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수직 구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판, 기판 상에 적층된 제1 도전형의 하부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의 상부 반도체층, 활성층 보다 낮은 낮은 영역에 형성된 분리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체를 형성하고, 열 공정으로 분리층의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
기판 상에 발광소자를 이루는 다수의 박막을 형성하고, 이온 주입(ion implantation) 공정을 실시하여 분리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깊이에 이온을 주입한다. 이후 반사 및 오믹 접촉을 위하여 전도성 물질을 상부에 적층하고 열 공정을 실시하여 이온이 주입된 층에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리된 발광소자 구조에 전류 주입을 위한 접촉 전극 공정을 실시하여 발광소자를 제조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성장용 기판(10) 위에 제1 도전형의 하부 반도체층(11), 활성층(12), 제2 도전형의 상부 반도체층(13)을 순차적으로 성장시킨다. 하부 반도체층(11), 활성층(12), 상부 반도체층(13)은 발광소자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층들이다. 성장용 기판(10)은 사파이어 기판, SiC 기판, GaN계 반도체가 적층된 사파이어 기판, GaN계 반도체가 적층된 SiC 기판, GaN 기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GaN계 기판을 성장용 기판(10)으로 선택하고 하부 반도체층(11)과 상부 반도체층(13)은 GaN계 반도체층으로 형성하여 격자 상수 불일치에 기인하는 결함 발생 등을 방지한다. 하부 반도체층(11)이 n형일 경우 상부 반 도체층(13)은 p형이고, 하부 반도체층(11)이 p형일 경우 상부 반도체층(13)은 n형이다. 전술한 "GaN계"는 AlxGayIn(1-x-y)N(0≤x≤1, 0≤y≤1, 0≤x+y≤1)로 표현되며, 녹색, 청색 또는 자외선 영역의 발광에 적합한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이온을 가속시켜 상부 반도체층(13) 표면으로부터 원하는 깊이에 이온을 주입시켜 분리층(SL1)을 형성한다. 도 2는 하부 반도체층(11) 내에 분리층(SL1)을 형성한 예를 보이고 있으나, 분리층(SL1)을 성장용 기판(10) 내에 형성하는 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이온 주입시, 이온의 가속 에너지는 상부 반도체층(13) 표면으로부터 분리층(SL1)을 형성하는 위치에 이르는 거리, 이온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00 keV 내지 10 MeV으로 원자번호가 54보다 크지 않은 가벼운 원소의 이온을 주입하여 하부 반도체층(11) 또는 성장용 기판(10) 내에 분리층(SL1)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2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적층 구조체는 성장용 기판(10), 성장용 기판(10) 상에 적층된 제1 도전형의 하부 반도체층(11), 활성층(12) 및 제2 도전형의 상부 반도체층(13), 활성층(12) 보다 낮은 낮은 영역(하부 반도체층(11) 또는 성장용 기판(10))에 형성된 분리층(SL1)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반도체층(13) 위에 오믹 접촉층(14) 및 빛의 반사를 위한 금속층(15)을 증착하고 전도성 기판(20)을 접합한다. 이때 금속층(15)은 Cu, Al, Au, Pd, Ti, In, Ni, Pt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막 또는 상기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금속의 합금막으로 형성하며, 전도성 기판(20)으로는 값이 싸고 열전달율이 높은 Si, Cu, Al 등과 같은 반도체 혹은 금속 기판, 또는 GaN 반도체와 열팽창 계수가 같도록 조성이 조절된 합금 기판 등을 사용한다. 오믹 접촉층(14)은 ITO(Indium Tin Oxide) 계열의 전도성 투명 전극을 사용할 수 있으나 금속층(15)이 충분한 오믹 특성을 가질 경우 오믹 접촉층(14)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적층 구조체는 성장용 기판(10), 성장용 기판(10) 상에 적층된 제1 도전형의 하부 반도체층(11), 활성층(12) 및 제2 도전형의 상부 반도체층(13), 오믹 접촉층(14), 금속층(15), 전도성 기판(20), 활성층 보다 낮은 영역(하부 반도체층(11) 또는 성장용 기판(10))에 형성된 분리층(SL1)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2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적층 구조체 또는 도 1 내지 도 3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적층 구조체가 형성되면, 열 공정을 수행하여 분리층(SL1)을 중심으로 상, 하부를 분리시킨다. 열 공정은 가열 공정, 가열 공정을 수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전도성 기판(20)이 접합된 상태에서 100 ℃ 내지 1000 ℃ 온도에서 가열 공정을 실시하면, 도 4와 같이 하부 반도체층(11)은 분리층(SL1)에서 분리되어 제1 하부 반도체층(11a)과 제2 하부 반도체층(11b)으로 나뉘어 진다.
