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766B1 - 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766B1
KR101118766B1 KR1020100048269A KR20100048269A KR101118766B1 KR 101118766 B1 KR101118766 B1 KR 101118766B1 KR 1020100048269 A KR1020100048269 A KR 1020100048269A KR 20100048269 A KR20100048269 A KR 20100048269A KR 101118766 B1 KR101118766 B1 KR 101118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landing
unit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8683A (en
Inventor
김한철
장진엽
김진영
이충혁
정용욱
전영삼
이정선
김무항
김승경
김동환
권연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766B1/en
Publication of KR2011012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6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7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04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 G08G5/0013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with a groun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은,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항공기, 및 무인 항공기의 착륙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무인 항공기로 착륙 지점으로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고, 착륙 지점에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면 무인 항공기의 착륙 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무인 항공기의 관리가 용이하다.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 station terminal device applied thereto,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re disclosed.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t least one unmanned aircraft transmitting a landing request signal, and a landing request signal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landing guide for inducing landing to a landing point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At least one station terminal device that transmits a signal and manages landing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ands at the landing point. This makes it easy to manag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escription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station terminal device applied thereto and its operation method {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항공기의 관리를 대행하기 위한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a station terminal apparatus applied thereto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substituting managemen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station terminal apparatus applied thereto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It is about.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 UAV)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항공기를 말하는 것으로, 기체에 사람이 탑승하지 않기 때문에 지상에서 원격 조종하는 조종사가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Uninhabited Aerial(Air) Vehicle로 지칭되기도 한다.Unmanned Aerial Vehicle (UAV) refer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also referred to as an Uninhabited Aerial (Air) Vehicle,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pilots remotely controlled from the ground because no human is aboard. do.

무인 항공기는 임무, 비행 고도, 및 크기에 의해 분류할 수 있다. 첫째로, 임무에 따른 무인 항공기로는 민간기, 무인 표적기, 무인 정찰기, 무인 공격기(무인 전투기), 및 무인 전투 헬리콥터를 들 수 있다. 둘째로, 비행 고도에 따른 무인 항공기로는 45,000ft 이상의 HALE, 45,000ft 이하의 MALE, 및 20,000ft 이하의 LALE를 들 수 있다. 셋째로, 크기에 따른 무인 항공기로는 소형 UAV, MAV(Micro Air Vehicle), NAV(Nano Air Vehicle)를 들 수 있다.Drones can be classified by mission, flight altitude, and size. First, mission drones include civil aircraft, unmanned target aircraft, unmanned reconnaissance aircraft, unmanned attack aircraft (unmanned fighters), and unmanned combat helicopters. Secondly, unmanned aerial vehicles based on flight altitudes include HALEs above 45,000ft, MALEs below 45,000ft, and LALEs below 20,000ft. Thir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size may include a small UAV, a micro air vehicle (MAV), and a nano air vehicle (NAV).

무인 항공기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사람이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임무를 대신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무인 항공기의 적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대중화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Drones were developed for military use and were designed to perform tasks that are difficult for humans to perform. However, as the field of application of the drone expands, popularization is gradually progressing.

일반적으로, 무인 항공기의 구동원으로는 전기를 주로 사용한다. 즉, 무인 항공기내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기 충전을 통해 구동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가 소진되면 무인 항공기는 더 이상 구동되지 않는다.Generally, electricity is mainly used as a driving source of the drone. That is, the drone is provided with a battery in the drone and is driven by electric charging, and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the drone is no longer driven.

무인 항공기가 임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동원이 모두 소진되기 이전에 배터리를 충전해 주어야 한다. 무인 항공기의 특성상 구동원의 소진 여부를 사람이 미리 판단할 수 없으므로, 무인 항공기가 예상치 못한 장소에서 작동을 멈추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동원이 모두 소진되기 이전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In order for the drone to perform its mission smoothly, the battery must be charged before all of its power is exhausted. Because of the nature of drones, it is impossible for a person to determine in advance whether a driver is exhaust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drone from operating in an unexpected place, a system that can be charged before all of the driver is exhausted is required. .

더욱이, 하나의 기관에서 소수의 무인 항공기를 관리할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하나의 기관에서 관리하는 무인 항공기의 수가 증가할 경우 무인 항공기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을 배치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Moreover, it may not be a problem when one agency manages a small number of drones, but when the number of drones managed by one institution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arrange a separate manpower for managing the drone. have.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를 운영하는 기관에서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관리 업무를 무인 항공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스테이션에서 대행함으로써, 무인 항공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station terminal apparatus applied thereto, by acting at a station connect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network, which is difficult to be directly performed by an institution operat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은,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항공기, 및 무인 항공기의 착륙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무인 항공기로 착륙 지점으로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고, 착륙 지점에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면 무인 항공기의 착륙 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at least one unmanned aircraft transmitting a landing request signal, and a landing request signal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landing guide for inducing landing to a landing point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At least one station terminal device that transmits a signal and manages landing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ands at the landing point.

무인 항공기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무인 항공기 및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각각 복수 개이며, 복수의 무인 항공기 중 어느 하나가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복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 중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한 무인 항공기와 근접한 어느 하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응답할 수 있다.The drone may be capable of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lso, there are a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station terminal apparatuses, and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ransmits a landing request signal, one of the plurality of station terminal apparatuses is one station terminal in proximity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has transmitted the landing request signal. The device can respond.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복수 개이며, 무인 항공기가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복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에서 상기 착륙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고, 무인 항공기에서 상기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한 복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착륙 지점에 착륙할 수 있다.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ransmits a landing request signal, a plurality of station terminal apparatuses transmits the landing guidance signal in response to the landing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landing guidance signal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One of the station terminals may be selected to land at the landing point.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여 판단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 잔량 이하이면,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station terminal device may charge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착륙한 무인 항공기가 착륙한 시점부터 이륙하는 시점까지의 보관에 대한 보관 정보 및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를 더 관리할 수 있다.The station terminal device may further manage storage information for storage from the time of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the time of takeoff and charging information for battery char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항공기로부터 송신된 착륙 요청신호에 대하여, 무인 항공기의 착륙 지점을 지정하는 착륙지점 지정부, 무인 항공기로 지정된 착륙 지점으로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및 착륙 지점에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면,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착륙 정보를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for designating the landing poi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land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t least one unmanned aerial vehicle to the landing point designat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landing guidance signal for inducing landing, and a control unit for managing landing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landed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ands at the landing point.

