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615B1 -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615B1
KR101118615B1 KR1020090112507A KR20090112507A KR101118615B1 KR 101118615 B1 KR101118615 B1 KR 101118615B1 KR 1020090112507 A KR1020090112507 A KR 1020090112507A KR 20090112507 A KR20090112507 A KR 20090112507A KR 101118615 B1 KR101118615 B1 KR 10111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microparticles
mixed powder
chamb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891A (ko
Inventor
최한신
김택수
주혜숙
한철웅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6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1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using electric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6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4/00Alloys based on 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5Sintering only by using electric current other than for infrared radiant energy, laser radiation or plasma ; by ultrasonic bonding
    • B22F2003/1051Sintering only by using electric current other than for infrared radiant energy, laser radiation or plasma ; by ultrasonic bonding by electric dischar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입자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증착되어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챔버;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를 챔버에 공급하는 나노저장부; 챔버에 공급되는 제2상 소재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토치; 기화된 제2상 소재를 나노 입자 형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냉매 가스를 챔버에 공급하는 가스저장부; 마이크로 입자를 챔버에 공급하는 마이크로저장부; 챔버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분사하는 배기노즐; 기화된 제2상 소재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서 나노 입자로 응축되도록, 챔버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함께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동종 또는 이종의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증착된 혼합 분말을 제공함으로써, 이후 소결 공정을 통해 최종 제조되는 성형체의 균질성 및 기계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분말 미세화에 따른 소결 온도의 저감 및 소결 속도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으며, 나노 입자의 형성 및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대한 나노 입자 증착이 단일 공정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Manufacturing apparatus of mixed powders for depositing nano particles on surface of micro particles and mixed powders manufactured b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종의 균질한 성형체 또는 이종의 화학 조성을 가지는 복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동종 또는 이종의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증착된 혼합 분말을 형성함으로써, 분말처리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불순물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고, 분말 미세화에 따른 소결 온도의 저감 효과를 유도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에 관한 것이다.
텅스텐 및 티타늄과 같이 고융점 희유금속의 성형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소결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온에서 장시간의 열처리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그러나 소결 온도가 높을수록 장비나 소결시 사용되는 몰드 등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에너지 효율성 역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소결이 완료되는 과정에서 소결 온도가 높을수록 열응력이 증가되고, 그로 인해 결정 성장에 따른 기계적 특성 저하가 동반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밀도-미세립의 성형체 제조를 위한 소결 공정에서, 제2상을 이용하여 소결을 조장하거나 혹은 결정 성장 억제를 적용할 수 있으나, 제2상이 불순물로 작용하므로 고순도를 요하는 응용 분야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이종 소재간 복합체는 이종의 화학 조성을 가지는 금속과 금속, 또는 금속과 세라믹 소재가 조합된 복합체를 나타내는데, 분말 야금 기술을 이용하여 이러한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건식 혹은 습식 혼합 공정을 이용하여 대상 분말을 섞은 후 성형하거나, 또는 볼 밀링 공정과 같은 고에너지 공정을 적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일반적인 공정을 통한 분말 처리 과정은 분말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불순물이 함유될 수 있으며, 분말간의 특성차에 의해서 균일한 혼합이 어려워 최종 성형체의 미세조직 균질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고순도의 균질한 성형체 및 이종 소재간 복합체의 제조에 있어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노 입자의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나노 입자는 소위 크기 효과에 의해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가진 벌크 소재와 매우 상이한 물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구리의 순수 금속의 경우 녹는 온도가 1,063℃로 알려져 있지만, 입자의 크기가 10nm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녹는점이 1,000℃ 이하로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소재의 나노화에 따른 새로운 물성을 활용하는 연구가 전기전자산업, 바이오산업, 광학산업, 화학산업 및 구조소재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진행되고 있다. 그로 인해 최근에는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기술이나 나노 입자를 응용하는 기술에 대한 산업적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나노 입자의 합성은 크게 물리적 현상을 이용하는 건식 공정 기술과 화학 반응에 기초한 습식 공정 기술로 분류할 수 있고, 금속 나노 입자의 경우 다양한 건식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나노 입자를 활용하는 응용 분야에는 촉매와 같이 나노 입자 상태로 활용하는 기술과, 나노 입자의 높은 활성을 활용하여 벌크 소재를 제조하는데 활용하는 기술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균질한 성형체 또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나노 입자에 따른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고, 또한 공정 과정상의 오염이나 변형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다 간략한 공정기술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순도의 균질한 성형체 또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소결 방식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분말 처리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불순물의 유입을 억제하고, 소결 온도의 저감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동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균질한 성형체 또는 이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소결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나노 입자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증착되어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챔버;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를 챔버에 공급하는 나노저장부; 챔버에 공급되는 제2상 소재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토치; 기화된 제2상 소재를 나노 입자 형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냉매 가스를 챔버에 공급하는 가스저장부; 마이크로 입자를 챔버에 공급하는 마이크로저장부; 챔버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분사하는 배기노즐; 기화된 제2상 소재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서 나노 입자로 응축되도록, 챔버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함께 배출시키는 제 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챔버 내부에서 형성된 혼합 분말이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흡입노즐; 흡입노즐을 통해 챔버 외부로 배출된 혼합 분말이 저장되는 분말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챔버 내부로 분말저장부에 저장된 혼합 분말과 냉매 가스를 함께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상기 냉매 가스 및 마이크로 입자가 열 플라즈마에 대향되는 방향에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상기 배기노즐은 다수의 튜브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플라즈마 