한편, 오믹 접촉을 위한 가열이 분리층(SL1)이 분리되기에 충분한 가열 공정일 경우 분리층(SL1)이 분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에 의해 노출된 제1 하부 반도체층(11a)의 표면에 전기 접촉 패드(16)를 형성한다. 제1 하부 반도체층(11a)의 표면에 투명전극(미도시)를 형성하고, 투명전극 상에 전기 접촉 패드(1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빛의 방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1 하부 반도체층(11a) 표면에 러프니스(roughness)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개별 칩(chip)으로의 분리, 램프 또는 SMD(surface mount device) 타입으로 패키징(packaging)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전도성 기판(20)과 투명전극(또는 전기 접촉 패드)은 각각 n(또는 p)-전극과 p(또는 n)-전극으로 역할한다. 두 전극의 양단간에 전압이 인가되면 활성층에서 전자, 정공 결합에 의한 빛이 발생되며, 발생된 빛이 모든 입체각으로 방출된다. 활성층(12)으로부터 전도성 기판(20)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은 반사되어 제1 하부 반도체층(11a)의 표면으로 방출하여 광 출력이 증가하게 된다.
제2 하부 반도체층(11b)이 잔류하는 성장용 기판(10)은 수직 구조 반도체 발광 소자의 성장용 기판으로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판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성장용 기판(10)이 GaN 기판 등과 같은 고가의 기판인 경우에는 기판의 재활용도가 높아 생산 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후의 수직 구조 발광소자 제조시 제2 하부 반도체층(11b) 상에 결함이 없는 동종 박막의 성장이 가능하므로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수직 구조 발광소자를 반복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2 하부 반도체층(11b)의 표면이 거칠 경 우, 제2 하부 반도체층에 대한 연마 공정(polishing)을 실시한 후, 발광소자를 이루는 박막들을 성장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성장용 기판의 일정한 깊이에 이온을 주입하여 분리층을 형성하고, 분리층을 갖는 성장용 기판 상에 발광소자를 이루는 반도체층들을 결정성장하고, 열 공정을 실시하여 이온이 주입된 분리층에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분리된 발광소자 구조에 전류 주입을 위한 접촉 전극 공정을 실시하여 발광소자를 제조한다. 제2 실시예는 발광소자를 이루는 반도체층 형성 이전에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이온 주입시 활성층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성장용 기판(30)에 이온을 주입하여 분리층(SL2)을 형성한다. 분리층(SL2)이 성장용 기판(30) 표면으로부터 10 nm 내지 10,000 nm 깊이에 형성되도록 이온 주입 에너지를 1 keV 내지 10 MeV로 조절한다. 기판(30)은 사파이어 기판, SiC 기판, GaN계 반도체가 적층된 사파이어 기판, GaN계 반도체가 적층된 SiC 기판, GaN 기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성장용 기판(30)으로 GaN 기판을 이용하고, 하부 반도체층(31)과 상부 반도체층(33)은 GaN계 반도체층으로 형성하여 격자상수 불일치에 기인하는 결함 발생을 방지한다. 주입되는 이온은 원자번호가 54 보다 크지 않은 가벼운 원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이후 진행되는 결정 성장 과정에서, 분리층(SL2)의 상부가 분 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장용 기판(30)의 가장자리에 이온이 주입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성장용 기판(30)의 가장자리를 이온 주입 마스크(M)로 덮는다. 이온 주입시 성장용 기판(30)을 고정하기 위한 척(chuck) 등의 장치가 이온주입 마스크(M)로서 역할할 수도 있다. 이온주입 공정이 완료되면, 마스크(M)를 제거한다.
이어서,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분리층(SL2)이 형성된 기판(30) 위에 제1 도전형의 하부 반도체층(31), 활성층(32), 제2 도전형의 상부 반도체층(33)을 순차적으로 성장시킨다. 하부 반도체층(31)과 상부 반도체층(33)은 GaN계 반도체층으로 형성한다. 하부 반도체층(31)이 n형일 경우 상부 반도체층(33)은 p형이고, 하부 반도체층(31)이 p형일 경우 상부 반도체층(33)은 n형이다. 전술한, GaN계는 AlxGayIn(1-x-y)N(0≤x≤1, 0≤y≤1, 0≤x+y≤1)로 표현되며, 녹색, 청색 또는 자외선 영역의 발광에 적합한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7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적층 구조체는 성장용 기판(30), 성장용 기판(30) 상에 적층된 제1 도전형의 하부 반도체층(31), 활성층(32) 및 제2 도전형의 상부 반도체층(33), 활성층(32) 보다 낮은 낮은 영역(성장용 기판(30))에 형성된 분리층(SL2)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반도체층(33) 위에 오믹 접촉층(34) 및 빛의 반사를 위한 금속층(35)을 증착하고 전도성 기판(40)을 접합한다. 금속층(35)은 Cu, Al, Au, Pd, Ti, In, Ni, Pt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막 또는 상기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금속의 합금막으로 형성하며, 전도성 기판(40)으로는 값이 싸고 열전달율이 높은 Si, Cu, Al 등과 같은 반도체 혹은 금속 기판, 또는 GaN 반도체와 열팽창 계수가 같도록 조성이 조절된 합금 기판 등을 사용한다. 전도성 기판(40)의 양단은 기판(30)의 분리층(SL2)과 이온이 주입되지 않은 영역(A)의 경계면의 연장선(B)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믹 접촉층(34)은 ITO 계열의 전도성 투명 전극을 사용할 수 있으나 금속층(35)이 충분한 오믹 특성을 가질 경우 오믹 접촉층(34)은 생략될 수 있다.