본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로부터 작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작업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ation termina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work data from the lande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storage unit stores the received work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무인 항공기로부터 착륙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착륙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인증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인증부에 의해 무인 항공기의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 착륙지점 지정부에서 착륙 지점을 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착륙지점 지정부는, 복수의 착륙 지점별 위치코드를 이용하여 비어 있는 착륙 지점 중 하나를 착륙 지점으로 지정할 수 있다.,When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landing request signal, and the control unit, if the authentic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the authentication unit, landing The point designator allows you to specify a landing point. In this case,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may designate one of the empty landing points as a landing point by using a plurality of landing code for each landing point.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배터리 잔량 판단부, 및 배터리 잔량 판단부에 의해 배터리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이면,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a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charging unit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charge a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andard remaining amount by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ing unit.

무인 항공기는 복수 개이며, 무인 항공기별로 착륙 정보 및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o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ones,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at least one of landing information and charging information on battery charging of the drone for each drone.

저장된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의 소속에 따라 무인 항공기의 충전 요금을 청구하는 요금 청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il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illing unit that charges the charging fe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belon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tored charging information.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펌웨어의 버전을 판단하고, 판단된 펌웨어의 버전이 최신 버전 이하일 경우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upgrade unit for determining the version of the firmwa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anded, and for upgrading the firmware when the determined version of the firmware is less than the latest version.

제어부는, 착륙한 무인 항공기가 착륙한 시점부터 이륙하는 시점까지의 보관 정보를 더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manage storage information from the time when the landed unmanned aerial vehicle lands to the time when the landed drone is taken off.

보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된 보관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의 소속에 따라 무인 항공기의 보관 요금을 청구하는 요금 청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orage information, and a billing unit for charging the storage fe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belon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tored storag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무인 항공기로부터 착륙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한 무인 항공기의 착륙 지점을 판단하는 단계, 무인 항공기로 판단된 착륙 지점으로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착륙 지점에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면,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착륙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landing request signal from at least one unmanned aerial vehicle, determining the landing poi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ransmitting the landing request signal,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ransmitting a landing guidance signal for inducing landing to the landing point determined to be determined, and if the drone lands at the landing point, managing landing information of the landed unmanned aerial vehicle.

착륙한 무인 항공기로부터 작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the work data from the lande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toring the received work data.

착륙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착륙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판단하는 단계는, 무인 항공기의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에만 착륙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uthentic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landing request signal, and the determining may determine the landing point only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successfully authenticated. have.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의 착륙 지점별 위치코드를 이용하여 비어 있는 착륙 지점 중 하나를 착륙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e determining step, one of the empty landing points may be determined as a landing point using a plurality of landing code for each landing point.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배터리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이면,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has landed, and charging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무인 항공기는 복수 개이며, 무인 항공기별로 착륙 정보 및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may further include storing at least one of landing information and charging information regarding battery char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ach unmanned aerial vehicle.

저장된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의 소속에 따라 무인 항공기의 충전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arging a charge rate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belonging of the drone using the stored charging information.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펌웨어의 버전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펌웨어의 버전이 최신 버전 이하일 경우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version of the firmwa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has landed, and if the version of the firmwa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atest version, upgrading the firmware.

착륙한 무인 항공기가 착륙한 시점부터 이륙하는 시점까지의 보관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naging custody information from the time when the drone landed to the time of takeoff.

보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보관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의 소속에 따라 무인 항공기의 보관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storage information, and charging the storage fe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belon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tored storage information.

본 발명의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와 그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스테이션 단말장치를 구비한 스테이션에서 무인 항공기에 대한 관리 업무를 대행함으로써,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기관에서 직접적으로 무인 항공기를 관리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각 기관에서는 무인 항공기 관리를 위한 관리 인력을 배치하거나 별도의 보관 장소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According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ion terminal apparatus applied thereto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 agency performing a task of manag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in a station having a station terminal apparatus, thereby performing a task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ere is no need to manage drones directly. 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for each institution to arrange a management manpower for managing the drone or to provide a separate storage location.

또한, 무인 항공기가 임무를 완수하였거나 배터리가 모두 소진되기 이전에 근접해 있는 스테이션으로 이동함으로써, 무인 항공기가 지정되지 않은 장소에 무분별하게 방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oving to an adjacent station before the drone completes its mission or runs out of batteries, the drone may be indiscriminately left unspec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network diagra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t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t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t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 the figure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o help understand.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without ca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diagram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무인 항공기(100), 및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를 포함한다. 무인 항공기(100), 및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유선 혹은 무선의 통신망을 통칭하는 것으로, 통신망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a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at least on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200. Here, the network 200 collectively refers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gardless of the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무인 항공기(100)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로 비행하는 항공기로, 그 소속에 따라 부여된 임무를 수행한다. 무인 항공기(100)의 형태 및 구조는 각 무인 항공기(100)가 수행하여야 하는 임무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면, 주차 단속에 대한 임무가 부여된 무인 항공기(100)의 경우에는 주차 위반을 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무인 항공기(100)의 형태 및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an aircraft flying without a person boarding and performs a task assigned according to its affiliati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ission that each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hould perform.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o which a task for parking enforcement is given, the camera may be mounted to photograph an image of a vehicle that has violated a parking. Therefor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drawings.

무인 항공기(100)는 전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동작하므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충전 가능한 구조의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된다. 배터리는 무인 항공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충전된 전기가 모두 사용되면 충전을 하여야 한다.Sinc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perates using electricity as a driving source, a battery (not shown) having a rechargeable structure is mounted to supply electricity. The battery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should be charged when all of the charged electricity is used.

무인 항공기(100)는 임무를 완수하였거나 배터리 충전과 같은 별도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를 위해, 무인 항공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여기서, 무인 항공기(100)가 송신하는 착륙 요청신호에는 자신에게 고유하게 부여되어 있는 식별코드가 포함된다. 식별코드는 통상의 ID일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ransmits a landing request signal through the network 200 when a mission or a separate task such as battery charging is required. To this e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cludes an interface module (not shown) for interfacing with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through the network 200. Here, the land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uniquely assigned thereto.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normal ID.

무인 항공기(100)는 무인 항공기(100)를 운영하는 기관별로 복수 개가 운영될 수 있다. 또한, 무인 항공기(100)를 운영하는 기관 내의 각 부서별로도 복수 개가 운영될 수 있다. 하나의 기관 내에 속해 있는 무인 항공기(100)들은 동일한 임무가 부여될 수도 있고, 혹은 서로 상이한 임무가 부여될 수도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be operated in plural numbers for each institution that operat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units may be operated for each department within the engine oper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belonging to one agency may be assigned the same mission or may be assigned different missions.

