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263B1 -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263B1
KR101119263B1 KR1020090099326A KR20090099326A KR101119263B1 KR 101119263 B1 KR101119263 B1 KR 101119263B1 KR 1020090099326 A KR1020090099326 A KR 1020090099326A KR 20090099326 A KR20090099326 A KR 20090099326A KR 101119263 B1 KR101119263 B1 KR 10111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input
lexical
data structure
vocabu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42592A (en
Inventor
김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담러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담러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담러닝
Priority to KR102009009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263B1/en
Publication of KR2011004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5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2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어휘 학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어휘 학습 장치는,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제1 어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휘 데이터의 출력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및 사용자 입력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ocabulary learning device is provided. The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output first vocabulary data among a plurality of target vocabulary data and to receive a user input inpu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first vocabulary data;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based on at least one of a database including two data structures and contents of the user input and a viewpoint of a user input, The first data structure may include a processor configured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외국어 학습, 어학 기기, 플래시 카드, spaced learning, Vocabulary study Foreign Language Learning, Language Device, Flash Cards, spaced learning, Vocabulary study

Description

효과적인 어휘학습을 위한 반복 학습 방법 및 어휘 학습 장치{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외국어 학습에 연관되며, 특히 어휘 암기 학습을 보조하기 위해 암기할 단어를 자동으로 제시하여 사용자의 학습을 보조하는 어휘 학습 장치 및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에 연관된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cabulary learning device and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that automatically suggests words to memorize to assist user learning to assist vocabulary memorization learning.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외국어 학습을 보조할 수 있는 어학용 기기의 개발이 활발하다. 특히, 외국어 어휘 학습을 위한 플래시 카드 기능의 단말기 등이 상용화 되고, 보편화 되어가는 추세이다.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language devices that can assist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active. In particular, a terminal with a flash card function for foreign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is becoming more common.

플래시 카드는, 외국어 어휘(이하에서는 "단어"라고도 함)를 짧은 시간 동안 보여주고 사용자가 해당 어휘를 암기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The flash card is a means of showing a foreign language vocabular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word") for a short time and allowing a user to memorize the vocabulary.

이 경우,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어휘 암기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에게 한 번 보여준 단어를 언제 다시 보여줄 것인가의 알고리즘이 중요하다.In this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emorizing vocabulary through repetitive learning, an algorithm of when to show the word once shown to the user is important.

암기 방법론 분야에서 알려진 Spaced learning 이론은, 한 번 학습한 어휘의 다음 반복 학습 주기를 점차 늘려가는 방법이 암기를 돕는다는 내용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를테면, 특정 시점에 학습한 어휘는, 처음에는 하루 뒤, 다음에는 이 틀 뒤, 다음에는 일주일 뒤, 그 다음에는 1개월 뒤 등으로 반복 학습 주기를 점차 늘려가는 것이다.Spaced learning theory, which is known in the field of memorization methodology, can be summarized as a method of gradually increasing the next iterative learning cycle of a vocabulary once learned. For example, a vocabulary learned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is gradually increasing the repetitive learning cycle: one day later, two days later, one week later, one month later, and so on.

실제 외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이러한 이론에 기반하여 어휘 학습을 하기도 하지만, 보다 많은 학습자가 더 쉽게 이러한 이론에 기반하여 어휘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론을 적용하여 학습할 어휘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어휘 학습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In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field, learners may learn vocabulary based on these theories themselves, but in order to assist more learners to learn vocabulary based on these theories more easily, the vocabulary to be applied is automatically applied to the learners. The necessity of providing vocabulary learning devices is raised.

특히, 어휘 학습에 있어서, 특정 어휘를 기억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단순히 "예" 또는 "아니오"의 대답으로만 판단할 수 없고, 기억하고 있다면 얼마나 확실하게, 선명하게 기억하는지도 판단의 근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particular, in vocabulary learning, whether or not a particular vocabulary is memorized can not be judged simply by an answer of "yes" or "no", and if it is memorized, the basis of judgment is how clear and memorable it is. It would be desirable to b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학습 대상 어휘에 대해, 사용자가 알고 있는지의 여부뿐만 아니라, 얼마나 확실하게 알고 있는지를 고려하여, 어휘의 반복 학습 주기를 재조정하므로, Spaced learning 이론에 부합하는 어휘 학습 콘텐츠 제공이 가능한 어휘 학습 장치 및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adjust the repetition learning cycle of the vocabulary in consideration of how surely the user knows the vocabulary to be learned, as well as whether or not the user knows the vocabulary. It is to provide a vocabulary learning device and a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tha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특정 어휘를 확실히 알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비효율적인 반복 학습을 바로 종료할 수 있는 어휘 학습 장치 및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vocabulary learning device and a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immediately terminating inefficient repetitive learn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vocabulary is surely known.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제1 어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휘 데이터의 출력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및 사용자 입력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어휘 학습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the first lexical data of the plurality of target vocabulary data, and receives a user input inpu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first lexical data, having a different data return period 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based on at least one of a data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d contents of the user input and a time point of the user input; A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is provided that includes a processing unit for storing the first vocabulary data in a first data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휘 학습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반환 주기를 경과한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탐색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searches for the target vocabulary data that has passed a data return perio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d uses the searched vocabulary data for the searched user interface unit. The search unit further includes a search unit.

여기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1 단어를 화면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제1 단어를 알고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응답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Here, the user interface unit displays a first word included in the first lexical data on a screen unit and receives a user input that is a response to whether the displayed first word is kn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적어도 네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may be classified into at least four types.

