c12 CLA
c9,c11 CLA
t9,t11 CLA
6.54
2.42
13.67
1.24
36.61
37.32
0.87
1.33


공액리놀레산 중 총 순수 CLA함량 (%) : 76.13
[표 3 :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혼합조성물 제조예]
시료 공액리놀레산
(g)
Ethanol1)
(g)
L-Carnitine
(g)
Ethanol 제거 후 시료중 순수 CLA함량 (%)
CLA-Car 1 1000 180 5.0 75.75
CLA-Car 2 1000 180 10.0 75.38
CLA-Car 3 1000 180 20.0 74.64
CLA-Car 4 1000 180 30.0 73.91
CLA-Car 5 1000 180 40.0 73.20
CLA-Car 6 1000 180 50.0 72.50
CLA-Car 7 1000 180 60.0 71.82
CLA-Car 8 1000 180 70.0 71.15
CLA-Car 9 1000 180 80.0 70.49
1)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혼합조성물에는 포함되지 않음
상기에서 사용된 공액리놀세산 중 순수 CLA는 76.13중량%로 함유되었으며, 공액리놀레산 대비 L-carnitine 함량비는 0.5중량% 내지 8%중량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액리놀레산 중에서 순수 CLA함량이 70중량% 초과인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순수 CLA함량이 2중량% 미만인 조성물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즉, 상기 [표 3]에 기재된 CLA-Car 2 시료(순수 CLA 함량 75.38%)에 Ethanol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함량으로 혼합하였다.
[표 4 : 순수 CLA 함량 2% 미만인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혼합조성물 제조예]
시료 CLA-Car 2
(g)
Ethanol
(g)
시료중 평균 순수 CLA함량 (%)
0.1% CLA 1.327 998.673 0.1
0.5% CLA 6.635 993.365 0.5
1.0% CLA 13.27 986.73 1.0
1.5% CLA 19.91 980.09 1.5
1.8% CLA 23.89 976.11 1.8
실시예 2: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표 4]에서 1.5% CLA 시료(시료중 평균 순수 CLA함량 : 1.5중량%)를 대상으로 ethanol 대신 로션, 크림, 겔 제조에 필요한 다른 피부도포용 제제를 배합하여 순수 CLA함량이 2% 미만인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피부도포용 제제는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표 5 : CLA함량 2% 미만 인 CLA 로션, CLA 크림, CLA 겔 제조예]
성분 CLA 로션 (g) CLA 크림 (g) CLA 겔 (g)
CLA-Car 2 1.991 1.991 1.991
Tween60 1.0 1.0 2.0
Arlacel60 1.0 0.5
Arlacel65 1.0 0.5
1,3-Butylene glycol 8.0
Cetyl alcohol 3.0 3.0
Glycerine 5.0 5.0
wax 2.0 6.0 1.0
Mineral oil 5.0 15 3.0
Liquid paraffine 5.0 15
Methylparaben 0.2 0.2 0.2
Carbomer 1.5 0.5
Sorbitol 2.0
Lemon essential oil 0.5 0.5 0.5
Cyprus oil 0.5 0.5 0.5
Ethanol 10
Water 73.309 48.809 71.309
실험예 1 : 조성물의 지방감소 효과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혼합 조성물에 대하여, 마우스를 대상으로 체지방 감소 증진 효과 등을 실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순수 CLA 함량이 70중량% 초과인 조성물은 점액질이어서, 마우스의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 단위에서 정확한 양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실험적인 단점이 있어서, 본 실험예에서는 액상형을 가지는 순수 CLA 함량이 2중량% 미만인 조성물(1.5% CLA 시료)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1) 실험과정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혼합조성물의 체지방 감소 증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10주령의 female ICR 마우스를 온도, 습도 및 자연광에 가까운 조명으로 사료와 물이 충분히 공급되는 사육실에서 1주간 적응시킨 다음 시험에 임하였다. 각 처리군별로 10 마리씩 한 cage당 5마리씩을 입실하여 사육하였다. 사료는 chow diet와 물은 자유로이 먹도록 하였다.
실험군은, 처리시료 도포량 0㎕(무 처리군), CLA함량 1.5% ethanol용액(CLA 처리군), 그리고 [표 4]의 1.5% CLA 시료(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혼합조성물 처리군), 0.15% L-carnitine ethanol 용액(L-carnitine처리군) 처리군으로 하였고, 이에 대하여 매일 50, 100, 150 ㎕ 씩을 마우수의 털을 제거한 등 부위에 도포하였다.
