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291B1 - 크러셔 장치 - Google Patents

크러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291B1
KR101118291B1 KR1020040111341A KR20040111341A KR101118291B1 KR 101118291 B1 KR101118291 B1 KR 101118291B1 KR 1020040111341 A KR1020040111341 A KR 1020040111341A KR 20040111341 A KR20040111341 A KR 20040111341A KR 101118291 B1 KR101118291 B1 KR 10111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hute
sensing
crusher
reciproc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645A (ko
Inventor
김기환
황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2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9Arrangements of feed and discharge means in relation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크러셔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크러셔 장치는 원료가 입조되는 슈트와, 상기 슈트의 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의 각 구역을 통과하는 원료의 양을 각각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슈트의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측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개폐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구역을 각각 개폐함으로써 상기 슈트를 통과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여 분산하여 상기 원료가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수단과, 상기 슈트의 감지수단 및 분산수단을 통하여 입조된 원료를 운반하는 피더(Feeder)와; 그리고 상기 피더에 의하여 공급된 원료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한다.
원료, 크러셔(Crusher), 파쇄, 분산, 감지, 공압근육

Description

크러셔 장치{CRUSH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료 자동분산장치가 구비된 크러셔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료 자동분산장치가 구비된 크러셔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크러셔의 감지수단 및 분산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산수단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은 크러셔(Crusher)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수단 및 분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원료를 효율적으로 균일한 입도로 분산처리 할 수 있는 크러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에서는 원료를 균일한 입도로 파쇄하여 공급하기 위하여 크러셔가 구비된다.
이러한 크러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가 고르게 입조될 수 있도록 크러셔의 상부 슈트(1)에 수동 댐퍼(5)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상부 슈트(10)에 설치된 조절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수동댐퍼(5)를 통하여 원료가 균일하게 분사되어 피더(3)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크러셔는 조절 손잡이가 수동식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이 조절 손잡이를 잡고 밀고 당기는 등의 조작을 하는 경우 원료의 중양으로 인하여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동식으로 원료를 분산시키는 구조이므로, 원료가 일방향으로 편중되는 경우 효과적인 분산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료의 일측 편중현상으로 햄머의 편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수단 및 분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처리 할 수 있는 크러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료의 분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 원료의 파쇄시 햄머의 편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크러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원료가 입조되는 슈트와; 상기 슈트의 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의 각 구역을 통과하는 원료의 양을 각각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슈트의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측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개폐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구역을 각각 개폐함으로써 상기 슈트를 통과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여 분산하여 상기 원료가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수단과; 상기 슈트의 감지수단 및 분산수단을 통하여 입조된 원료를 운반하는 피더(Feeder)와; 그리고 상기 피더에 의하여 공급된 원료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하는 크러셔(Crusher)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크러셔 장치는 원료가 입조되는 슈트(10)와, 상기 슈트(10)의 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10)의 각 구역을 통과하는 원료의 양을 각각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60)과, 상기 슈트(10)의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수단(6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슈트(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함으로써 원료가 분산되도록 하는 분산수단(38)과, 상기 슈트(10)의 감지수단(60) 및 분산수단(38)을 통하여 입조된 원료를 운반하는 피더(Feeder;16)와, 그리고 상기 피더(16)에 의하여 공급된 원료를 파쇄하는 파쇄부(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크러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10)는 그 측면 플레이트(12) 및 바닥 플레이트(31)로 이루어짐으로써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입조된 원료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슈트(10)의 내측에는 분산수단(38)이 구비됨으로써 슈트(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원료를 균일한 입도로 분산하여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분산수단(38)은 상기 슈트(10)의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측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개폐하고, 상기 감지수단(6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구역을 각각 개폐함으로써 상기 슈트(10)를 통과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여 분산하여 상기 원료가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분산수단(38)은 상기 슈트(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Base;44)와, 상기 베이스(44)에 각각 장착되어 필요시 수축/팽창운동을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왕복동부재(46)와, 상기 왕복동부재(46)에 각각 연결되어 가변함으로써 원료의 이동양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댐퍼(Damper;54)와, 상기 왕복동부재(46)와 댐퍼(54)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45)와, 상기 