본 실시예에서는 3대의 무인 항공기(100)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각 무인 항공기(100a, 100b, 100c)는 하나의 기관에 소속된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서로 상이한 기관에 소속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각 무인 항공기(100a, 100b, 100c)는 모두 동일한 임무가 부여된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서로 상이한 임무가 부여된 것일 수도 있다. 다만, 무인 항공기(100)는 모두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ree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are illustrated. However,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Each unmanned aerial vehicle 100a, 100b, 100c may belong to one organization or may belong to different agencies. In addition, each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100a, 100b, and 100c may be assigned the same mission, or may be assigned different missions. Howev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preferably in the form that all can take off and landing vertically.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는 무인 항공기(100)의 보관, 충전,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와 같은 관리 업무를 처리하는 스테이션(300, 300') 측의 단말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는 컴퓨터일 수 있다.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is a terminal device of a station 300, 300 ′ which processes management tasks such as storage, charging, and firmware upgra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Preferably,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may be a computer.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는 각 스테이션에 고유하게 할당된 식별코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무인 항공기(100)는 수신 대상이 지정되지 않은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자신이 송신한 착륙 요청신호를 어느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에서 수신하는지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착륙 요청신호를 수신한 스테이션 단말장치(400)가 무인 항공기(100)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릴 때 스테이션의 식별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may have an identification code uniquely assigned to each station. Sinc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ransmits a landing request signal for which a reception target is not specified, it cannot know which station terminal device 400 receives the land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by itself. Therefore, when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receiving the landing request signal inform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f its location, the station's identification code can be used.

여기서, 스테이션(300, 300')은 무인 항공기(100)가 소속된 기관으로부터 무인 항공기(100)에 대한 관리 업무를 대행 받아 처리하는 무인 항공기 관리 대행사 측에서 설치한 장소에 해당한다. 스테이션(300, 300')에는 복수의 무인 항공기(100)를 보관하기 위한 착륙장(310, 310')이 구비된다.Here, the station (300, 300 ') corresponds to a place install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agency that handles the management service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rom the agency to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belongs. Stations 300 and 300 ′ are equipped with landing pads 310 and 310 ′ for storing a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도시한 바와 같이, 착륙장(310, 310')은 스테이션(300, 300')의 건물 옥상에 구비되거나 혹은 스테이션(300, 300') 내 옥외 별도 장소에 구비될 수 있다. 착륙장(310, 310')은 복수의 무인 항공기(100)가 착륙할 수 있도록 복수의 착륙 지점으로 구획되고, 각 착륙 지점에는 위치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착륙장(310, 310')은 통상의 차량 주차장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무인 항공기(100)는 사람이 직접 탑승하는 것이 아니므로 차량과 같이 그 크기가 크지 않다. 그러므로, 착륙장(310, 310')은 통상의 차량 주차장과 같은 큰 공간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As shown, the landing pads 310 and 310 'may be provid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of the stations 300 and 300' or may be provided in separate outdoor places in the stations 300 and 300 '. The landing sites 310 and 310 'ar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landing points so that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can land, and a location code is assigned to each landing point. Landing areas 310 and 310 'may be shaped similarly to conventional vehicle parking lots. Howev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not large in size as a vehicle because a person is not directly boarding. Therefore, the landing pads 310 and 310 'do not require a large space such as a normal car parking lo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t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는 통신부(410), 인증부(420), 착륙지점 지정부(430), 배터리 잔량 판단부(440), 충전부(450), 저장부(460), 요금 청구부(470), 업그레이드부(480), 및 제어부(490)를 포함한다.2,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unit 410, authentication unit 420,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430,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ation unit 440, charging unit ( 450, a storage unit 460, a billing unit 470, an upgrade unit 480, and a control unit 490.

통신부(41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무인 항공기(100)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410)는 무인 항공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착륙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착륙 안내 신호를 무인 항공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와 무인 항공기(100)간의 신호는 통신부(410)를 통해 송수신 된다.The communication unit 410 supports communication wit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rough the network 200.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410 may receive a land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and may transmit a landing guidance signal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addition, the signal between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인증부(420)는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한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인증부(420)는 착륙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는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의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authenticator 420 authenticat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a to 100c which has transmitted the landing request signal.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unit 420 performs the authentication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manned aircraft (one of 100a to 100c) included in the landing request signal, for this purpose,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is unmanned aerial vehicle (100a to) Any one of 100c) may be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database (not shown).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부(420)는 복수의 무인 항공기 중 어느 하나(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착륙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착륙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할 경우에 해당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를 인증한다. 인증부(420)는 인증 결과 즉, 인증 성공 및 인증 실패를 제어부(490)에 제공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authentication unit 420 receives a landing request signal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y one of 100a to 100c), the identification code database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landing request signal If there is a matching identification code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unmanned aerial vehicle (any one of 100a to 100c) is authenticated. The authentication unit 420 provides an authentication result, that is, authentication success and authentication failure, to the control unit 490.

착륙지점 지정부(430)는 착륙장(310, 310')의 복수의 착륙 지점별 위치코드를 이용하여 비어 있는 착륙 지점 중 하나를 무인 항공기(100)가 착륙할 착륙 지점으로 지정한다.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430 designates one of the empty landing points as a landing point to be lande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by using a plurality of landing point-specific location codes of the landing sites 310 and 310 '.

배터리 잔량 판단부(440)는 착륙 지점에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가 착륙한 이후 해당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의 잔량을 판단하여 기설정된 기준 잔량과 비교한다.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ing unit 440 determin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y one of the 100a to 100c) aft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y one of 100a to 100c) landing at the landing point, the predetermined reference residual amount Compare with

충전부(450)는 배터리 잔량 판단부(440)의 판단 결과 배터리 잔량이 기준 잔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해당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충전부(450)는 오프라인상에서 관리자가 해당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에 충전 케이블을 연결한 이후에 동작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450 charges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a to 100c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emaining amount, as determined by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ing unit 440. The charging unit 450 may be operated after the manager connects the charging cable to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a to 100c offline.

저장부(460)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460)는 착륙지점 지정부(430)에서 착륙 지점 판단을 위해 사용하는 착륙 지점별 위치코드를 저장할 수 있고, 업그레이드부(480)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해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펌웨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60)에는 무인 항공기(100)의 식별코드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60 may store al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460 may store the location code for each landing point used for the landing point determination in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430, and various firmware for use in the firmware upgrade in the upgrade unit 480. You can also save them.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460 may be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database of the drone 100.

또한, 저장부(460)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에서 대행한 관리 업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무인 항공기(100)가 스테이션(300, 300')에 착륙한 이후에 이루어진 모든 업무 즉, 착륙 정보, 보관 정보, 충전 정보, 및 업그레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충전 정보는 충전 시간, 및 충전량을 포함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충전량에 따라 무인 항공기(100)가 소속된 기관에 청구하는 충전 요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460 is all the work that is performed aft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landed on the station (300, 300 '), that is, landing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he management service on behalf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Information, storage information, charging information, and upgrade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particular, the charging information should include the charging time, and the charging amoun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harging fee charged to the engine to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belongs depends on the charging amount.