최초 처리일로부터 15일 후, 마지막 처리 24시간 후에 내장을 적출하고 내장지방의 축적을 관찰하였으며, 내장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내장지방을 분리한 나머지를 동결건조한 다음, 속시렛방법으로 지방을 추출하고, 체지방함량을 측정하였다. 최초 처리일로부터 매 3일마다 몸무게를 측정하였으며, 매 3일마다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마지막 일의 mouse 혈액을 채취하고 혈장중의 leptin, insulin 함량을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실험결과는 도 1과 하기 [표 6] 및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CLA만 처리하거나 L-carnitine만 처리한 군에 비해 CLA와 L-carnitine의 혼합조성물 처리 군(CLA+L-Car)은, 체지방이 12.2±0.8에서 9.0±0.3으로 현저히 우수하게 감소하였고, 내장지방 역시 4.1±0.7에서 2.0±0.2으로 현격히 감소하였으며, 유의성 있는 (P<0.05) 체중감소효과, 체지방 감소효과, 내장지방 감소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표 6 : 무처리군 (도포량 0㎕), 공액리놀레산 처리군 (CLA함량 1.5% ethanol용액),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혼합조성물 처리군([표 4]의 1.5% CLA 시료), L-carnitine처리군 (0.15% L-carnitine ethanol 용액)에 대하여 최초 처리일로부터 15일 후, 마지막 처리 24시간 후의 체중, 복부지방 및 일일 사료섭취량 (g)]
구 분 도포량 (㎕)
0 50 100 150
체중
(g/mouse)
Control1) 39.1±1.6 40.1±1.1 A 38.3±2.2 A 39.8±1.3 A
CLA2) 39.1±1.6 a 34.6±2.6 bBC 35.0±1.2 bB 34.9±2.1 bB
CLA+L-Car3) 39.1±1.6 a 33.3±0.9 bC 32.2±1.3 bC 32.1±1.5 bB
L-Car4) 39.1±1.6 38.7±2.2 AB 38.8±1.2 A 39.7±1.8 A
체지방 (g/mouse) Control1) 12.2±0.8 11.2±0.6 bAB 12.8±0.9 bA 13.2±1.0 bA
CLA2) 12.2±0.8 a 11.1±0.7 aAB 11.3±1.0 bAB 11.2±0.7 bB
CLA+L-Car3) 12.2±0.8 a 10.3±0.5 bB 10.1±0.7 bB 9.0±0.3 bC
L-Car4) 12.2±0.8 13.2±0.9 A 12.9±0.7 bA 11.9±0.6 bB
내장지방 무게
(g/mouse)
Control1) 4.1±0.7 4.9±0.5 aA 3.4±0.3 aA 4.8±0.2 aA
CLA2) 4.1±0.7 a 2.8±0.4 bB 3.0±0.7 bA 2.6±1.3 bB
CLA+L-Car3) 4.1±0.7 a 2.1±0.1 bB 2.1±0.1 bB 2.0±0.2 bB
L-Car4) 4.1±0.7 3.8±0.7 aA 3.9±0.5 aA 3.9±0.6 aA
일일평균 사료
섭취량
(g/mouse)
Control1) 4.6±0.5 5.6±0.9 4.0±0.6 5.0±0.3
CLA2) 4.6±0.5 4.0±0.8 3.8±0.5 3.7±0.3
CLA+L-Car3) 4.6±0.5 4.2±0.2 4.1±0.2 4.1±0.7
L-Car4) 4.6±0.5 4.8±0.2 4.2±0.6 5.6±0.6
1) 해당용량의 ethanol 만 15일간 처리
2) 1.5%의 CLA를 함유하는 ethanol용액을 15일간 처리
3) [표 4]의 1.5% CLA 시료를 15일간 처리
4) 0.15%의 L-carnitine을 함유하는 ethanol 용액을 15일간 처리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동일 처리군에서의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동일 농도에서 서로 다른 영어 대문자는 유의성이 있음)
[표 7 : 무처리군 (도포량 0㎕), 공액리놀레산 처리군 (CLA함량 1.5% ethanol용액), 공액리놀레산과 L-carnitine의 혼합조성물 처리군([표 4]의 1.5% CLA 시료), L-carnitine처리군 (0.15% L-carnitine ethanol 용액)에 대하여 최초 처리일로부터 15일 후, 마지막 처리 24시간 후에 측정한 leptin (pg/ml)함량과 insulin (ng/ml) 함량]
구 분 도포량 (㎕)
0 50 100 150
Leptin
(pg/ml 혈장)
Control1) 724.4±45.4 790.9±34.1 A 763.9±79.1 A 700.2±32.9 A
CLA2) 724.4±45.4 a 277.3±26.3 bB 458.1±44.8 cB 284.0±42.7 cB
CLA+L-Car3) 724.4±45.4 a 345.9±25.7 bC 317.9±23.0 bC 334.1±55.1 bB
L-Car4) 724.4±45.4 679.2±76.3 A 780.0±99.1 A 687.4±35.8 A
Insulin
(ng/ml 혈장)
Control1) 2.3±0.6 3.1±0.5 A 2.3±0.9 2.1±0.4
CLA2) 2.3±0.6 b 4.0±1.5 aA 2.5±0.6 ab 2.9±0.3 ab
CLA+L-Car3) 2.3±0.6 1.9±0.7 B 2.7±0.5 2.2±0.4
L-Car4) 2.3±0.6 2.0±0.5 AB 1.9±0.2 2.0±0.5
1) 해당용량의 ethanol 만 15일간 처리
2) 1.5%의 CLA를 함유하는 ethanol용액을 15일간 처리
3) [표 4]의 1.5% CLA 시료를 15일간 처리
4) 0.15%의 L-carnitine을 함유하는 ethanol 용액을 15일간 처리
통계처리: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한 0.05% 유의차 (동일 처리군에서의 서로 다른 영어 소문자는 유의성 있음; 동일 농도에서 서로 다른 영어 대문자는 유의성이 있음)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과 함께 L-카르니틴(L-carniti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에 공액리놀레산만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보다 현저히 우수한 지방감소 효과를 가지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지방감소 효과 실험에서, Ethanol용액(도 1), CLA(도 2), CLA + L-carnitine(도 3), L-carnitne() 100㎕ 를 처리한 실험군의 내장지방 사진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L-카르니틴(L-carnitine)이 에탄올에 용해된 