화염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제2상 소재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 플라즈마는 고주파에 의한 RF 플라즈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는 기상, 액상, 고상 중 어느 한 상의 형태로 챔버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텅스텐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텅스텐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텅스텐 성형체의 제조를 위해, 텅스텐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텅스텐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Co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WC-Co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WC-Co 초경합금의 제조를 위해, WC-Co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Co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Ti 및 Al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Ti-Al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Ti-Al 금속간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Ti-Al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Ti 및 Al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백금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세라믹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제조를 위해, 세라믹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백금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Cu 금속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이산화탄소 환원촉매의 제조를 위해, Cu 금속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Ni 금속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이산화탄소 환원촉매의 제조를 위해, Ni 금속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어느 한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에 의하면,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동종 또는 이종의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증착된 혼합 분말을 제공함으로써, 이후 소결 공정을 통해 최종 제조되는 성형체의 균질성 및 기계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 미세화에 따른 소결 온도의 저감 및 소결 속도의 증가를 유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분말 및 나노 입자의 소재 조합, 그리고 분말의 입도 제어를 통해 최종 성형체의 상조성과 미세조직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입자의 형성 및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대한 나노 입자 증착이 단일 공정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함께 챔버 내부로 분사하는 배기노즐이 다수의 튜브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챔버 내부의 전 부분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는 수밀도 구조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합 분말에 대해 다시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가 보다 균일하게 증착된 혼합 분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동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순도의 균질한 성형체 또는 이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소결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한 과정에서, 소결에 사용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동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균질한 성형체의 제조 과정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동종의 나노 입자를 증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한 후, 혼합 분말을 소결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고융점 희유금속인 텅스텐 마이크로 입자에 동종의 텅스텐 나노 입자를 증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혼합 분말을 소결함으로써 고순도의 균질한 텅스텐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의 제조 과정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이종의 나노 입자를 증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한 후, 혼합 분말을 소결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금속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세라믹 나노 입자를 증착하여 혼합 분말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혼합 분말을 소결함으로써 촉매 분말의 복합체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소결 방식으로 고순도의 성형체 또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제조할 경우, 최종 성형체 또는 복합체의 균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 분말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나노 입자의 분포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습식 혼합 공정 또는 건식 혼합 공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분말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할 수 있다. 그러나 습식 공정을 통해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된 혼탁액을 만드는 경우, 불순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처리 과정에서 나노 입자의 표면이 산화 등으로 인해 오염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분말 처리의 균일성을 높이고, 분말 처리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불순물의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건식 혼합 공정을 통해 마이크로 분말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건식 혼합 공정에 사용되는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처럼 마이크로 분말의 표면에 동종 또는 이종의 나노 입자가 증착되어 형성된 혼합 분말을 이용하여 소결하는 경우에는, 나노 입자 사이의 소결, 그리 고 나노 입자와 마이크로 입자 사이의 소결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나노 입자 사이의 소결은 마이크로 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인해 입자 계면에서의 소결압(sinter stress)이 증가되여 결과적으로 소결 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나노 입자와 마이크로 입자 사이의 소결 역시 입자 크기의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마이크로 입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나노 입자를 흡수하여 성장하는 몹업(mop-up) 현상이 발생하면서 소결 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나노 입자가 증착된 마이크로 분말을 이용하여 소결하게 되면, 입자 크기 효과로 인해 소결 속도가 촉진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소결이 진행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고온 소결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동종 또는 이종의 나노 입자를 균일하게 증착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의 배기노즐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의 배기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마이크로 입자의 수밀도 분포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동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균질한 성형체 또는 이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소결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나노 입자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증착되어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챔버(30),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를 챔버(30)에 공급하는 나노저장부(10), 챔버(30)에 공급되는 제2상 소재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토치(20), 기화된 제2상 소재를 나노 입자 형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냉매 가스를 챔버(30)에 공급하는 가스저장부(50), 마이크로 입자를 챔버(30)에 공급하는 마이크로저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챔버(30)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분사하는 배기노즐(40), 기화된 제2상 소재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서 나노 입자로 응축되도록 챔버(30)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함께 배출시키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제1상 소재와 나노 입자 형태의 제2상 소재는 동종 또는 이종의 화학 조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는 기상, 액상, 고상 중 어느 한 상의 형태로 나노저장부(10)에 저장되고, 이후 챔버(30)에 공급된다. 이처럼 나노저장부(10)로부터 챔버(30)에 공급되는 제2상 소재는 플라즈마토치(20)에서 발생시키는 열 플라즈마에 의해 챔버(30) 내부에서 상변태를 통해 기화된다.