이 경우, 상기 네 가지 유형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모른다는 응답인 경우 (이하, "유형 1"),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모른다는 응답인 경우(이하, "유형 2"),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안다는 응답인 경우(이하, "유형 3"),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안다는 응답인 경우(이하, "유형 4")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 types are the response that 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at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does not know the first word (hereinafter, “type 1”). Is received after one threshold time elapses an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saying that the first word is unknown (hereinafter "type 2"), the user input is received after a first threshold time elapses an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When the response to know the first word (hereinafter, "type 3"), and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the response to know the first word (hereinafter, "Type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형 1"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데이터 반환 시간이 가장 짧은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put corresponds to “type 1”, the processor selects a data structure having the shortest data return time as the first data structur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The first lexical data is stored in the first data structure.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형 2"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데이터 반환 시간이 두 번째로 짧은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And when the user input corresponds to “type 2”, the processor selects, as the first data structure, a data structure having the second shortest data return time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d the first data structure. The first vocabulary data is stored in the.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형 3"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어 있던 제2 데이터 구조보다 데이터 반환 주기가 짧은 순서가 한 단계 후순위인, 즉 전체 데이터 구조들 중에서 1 만큼 더 큰 인덱스를 가진 상위의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When the user input corresponds to “type 3”, the processor may perform a step in which the data return period is shorter than the second dat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exical data was stored immediately before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 upper data structure that is subordinate, i.e., having an index greater than 1 out of all data structures, is selected as the first data structure and stores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이 "유형 4"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어 있던 제2 데이터 구조보다 데이터 반환 주기가 짧은 순서가 두 단계 후순위인, 즉 전체 데 이터 구조들 중에서 2 만큼 더 큰 인덱스를 가진 상위의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 corresponds to "type 4", the processing unit has two steps in which the data return period is shorter than the second dat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exical data was stored immediately before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 upper data structure that is subordinate, i.e., having an index as large as 2 out of all data structures, is selected as the first data structure and stores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탐색부는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에 액세스 하여, 현재 시간이, 특정 데이터 구조 내에 저장된 개별 어휘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구조에 저장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 반환 주기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시간인 경우에, 상기 개별 어휘 데이터를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로 결정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unit accesses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such that a current time period returns a data of the specific data structure from a time point at which individual lexical data stored in the specific data structure is stored in the specific data structure. In the case where the above time has elapsed, the individual vocabulary data is determined as the target vocabulary data.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제1 어휘 데이터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및 사용자 입력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 - 단,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각각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도록 설정됨 - , 및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receiving a user input inpu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displayed first vocabulary data of the plurality of subject vocabulary data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user input and the user 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ncluded in a databas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ime points of input,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has a different data return period Is set to have-and storing the first vocabulary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사용자가 알고 있는 어휘의 반복 학습 주기는 점점 길게 조정되고, 사용자가 모르고 있는 어휘의 반복 학습 주기는 짧게 조정되므로, Spaced learning 이론에 부합하는 어휘 학습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다.Since the repetition learning cycle of the vocabulary that the user knows is adjusted for a long time and the repetitive learning cycle of the vocabulary that the user does not know is adjusted for a short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vocabulary learning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spaced learning.

또한, 어휘를 단순히 알고 있는 지의 여부가 아니라, 얼마나 확실하게 알고 있는지를 고려하여 반복 학습 주기가 조정되므로, 학습자의 어휘 학습의 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petition learning cycle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how surely the vocabulary is known, not whether the vocabulary is simply known, the efficiency of the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특정 어휘를 확실히 알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반복 학습을 바로 종료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학습량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cific vocabulary is surely known, the repetitive learning can be set to immediately end,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of excessively increasing the total learning amount.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장치(100)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어휘 학습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을 통해,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각각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하나씩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된 단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부(120)에 전달한다.The lexical learning apparatus 100 displays the words included in each of the target vocabulary data one by one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0, receives a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words, and transmits the words to the processor 120. .

본 명세서에서 "어휘 데이터"라 함은 언어의 단어(vocabulary), 구(phrase), 문장(sentence)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어학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단어 그 자체 또는 그의 조합된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lexical data"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words, phrases, and sentences of a language. The word itself or a combination thereof is used for the purpose of language learning. It may include all.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출력부, 사용자 입력 감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 voice output unit, a user input detector, and the like.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be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or the like.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이를테면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 음성의 아날로그 출력을 위한 사운드 아웃 단자, 음성의 디지털 출력을 위한 광출력 단자, 동축(coaxial) 단자 등일 수 있다.The voice output unit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built in the terminal, a sound out terminal for analog output of voice, an optical output terminal for digital output of voice, a coaxial terminal, and the like.

한편, 사용자 입력부는, 전기 접점을 갖는 버튼 입력 수단, 터치 패드 타입의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입력 수단, 마이크 따위의 음성 수신부와 음성 인식을 위한 TTS(Text To Speech) 모듈을 포함하는 입력 수단 등일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input unit may be a button input unit having an electrical contact, a display integrated input unit such as a touch pad type panel, an input unit including a voice receiver such as a microphone, and a text to speech (TTS) module for speech recognition. have.

상기 각 구성들의 여러 가지 응용예 중 하나의 모습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appearance of one of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부, 음성 출력부 및 사용자 입력부의 구체적 구성에 관한 내용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어휘 데이터의 단어를 영상 및/또는 음성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응한 응답을 수신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 또는 방법을 배제하지 않는다.Howev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user input unit is mere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d of lexical data to a user in the form of an image and / or an audio and responds to the response. It does not exclude any means or method for receiving it.

따라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포함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음성 출력부 및 사용자 입력부에 채용되는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언급하였거나 하기 언급될 일부 예시적인 특정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ccordingly, in the specific configuration employed in the display unit,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user input unit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ly interpreted by some exemplary specific types mentioned above or mentioned below. Should not be.

한편, 어휘 학습 장치(100)의 처리부(120)는, 현재 디스플레이 된 단어에 대응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전달받아, 이를 분석한다.Meanwhile, the processor 120 of the lexical learning apparatus 100 receives a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displayed word from the user interface 110 and analyzes it.

상기 사용자 입력은, 현재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사용자가 알고 있는지, 또는 기억하고 있는지의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이를테면 "예" 또는 "아니오"의 선택 입력일 수 있다.The user input may be a user's response to a question of whether the user knows or memorizes the currently displayed word, such as a selection input of "yes" or "n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분석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이 "예"인지, 또는 "아니오"인지의 여부 (사용자 입력 내용)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단어의 디스플레이 이후 얼마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입력된 것인가를 고려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alyzing the user input, the processor 120 not only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response is "yes" or "no" (user input content), but also the user. Consider how long the input has been since the display of the word.

사람이 특정 단어를 기억하고 있는지, 또는 알고 있는지에 대한 응답은 "예(기억한다)" 또는 "아니오(기억하지 않는다)"의 양자택일에 의해서만 분류되는 것이 아니다. 즉, 기억하고 있지만, 얼마나 확실하게 기억하는 지에 관한 분류가 요구될 수도 있다.The response to whether a person remembers or knows a particular word is not classified solely by the alternative of "yes" or "no". In other words, a classification may be required regarding how to remember, but how to remember.