하부 반도체층(31), 활성층(32), 상부 반도체층(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 성장 과정에서 분리층(SL2)을 중심으로 기판(30)의 분리가 발생한다. 그러나, 마스크로 덮여 이온이 주입되지 않은 영역(A)에는 분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부 반도체층(31), 활성층(32), 상부 반도체층(33), 오믹 접촉층(34), 전도성 기판(40)의 적층 구조는 분리되지 않고 기판(30)에 붙어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적층 구조체는 성장용 기판(30), 성장용 기판(30) 상에 적층된 제1 도전형의 하부 반도체층(31), 활성층(32) 및 제2 도전형의 상부 반도체층(33), 오믹 접촉층(34), 금속층(35), 접합 기판(40), 활성층(32) 보다 낮은 낮은 영역(성장용 기판(30))에 형성된 분리층(SL2)을 포함한다.
이어서,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전도성 기판(40)의 양단부를 기준으로 레이저, 스크라이빙 또는 다이아몬드 톱을 이용한 절단 공정을 실시하여 전도성 기판(40), 오믹 접촉층(34), 상부 반도체층(33), 활성층(32), 하부 반도체층(31), 기판(30)을 절단한다. 이에 의해, 기판(30), 하부 반도체층(31), 활성층(32), 상부 반도체층(33) 및 오믹 접촉층(34) 각각이 제1 기판(30a)과 제2 기판(30b), 제1 하부 반도체층(31a)과 제2 하부 반도체층(31b), 제1 활성층(32a)과 제2 활성층(32b), 제1 상부 반도체층(33a)과 제2 상부 반도체층(33b), 제1 오믹 접촉층(34a)과 제2 오믹 접촉층(34b)으로 분리된다.
제1 기판(30a), 제1 하부 반도체층(31a), 제1 활성층(32a), 제1 상부 반도체층(33a), 제1 오믹 접촉층(34a), 전도성 기판(40)의 적층 구조는 발광소자에 포함된다. 이후, 제2 기판(30b) 상에 잔류하는 제2 하부 반도체층(31b), 제2 활성층(32b), 제2 상부 반도체층(33b), 제2 오믹 접촉층(34b)을 식각, 연마 등의 공정으로 제거하여 제2 기판(30b)을 잔류시킨다. 잔류하는 제2 기판(30b)은 연마를 통한 표면 평탄화 공정 후 도 6에 보인 기판(30)으로서 재활용될 수 있다.
한편, 절단 공정을 대신하여 화학적인 식각을 수행하여 오믹 접촉층(34), 상부 반도체층(33), 활성층(32), 하부 반도체층(31)의 일부를 제거할 수도 있다. 식각 공정시 이용되는 마스크는 전도성 기판(40)을 덮는 것으로 충분하다. 식각 공정을 실시할 경우, 도 9에 보인 제2 기판(30b)만 잔류하고, 제2 하부 반도체층(31b), 제2 활성층(32b), 제2 상부 반도체층(33b) 및 제2 오믹 접촉층(34b)은 제거되어 잔류되지 않는다. 화학식각 공정 이후 잔류하는 제2 기판(30b)은 연마를 통한 표면 평탄화 공정 후 도 6에 보인 기판(30)으로서 역시 재활용될 수 있다.
제1 기판(30a)이 전도성 기판일 경우, 제1 기판(30a)이 하나의 전극으로 역할한다. 제1 기판(30a)이 절연성 기판일 경우,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제1 기판(30a)을 제거하여 제1 기판(30a)과 접하고 있었던 제1 하부 반도체층(31a)의 표 면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제1 하부 반도체층(31a)의 표면에 투명전극(미도시)를 형성하고, 투명전극 상에 전기 접촉 패드(3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빛의 방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1 하부 반도체층(31a) 표면에 러프니스(roughness)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개별 칩(chip)으로의 분리, 램프 또는 SMD(surface mount device) 타입으로 패키징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수직 구조 반도체 발광소자의 n-전극과 p-전극 양단간에 전류를 흘리게 되면 제1 활성층(32a)에서 전자, 정공 결합에 의한 빛이 발생되며, 발생된 빛이 모든 입체각으로 방출된다. 전도성 기판(40)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은 반사되어 제1 하부 반도체층(31a)의 표면으로 방출하여 광 출력이 증가하게 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서 기판(10, 30)이 전도성 기판일 경우, 제1 하부 반도체층(11a, 31a), 활성층(12, 32a), 제1 상부 반도체층(13, 33a)에 대한 벽개(cleavage)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측면 발광 레이저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