요금 청구부(470)는 저장부(460)에 저장되어 있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를 통해 수행된 업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100)가 소속되어 있는 각 기관에 요금을 청구한다. 요금 청구부(470)에 의해 청구되는 요금은 보관 요금, 충전 요금, 및 업그레드 요금으로 구분되어 각각 청구될 수 있다.The billing unit 470 uses the information on the work performed through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460 to bill each institution to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belongs. The charges charged by the billing unit 470 may be divided into storage charges, charge charges, and upgrade charges.

업그레이드부(480)는 무인 항공기(100)가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무인 항공기(100)에 내장되어 있는 펌웨어가 최신 버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당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한다. 복수의 무인 항공기(100)는 각각에 부여된 임무에 해당하는 펌웨어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업그레이드부(480)는 무인 항공기(100) 별로 기내장되어 있는 펌웨어의 종류에 따라 해당 펌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한다.The upgrade unit 480 upgrades the firmware to maintain the latest version of the firmware embed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 order to control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o perform a task assigned to the upgrade unit 480. Since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have built-in firmware corresponding to the tasks assigned to each of them, the upgrade unit 480 upgrades the corresponding firmware to the latest ver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firmware stored in each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do.

제어부(490)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90)는 통신부(410), 인증부(420), 착륙지점 지정부(430), 배터리 잔량 판단부(440), 충전부(450), 저장부(460), 요금 청구부(470), 및 업그레이드부(48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49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s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That is, the control unit 490 is a communication unit 410, authentication unit 420,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430,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ation unit 440, charging unit 450, storage unit 460, billing unit 470 And control signal input / output between the upgrade units 480.

제어부(490)는 통신부(410)를 통해 착륙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착륙 요청신호로부터 식별코드를 추출하여 인증부(420)에 제공함으로써, 인증부(420)에서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한 무인 항공기(100a 내지 100c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When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the controller 490 extracts an identification code from the received landing request signal and provides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authentication unit 420, thereby transmitting the landing request signal from the authentication unit 420. Authentic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a to 100c is performed.

제어부(490)는 무인 항공기(100)가 착륙장(310, 310')에 착륙한 이후에는 착륙 시간에 대한 착륙 정보, 착륙한 시점부터 이륙할 때까지의 시간에 대한 보관 정보, 착륙 이후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졌을 경우 충전 시간과 충전량에 대한 충전 정보, 및 펌웨어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을 경우 업그레이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90)는 각 정보들을 저장부(46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After the drone 100 lands at the landings 310 and 310 ', the controller 490 may include landing information on the landing time, storage information on the time from landing to takeoff, and the battery after landing. When charging is performed, the charg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time and the charging amount may be managed, and when the firmware is upgraded, the upgrade information may be manag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490 may store and manage each piece of information in the storage 460.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부(490)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 설명하면, 제어부(490)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MEMORY), 서포트 회로(SUPPORT CIRCUIT)를 포함한다. CPU는 본 실시예의 스테이션 단말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MEMORY)는 CPU와 동작으로 연결된다. 메모리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램덤 엑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SUPPORT CIRCUIT)는 CPU와 작용적으로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는 캐쉬,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90 which performs such a role will be briefly described in detail. The controller 49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emory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SUPPORT CIRCUIT). The CPU may be one of various computer processors that can be industrially applied to control the station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mory is connected to the CPU in operation. The memory may be installed locally or remotely a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readily available types such as,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or any digital storage form. Memory. SUPPORT CIRCUIT is operatively coupled to the CPU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Such support circuits may include cache, power supplies, clock circuits, input / output circuits, subsystems, and the like.

예를 들면,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들(예를 들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동작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CPU(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으며, 그러한 다른 CPU(미도시)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와는 거리적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a proces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 (eg, the operations shown in FIGS. 3 and 4) may be stored in the memory. Typically software routines may be stored in memory. The software routine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another CPU (not shown), which may be located remotely from the sta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software routines,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or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n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t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무인 항공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복수의 무인 항공기(100) 중 어느 하나이고,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는 도 1에 도시한 복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 중 무인 항공기(100)와 가장 근접해 있는 어느 하나이다.Here, an operation method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hown in FIG. 3 i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100 shown in FIG. 1, 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f the plurality of station terminal devices shown in FIG. 1. ) Is one of the nearest.

무인 항공기(100)는 자신에게 부여된 임무 수행을 완료하였거나 혹은 배터리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해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한다(S501). 이때, 착륙 요청신호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는 특정 스테이션 단말장치(400)가 지정되지 않은 신호로,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무인 항공기(100)와 가장 근접해 있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에서 착륙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된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ransmits a landing request signal through the network 200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has completed the task assigned to itself or the battery is not sufficient (S501). In this case,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a signal for which a specific station terminal device 400 that receives the signal is not designated, and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by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which is closes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at transmits the landing request signal. Will be received.

무인 항공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착륙 요청신호는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되고, 제어부(490)는 착륙 요청신호로부터 무인 항공기(100)의 식별코드를 추출하여 인증부(420)에 제공한다. 인증부(420)에서는 무인 항공기(100)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식별코드들과 비교하여 무인 항공기(100)의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S503).The land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and the controller 490 extracts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rom the landing request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authentication unit 420. The authentication unit 420 determines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authenticated by comparing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codes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503).

인증부(420)의 인증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무인 항공기(100)의 인증이 실패하였을 경우(S507-N), 제어부(490)는 통신부(410)를 통해 무인 항공기(100)에 인증 실패를 통지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S505).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unit 420, if the authentic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ails (S507-N), the controller 490 notifi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authentication failure. Notify and end the process (S505).

만약, 인증부(420)의 인증 여부 판단 결과 무인 항공기(100)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성공하였을 경우(S507-Y), 착륙지점 지정부(430)는 무인 항공기(100)에 착륙장(310, 310')에 착륙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착륙 지점 중 하나를 무인 항공기(100)에 대한 착륙 지점으로 지정한다(S509).If the authentication of the authentication unit 420 determines that the authentic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ucceeds normally (S507-Y),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430 may lan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310, 310 '). One of the empty landing points so as to land on the designated as a landing point for the drone (S509).

착륙지점 지정부(430)에 의해 무인 항공기(100)의 착륙 지점이 지정되면, 제어부(490)는 무인 항공기(100)가 지정된 착륙 지점으로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착륙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410)를 통해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한다(S511). 여기서, 착륙 안내 신호는 스테이션의 식별코드, 및 착륙 지점의 위치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landing poi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designated by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430, the controller 490 generates a landing guide signal for induc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o land to the designated landing point, and the communication unit In operation 511, the landing guidance signal is transmitted. Here, the landing guidance signal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station, and a location code of the landing point.