이것은, 사람이 특정 단어를 보거나 듣자마자 빠르고 분명하게 즉답을 하는 경우와, 즉답을 하지 않고 얼마간의 시간 동안 기억을 되살리려 노력하다가 "예" 또는 "아니오"라는 대답을 하는 경우도 구분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This needs to be distinguished between a quick and clear instant answer as soon as a person sees or hears a certain word, or a "yes" or "no" answer while trying to recall memory for some time without an immediate answer. Becaus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120)는, 사용자 입력이 상기 즉답인지, 기억을 되살려야 대답을 할 수 있는 정도로 연기된 응답인지를,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단어의 디스플레이 이후 제1 임계 시간 경과 전에 입력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결정한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 is the immediate answer or whether the response is postponed to the extent that the memory can be answered. 1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entered before the threshold time elapsed.

상기 제1 임계 시간은, 미리 설정되어 입력된 값, 이를테면 3초일 수 있으며, 이것은 학습자의 능력이나 상황, 학습할 어휘 데이터의 전체 분량 등의 변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a preset value input, for example, 3 seconds, whic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variable such as a learner's ability or situation and the total amount of lexical data to be learned.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여러 개의 단어의 제시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내용의 통계적 정보를 분석하여 적응적으로(adaptively) 조정될 수도 있다. 이를테면, 과거 500회의 사용자 응답 시간의 평균에 일정 정도의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제1 임계 시간이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some embodiments,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content input in response to the presentation of the plurality of words may be analyzed and adjusted adaptively. For example, 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multiplying an average of the past 500 user response times by a certain weight.

이러한 처리부(120)가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예"인지, 아니면 "아니오"인지), 및 사용자 응답 시간(단어의 제시 이후 제1 임계 시간 경과 전에 사용자 입력이 있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아래의 4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This processing unit 120 takes into account the contents of the user input ("yes" or "no"), and the user response time (whether or not there was a user input before the first threshold time has elapsed since the presentation of the word). Thus, the user input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1)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모른다는 응답인 경우 (유형 1);(1) if 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response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does not know the displayed word (type 1);

(2)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모른다는 응답인 경우(유형 2);(2)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after a first threshold time elapses and the response indicates that the contents of the user input do not know the displayed word (type 2);

(3)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안다는 응답인 경우(유형 3); 또는(3)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after a first threshold time elapses and the response indicates that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knows the displayed word (type 3); or

(4)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안다는 응답인 경우(유형 4).(4) if 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that knows the displayed word (type 4).

상기 유형 1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고 빠 르고 분명하게 응답하는 경우이므로, 상기 단어의 다음 학습 주기는 가능하면 짧게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Type 1 is a case where the user responds quickly and clearly that they do not remember the displayed word at all, so the next learning cycle of the word needs to be readjusted as short as possible.

그리고, 상기 유형 2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완전히 모르는 경우는 아니지만,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일정 시간 이상 생각을 해 보아도 기억하지 못한다고 응답하는 경우이므로, 상기 단어의 다음 학습 주기는 이전 학습 주기(학습 주기의 설정은, 데이터베이스(140) 내의 자료 구조를 참조하여 후술함)보다는, 상기 유형 1 의 경우만큼은 아니더라도, 상당히 짧게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type 2 is not a case in which the user does not completely know the displayed word, but responds that the user does not remember even after thinking for a predetermined time to restore the memory, and the next learning cycle of the word is a previous learning cycle (learning cycle). The setting of 필요 needs to be readjusted fairly short, if not as much as the type 1 case, rather than with reference to the data structure in database 140).

또한, 상기 유형 3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완전히 아는 경우는 아니지만,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일정 시간 이상 생각을 해 보니 기억한다고 응답하는 경우이므로, 상기 단어의 다음 학습 주기는 이전 학습 주기보다는 길게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type 3 is not a case in which the user completely knows the displayed word, but responds that the user remembers the word after think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restore the memory. There is a need.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형 2 또는 유형 3의 경우는 학습 주기를 짧게 재조정하거나 또는 길게 재조정하지 않고 이전 학습 주기를 그대로 유지하는 방법도 가능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case of type 2 or type 3, a method of maintaining the previous learning cycle without changing the learning cycle shortly or for a long time may be possible.

마지막으로, 상기 유형 4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된 단어를 기억한다고 빠르고 분명하게 응답하는 경우이므로, 상기 단어의 다음 학습 주기는, 상기 유형 3의 경우보다도 더 길게 재조정될 필요가 있다.Finally, the type 4 is a case where the user quickly and clearly responds that the user remembers the displayed word, so that the next learning cycle of the word needs to be readjusted longer than the type 3 case.

물론,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응답의 종류를 더 세분화 시킨다면, 상기 제1 임계 시간뿐만 아니라, 그보다 긴 제2 임계 시간, 제3 임계 시간 등을 설정하여, 응답 유형을 6 개, 8 개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응용예들은 본 발 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서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Of course, if the type of response is further subdivided using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first threshold time but also a longer second threshold time, a third threshold time, and the like may be set to six or eight response types. These applications may not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데이터베이스(140) 내에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가 포함되며, 어휘 학습 장치(100)에 저장된 어휘들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다.Meanwhile,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re included in the database 140, and vocabularies stored in the lexical learning apparatus 100 are inclu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d stored in the database 140.

이하에서는 상기 데이터 구조를 간단하게 Deck 라고 지칭하기도 한다.Hereinafter, the data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simply as Deck.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어휘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학습 결과로서 사용자 입력을 반복적으로 수신하고, 매번 사용자 입력의 유형에 따라서 어휘 데이터가 저장될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되, 점진적으로 하위 인덱스를 가진 데이터 구조로부터 상위 인덱스를 가진 데이터 구조로 어휘 데이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저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어휘 데이터가 최상위 인덱스를 가진 데이터 구조에 도달하게 되면 학습을 종료하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사용자 입력의 4가지 유형에 따라서 어휘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구조 간의 이동이 결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is repeatedly received as a learning result from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lexical data, and each time, a data structure for storing the lexical data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ser input, but gradually the upper part is obtained from the data structure having the lower index. By storing the lexical data in a data structure with an index so that it can be moved, ultimately, learning ends when the lexical data reaches the data structure with the highest index. Thus, movement between data structures for lexical dat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user input described above.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의 각각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는다.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has a different data return period.

