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545B1 - 도어 정지구 - Google Patents

도어 정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545B1
KR101118545B1 KR1020090068152A KR20090068152A KR101118545B1 KR 101118545 B1 KR101118545 B1 KR 101118545B1 KR 1020090068152 A KR1020090068152 A KR 1020090068152A KR 20090068152 A KR20090068152 A KR 20090068152A KR 101118545 B1 KR101118545 B1 KR 10111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ope
steep
stopper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846A (ko
Inventor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이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한 filed Critical 이재한
Priority to KR102009006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5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도어 정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람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면서 지지 및 해제를 손쉽게 이루도록 하는 도어 정지구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완만한 오름경사를 이루는 완경사부와, 상기 완경사부와 이어져서 상기 완경사부보다 급격한 내림경사를 이루는 급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와 이어져서 상기 급경사부와 반대의 경사를 이루는 종면부로 되고, 상기 완경사부와 급경사부 및 종면부 전체가 단일의 탄성 소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경사부와 종면부가 이어지는 부위에 지축홀이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도어를 밀어붙이거나 당겨서 닫는 것만으로 정지 위치에서 도어가 고정/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어 정지, 도어 스토퍼, 도어 정지구, 도어 체크

Description

도어 정지구{DOOR STOPPER}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도어 정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람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면서 지지 및 해제를 손쉽게 이루도록 하는 도어 정지구에 관한 발명이다.
사무용 및 주거용 건물의 내실문용 도어는 겨울을 제외한 3계절 공히 열어둔 체로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환절기에는 외부로 통하는 창문등을 통해 바람이 부는 경우 열어둔 문이 굉음과 함께 닫혀서 깜작 놀라거나 도어 주변 벽을 울려서 벽에 걸어둔 액자나 달력 등이 떨어지는 불상사도 종종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에 스토퍼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것으로는 실용신안 등록 제20-0424177(2006년08월09일 등록)호인 도어 스토퍼가 있으며,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홈과 다수의 고정홈을 구비한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고정홈사이에 삽입 형성된 결합핀(62)을 중심으로 상하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바(63)와, 상기 지지바(63)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되어 지면에 직접 접촉하여 멈춤 역할을 하는 탄성의 고무패드(64)와, 상기 지지바(63)가 상부로 이동하여 고정되게 하는 탄성의 판스프링과, 고정홈 사이에 삽 입 형성된 결합핀(62)을 중심으로 상하회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누름버튼(66)과, 상기 지지바(63)의 상부 일측과 부착되고 상기 누름버튼(60)의 일측과 부착되어 상기 지지바(30)와 상기 누름버튼(66)의 사이에 형성된 평기어(67)와, 상기 평기어(67)에 바지의 밑천이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해 주는 안전커버(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로 되는 것이다.
또한, 도어 클로저가 설치된 도어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으로는 특허등록 제10-0323653(2002년01월25일 등록)호의 도어스토퍼가 있는데,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에 결합된 제1브라켓과 도어에 결합된 제2브라켓이 핀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힌지에 의해 도어가 문틀에 지지되며, 도어가 도어클로저에 의해 문틀에 대해 자동 폐쇄되는 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브라켓(H1, H2)중의 어느 하나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아암(73)과, 이 아암(73)에 상하방으로 결합되는 탄성회전축(72)과, 이 탄성회전축(72)의 외측에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슬리이브(71)와, 상기 제1 또는 제2브라켓(H1, H2)중의 나머지 하나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롤러슬리이브(71)의 외면에 접촉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캠(7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스토퍼로 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는 일반적인 내실용 도어에도 적용하기 편리하며, 특히 종래의 도어 스토퍼가 체결/해제시에 발을 이용하여 지지바(63)를 내리고 들어올려서 하던 것을 해제시에 발로 누름버튼(66)을 발아서 지지바(63)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편리를 도모한 것이지만, 여전히 체결/해제시에 도어를 손으로 잡고 발을 사용 조작하는 불편이 남아 있다.