이처럼 플라즈마토치(20)에서 발생시키는 열 플라즈마는 화염의 온도가 10,000K 이상으로 높은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기상 응축 현상을 구현함에 있어 소재의 제한성이 낮은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플라즈마토치(20)에서 발생시키는 열 플라즈마로는 DC와 RF 플라즈마가 모두 활용될 수 있으나, DC 플라즈마의 경우 일반적으로 화염축에 수직한 방향의 장입소재 주입으로 인해 균질한 기상의 발생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화염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제2상 소재가 주입될 수 있도록 고주파에 의한 RF 플라즈마를 이용하고, 이처럼 RF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경우에 보다 균질한 기상의 분포를 가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균일한 나노 입자의 증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처럼 챔버(30) 내부로 주입되어 열 플라즈마에 의해 기화된 제2상 소재는, 가스저장부(50)로부터 챔버(30)에 공급되는 냉매 가스에 의해 나노 입자 형태로 응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 플라즈마에 의해 기화된 제2상 소재가 플라즈마 화염의 온도 구배에 의해 낮은 온도 부위에서 다시 고상으로 응축되는데, 이때 응축되는 제2상 소재의 입자 크기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냉매 가스가 주입됨으로써, 결국 제2상 소재가 나노 입자의 형태로 챔버(30) 내부에서 형성된다.
한편, 제어부(90)는 배기노즐(40)을 통해 챔버(30)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가 함께 배출되도록 가스저장부(50), 마이크로저장부(60) 및 배기노즐(40) 등을 제어함으로써, 기화된 제2상 소재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서 나노 입자로 응축되도록 한다.
따라서 챔버(30) 내부에서는 기화된 제2상 소재가 냉매 가스에 의해 나노 입자로 응축되고, 동시에 응축된 나노 입자가 냉매 가스와 함께 주입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증착되는 반응이 일어나고, 그 결과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에 의하면, 열 플라즈마 및 냉매 가스를 이용하여 제2상 소재의 기상 입자를 응축 단계에서 마이크로 입자와 반응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기상 입자의 나노 입자 응축이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서 직접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나노 입자의 형성 및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대한 나노 입자 증착을 단일 공정내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챔버(30)에서 생성된 혼합 분말은 이후 소결 과정을 통해 균질한 성형체로 제조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 형성되는 성형체는 마이크로 입자와 나노 입자의 소재 조합에 따라서 인위적으로 그 상조성과 미세조직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혼합 분말을 형성하는 마이크로 분말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또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증착되는 나노 입자의 증착층을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성형체의 미세조직을 디자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매 가스 및 마이크로 입자가 열 플라즈마에 대향되는 방향에서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에서 열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그러한 열 플라즈마와 동일 또는 수평한 방향에서 제2상 소재가 챔버(30) 내부로 주입되어 기화되면,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한 냉매 가스의 주입은 기 상 입자의 흐름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주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반응 시간의 범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냉매 가스를 통해서 마이크로 입자를 분사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냉매 가스 유동에 의한 가스 모멘텀이 주위의 기체와 상호 작용을 일으키면서, 가스 유동의 중심축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가우시안 분포의 모멘텀 분포를 나타내고, 결과적으로 가스 유동장의 단면을 따라 마이크로 입자의 수밀도와 운동에너지가 가스유동장 모멘텀 분포와 유사한 분포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열 플라즈마를 따라 이동하는 기상 입자와의 반응을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냉매 가스를 통해 분사되는 마이크로 입자의 공간상의 수밀도 분포를 균일하게 제어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함께 챔버(30) 내부로 분사하는 상기 배기노즐(40)이 단일 튜브 구조가 아니라 다수의 튜브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배기노즐(40)이 다수의 튜브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일 튜브를 