연산기(4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왕복동부재(46)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44)는 슈트(1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향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5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44)에 왕복동부재(일명, 공압근육;46)가 각각 장착되으로써 필요시 왕복동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왕복동부재(46)는 일명 공압근육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부재로 공기 가 공급/배출되는 고무재질의 튜브와, 이 뷰트의 외부에 구비되어 감싸는 구조의 그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왕복동부재(46)는 압축기(도시안됨)와 한 쌍의 밸브(47)를 통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한 쌍의 밸브(47)가 구동하여 압축기(도시안됨)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왕복동부재(46)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튜브가 팽창하여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한 쌍의 밸브(47)가 반대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튜브로부터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되므로 그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밸브(47)는 제어부(40)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40)는 감지판(32)에 연결된 연산기(42)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감지판(32)의 개폐여부에 따라 적절하게 구동가능하다.
상기 동력전달부재(45)는 왕복동부재(46)에 연결된 아암(Arm;48)과, 일측에는 상기 아암(48)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댐퍼(54)가 장착되는 중심축(50)과, 상기 중심축(5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Bearing;5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동력전달부재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50)은 베어링(5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왕복동부재(46)가 팽창 혹은 수축하는 경우에는 아암(48)이 연동하여 당겨지거나 밀리게 되므로 중심축(50)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중심축(50)의 회전에 의하여 댐퍼(54)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일정각도(θ) 범위 이내로 회전 될 수 있다.
상기 댐퍼(54)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중심축(50)의 타측에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중심축(5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댐퍼(54)도 연동하여 일정 각도(θ)로 회전함으로써 원료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한다.
즉, 다수의 댐퍼(54)가 회전하는 경우, 각 댐퍼(54)의 사이 공간이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므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원료의 양도 가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댐퍼(54)들의 회전각도(θ)를 변동시킴으로써 원료가 일측으로 편중되는 구역에는 댐퍼(54)들의 틈새를 좁게하여 원료가 균일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퍼(54)는 바람직하게는 22.5도의 범위이내에서 좌우측으로 회전가능하다.
한편, 상기 감지수단(60)은 상기 슈트(10)의 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10)를 통과하는 원료와 접촉함으로써 원료의 흐름을 각 구역별로 인지하는 복수의 감지판(32)과, 상기 감지판(32)의 상부에 일체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감지판(32)을 슈트(10)에 힌지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바(34)와, 상기 연결바(34)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감지판(32)이 원료와 접촉에 의하여 슈트(10)의 바닥 플레이트(31)으로부터 들리는 경우 그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9)와, 상기 감지센서(39)에 연결되어 감지센서(39)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출력하는 연산기(4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감지수단(60)에 있어서, 상기 감지판(32)은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5개로 이루어지며, 원료가 슈트(10)를 통과하는 경우 원료가 그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들리게 된다.
이때, 원료가 일측으로 보다 많은 양이 편중되면 그 구역의 감지판(32)이 다른 구역의 감지판(32) 보다 더 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감지판(32)이 들리면, 연결바(34)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바(34)는 그 하부에 감지판(32)이 구비되고, 그 상부는 상부 플레이트(37)에 형성된 관통홀(36)을 통과하여 상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37)의 상면에 힌지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감지판(32)은 연결바(34)에 의하여 슈트(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원료가 통과하는 경우 그 양에 따라 적절하게 들려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바(34)의 상단에는 연결바(34)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39)가 구비된다. 이 감지센서(39)는 연산기(42)에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연산기(42)는 상기 제어부(40)에 그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감지판(32)의 회전각도를 인식하게 되고, 원료가 어느 구역으로 편중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이러한 신호에 의하여 보다 많은 양의 원료가 편중되는 구역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그 구역에 해당하는 왕복동부재(46)를 작동시킴으로서 댐퍼(54)를 회전시켜 틈새를 좁게 하여 원료의 통과양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슈트(10)를 통과하는 원료는 다수의 댐퍼(54)에 의하여 균일하게 분산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슈트(10)의 분산수단(38)을 통하여 균일하게 입조된 원료는 피더(16)로 이송된다.
그리고, 피터(16)로 이송된 원료는 파쇄부(18)로 공급되어 적절한 입도로 파쇄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쇄부(18)에는 다수의 햄머(Hammer)가 구비된 로우터(Rotor;20)가 구비되며, 이 로우터(20)는 모터 조립체(22)와 벨트(24)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모터 조립체(22)가 구동하는 경우 벨트(24)에 의하여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로우터(20)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다수의 햄머에 의하여 원료가 일정 입도로 패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원료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크러셔로 입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러셔 장치는 감지수단 및 분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자동으로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원료를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이송시킬 수 있음으로 로우터의 해머 편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 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7)