특정의 어휘 데이터가 어느 한 특정 데이터 구조에 포함되어 저장되는 경우, 저장된 후 상기 특정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 반환 주기, 이를테면 하루(1 day or 24 Hours)가 경과하면, 상기 특정의 어휘 데이터에 대해서는 재학습 (또는 반복 학습, Reminder) 주기가 도달한 것으로 간주된다.When a particular lexical data is stored in a specific data structure, when the data return cycle of the specific data structure, for example, one day or 24 hours, elapses after the storage, the specific lexical data is relearned. (Or Reminder) A cycle is considered to have arrived.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들 중 어느 하나는 1일, 다른 하나는 2일, 또 다른 하나는 4일, 또 다른 하나는 1주일, 또 다른 하나는 1개월, 또 다 른 하나는 2개월, 또 다른 하나는 6개월 등, 서로 다른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도록 설정된다.For example, one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s one day, the other is two days, another is four days, another is one week, another is one month, another is two. Months are set to have different data return cycles, such as six months.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들은, 상기 데이터 반환 주기가 얼마나 짧은지에 대한 순서대로, 고유의 데이터 구조 인덱스(data structure index), (또는 간단히 Deck index 라고도 함)를 부여 받는다. 이를테면, 상기 데이터 반환 주기가 가장 짧은 (1일) 데이터 구조는 Deck index가 1이고, 다음으로 짧은 (2일) 데이터 구조는 Deck index가 2인 방식이다. 이와 같이, index별로 데이터 반환 주기가 단계별로 부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re given a unique data structure index (or simply referred to as a deck index) in order of how short the data return period is. For example, the data structure having the shortest data return period (1 day) has a Deck index of 1, and the next shortest (2 day) data structure has a Deck index of 2. In this manner, a data return cycle may be given step by step for each index.

본 명세서의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는다"라고 함은,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구조의 반환 주기가 단계별로 항상 길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데이터 구조의 반환 주기가 단계별로 동일하거나 또는 길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인접한 데이터 구조들 간에도 반환 주기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경우에도, 어휘 데이터를 인접한 데이터 구조로 이동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반복 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used herein,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have different data return periods" may mean that the return period of the data structure is always longer in stages as the index increases. As another example, as the index increases, it may mean that the return cycle of the data structure may be set to be the same or longer in stages. That is, even when adjacent data structures are set to have the same return period, the user may obtain the effect of repetitive learning by moving and storing the lexical data into the adjacent data structure.

탐색부(1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40) 내의 전체 또는 지정된 일부의 데이터 구조를 탐색하여, 각 데이터 구조 내에 저장된 어휘 데이터 중 해당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 반환 주기를 경과한 어휘 데이터들을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로 선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 전달한다.The search unit 130 searches all or a part of data structures in the database 140 and selects lexical data that has passed the data return cycle of the corresponding data structure among lexical data stored in each data structure as lexical data to be learned. Then,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110.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특정 어휘 데이터가 상기 탐색부(130)에 의해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로 선별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전달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The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vocabulary data is selected by the search unit 130 as the target vocabulary data and transferr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110, and the user interface unit 110 transmits it to the user. present.

그리고, 상기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의 제시에 대응한 사용자 입력의 유형에 따라 처리부(120)는 상기 특정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상기 데이터베이스(140) 내의 특정 데이터 구조를 결정한다.The processor 120 determines a specific data structure in the database 140 in which the specific vocabulary data is to be stored, according to the type of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target vocabulary data.

이러한 내용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More details on this cont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and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14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ncluded in the database 140 of the lexical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데이터베이스(140) 내에는 Deck 1 (210), Deck 2 (220), Deck 3 (230), ... , Deck n-2 (240), Deck n-1 (250), 및 Deck n (260)의 n 개 (단, n은 자연수)의 데이터 구조가 포함된다.Within database 140 are Deck 1 (210), Deck 2 (220), Deck 3 (230), ..., Deck n-2 (240), Deck n-1 (250), and Deck n (260). Contains n data structure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어휘 데이터(211) 또는 어휘 데이터(212) 등은,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는데, 어휘 데이터(211)는 Deck 1 데이터 구조에 저장된 이후, 아직 Deck 1의 데이터 반환 주기, 이를테면 1일이 경과되지 않은 어휘 데이터이다.The lexical data 211 or the lexical data 212 is inclu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d stored in the database 140. The lexical data 211 is still stored in the Deck 1 data structure. Deck 1 data return period, for example, lexical data that has not passed one day.

그리고, 어휘 데이터(212)는 Deck 1 데이터 구조에 저장된 이후, 이미 Deck 1의 데이터 반환 주기, 이를테면 1일이 경과한 어휘 데이터이다.The lexical data 212 is lexical data that has already been stored in the Deck 1 data structure and has already passed a data return period of Deck 1, such as one day.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들의 각각에 저장된 전체 어휘 데이터의 개수도 데이터 구조별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데이터 구조 내에서 데이터 반환 주기가 경과한 어휘 데이터와 데이터 반환 주기가 경과하지 않은 어휘 데이터가 서로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otal number of lexical data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may also be different for each data structure. In each data structure, the lexical data for which the data return period has passed and the lexical data for which the data return period has not passed are display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어휘 학습 장치(100)가 구동되면, 도 1의 탐색부(130)는 상기 데이터 구조(210) 내지 데이터 구조(260)들에 액세스하여, 해당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 반환 주기가 경과한 어휘 데이터들을 탐색하고, 이를 독출하여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전달한다.When the lexical learning apparatus 100 is driven, the search unit 130 of FIG. 1 accesses the data structures 210 to 260 to search for lexical data whose data return period of the corresponding data structure has elapsed. The information is rea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interface unit 110 as lexical data to be studied.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렇게 전달된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차례로 디스플레이, 및/또는 발음의 사운드 출력을 수행하고, 이에 대응한 응답을 사용자 입력으로서 처리부(14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110 sequentially displays words and / or outputs sound of the words included in the thus-trained vocabulary data, and transmits corresponding responses to the processor 140 as user input. do.