통해 분사되는 수밀도 분포가 중첩되어, 결과적으로 챔버(30) 내부의 전 부분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는 수밀도 구조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노 입자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균일하게 증착되는 것이 중요한데, 나노 입자와 마이크로 입자의 소재 조합에 따라서 혹은 나노 입자의 도포량에 따라서, 1회 공정만으로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증착된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형성된 혼합 분말에 대해 다시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는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는, 챔버(30) 내부에서 형성된 혼합 분말이 챔버(30) 외부로 배출되는 흡입노즐(70)과, 흡입노즐(70)을 통해 챔버(30) 외부로 배출된 혼합 분말이 저장되는 분말저장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90)는 챔버(30) 내부로 분말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 분말과 냉매 가스가 함께 배출되도록 분말저장부(80), 가스저장부(50) 및 배기노즐(40) 등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는 공정을 통해 챔버(30) 내부에서 형성된 혼합 분말은 흡입노즐(70)을 통해 챔버(30) 외부의 분말저장부(80)로 배출되어 저장되고, 이후 제어부(90)가 상기 분말저장부(80)에 저장된 혼합 분말을 냉매 가스와 함께 다시 챔버(30) 내부로 주입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 냉매 가스와 함께 챔버(30) 내부로 주입된 혼합 분말의 표면에 다시 나노 입자가 증착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가 보다 균일하게 증착된 혼합 분말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들을 살펴본다.
우선,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동종의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 중에서 도, 고융점 희유금속인 텅스텐 소재로 이루어지는 혼합 분말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는 텅스텐 입자의 소결 공정에서 소결 온도에 따른 상대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텅스텐 입자의 소결 공정에서 소결 온도에 따른 경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텅스텐 입자의 소결 공정에서 소결 온도에 따른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사진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텅스텐의 소결 공정은, 마이크로 입자만으로 이루어지는 텅스텐 분말에 대해 고온 프레스(HP) 공정을 거친 경우, 마이크로 입자만으로 이루어지는 텅스텐 분말에 대해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SPS) 공정을 거친 경우, 그리고 마이크로 입자 표면에 동종의 나노 입자가 증착된 텅스텐 혼합 분말에 대해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SPS) 공정을 거친 경우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융점 희유금속인 텅스텐 분말에 대해 고온 프레스 공정을 거친 경우에는 1550℃ 이하에서 상대밀도 85% 이하의 밀도를 나타내지만, 분말 계면 간에 충분한 소결(sinter neck)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동일한 마이크로 입자를 이용한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거친 경우에는 분말 계면 간의 통전에 의한 저항열(Joule heating)과 표면 마이크로 아킹에 따른 분말 계면 청정 효과로 인해 소결이 촉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250℃에서 1550℃ 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비교해 보면, 고온 프레스 공정을 거친 경우보다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거친 경우에 상대밀도가 더욱 높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조직 관찰에서도,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거치 는 경우에는 분말간 계면에서 소결이 진행되는 양상이 관찰된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입자만을 이용하여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거치는 경우보다,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에 대해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공정을 거치는 경우에, 소결의 진행 양상이 저온에서 더욱 촉진되는 현상이 관찰되며, 소결시 상대밀도를 기준으로 마이크로 분말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200℃ 정도의 소결 온도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분말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550℃ 이상에서 상대밀도 90%의 텅스텐 성형체가 제조되지만, 반면에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1350℃ 정도에서 상대밀도 90%의 텅스텐 성형체가 제조될 수 있었고, 따라서 상대밀도 90%를 기준으로 약 200℃ 정도의 소결 온도 저감 효과를 나타낸다.