제1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제1용액에, c9,t11 CLA(Conjugated Linoleic Acid) 및 t10,c12 CLA를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과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oleic acid (C18:1) 및 linoleic acid (C18:2)을 포함하는 지방산을 혼합하여 제2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용액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용액을 준비하는 것은, L-카르니틴과 에탄올을 1:3 내지 1:10의 비율(kg/L)로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증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감압증류에 의해 에탄올이 제거된 조성물과 피부도포용 제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17920A 2009-03-03 2009-03-03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119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20A KR101119877B1 (ko) 2009-03-03 2009-03-03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20A KR101119877B1 (ko) 2009-03-03 2009-03-03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27A KR20100099427A (ko) 2010-09-13
KR101119877B1 true KR101119877B1 (ko) 2012-02-28

Family

ID=4300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920A KR101119877B1 (ko) 2009-03-03 2009-03-03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8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156A (ko) * 1999-09-09 2003-01-17 펜타팜아게 셀룰라이트의 국소 치료를 위한 공액 리놀레산(cla)의용도
US20030054082A1 (en) 2001-04-26 2003-03-20 Kao Corporation Oil or fat composition
WO2005089567A1 (en) 2004-03-17 2005-09-29 Nestec S.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or preventing obes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156A (ko) * 1999-09-09 2003-01-17 펜타팜아게 셀룰라이트의 국소 치료를 위한 공액 리놀레산(cla)의용도
US20030054082A1 (en) 2001-04-26 2003-03-20 Kao Corporation Oil or fat composition
WO2005089567A1 (en) 2004-03-17 2005-09-29 Nestec S.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or preventing obe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27A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262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US2010013719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US8372825B2 (en)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ortisone
EP1872772B1 (de) Verwendung von Biotin oder einem Biotinderivat zur Aufhellung der Haut und/oder zur Ausglättung von farblichen Hautunebenheiten
EP3335693B1 (e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A2408575A1 (fr)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a base d&#39;extraits de cacao
TW201141522A (en) Carrier composition
US4054649A (en)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the treatment of lesions of connective tissue
WO2018074642A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US20020012648A1 (en) High phospholipid-containing dermatological compositions
JPH10114648A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1119877B1 (ko) 지방감소를 위한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170001649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조성물
US20240091132A1 (en) Bertholletia excelsa extract and use thereof
KR101322850B1 (ko)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13842332B (zh) 一种唇釉及其制备方法
KR101817187B1 (ko) 네오헤스페리딘의 신규의 용도
JPH06192082A (ja) 細胞膜老化改善剤
JPS58162511A (ja) 養毛用組成物
KR20130117158A (ko) 라저스트로미아 오바리폴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CN116059239A (zh) 一种含大麻二酚的组合物及其应用
WO2018212147A1 (ja) 肌くすみ抑制剤及び肌バリア機能維持又は改善剤
JP2003171227A (ja)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JP2003146870A (ja) 脂肪分解促進剤及び痩身方法
JP2004331530A (ja) 皮膚若しくは毛髪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