무인 항공기(100)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로부터 착륙 안내 신호가 수신되면, 착륙 안내 신호에 따라 해당 스테이션 내의 착륙장(310, 310')의 지정된 착륙 지점에 착륙한다(S513).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에서는 무인 항공기(100)가 착륙장(310, 310')에 착륙했는지 혹은 지정된 착륙 지점에 정확하게 착륙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인 항공기(100)가 착륙장(310, 310') 및 지정된 착륙 지점에 착륙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착륙장(310, 310')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사항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receives the landing guidance signal from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lands at the designated landing point of the landing sites 310 and 310 'in the corresponding station according to the landing guidance signal (S513).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has landed at the landings 310 and 310 'or has landed accurately at the designated landing point. Determining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has landed at the landings 310 and 310 'and the designated landing point may be performed by a sensor (not shown) installed at the landings 310 and 310'. Since this technique corresponds to a known mat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에서는 무인 항공기(100)가 착륙장(310, 310')에 착륙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15). 여기서, 무인 항공기(100)가 착륙장(310, 310')에 착륙하지 않은 경우(S515-N)에는 무인 항공기(100)에게 착륙을 재유도하거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S517). 만약, 무인 항공기(100)가 착륙장(310, 310')에 착륙하였을 경우(S515-Y)에 제어부(490)는 착륙 시간을 포함하는 착륙 정보를 저장부(460)에 저장하도록 한다(S519).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determines wheth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has landed at the landings 310 and 310 '(S515). Her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does not land at the landings 310 and 310 '(S515-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reinduces landing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r terminates the process (S517).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lands at the landing sites 310 and 310 '(S515-Y), the controller 490 stores the lan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landing time in the storage unit 460 (S519). .

배터리 잔량 판단부(440)는 착륙장(310, 310')에 착륙한 무인 항공기(100)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의 잔량을 파악하여 그 배터리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21).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ing unit 440 determin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unt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landing on the landing fields 310 and 310 ',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S521). ).

배터리 잔량 판단부(440)에서 무인 항공기(100)의 배터리 잔량과 기준 잔량을 비교한 결과, 배터리 잔량이 기준잔량 이하인 경우(S521-Y), 충전부(450)에서는 무인 항공기(100)의 배터리의 충전을 실시한다(S523).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ing unit 440 compares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with the reference remaining amount,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the standard remaining amount (S521-Y), the charging unit 450 of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Charge is performed (S523).

충전부(450)의 동작에 의해 무인 항공기(100)의 배터리가 충전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무인 항공기(100)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로 충전 완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527). 무인 항공기(100)에서 충전 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것은 필수 사항은 아니다. 즉, 설계 변경에 의해 충전부(450)에서 충전 동작을 진행함에 따라 충전 완료를 자체적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charged by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unit 450, and when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may transmit a charging completion signal to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S527). It is not necessary to transmit the charging completion signal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at is, as the charg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charging unit 450 due to the design change, the charging completion may be determined by itself.

무인 항공기(100)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제어부(490)는 저장부(460)에 충전 시간 및 충전량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저장한다(S529). 충전 정보는 추후 요금 청구부(470)에서 해당 기관에 무인 항공기(100)의 관리 업무 대행에 대한 요금을 청구할 때 사용될 수 있다.When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completed, the controller 490 stores the charg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harging time and the charging amount in the storage unit 460 (S529). The charging information may be used later when the billing unit 470 charges the agency for the management servi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업그레이드부(480)는 무인 항공기(100)에 탑재되어 있는 펌웨어의 버전을 파악하여 펌웨어가 구버전인지 혹은 최신 버전인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펌웨어가 구버전인 것으로 판단되면(S531-Y), 업그레이드부(480)는 무인 항공기(100)로 펌웨어 업그레이드 지시를 송신한다(S527). 이때, 펌웨어 업그레이드 지시와 함께 최신 버전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파일이 함께 송신될 수 있다.The upgrade unit 480 checks the version of the firmware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firmware is an old version or the latest version. 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mware is an old version (S531-Y), the upgrade unit 480 transmits a firmware upgrade instruc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527). In this case, the firmware upgrade file of the latest version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firmware upgrade instruction.

무인 항공기(100)에서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로부터 받은 업그레이 파일에 의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고(S535),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로 업그레이드 완료 신호를 송신한다(S537).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performs an upgrade by the upgrade file received from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S535), and transmits an upgrade completion signal to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S537).

스테이션 단말장치(400)는 착륙장(310, 310')에 착륙한 무인 항공기(100)에 대한 배터리 충전 업무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 업무가 완료되면, 무인 항공기(100)가 다시 임무를 수행할 시간이 되어 이륙을 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되고, 무인 항공기(100)가 이륙하면, 제어부(490)는 이륙 시점에 보관 시간을 포함하는 보관 정보를 저장부(460)에 저장한다(S539). 여기서, 보관 정보는 요금 청구부(470)에서 추후 무인 항공기(100)가 소속되어 있는 기관에 관리 대행에 대한 요금을 청구할 때 이용된다.When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completes the battery charging task and the firmware upgrade task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landing at the landings 310 and 310 ',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has time to perform its mission again and takes off. In the standby state until the, and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akes off, the controller 490 stores the stor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orage time at the time of takeoff in the storage unit 460 (S539). Here, the storage information is used when the billing unit 470 charges a fee for the management agency to the agency to which the drone 100 belongs later.

만약, S521 단계에서 무인 항공기(100)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 잔량 이상일 경우(S521-N), S523 내지 S527 단계는 생략된다. 또한, S531 단계에서 무인 항공기(100)에 탑재된 펌웨어가 최신 버전일 경우(S531-N), S533 내지 S537 단계는 생략된다.If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remaining amount in step S521 (S521-N), steps S523 through S527 are omitted. In addition, when the firmware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the latest version in step S531 (S531-N), steps S533 to S537 are omitted.

상기 절차에서, S521 및 S523 단계의 배터리 충전과 관련된 단계, S531 및 S533 단계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와 관련된 단계는 무인 항공기(100)의 관리 대행을 위임한 기관의 선택에 의해 각 단계의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the above procedure, the steps related to the charging of the battery of steps S521 and S523, and the step of upgrading the firmware of the steps S531 and S533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perform each step by the selection of the authority that delegates the management agen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Can b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t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무인 항공기(100)와 가장 근접한 장소에 위치해 있는 하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400)에서 착륙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를 변형하여 2개의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 400b)가 무인 항공기(100)로부터 착륙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무인 항공기(100)가 근접한 장소에 위치한 스테이션 단말장치(400)가 단 하나일 수도 있지만, 2개의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 400b) 혹은 그 이상이 서로 무인 항공기(100)와 근접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In FIG. 3, the case where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by one station terminal device 400 located in the closest posi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ransmitting the landing request signal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is case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two station terminal devices 400a and 400b receive the landing request signal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For example, although there may be only one station terminal 400 located in a place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s adjacent, two station terminal devices 400a and 400b or more may be adjacent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is may be the case.