또한, 상기 후자는 발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도어를 소정의 각도로 개방한 채 고정할 수 있어서 편리하지만, 이는 도어 클러져가 설치되는 문에만 설치할 수 있는 특수한 구조라서 주로 외부로 통하는 출입문에 적용되는 구조이고, 따라서 모든 도어에는 적용이 되지 않아 범용성이 없고, 그 설치비용도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도어를 밀어붙이거나 당겨서 닫는 것만으로 정지 위치에서 도어가 고정/해제되도록 하는 것이고, 그 설치도 간편하며, 모든 형태의 도어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상술한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특히 다수의 정지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도 함께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완만한 오름경사를 이루는 완경사부와, 상기 완경사부와 이어져서 상기 완경사부보다 급격한 내림경사를 이루는 급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와 이어져서 상기 급경사부와 반대의 경사를 이루는 종면부로 되고, 상기 완경사부와 급경사부 및 종면부 전체가 단일의 탄성 소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경사부와 종면부가 이어지는 부위에 지축홀이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의 길이방향으로 직진력을 보완하도록 보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경사부의 선단부는 안으로 둥글게 말린 컬이 형성되는 것이 더 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경사부의 하면에 걸이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와 본 발명의 정지구가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천정면 간을 탄성 지지하는 탄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경사부와 종면부가 이어지는 부위에 판재가 끼워져서 스윙이 되도록 하는 지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축부와 지축홀을 함께 관통하여 지지축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경사부의 전면에 이어서 상기 급경사부와 완경사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면부, 급경사부 및 완경사부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보조대가 추가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대는 도어에 부착되는 부분인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연장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도어를 밀어붙이거나 당겨서 닫는 것만으로 정지 위치에서 도어가 고정/해제되도록 하는 것이고, 그 설치도 간편하며, 모든 형태의 도어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며, 이러한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 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특히 다수의 정지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의 기본 구성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A-A선 및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전체가 하나의 탄성 소제로 이루어지는데, 예컨대 강철판과 같은 판재를 얇은 두께로 하여 완경사부(1), 급경사부(2) 및 종면부(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완경사부(1), 급경사부(2) 및 종면부(3)는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지게 된다.
먼저, 완경사부(1)는 완만한 오름경사를 이루는 것이고, 이 완경사부(1)와 이어져서 이 완경사부(1)보다 급격한 내림경사를 이루는 급경사부(2)가 형성되고, 또한, 이 급경사부(2)와 이어져서 이 급경사부(2)와 반대의 경사를 이루는 종면부(3)로 이루어지고, 게다가 급경사부(2)와 종면부(3)가 이어지는 부위에 지축홀(22)이 천공되어 이 지축홀(22)을 통해 볼트 또는 나사못으로 되는 지지축(41)이 도어(D)의 정지 위치 하단부인 바닥면 또는 상단부인 천정면에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완경사부(1)에 그 길이방향으로 직진력을 보완하도록 보강부(11)가 형성되고, 또 상기 급경사부(2)에도 그 길이방향으로 직진력을 보완하도록 보강부(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보강부(11, 21)는 도면에서도 폭 방향의 중심에 형성되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중심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다가 길이방향으로 한줄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2줄 이상 다수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완경사부(1)의 선단부는 안으로 둥글게 말린 컬(12)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를 보다 개량한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또한, 상기 완경사부(1)의 하면에 걸이(13)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13)와 본 발명의 정지구가 설치되는 바닥면(B) 또는 천정면(C) 간을 탄성 지지하는 탄지수단(14)이 설치될 수 있는데, 걸이(13)는 탄지수단(14)의 일예인 스프링의 일단이 걸리도록 완경사부(1)의 하면에서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걸이(13)와 마주보는 바닥면(B) 또는 천정면(C)에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본 구성에서는 본 발명의 정지구가 나사못(41)에 의하여 고정되는 형태를 보였지만, 보다 진보된 구성으로 상기 급경사부(2)와 종면부(3)가 이어지는 부위에 판재가 끼워져서 스윙이 되도록 하는 지축부(4)가 설치되도록 하면 바람직하고, 이때 지축부(4) 및 급경사부(2)와 종면부(3)가 이어지는 부위에 형성된 지축홀(22)을 함께 관통하여 나사못이나 볼트로 되는 지지축(41)이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를 보다 더 개량한 또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또한, 상기 완경사부(1)의 전면에 이어서 상기 급경사부(2)와 완경사부(1)가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일 후단에 종면부(3)로부터 급경사부(2)와 완경사부(1)가 각각 2세트 형성되거나 3세트 이상 반복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종면부(3), 급경사부(2) 및 완경사부(1)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될 수 있는데, 즉, 종면부(3)로부터 급경사부(2)와 완경사부(1)가 각각 1세트 형성되거나 2세트 이상 반복하여 설치되거나 공히 도어(D)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라운드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를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한 상태로 도시한 작용상태도이다.