이 경우, 처리부(140)가 상기 사용자 응답의 유형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된 단어를 포함하는 어휘 데이터를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어디에 저장할 지를 결정한다. 상세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40 determines where to store lexical data including words current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ser respons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다.3 illustrates a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310)에서 상기 탐색부(130)가 데이터베이스(140)의 전체 Deck들로부터 데이터 반환 주기를 경과한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를 탐색하며, 이렇게 탐색된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들에 포함된 m 개 (단, m은 자연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전달한다.In operation S310, the search unit 130 searches for the study target vocabulary data that has passed the data return cycle from all the decks of the database 140, and includes m pieces of the search target vocabulary data. , m is a natural number) to the user interface unit 110.

그러면, m 개의 단어에 대한 순차적 어휘 학습 콘텐츠 제공 및 그에 대응한 응답 유형에 따른 어휘 학습 데이터의 반복 학습 주기 재조정 과정이 시작된다.Then, the sequential lexical learning content provision for m words and the repetition learning cycle readjustment process of the lexical learning data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response type are started.

먼저, 단계(S320)에서 i 값은 초기 값인 0으로 설정되고, 단계(S330)에서 i 값이 1 증가된다.First, in step S320, the i value is set to 0, which is an initial value, and in step S330, the i value is increased by one.

그리고, 단계(S33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m 개의 단어 중 i 번째의 단어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발음 사운드의 출력을 수행한다.In operation S330, the user interface 110 may display the i-th word of the m words and / or output the pronunciation sound.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상기 i 번째의 단어에 대응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어, 처리부(120)로 전달된다.In addition, a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i-th word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and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20.

그러면, 상기 처리부(120)는 단계(S360)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시간이 상기 i 번째 단어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발음 사운드의 출력 이후 소정의 임계 시간, 이를테면 3초 경과 후인지를 판단한다.Then, in step S360,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 time is after a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such as 3 seconds, after the display of the i-th word and / or the output of the pronunciation sound.

만약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임계 시간 경과 후라면, 처리부(120)는 단계(S370)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파악한다.If the user input is after the threshold time,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n step S37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내용이 상기 i 번째 단어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취지의 것이면(유형 2), 처리부(120)는 단계(S371)에서, 데이터 반환 주기가 두 번째로 짧은 Deck 2 데이터 구조를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 구조라고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Deck 2 데이터 구조에 상기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Here, if the user input content does not store the i-th word (type 2), the processing unit 120, at step S371, the Deck 2 data structure having the second shortest data return period, i. The lexical data of the first word is determined to be a data structure to be stored, and the lexical data is stored in the determined Deck 2 data structure.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유형 2의 경우에, 데이터 반환 주기가 두 번째로 짧은 Deck 2 데이터 구조를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 구조라고 결정하지 않고,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구조를 다시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 구조라고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유형 2의 경우에는 Deck를 옮겨서 학습 주기를 재조정하지 않고, 현재 학습 주기대로 다음 번에 다시 학습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아래 유형 3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type 2, the Deck 2 data structure having the second shortest data return period is not determined to be a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 th word is to be stored. The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th word has been previously stored may be again determined to be a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th word is to be stored. In other words, in case of Type 2, Deck may be moved to re-learn the next time according to the current learning cycle without re-adjusting the learning cycle. The same is true for Type 3 below.

그리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내용이 상기 i 번째 단어를 기억한다는 취지의 것이면(유형 3), 처리부(120)는 단계(S372)에서,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었던 데이터 구조보다 Deck index가 1 만큼 더 큰 데이터 구조를,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 구조라고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구조에 상기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유형 3에 대해서는 데이터 반환 주기가 짧은 순서가 한 단계 후순위인 데이터 구조를 새로이 선택하여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If the user input content is to store the i-th word (type 3), the processing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lexical data of the i-th word is stored in Deck index in step S372. Is determined to be a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 th word is to be stored, and stores the lexical data in the determined data structure. That is, for Type 3, the lexical data is stored by newly selecting a data structure having a shorter data return cycle in order of being one step lower.

한편, 단계(S360)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임계 시간 경과 전이라면, 처리부(120)는 단계(S380)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을 파악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60 that the user input is before the threshold time elapses,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n step S38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내용이 상기 i 번째 단어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취지의 것이면(유형 1), 처리부(120)는 단계(S381)에서, 데이터 반환 주기가 가장 짧은 Deck 1 데이터 구조를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 구조라고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Deck 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Herein, if the user input content does not store the i-th word (type 1), the processor 120 determines the Deck 1 data structure having the shortest data return period in step S381, and the i-th word. Determine that the lexical data of the data structure is to be stored, and store the lexical data in the determined Deck 1 data structure.

그리고,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내용이 상기 i 번째 단어를 기억한다는 취지의 것이면(유형 4), 처리부(120)는 단계(S382)에서,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었던 데이터 구조보다 Deck index가 2 만큼 더 큰 데이터 구조를,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 구조라고 결정하 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구조에 상기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유형 4에 대해서는 데이터 반환 주기가 짧은 순서가 두 단계 후순위인 데이터 구조를 새로이 선택하여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유형 4와 같이 사용자가 어휘 데이터를 명확히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형 3의 경우보다 상위 인덱스의 데이터 구조로의 이동 구간을 늘려 줌으로써, 사용자의 반복 학습 구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If the user input content is to store the i th word (type 4), the processing unit 120 determines that in step S382, the lexical data of the i th word is lower than the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 th word is stored immediately before. Is determined to be a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 th word is to be stored, and stores the lexical data in the determined data structure. That is, for Type 4, the lexical data is stored by newly selecting a data structure having a shorter data return period two orders of magnitude lower. Therefore, when the user clearly remembers the lexical data as in Type 4, the repetitive learning interval of the user can be shortened by increasing the moving interval to the data structure of the higher index than in the case of Type 3.

이상의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유형이 유형 1 내지 유형 4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지에 따라,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 구조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정책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체적인 내용의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정도의 것임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다.In the above process, depending on which of the type 1 to type 4 of the user input, the specific policy for determining the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th word should be stored can be changed any number, such a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changes in the details do not chang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렇게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발명 전반의 내용 중 이러한 세부 정책의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 해석에서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even if not specifically mentioned, changes in the detailed policy in the overall content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단계(S390)에서 현재 i 번째 단어가, 학습 대상 단어 m 개 중 마지막의 것인지가 판단되며, 마지막의 것이 아니라면, 다시 단계(S330) 이하의 내용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In operation S39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i-th word is the last of m words to be learned, and if not, the content subsequent to operation S330 is repeatedly performed.