이처럼, 고융점 희유금속인 텅스텐 소재를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제1상 소재로 이용하고, 상기 마이크로 입자와 동종의 텅스텐 소재를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로 이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를 통해 텅스텐 마이크로 분말의 표면에 동종의 텅스텐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고, 그 혼합 분말을 소결하게 되면 고순도의 균질한 텅스텐 성형체가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이종의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에 대해 살펴본다.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제1상 소재로 WC-Co 소재를 이용하고,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로 Co 소재를 이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를 통해 WC-Co 마이크로 분말의 표면에 Co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고, 그 혼합 분말을 소결하게 되면 WC-Co 초경합금의 복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금속간 화합물의 성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제1상 소재로 Ti-Al 소재를 이용하고,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로 Ti 및 Al 소재를 이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를 통해 Ti-Al 마이크로 분말의 표면에 Ti 및 Al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고, 그 혼합 분말을 소결하게 되면 Ti-Al 금속간 화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제1상 소재로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고,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로 백금 소재를 이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를 통해 세라믹 마이크로 분말의 표면에 백금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고, 그 혼합 분말을 소결하게 되면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를 이용할 수 있는 촉매 분말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제1상 소재로 Cu 혹은 Ni 소재를 이용하고,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로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소재를 이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를 통해 Cu 혹은 Ni 마이크로 분말의 표면에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고, 그 혼합 분말을 소결하게 되면 이산화탄소 환원촉매를 이용할 수 있는 촉매 분말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는 상호 고용도가 없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의 계면 구조가 도 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상호 고용도가 있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의 계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금속과 세라믹의 조합과 같이 상호 고용도가 없는 이종 소재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혼합 분말의 계면에 존재하는 나노 입자의 소결 현상을 통해서, 거시적으로는 마이크로 입자와 나노 입자간에 상호 확산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화학 조성적인 측면에서 불균일성을 가지는 복합체가 형성되고, 이러한 경우 이종 상간의 거시 조직 제어는 사용되는 기지 마이크로 분말의 입도 제어를 통해서 가능하다.
즉, 마이크로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이질적인 상의 분포가 세밀한 특성을 갖는 반면, 마이크로 입자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조대한 분포의 특징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상호 고용도가 없는 이종 소재의 대표적인 조합으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혹은 이산화탄소 환원촉매 등이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화학 조성이 상이한 금속과 금속의 조합과 같이 상호 고용도가 있는 이종 소재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소결 과정에서 확산을 통해 계면에 확산층이나 상조성의 구배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층의 형성은 열-싸이클에 따라서 제어가 가능하고, 특히 소결 공정 중 분말 계면에서 발열을 유발할 수 있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 공정이 조성 구배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또한 고온에서의 확산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열 싸이클을 조정하는 경우에 는, 표면에 증착된 이종의 나노 입자가 소결 과정에서 마이크로 입자의 내부로 충분히 확산하여 완전 고용체를 이루거나, 합금 혹은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여 소결후 거시적인 균질 성형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의 배기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 분말 제조장치의 배기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마이크로 입자의 수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텅스텐 입자의 소결공정에서 소결 온도에 따른 상대밀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텅스텐 입자의 소결공정에서 소결 온도에 따른 경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텅스텐 입자의 소결공정에서 소결 온도에 따른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상호 고용도가 없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의 계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상호 고용도가 있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의 계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나노저장부 20; 플라즈마토치
30; 챔버 40; 배기노즐
50; 가스저장부 60; 마이크로저장부
70; 흡입노즐 80; 분말저장부
90; 제어부

Claims (13)

  1. 동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균질한 성형체 또는 이종의 화학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를 소결 방식으로 제조하기 위해 혼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나노 입자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증착되어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챔버;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를 챔버에 공급하는 나노저장부;
    챔버에 공급되는 제2상 소재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토치;
    기화된 제2상 소재를 나노 입자 형태로 응축시키기 위한 냉매 가스를 챔버에 공급하는 가스저장부;
    마이크로 입자를 챔버에 공급하는 마이크로저장부;
    챔버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분사하는 배기노즐;
    기화된 제2상 소재가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서 나노 입자로 응축되도록, 챔버 내부로 냉매 가스와 마이크로 입자를 함께 배출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챔버 내부에서 형성된 혼합 분말이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흡입노즐;