또한, 도어(D)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보조대(5)가 추가되어 이 보조대(5)가 도어 정지구의 완경사부(1)와 급경사부(2)를 따라 접촉하며 이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대(5)를 2개로 나누어서 도어(D)에 부착되는 부분인 홀더(51)와, 상기 홀더(5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연장대(52)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도 5의 작용상태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각부의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앞뒤 구분은 없지만, 편의상 앞에서부터 뒷쪽으로 차례로 완경사부(1), 급경사부(2) 및 종면부(3)를 이루는 전체가 하나의 탄성 소제로 이루어지는데, 완경사부(1)는 완만한 오름경사를 이루고, 급경사부(2)는 상기 완경사부(1)보다 급격한 내림경사를 이루고, 종면부(3)는 상기 급경사부(2)와 반대의 경사를 이루는 단일의 탄성 소제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급경사부(2)와 종면부(3)가 이어지는 부위에 지축홀(22)이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라서, 지축홀(22)을 통해 대상체인 도어(D)의 하단부인 바닥면(B; 도 5의 하단부 참고)에 설치하거나 또는 도어(D)의 상단부인 천정면(C; 도 5의 상단부 참고)에 설치하는 경우 도어(D)를 열어서 소정 각도에서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D)의 상단 또는 하단이 완경사부(1)의 오름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소정높이에서 완경사부(1)와 급경사부(2)가 이어지는 최상부가 도어(D)와 바닥면(B) 또는 천정면(C)의 틈새보다 높아서 완경사부(1)의 오름경사면과 마찰되면서 완경사부(1)와 급경사부(2)가 이어지는 최상부를 누르면서 미끄러지는데, 전체가 탄성소제로 되어 소정의 압력이상에서 눌리다가 복원되게 되므로, 도어(D)가 이 최상단을 넘어서면 내림경사인 급경사부(2)에서는 자동으로 밀리게 되어 종면부(3)를 재끼면서 도어(D)가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가 도어(D)를 개방 정지시킨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는 완경사부(1)와 급경사부(2)가 이어지는 최상부가 도어(D)와 바닥면(B) 또는 천정면(C)의 틈새보다 높아서 스토퍼의 기능을 하지만, 또한 도어(D)가 종면부(3)를 누름으로 급경사부(2)가 더욱 도어(D)에 접촉하게 되어 보다 강한 스토퍼로 기능하게 되어 바람이 불어서 도어(D)에 제법 큰 압력을 가하여도 도어(D)는 개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닫을 때에는 소정 압력이상의 힘으로 닫으면 종면부(3)상에 위치하는 도어(D)의 단부가 급경사부(2)를 밀면서 완경사부(1)와 급경사부(2)가 이어지는 최상부를 누르면서 타고 넘어가 완경사부(1)에 자동으로 밀리면서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에서 손쉽게 이탈되어 당을 수 있다.
이때 완경사부(1)가 급경사부(2)보다 경사각이 작아서 본 발명의 도어 정지 구 내로 도어(D)의 단부가 들어갈 때는 나올 때에 비하여 적은 힘으로 작동이 되어 도어(D)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 전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구조에서는, 완경사부(1) 및 급경사부(2)에 그 길이방향으로 직진력을 보완하도록 보강부(11, 2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라서, 강도가 떨어지는 저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강부(11, 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중심에 형성되도록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길이방향으로 2줄 이상 다수가 형성되어도 좋으며, 소재를 판재로 사용하는 경우 프레스로 찍어서 가공하는 것이 경제적이고 대량생산에 적합함으로 프레스로 찍을 때 보강부(11, 21)도 함께 성형하거나 순차로 성형할 수 있어서 보강부(11, 21)의 수량이나 위치의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때 완경사부(1)와 급경사부(2)가 이어지는 굽힘부위에는 보강부(11, 21)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굽힘부위에 보강부(11, 21)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보강부(11)와 보강부(21)가 이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구조에서는, 상기 완경사부(1)의 선단부는 안으로 둥글게 말린 컬(12)이 형성되는 것이라서, 뾰족한 선단부가 없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완경사부(1)의 선단부가 들려서 도어(D)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도어(D)를 파손하지 않아서 바람직하다.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구조에서는, 상기 완경사부(1)의 하면에 걸이(13)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13)와 본 발명의 정지구가 설치되는 바닥 면(B) 또는 천정면(C) 간을 탄성 지지하는 탄지수단(14)이 설치될 수 있는데, 탄지수단(14)이 완경사부(1)의 선단부가 바닥면(B) 또는 천정면(C)에 밀착되도록 하여 도어(D)의 진입시에 간섭이 없도록 하게 되며, 본 발명의 정지구가 바닥면(B)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정지구의 자중에 의하여 완경사부(1)의 선단부가 바닥면(B)과 항상 밀착되게 되어 크게 기능을 하지 않지만, 정지구가 천정면(C)에 설치될 때는 자중이 완경사부(1)의 선단부를 천정면(C)에서 이격되게 함으로 탄지수단(14)이 없으면 도어(D)가 완경사부(1)의 선단부에 걸려서 진입이 되지 않게 되어 큰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걸이(13)는 완경사부(1)의 하면에서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완경사부(1)의 일부를 피어싱(Piercing)하여 일체로서 형성하거나 다른 부품을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걸이(13)와 마주보는 바닥면(B) 또는 