그러면, 탐색부(13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독출된 모든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에 대한 어휘 학습 과정이 완료되며, 독출되었던 모든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의 각각은 그것들에 대응한 사용자 입력의 유형에 따라, 처리부(120)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들 내에 재배치(저장) 된다.Then, the vocabulary learning process for all the learning object vocabulary data read out from the database 140 by the searching unit 130 is completed, and each of the read object vocabulary data is read according to the type of user input corresponding to them. By the processing unit 120, the data is rearranged (stored) in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이렇게 개별 어휘 데이터를 독출하여 어휘 학습에 활용하고, 사용자 입력의 유형을 분석하여 다음 저장될 데이터 구조를 결정한 후 상기 어휘 데이터를 상기 결정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iteration의 과정은, 어느 시점에서는 종료되어야 한다.The iteration process of reading individual vocabulary data to be used for vocabulary learning, analyzing the type of user input to determine the next data structure to be stored, and storing the vocabulary data in the determined data structure, should be terminated at some point. .

바람직하게는, 어휘 학습 데이터의 단어가 사용자에 의해 완벽히 암기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완전히 삭제되고, 사용자가 암기해야 할 새로운 어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다시 저장되어야 한다.Preferab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word of the vocabulary learning data is completely memorized by the user, it is completely deleted from the database 140 and a new vocabulary to be memorized by the user should be stored in the database 140 ag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단어에 대해 완전히 알고 있다는 특정 패턴의 사용자 입력, 이를테면 별도의 지정된 키 입력을 주는 경우, 해단 단어의 어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바로 삭제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hen a user is given a specific pattern of user input, such as a separate designated keystroke, that the user is fully aware of the word currently being displayed, the lexical data of the dissolved word is immediately deleted from the database 140. May be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 어휘 학습 장치(100) 스스로 iteration의 종료 시점을 결정하는 몇 가지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If not, however, the vocabulary learning device 100 may set some policies that determine when to end the iteration.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다.4 illustrates a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테면, 단계(S380)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입력 내용이 상기 i 번째 단어를 기억한다는 취지의 것이면(유형 4), 처리부(120)는 바로 단계(S382)를 수행하지 않고, 단계(S410)을 수행한다.For example,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380 indicates that the user input content is to store the i-th word (type 4), the processing unit 120 does not immediately perform step S382, and step S410. Do this.

이 경우, 상기 i 번째 단어가 이전에 학습된 기록(log)을 참조하여, 이 단 어가 연속으로 소정의 횟수, 이를테면 3회 상기 유형 4의 사용자 입력을 받은 것이라면, 이 단어는 사용자가 완전히 암기 했거나, 미리부터 알고 있던 단어일 확률이 크다.In this case, if the i-th word refers to a previously learned log, if the word has been 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a row, such as three times the type 4 user input, the word has been completely memorized by the user or It is likely that the word was known in advance.

이러한 단어를 데이터 구조를 바꾸어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계속하여 학습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학습 의욕을 저하시키고, 학습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Repeating the process of changing and storing these words in a data structure may reduce the user's motivation and reduce the learning effect.

따라서, 단계(S420)에서는 처리부(120)가 상기 단계(S410)의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바로 삭제한다.Therefore, in step S420, the processor 120 immediately deletes the corresponding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410.

그리고, 상기 단계(S420)의 판단 결과, 상기 i 번째 단어가 이전에 학습된 기록(log)을 참조하여, 이 단어가 연속으로 소정의 횟수, 이를테면 3회 상기 유형 4의 사용자 입력을 받은 것이 아니라면, 단계(S382)에서,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었던 데이터 구조보다 Deck index가 2 큰 데이터 구조를, 상기 i 번째 단어의 어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할 데이터 구조라고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구조에 상기 어휘 데이터를 저장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0 that the i-th word has been previously learned, the word is not 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e type 4 user input three times. In step S382,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th word is larger than the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th word is stored immediately is a data structure in which the lexical data of the i-th word is to be stored. Store the lexical data in a data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는, 단계(S410)의 판단 내용을 다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ermination content of step S410 may be set to another one.

이를 테면, 상기 i 번째 단어가 이전에 학습된 기록(log)을 참조하여, 이 단어가 소정의 시간, 이를테면 일주일 내에 3회 이상 상기 유형 4의 사용자 입력을 받은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th word may be referred to a previously learned log to determine if the word has received the Type 4 user input at least three tim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uch as a week.

이러한 정책은 사용자의 설정, 기타의 방법에 의해 수시로 변경될 수도 있 다.These policies may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by user settings or other mean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장치를 구현한 단말기(500)를 도시한다.5 illustrates a terminal 500 implementing a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10)로 채택되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ouch panel capable of recognizing a user's touch is adopted as the user interface unit 510.

터치 패널에는 현재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의 단어 "affable"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 단어를 기억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질문에 대응한 "예"의 응답 부분(511) 터치 또는 "아니오"의 응답 부분(512)의 터치가 사용자 입력으로 작용한다.The word “affable” of the vocabulary data to be studied is currently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In this case, the touch of the response portion 511 of "yes" or the touch of the response portion 512 of "no"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user memorizes this word serves as a user input.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어 "affable"이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이후의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경과 시간 정보,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의 단어가 전체 81개인데, 현재 "affable"은 그 중 7 번째의 단어라는 정보, 앞서 학습한 6 개의 단어들 중 사용자가 "예"의 응답을 한 단어는 5개라는 스코어 정보 등이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word " affable " is displayed, there are 81 words in the elapsed tim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assage of time after the display and the lexical data to be studied, and the word " affable " The word information and score information of five words that the user answered "Yes" among the six words previously learned may be displayed together.

터치 스크린 입력과 병행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버튼부(520)가 사용자 입력에 활용될 수 있다.In parallel with or instead of the touch screen input, the button unit 520 may be utilized for user input.