무인 항공기(100)는 착륙 요청신호를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 400b)로 송신한다(S601). 이때,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착륙 요청신호에는 무인 항공기(100)의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ransmits a landing request signal to the station terminal apparatuses 400a and 400b (S601).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landing request signal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무인 항공기(100)로부터 착륙 요청신호를 수신한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 400b)는 각각 착륙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무인 항공기(100)의 식별코드를 추출하여 무인 항공기(100)의 인증을 수행한다(S602, S603).The station terminal devices 400a and 400b receiving the landing request signal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extract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included in the landing request signal, respectively, to perform authentic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602, S603).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 400b)는 각각 무인 항공기(100)의 인증 수행 결과에 따라,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에(S604-Y, S605-Y), 무인 항공기(100)에 대하여 제공할 착륙 지점을 지정한다(S606, S607).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 400b)는 각각 무인 항공기(100)에 대하여 지정한 착륙 지점을 무인 항공기(100)에게 알려주기 위한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한다(S609, S610).The station terminal devices 400a and 400b respectively select landing points to be provid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when the authentication succeeds (S604-Y and S605-Y)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resul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Designate (S606, S607). The station terminal devices 400a and 400b transmit landing guidance signals for inform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of the landing point designated fo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respectively (S609 and S610).

무인 항공기(100)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 400b)로부터 각각 착륙 안내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이 착륙할 착륙장(310, 310')에 해당하는 하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 40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611).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receives the landing guidance signals from the station terminal devices 400a and 400b, respectively, and is one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s 400a and 400b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fields 310 and 310 'to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to land. (S611).

S611 단계에서, 무인 항공기(100)가 스테이션 단말장치(400b)를 선택하였다고 하면, 무인 항공기(100)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a)로 착륙을 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송신한다(S613).In operation S611,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selects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b,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ransmits a signal not to land on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a (S613).

이후, 무인 항공기(100)는 스테이션 단말장치(400b)로부터 수신한 착륙 안내 신호에 따라 착륙장(310')의 해당 착륙 지점에 착륙한다(S615). 이후부터는 도 3의 S515 단계부터의 프로세스가 진행된다.Thereafter,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lands at a corresponding landing point of the landing site 310 'according to the landing guidance signal received from the station terminal device 400b (S615). Thereafter, the process from step S515 of FIG. 3 is performed.

이하에서는 무인 항공기가 2개의 스테이션 단말장치들 (300, 300')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elects one of the two station terminals 300 and 300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로서, 무인 항공기는 2개의 스테이션 단말장치(300, 300')로부터 보내오는 착륙안내송신 신호 속에 포함된 스테이션 단말장치(300, 300')의 ID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곳의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안내하는 착륙지점에 착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close to its current location using the IDs of the station terminals 300 and 300 'included in the landing guidance transmission signals sent from the two station terminals 300 and 300'. May land at the landing point guided by the station terminal device.

다른 실시예로서, 무인 항공기는 2개의 스테이션 단말장치(300, 300')로부터 보내오는 착륙안내송신 신호 속에 포함된 스테이션 단말장치(300, 300')의 ID를 이용하여 현재 자신이 가고자하는 목적지의 경로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안내하는 착륙지점에 착륙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es the IDs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s 300 and 300 'included in the landing guidance transmission signals from the two station terminal devices 300 and 300' to determine the destinations to which they currently wish to go. A landing terminal guided by a station terminal device located near the route may be landed.

이와 같이 무인 항공기가 경합하는 2개의 스테이션 단말장치와 자신과의 거리나, 목적지 경로에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할 것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면, 미리 스테이션 단말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460)에 기저장하고 있거나, 또는 스테이션 단말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들에 요청하여 확인할 수 있다.Thus,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on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 must be known in order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tation terminal devices which the unmanned aircraft competes with 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in the destination route.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s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460, or may be requested by the servers (not shown)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ation terminal devices.

이상의 실시예에서 2개의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경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경합하는 경우에도 같은 원리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ention of two station terminal apparatuses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same principle may be determined even when three or more station terminal apparatuses compe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션 단말장치들이 착륙 지점을 지정할 때, 다른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같은 착륙 지점에 대하여 중복하여 지정하지 않도록 동작해야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ation terminal devices designate landing points, the other station terminal devices should operate so as not to overlap the same landing point.

예를 들면, 스테이션 단말장치 A는 착륙지점 P1, P2, P3, ....PN을 관리하고, 스테이션 단말장치 B는 착륙지점 S1, S2, S3, ....SN을 관리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A와 스테이션 단말장치 B는 서로 착륙지점을 중복하여 지정하는 경우는 없을 것이나, 동일한 착륙지점에 대하여 스테이션 단말장치 A와 스테이션 단말장치 B가 같이 관리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A와 스테이션 단말장치 B는 상호 간에 동일한 착륙 지점에 대하여 중복하여 지정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해야 한다.For example, if the station terminal device A manages landing points P1, P2, P3, .... PN, 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B manages landing points S1, S2, S3, .... SN The terminal device A 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B may not designate landing points overlapping with each other. However, when the terminal terminal device A 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B manage the same landing point together, the terminal terminal device A 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B may not be designated. Device B must ensure that no duplicate assignments to the same landing point occur between each other.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스테이션 단말장치들끼리 최신의 착륙 지점 지정 정보를 서로 교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착륙 지점을 지정할 때 다른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지정한 지점은 지정하지 않도록 한다.One way to do this is to have the station terminal devices exchange the latest landing point design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tation terminal device does not designate a point designated by another station terminal device when designating a landing point.

또 다른 방안으로는 스테이션 단말장치들을 관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각 스테이션 단말장치들이 착륙 지점을 지정할 때마다 상기 시스템에 자신들이 지정한 착륙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전송토록 하고, 상기 시스템은 각 단말 장치들이 지정한 착륙 지점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전송받아서 유지 관리토록 한다. 따라서, 각 스테이션 단말장치들이 지정한 착륙 지점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나중에 착륙 지점을 지정한 스테이션 단말장치로 착륙 지점이 중복되어 지정할 수 없음을 통지토록 한다. As another method, a system for controlling station terminal devices may be constructed, and each station terminal device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landing point designated by the station device to the system whenever the station terminal device designates a landing point. Receive real-time information on the designated landing point for maintenance. Therefore, when the landing points designated by the respective station terminal devices overlap, the landing point is later notified to the designated station terminal device.