천정면(C)에 스프링의 타단이 고정되도록 나사못을 밖아 고정하면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구조에서는, 상기 급경사부(2)와 종면부(3)가 이어지는 부위에 판재가 끼워져서 스윙이 되도록 하는 지축부(4)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인데, 지축부(4) 및 지축홀(22)을 함께 관통하여 지지축(41)이 설치되면, 지축부(4)가 스윙의 중심부(받침대)가 되어 정지구의 작동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으며, 특히 지축부(4)의 밑면에 고무제 패드를 끼워서 높이조절을 할 수 있어서 도어(D)와 바닥면(B) 또는 천정면(C) 간의 틈새에 맞추어 설치하기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구조에서는, 급경사부(2)와 완경사 부(1)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제일 후단에 종면부(3)로부터 급경사부(2)와 완경사부(1)가 각각 2세트 형성되거나 3세트 이상 반복하여 설치되는 것인데, 한세트의 급경사부(2)와 완경사부(1)가 도어(D)의 정지위치 각도 하나를 결정함으로 반복이 될수록 개방 정지각도의 조절이 보다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구조에서는, 상기 종면부(3), 급경사부(2) 및 완경사부(1)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되는 것인데, 도어(D)가 개방될 때 문틀로부터 회전하여 열리는 것임으로 정지구를 도어(D)의 회전에 맞추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구조에서는, 도어(D)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보조대(5)가 추가되어 이 보조대(5)가 도어 정지구의 완경사부(1)와 급경사부(2)를 따라 접촉하며 이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인데, 통상적으로 도어(D)의 상단부와 천정면(C)간에는 틈새라 불리기 곤란할 정도로 넓은 간격을 가짐으로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를 그냥 설치하는 경우 정지구와 도어(D)간에 접촉이 불가능하여 이 넓이를 메꾸기 위하여 보조대(5)를 추가하는 것이며, 이때, 보조대(5)는 도어(D)의 문들에 걸리지 않도록 크랭크상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구조에서는, 상기 보조대(5)를 2개로 나누어서 도어(D)에 부착되는 부분인 홀더(51)와, 상기 홀더(5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연장대(5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는데, 도어(D)에 홀더(51)만을 설치하여 연장대(52)를 꽂아서 사용하는 것이라서 설치도 손쉽고 정지구의 사용이 불필요할 경우(혹한기나 혹서기와 같이 냉난방이 필요하여 도어를 개방 유지할 필요가 없는 경 우), 연장대(52)를 뽑아 놓으면 되므로 편리하게 사용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도어 정지구가 구조체임으로 도시된 이외에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한 것이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치는 범주 내에서 각 구성요소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도 1의 각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
도 6은 종래 발명의 구성상태도,
도 7은 종래 다른 발명의 분해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 부호의 설명
1. 완경사부
11. 보강부 12. 컬 13. 걸이 14. 탄지수단
2. 급경사부
21. 보강부 22. 지축홀
3. 종면부
4. 지축부
41. 지지축(볼트)
5. 보조대
51. 홀더 52. 연장대
61. 몸체 62. 결합핀 63. 지지바 64. 고무패 65. 안전커버
66. 누름버튼 67. 평기어
71. 롤러슬리이브 72. 탄성회전축 73. 아암 74. 고정캠
B. 바닥면 C. 천정면 D. 도어 H1,H2. 제1, 제2브라켓

Claims (23)

  1. 완만한 오름경사를 이루는 완경사부와, 상기 완경사부와 이어져서 상기 완경사부보다 급격한 내림경사를 이루는 급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와 이어져서 상기 급경사부와 반대의 경사를 이루는 종면부로 되고,
    상기 완경사부와 급경사부 및 종면부 전체가 단일의 탄성 소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경사부와 종면부가 이어지는 부위에 지축홀이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도어 정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의 길이방향으로 직진력을 보완하도록 보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경사부의 선단부는 안으로 둥글게 말린 컬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완경사부의 하면에 걸이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와 본 발명의 정지구가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천정면 간을 탄성 지지하는 탄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급경사부와 종면부가 이어지는 부위에 판재가 끼워져서 스윙이 되도록 하는 지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축부와 지축홀을 함께 관통하여 지지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급경사부와 종면부가 이어지는 부위에 판재가 끼워져서 스윙이 되도록 하는 지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축부와 지축홀을 함께 관통하여 지지축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경사부의 전면에 이어서 상기 급경사부와 완경사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완경사부의 전면에 이어서 상기 급경사부와 완경사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경사부의 전면에 이어서 상기 급경사부와 완경사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면부, 급경사부 및 완경사부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종면부, 급경사부 및 완경사부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종면부, 급경사부 및 완경사부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종면부, 급경사부 및 완경사부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어 라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보조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5. 제 4항에 있어서,