또한, 상기 단어 "affable"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상기 "affable"의 발음이 스피커부(530)를 통해 사운드로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 “affable” may be output as a sound through the speaker unit 530 together with or instead of the display of the word “aff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장치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ncluded in a database of a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다.3 illustrates a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시한다.4 illustrates a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휘 학습 장치를 구현한 단말기를 도시한다.5 illustrates a terminal implementing the lexical lear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제1 어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1 단어를 화면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제1 단어를 알고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응답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put that outputs first lexical data among a plurality of target vocabulary data, displays a first word included in the first lexical data on a screen, and knows whether the displayed first word is known; 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the;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A data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having different data return periods; And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부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is received at the user interface, and the first data structure A processor that stores the first lexical data i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모른다는 응답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데이터 반환 시간이 가장 짧은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어휘 학습 장치.The processing unit,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first word is unknown,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selects a data structure having the shortest data return time. Selecting as the first data structure and storing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제1 어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1 단어를 화면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제1 단어를 알고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응답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put that outputs first lexical data among a plurality of target vocabulary data, displays a first word included in the first lexical data on a screen, and knows whether the displayed first word is known; 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the;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A data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having different data return periods; And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부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is received at the user interface, and the first data structure A processor that stores the first lexical data i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모른다는 응답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데이터 반환 시간이 두 번째로 짧은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어휘 학습 장치.The processing unit,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after a first threshold time elapses, an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that the first word is not known, the data return time is the second shortest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Selecting a data structure as the first data structure and storing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제1 어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1 단어를 화면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제1 단어를 알고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응답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put that outputs first lexical data among a plurality of target vocabulary data, displays a first word included in the first lexical data on a screen, and knows whether the displayed first word is known; 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the;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A data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having different data return periods; And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부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is received at the user interface, and the first data structure A processor that stores the first lexical data i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안다는 응답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어 있던 제2 데이터 구조보다 데이터 반환 주기가 짧은 순서가 두 단계 후순위인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어휘 학습 장치.The processing unit, if 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to know the first word, the first lexical data is stored immediately before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 lexical learning device for selecting a data structure in which the order in which the data return period is shorter than the second data structure, which is two-step descendant, is stored as the first data structure, and the first lexical data is stored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제1 어휘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포함하는 제1 단어를 화면부에 디스플레이 하고, 디스플레이 된 상기 제1 단어를 알고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응답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put that outputs first lexical data among a plurality of target vocabulary data, displays a first word included in the first lexical data on a screen, and knows whether the displayed first word is known; A user interface unit receiving the;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A data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having different data return periods; And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처리부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is received at the user interface, and the first data structure A processor that stores the first lexical data in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안다는 응답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어 있던 제2 데이터 구조보다 데이터 반환 주기가 짧은 순서가 한 단계 후순위인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어휘 학습 장치.The processing unit,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after a first threshold time elapses, and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indicating that the first word is known, the first lexical data is immediately before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d a data structure whose order of returning data is shorter than the stored second data structure is selected as the first data structure, and stores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 반환 주기의 각각은, 일(日) 단위로 설정되는, 어휘 학습 장치.Each of the data return periods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s set in units of days.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제1 어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전체의 개수 정보,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상기 전체 중 몇 번째의 데이터인지의 정보, 상기 제1 어휘 데이터 이전에 학습된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통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출력하는, 어휘 학습 장치.When the user interface unit outputs first vocabulary data among a plurality of target vocabulary data, the user interface un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e entire vocabulary vocabulary data,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data of the first vocabulary data, And at least one of statistical information of a user input with respect to the data learned before the first lexical data.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상기 제1 임계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어휘 학습 장치.The first threshold time may be adjusted by a user.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상기 제1 임계 시간은, 과거 일정한 시간 구간 동안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출력 후 사용자 입력 시간까지의 경과 시간의 평균을 참조하여 결정되는, 어휘 학습 장치.The first threshold time is a vocabulary learning apparatus determined by referring to an average of elapsed time from the output of the learning target vocabulary data to the user input time during a certain time interval in the past.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상기 어휘 학습 장치는,The vocabulary learning device,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각각에 대하여, 데이터 반환 주기를 경과한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탐색부A searcher for searching for the study target vocabulary data that has passed a data return perio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d transmitting the searched study target vocabulary data to the user interface unit; 를 더 포함하고,More, 상기 탐색부는,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에 액세스 하여, 현재 시간이, 특정 데이터 구조 내에 저장된 개별 어휘 데이터가 상기 특정 데이터 구조에 저장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 데이터 구조의 데이터 반환 주기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시간인 경우에, 상기 개별 어휘 데이터를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로 결정하는, 어휘 학습 장치.When the search unit accesses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nd the current time is a time elapsed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individual lexical data stored in the specific data structure is stored in the specific data structure, a time longer than the data return period of the specific data structure has elapsed. A lexical learn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individual lexical data as lexical data to be learn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처리부는,The processing unit,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안다는 응답이고,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that knows the first word, 상기 제1 단어에 대해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반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데이터 반환 주기가 가장 긴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어휘 학습 장치.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user input is repeatedly repe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the first word, the first lexical data is a data structure having the longest data return period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s the first data structure. Select and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처리부는,The processing unit,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안다는 응답이고,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that knows the first word, 상기 제1 단어에 대해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소정의 횟수 이상 반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삭제하는, 어휘 학습 장치.And when the same user input is determined to be repe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the first word, deleting the first lexical data.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처리부는,The processing unit,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안다는 응답이고,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that knows the first word, 과거 소정의 시간 구간 내에 상기 제1 단어에 대해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기록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데이터 반환 주기가 가장 긴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하는, 어휘 학습 장치.When there is a record in which the same user input is input to the first word in a past time period, the first lexical data is a data structure having the longest data return period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as the first data structure. Select and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처리부는,The processing unit,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상기 제1 단어를 안다는 응답이고,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a response that knows the first word, 과거 소정의 시간 구간 내에 상기 제1 단어에 대해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기록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삭제하는, 어휘 학습 장치.And deleting the first lexical data when there is a record in which the same user input is input to the first wor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pa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제1 어휘 데이터에 포함된 제1 단어를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형식의 선택 입력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a the user interface unit, a user input which is a selection input of "Yes" or "No" as to whether or not the first word included in the currently displayed first vocabulary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ubject vocabulary data is known. ;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제1 어휘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시점 이후 제1 임계 시간 이내에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put has been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fter a display time point of the first vocabulary data;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 - 단,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각각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도록 설정됨 - ; 및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ncluded in a databas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was received,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s set to have a different data return period from each other; And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를 더 포함하는,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Further comprising,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제1 어휘 데이터에 포함된 제1 단어를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형식의 선택 입력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a the user interface unit, a user input which is a selection input of "Yes" or "No" as to whether or not the first word included in the currently displayed first vocabulary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ubject vocabulary data is known. ;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 - 단,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각각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도록 설정됨 - ; 및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ncluded in a databas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was received,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s set to have a different data return period from each other; And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아니오"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데이터 반환 시간이 가장 짧은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는,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The selecting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user input is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nd if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no”, selecting a data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having the shortest data return time. Selecting as the first data structur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제1 어휘 데이터에 포함된 제1 단어를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형식의 선택 입력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a the user interface unit, a user input which is a selection input of "Yes" or "No" as to whether or not the first word included in the currently displayed first vocabulary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ubject vocabulary data is known. ;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 - 단,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각각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도록 설정됨 - ; 및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ncluded in a databas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was received,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s set to have a different data return period from each other; And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아니오"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데이터 반환 시간이 두 번째로 짧은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는,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The selecting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user input is received after a first threshold time elapses, and when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no”, data having a second shortest data return time among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Selecting a structure as the first data structur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제1 어휘 데이터에 포함된 제1 단어를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형식의 선택 입력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a the user interface unit, a user input which is a selection input of "Yes" or "No" as to whether or not the first word included in the currently displayed first vocabulary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ubject vocabulary data is known. ;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 - 단,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각각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도록 설정됨 - ; 및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ncluded in a databas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was received,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s set to have a different data return period from each other; And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예"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어 있던 제2 데이터 구조보다 데이터 구조 인덱스가 2 큰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는,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The selecting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user input has been received within a first threshold time, and if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Yes,” the first lexical data is stored immediately before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The lexical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selecting a data structure having a data structure index of two larger than the second data structure as the first data structur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 개의 학습 대상 어휘 데이터 중 현재 디스플레이 된 제1 어휘 데이터에 포함된 제1 단어를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예" 또는 "아니오" 형식의 선택 입력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via the user interface unit, a user input which is a selection input of "Yes" or "No" as to whether or not the first word included in the currently displayed first vocabulary data among the plurality of subject vocabulary data is known. ; 수신된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시점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저장할 제1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 - 단,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각각은 서로 상이한 데이터 반환 주기를 갖도록 설정됨 - ; 및Selecting a first data structure to store the first lexical data, from among a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ncluded in a databas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ceived user input or the user input time point at which the user input was received, Each of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is set to have a different data return period from each other; And 상기 제1 어휘 데이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first lexical data in the first data structur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제1 임계 시간 경과 후에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내용이 "예"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구조 중에, 상기 제1 어휘 데이터가 바로 전에 저장되어 있던 제2 데이터 구조보다 데이터 구조 인덱스가 1 큰 데이터 구조를 상기 제1 데이터 구조로서 선택하는, 어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The selecting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user input is received after a first threshold time elapses, and when the content of the user input is “Yes,” the first lexical data is stored immediately before the plurality of data structures. The vocabulary learning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selecting a data structure having a data structure index on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data structure as the first data structure.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20 to 24.
KR1020090099326A 2009-10-19 2009-10-19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 KR1011192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26A KR101119263B1 (en) 2009-10-19 2009-10-19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26A KR101119263B1 (en) 2009-10-19 2009-10-19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592A KR20110042592A (en) 2011-04-27
KR101119263B1 true KR101119263B1 (en) 2012-03-16