상술한 실시예에서, 충전부는 배터리 잔량이 기준 잔량 이하인 경우에만 충전토록 하였으나, 이것과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harging unit is to be charged only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residual amount,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in a different way.

일 방안으로, 임의의 무인 항공기의 충전여부를 결정할 때 배터리 잔량만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무인 항공기의 향후 목적지까지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토록 한다. 이동거리가 먼 경우에는 기준 잔량보다 많은 남은 경우라도 충전을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490)는 충전부는 배터리 잔량 판단부의 판단 결과와 무인 항공기의 향후 목적지까지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충전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490)는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충전부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In one method, when determining whether to charge any unmanned aerial vehicle, it is determined not only by the remaining battery level, but by considering the moving distance to the future destin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f the distance is far, even if more than the remaining capacity to charge. To this end, the controller 49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unit is charg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ation unit and the moving distance to the future destin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reafter, the controller 490 controls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e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상술한 도 2의 실시예에서, 통신부(410), 인증부(420), 착륙지점 지정부(430), 배터리 잔량 판단부(440), 제어부(490), 충전부(450), 저장부(460), 요금 청구부(470), 및 업그레이드부(480)는 하나의 기능 블록 안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이들 구성요소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별도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별도라고 함은 논리적으로 구분 되거나, 위치적으로 구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 2, the communication unit 410, the authentication unit 420,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430,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ation unit 440, the control unit 490, the charging unit 450, and the storage unit 460. ), The billing unit 470, and the upgrade unit 480 is shown as being included in one functional block,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implemented in one devi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such a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functional blocks. Here, the term "separate" means to include logically divided, positionally divided, or different software or hardwar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 무인 항공기 200 : 네트워크
300, 300' : 스테이션 310, 310' : 착륙장
400 : 스테이션 단말장치
100: drone 200: network
300, 300 ': station 310, 310': landing yard
400: station terminal device

Claims (26)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 항공기; 및
상기 무인 항공기로부터 상기 착륙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륙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상기 무인 항공기에게 착륙 지점으로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착륙 지점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면 상기 무인 항공기의 착륙 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At least one drone transmitting a landing request signal; And
When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authenticated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landing request signal,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nduc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land at the landing point. And at least one station terminal device which transmits a landing guidance signal and manages landing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ands at the landing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 및 상기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각각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의 무인 항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 중 상기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한 무인 항공기와 근접한 어느 하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가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station terminal apparatus are each plural,
I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ransmits the landing request signal, an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responds to one of the plurality of station terminal apparatuses in close proximity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landing request signal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복수 개이며,
상기 무인 항공기가 상기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에서 상기 착륙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무인 항공기에서 상기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한 복수의 스테이션 단말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착륙 지점에 착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ion terminal device is a plurality,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ransmits the landing request signal, the plurality of station terminal apparatuses transmits the landing guidance signal in response to the landing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landing guidance signal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nmanned aircraf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 one of the landing point to la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배터리 잔량이 기준 잔량 이하이면,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tation terminal device determine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harges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determined remaining battery level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remaining amou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 단말장치는,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가 착륙한 시점부터 이륙하는 시점까지의 보관에 대한 보관 정보 및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를 더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항공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ation terminal devic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manages the storage information for the storage from the time of landing to the time of takeoff of the unmanned drone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for the battery charging of the drone.
적어도 하나의 무인 항공기로부터 송신된 착륙 요청신호에 대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의 착륙 지점을 지정하는 착륙지점 지정부;
상기 무인 항공기로 상기 지정된 착륙 지점으로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착륙 지점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면,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착륙 정보를 관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인 항공기로부터 상기 착륙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륙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인증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상기 무인 항공기의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 상기 착륙지점 지정부에서 상기 착륙 지점을 지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A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 landing poi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 response to a land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unmanned aerial vehicle;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 landing guidance signal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inducing landing to the designated landing point;
A controller configured to manage landing inform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ands at the landing point; And
And an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landing request signal when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if the authentic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successful by the authentication unit,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to designate the landing point.
제 7 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로부터 작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operation data from the landing drone,
And the storage unit stores the received job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지점 지정부는, 복수의 착륙 지점별 위치코드를 이용하여 비어 있는 착륙 지점 중 하나를 상기 착륙 지점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anding point designation unit, the sta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signating one of the landing points vacant using the position code for each landing point to the landing poi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배터리 잔량 판단부; 및
상기 배터리 잔량 판단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이면,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d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remaining amount by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rmining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는 복수 개이며,
상기 무인 항공기별로 상기 착륙 정보 및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re are a plurality of drones,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landing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for the battery char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ach unmanned aerial vehic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소속에 따라 상기 무인 항공기의 충전 요금을 청구하는 요금 청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billing unit configured to charge a charging fe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belon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tored charging inform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펌웨어의 버전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펌웨어의 버전이 최신 버전 이하일 경우 상기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n upgrade unit for determining a version of the firmware of the lande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pgrading the firmware when the determined version of the firmwa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atest vers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가 착륙한 시점부터 이륙하는 시점까지의 보관 정보를 더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sta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further managing the storage information from the time of landing to the time of take-off of the landing dron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보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소속에 따라 상기 무인 항공기의 보관 요금을 청구하는 요금 청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torage information; And
And a billing unit for charging a storage fe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belon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using the stored storage information.
적어도 하나의 무인 항공기로부터 착륙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륙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착륙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무인 항공기의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에, 상기 착륙 요청신호를 송신한 무인 항공기의 착륙 지점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무인 항공기로 상기 지정된 착륙 지점으로의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 안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착륙 지점에 상기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면,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착륙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Receiving a landing request signal from at least one drone;
When the land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authenticat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landing request signal;
Designating a landing poin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landing request signal when authentic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successful;
Transmitting a landing guidance signal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inducing landing at the designated landing point; And
And managing the landing information of the landed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lands at the landing poin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로부터 작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작업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Receiving operation data from the landed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d storing the received work data.
삭제delet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지점을 지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착륙 지점별 위치코드를 이용하여 비어 있는 착륙 지점 중 하나를 상기 착륙 지점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The designating of the landing point may include designating one of the empty landing points as the landing point using a plurality of landing code for each landing poin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기설정된 기준 잔량 이하이면,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Determining a battery level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d charging the batter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remaining amoun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항공기는 복수 개이며,
상기 무인 항공기별로 상기 착륙 정보 및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배터리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here are a plurality of drones,
Storing at least one of the landing information and the charging information for the battery char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ach unmanned aerial vehicl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소속에 따라 상기 무인 항공기의 충전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And charging a charge fe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belon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using the stored charging informa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의 펌웨어의 버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펌웨어의 버전이 최신 버전 이하일 경우 상기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Determining a version of firmwar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pgrading the firmware when the version of the firmwa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atest vers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한 무인 항공기가 착륙한 시점부터 이륙하는 시점까지의 보관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And managing the storage information from the time when the landed unmanned aerial vehicle lands to the time of takeoff.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보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의 소속에 따라 상기 무인 항공기의 보관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25,
Storing the archive information; And
And claiming a storage fe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belong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by using the stored storage information.
KR1020100048269A 2010-05-24 2010-05-24 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 KR101118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269A KR101118766B1 (en) 2010-05-24 2010-05-24 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269A KR101118766B1 (en) 2010-05-24 2010-05-24 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683A KR20110128683A (en) 2011-11-30
KR101118766B1 true KR101118766B1 (en) 2012-03-20