    도어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보조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6. 제 5항에 있어서,
    도어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보조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7. 제 7항에 있어서,
    도어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보조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8. 제 10항에 있어서,
    도어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보조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는 도어에 부착되는 부분인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연장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는 도어에 부착되는 부분인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연장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는 도어에 부착되는 부분인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연장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는 도어에 부착되는 부분인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연장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대는 도어에 부착되는 부분인 홀더와, 상기 홀더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연장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구.
KR1020090068152A 2009-07-27 2009-07-27 도어 정지구 KR10111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52A KR101118545B1 (ko) 2009-07-27 2009-07-27 도어 정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52A KR101118545B1 (ko) 2009-07-27 2009-07-27 도어 정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46A KR20110010846A (ko) 2011-02-08
KR101118545B1 true KR101118545B1 (ko) 2012-03-19

Family

ID=4377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152A KR101118545B1 (ko) 2009-07-27 2009-07-27 도어 정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154B1 (ko) 2013-10-28 2021-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0481503Y1 (ko) * 2015-04-07 2016-10-10 임형택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660U (ja) 1983-05-25 1985-02-16 池田 孝司 開きドア−ストツプ磁気
US5331719A (en) * 1993-02-22 1994-07-26 Hum Tom P Door stop
JPH11125052A (ja) 1997-10-21 1999-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ドアストッパー
JP2002327567A (ja) * 2001-04-27 2002-11-15 Techno Faindo:Kk ドアストッパ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660U (ja) 1983-05-25 1985-02-16 池田 孝司 開きドア−ストツプ磁気
US5331719A (en) * 1993-02-22 1994-07-26 Hum Tom P Door stop
JPH11125052A (ja) 1997-10-21 1999-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ドアストッパー
JP2002327567A (ja) * 2001-04-27 2002-11-15 Techno Faindo:Kk ドアストッ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46A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6291A (en) Door prop
US7469737B2 (en) Support system for a sectional door
JP2001115719A (ja) 錠止可能な回転及び/又はスライド・ウイングシステム
KR101118545B1 (ko) 도어 정지구
JP4327667B2 (ja) 閉扉装置
JP2005336983A5 (ko)
EP1048811A1 (en) System for opening a door
KR101390363B1 (ko) 미닫이 도어 장치
JP3291411B2 (ja) 自動閉戸装置
CN212271874U (zh) 固定向外敞开的安全通道房门的落地门扣
US2979355A (en) Door brake
CN2292872Y (zh) 按钮式半自动推拉门窗锁
JPS5923178Y2 (ja) 開き窓の開閉固定装置
KR200229068Y1 (ko) 도어 스톱퍼
WO2006134615A1 (en) A kit for the assembly and removal of the mobile wings of door and window frames
KR20090000767U (ko) 도어 스토퍼
CN101603393A (zh) 臂力式自动关门器
CN206581756U (zh) 一种窗用滑撑铰链的滑块以及滑撑铰链
KR20190023124A (ko) 도어클로저
CN216811348U (zh) 一种移门或窗户用自适应宽度滑轮组件
CN2224266Y (zh) 房门底缝调节挡板
JP3212274B2 (ja) ドア固定装置
JP3129803U (ja) シャッター開閉補助具。
CN210918816U (zh) 一种便于儿童打开且防止意外伤害的儿童房安全门
CN2869248Y (zh) 一种升降铰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