Family

ID=4404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326A KR101119263B1 (en) 2009-10-19 2009-10-19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2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321B1 (en) 2013-11-01 2016-02-25 조민서 Associative Learning Books with keywords
KR101705627B1 (en) 2014-08-12 2017-02-22 조민서 Memory learning method for terminal by using an association key word production
KR20160046515A (en) 2014-10-21 2016-04-29 조민서 Associative memory learning method and book production method using keyword
KR20160073555A (en)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지피티 LED Lightening Circuit Compatible with Magnetic and Electronic Flourescent Lamp Ballast
KR20160101550A (en) 2015-02-17 2016-08-25 조민서 Memory learning method for terminal by using an association key word produ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791A (en) * 2001-12-17 2003-06-25 변성환 Device and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s using sentence hearing and memorization and Storage media
KR100623394B1 (en) * 2005-07-25 2006-09-19 한인섭 Method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periodically and apparatus thereof
KR20080055368A (en) * 2006-12-15 2008-06-19 오수민 Electronic english study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ing the same
JP2009053616A (en) * 2007-08-29 2009-03-12 Macs:Kk System, program, and method for supporting language study through extensive rea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791A (en) * 2001-12-17 2003-06-25 변성환 Device and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s using sentence hearing and memorization and Storage media
KR100623394B1 (en) * 2005-07-25 2006-09-19 한인섭 Method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periodically and apparatus thereof
KR20080055368A (en) * 2006-12-15 2008-06-19 오수민 Electronic english study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ing the same
JP2009053616A (en) * 2007-08-29 2009-03-12 Macs:Kk System, program, and method for supporting language study through extensive re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592A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9392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automated generation of realistic question and answer pairs
Wallwork English for writing research papers
JP5664978B2 (en) Learning support system and learning support method
US9666098B2 (en) Language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Hayes-Harb et al.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lexically encode novel second language phonemic contrasts
Jiang et al. Evaluating ELT multimedia coursewar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theory of multimedia learning
Majerus et al.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word learning and short-term memory for serial order recall, item recall, and item recognition
US20170287356A1 (en) Teaching systems and methods
AU2016225870A1 (en) Mentor-tuned guided learning in online educational systems
KR101119263B1 (en)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vocabulary efficiently with fewer repetitions
US20160283581A1 (en) Determining answers to questions using a hierarchy of question and answer pairs
CN105354331A (en) Online video based vocabulary learning aiding method and vocabulary learning system
US20130238317A1 (en) Vocabulary look up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Sunderman et al. Translation recognition in highly proficient Hindi–English bilinguals: The influence of different scripts but connectable phonologies
US11417339B1 (en) Detection of plagiarized spoken responses using machine learning
WO2016048296A1 (en) Select a question to associate with a passage
CN109191349A (en) A kind of methods of exhibiting and system of English learning content
KR20120036967A (en)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 and spelling
Croot et al. Syllable frequency effects in immediate but not delayed syllable naming in English
KR100587534B1 (en) The multimedia study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and methods thereof
Laban et al. Newspod: Automatic and interactive news podcasts
Yao et al. Creating conversational characters using question generation tools
KR101001645B1 (en) Automatic mermoriaing method of a foreign language and a subject needing memorizing
US20160307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tory capacity development for language processing
KR101206306B1 (en) Apparatus for studing language based speaking language principl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