Family

ID=4539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269A KR101118766B1 (en) 2010-05-24 2010-05-24 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76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0021A1 (en) * 2015-06-10 2016-12-15 한찬희 Charging system through autonomous guidance of flying object
WO2017039179A1 (en) * 2015-09-04 2017-03-09 유성훈 Method, user terminal, server, and detecting device for monitor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720028B1 (en) 2015-12-02 2017-03-28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732357B1 (en) 2015-07-01 2017-05-24 주식회사 남성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ding and takeoff of dron
KR101753363B1 (en) * 2015-02-23 2017-07-05 (주)이산솔루션 Flight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charge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KR20170132923A (en) * 2016-05-24 2017-12-05 (주)이랩코리아 Control system for unmanned assignment of drone
KR20200103910A (en) * 2019-02-25 2020-09-03 한국광기술원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uid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infrared ligh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1340A1 (en) * 2012-10-31 2014-04-30 Eads Deutschland Gmbh Kit and method of mak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therewith
KR102083933B1 (en) * 2015-07-02 2020-03-03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nmanned aircraft
KR101599423B1 (en) * 2015-10-16 2016-03-15 배종외 Charging system for drone
JP2017177912A (en) *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ソーラーポート Battery charging system
CN105955295A (en) * 2016-05-27 2016-09-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Unmanned plane control method and unmanned plane control device
KR101728641B1 (en) * 2016-09-30 2017-04-20 주식회사 포드림 Pilot verification system for UAV(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history
CN106602671B (en) * 2017-01-25 2024-02-20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Charging method, auxiliary charging aircraft and charging system
US10338609B2 (en) * 2017-03-31 2019-07-02 T-Mobile Usa, Inc. Authorizing drone access to fulfillment centers
KR102088989B1 (en) * 2018-05-11 2020-04-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and apparatus for landing guidance of unmanned aerial vehicle
CN117434928A (en) * 2019-07-23 2024-01-23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Remote control movable platform control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805924A (en) * 2021-09-27 2021-12-17 一飞智控(天津)科技有限公司 Method, system, terminal and application for processing overall upgrading process of formation airpla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400A (en) 1998-05-29 1999-12-14 Toshiba Corp Landing guide system
JP2005297922A (en) * 2004-04-15 2005-10-27 Fuji Heavy Ind Ltd Automatic takeoff device of airplane, automatic landing device, automatic takeoff/landing device, and automatic takeoff method of airplane, automatic landing method, and automatic takeoff/landing method
JP2008207705A (en) * 2007-02-27 2008-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Computer, unmanned aircraft, and automatic land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5400A (en) 1998-05-29 1999-12-14 Toshiba Corp Landing guide system
JP2005297922A (en) * 2004-04-15 2005-10-27 Fuji Heavy Ind Ltd Automatic takeoff device of airplane, automatic landing device, automatic takeoff/landing device, and automatic takeoff method of airplane, automatic landing method, and automatic takeoff/landing method
JP2008207705A (en) * 2007-02-27 2008-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Computer, unmanned aircraft, and automatic landing method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363B1 (en) * 2015-02-23 2017-07-05 (주)이산솔루션 Flight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charge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WO2016200021A1 (en) * 2015-06-10 2016-12-15 한찬희 Charging system through autonomous guidance of flying object
CN107709162A (en) * 2015-06-10 2018-02-16 韩赞熹 Charging system based on aircraft from main boot
KR101873620B1 (en) * 2015-06-10 2018-07-02 한찬희 Charging system for flight flying to charging station
US10618653B2 (en) 2015-06-10 2020-04-14 Chan Hee HAN Charging system by autonomous guide of drone
KR101732357B1 (en) 2015-07-01 2017-05-24 주식회사 남성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ding and takeoff of dron
WO2017039179A1 (en) * 2015-09-04 2017-03-09 유성훈 Method, user terminal, server, and detecting device for monitoring flight of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720028B1 (en) 2015-12-02 2017-03-28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70132923A (en) * 2016-05-24 2017-12-05 (주)이랩코리아 Control system for unmanned assignment of drone
KR20200103910A (en) * 2019-02-25 2020-09-03 한국광기술원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uid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infrared light
KR102152033B1 (en) * 2019-02-25 2020-09-07 한국광기술원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uid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infrared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683A (en)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766B1 (en) System for managing uav, and terminal device in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of
US11693402B2 (en) Flight management system for UAVs
US1111397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management system
CN107709162B (en) Charging system based on aircraft is guide independently
US9646502B1 (en) Universal unmanned aerial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US20210263537A1 (en) Uav systems, including autonomous uav operational containme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20190025830A1 (en) Wireless charging and protection for unmanned delivery aerial vehicles
US202102843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botic Charging Aircraft
CN105843183A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UAV based on 4G/WIFI network communication technology
WO2016132295A1 (en) Guidance system and automatic control for vehicles
US20230273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fe takeoff and landing of pilotles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US20210039781A1 (en) Drone proximity charging
EP3839689B1 (en) Fleet scheduler
US20210264799A1 (en) Uavs, including multi-processor uavs with secured parameter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JP2018203056A (en) Storage device, delivery system, and storage method
CN107105051B (en) Off-line aircraft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device based on cloud service
WO2020095430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management device, take-off and landing facility management device,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management method, an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KR20170121855A (en) Method and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ation using an unmanned aircraft based on the muilti-relay station environment
US20230334995A1 (en) Mobile Body Control System
WO2021245844A1 (en) Landing information determination device, landing information determination system, landing inform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210114909A (en) Method and system for logistics transportation using an unmanned aircraft based on the muilti-relay station environment
CN113448334A (en)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eather modification operation
CN114868167A (en) Security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113110584A (en) Multi-rotor aircraft cloud background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789725A (en) Communication equipment for civil aviation passenger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