    흡입노즐을 통해 챔버 외부로 배출된 혼합 분말이 저장되는 분말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챔버 내부로 분말저장부에 저장된 혼합 분말과 냉매 가스를 함께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가스 및 마이크로 입자가 열 플라즈마에 대향되는 방향에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노즐은 다수의 튜브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플라즈마 화염축에 수평한 방향으로 제2상 소재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열 플라즈마는 고주파에 의한 RF 플라즈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제2상 소재는 기상, 액상, 고상 중 어느 한 상의 형태로 챔버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텅스텐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텅스텐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텅스텐 성형체의 제조를 위해, 텅스텐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텅스텐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Co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WC-Co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WC-Co 초경합금의 제조를 위해, WC-Co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Co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Ti 및 Al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Ti-Al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Ti-Al 금속간 화합물의 제조를 위해, Ti-Al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Ti 및 Al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백금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세라믹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의 제조를 위해, 세라믹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백금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Cu 금속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이산화탄소 환원촉매의 제조를 위해, Cu 금속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저장부에는 나노 입자 형성을 위한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소재가 저장되고,
    상기 마이크로저장부에는 마이크로 입자 형태의 Ni 금속 소재가 저장되며,
    챔버에서는 이산화탄소 환원촉매의 제조를 위해, Ni 금속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비평형의 모노클리닉상을 가지는 지르코니아 나노 입자가 증착된 혼합 분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13. 삭제
KR1020090112507A 2009-11-20 2009-11-20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 KR10111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07A KR101118615B1 (ko) 2009-11-20 2009-11-20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07A KR101118615B1 (ko) 2009-11-20 2009-11-20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91A KR20110055891A (ko) 2011-05-26
KR101118615B1 true KR101118615B1 (ko) 2012-03-07

Family

ID=4436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507A KR101118615B1 (ko) 2009-11-20 2009-11-20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7757B2 (en) 2013-03-14 2019-09-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intered nanocrystalline alloys
WO2017105570A2 (en) 2015-09-17 2017-06-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anocrystalline alloy penetrators
KR102241509B1 (ko) * 2018-02-02 2021-04-16 고석근 유동성 기판을 이용한 나노 입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648082B (zh) * 2019-01-24 2021-08-06 华南理工大学 一种钛镍形状记忆合金的4d打印方法及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901A (ja) 1999-01-29 2000-08-0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酸化物被覆金属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11333A (ja) 2006-02-13 2007-08-2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タングステン超微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8102B1 (ko) 2006-12-22 2008-05-08 주식회사 포스코 Rf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리콘 나노 분말 제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901A (ja) 1999-01-29 2000-08-08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酸化物被覆金属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11333A (ja) 2006-02-13 2007-08-23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タングステン超微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8102B1 (ko) 2006-12-22 2008-05-08 주식회사 포스코 Rf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리콘 나노 분말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91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3559B2 (en) Methods for production of FGM net shaped body for various applications
KR102326418B1 (ko) 적층 합성용 합성 알갱이들을 구비한 복합재료 파우더
CN113319284B (zh) 一种共注射多层结构零件的制备方法
US10100438B2 (en) Metallic crucibl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Yao et 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Mo–Cu composites prepared by infiltrating copper into flame-sprayed porous Mo skeleton
Sienkiewicz et al. Fabrication of TiAl intermetallic phases by heat treatment of warm sprayed metal precursors
JP7157087B2 (ja) 冷間噴霧を使用して再結晶化および高密度化構造を形成するためのプロセス
JP2013511621A (ja) 多成分単一体の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これを利用した多成分合金系ナノ構造薄膜の製造方法
KR101118615B1 (ko) 마이크로 입자의 표면에 나노 입자를 증착시키기 위한 혼합 분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혼합 분말
Ma et al. In-situ TiC-Ti5Si3-SiC composite coatings prepared by plasma spraying
Li et al. Porous Nb-Ti based alloy produced from plasma spheroidized powder
Su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ZrB2/SiC composite powders by induction plasma spheroidization technology
KR101092634B1 (ko) 고융점 희유금속의 저온 소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융점 희유금속 성형체
KR20080065480A (ko) 저온분사공정을 이용한 텅스텐/구리 복합재료의 코팅방법
KR20120136227A (ko) 고융점 금속의 저온 소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고융점 금속 성형체
Tomochika et al. Fabrication of NiTi intermetallic compound by a reactive gas laser atomization process
KR101118614B1 (ko) 나노 입자를 이용한 이종 소재간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종 소재간 복합체
Na et al. Characteristics of Ni–W bimetallic nanoparticle via reactive RF thermal plasma synthesis
Jan et al. On the search for producing intermetallics by diffusion reaction of cold spray bulk deposits
GB2560256A (en) Coated superhard particles and composite materials made from coated superhard particles
Jardine et al. Cavitation-erosion resistance of thick-film thermally sprayed niti
Ji et al. Bulk FeAl nanostructured materials obtained by spray forming and spark plasma sintering
Marchand et al. Nitridation of Ti–6Al–4V powder in thermal plasma conditions and sintering of obtained TiN powder
Gromov et al.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High-Entropy Alloys
Tkachenko et al. Production of spherical Mo and Mo-Si powders by spray drying of Si suspension in a water-soluble Mo precur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