  1. 원료가 입조되는 슈트와;
    상기 슈트의 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의 각 구역을 통과하는 원료의 양을 각각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슈트의 입측에 배치되어 상기 입측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여 개폐하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구역을 각각 개폐함으로써 상기 슈트를 통과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여 분산하여 상기 원료가 일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수단과;
    상기 슈트의 감지수단 및 분산수단을 통하여 입조된 원료를 운반하는 피더(Feeder)와;
    상기 피더에 의하여 공급된 원료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산수단은 상기 슈트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각각 장착되고 공기 주입/배출시 팽창/수축함으로써 그 길이가 가변적인 튜브 및 상기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왕복동부재와, 상기 왕복동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가변함으로써 원료의 이동양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댐퍼와, 상기 왕복동부재와 댐퍼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연산기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왕복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러셔(Crusher)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슈트의 출측에 구비되어 상기 슈트를 통과하는 원료와 접촉함으로써 원료의 흐름을 각 구역별로 인지하는 복수의 감지판과, 상기 감지판의 상부에 일체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감지판을 슈트에 힌지가능하게 지지하는 연 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감지판이 원료와 접촉에 의하여 슈트의 바닥 플레이트로부터 들리는 경우 그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연결되어 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연산기를 포함하는 크러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판은 5개가 구비되며, 상기 5개의 감지판이 슈트의 출측에 5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배치됨으로써, 원료가 편중되는 구역을 인식할 수 있는 크러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왕복동부재에 연결된 아암과, 일측에는 상기 아암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댐퍼가 장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상기 슈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크러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댐퍼는 상기 왕복동부재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원료가 통과하는 슈트의 면적을 가변시켜 원료의 양을 조절가능한 크러셔 장치.
KR1020040111341A 2004-12-23 2004-12-23 크러셔 장치 KR10111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341A KR101118291B1 (ko) 2004-12-23 2004-12-23 크러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341A KR101118291B1 (ko) 2004-12-23 2004-12-23 크러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45A KR20060072645A (ko) 2006-06-28
KR101118291B1 true KR101118291B1 (ko) 2012-03-20

Family

ID=3716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341A KR101118291B1 (ko) 2004-12-23 2004-12-23 크러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2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861A (ko) *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949A (en) 1972-09-22 1975-04-22 Semat Device for loading materials into a container
KR20000039934A (ko) * 1998-12-16 2000-07-05 양인모 물질 공급장치
KR20010067605A (ko) * 2001-02-21 2001-07-13 이갑현 계수와 계량이 동시에 가능한 정미율 측정기
KR100316087B1 (ko) * 1997-08-29 2002-01-15 이구택 크러셔 원료 자동 장입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949A (en) 1972-09-22 1975-04-22 Semat Device for loading materials into a container
KR100316087B1 (ko) * 1997-08-29 2002-01-15 이구택 크러셔 원료 자동 장입 조절 장치
KR20000039934A (ko) * 1998-12-16 2000-07-05 양인모 물질 공급장치
KR20010067605A (ko) * 2001-02-21 2001-07-13 이갑현 계수와 계량이 동시에 가능한 정미율 측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861A (ko) * 2018-07-17 2020-01-29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KR102124332B1 (ko) 2018-07-17 2020-06-19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645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78733A (en) Reversible swing hammer crusher with adjustable breaker plates
KR102075769B1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
KR101118291B1 (ko) 크러셔 장치
KR101261423B1 (ko) 원료 파쇄 장치
KR100928771B1 (ko) 입도별 분리파쇄 조정이 가능한 원료광 공급장치
JPH09173882A (ja) 竪型ミル
KR101119005B1 (ko) 원료 공급 호퍼용 원료 분산 공급장치
US4960247A (en) Compost shredder
KR100223070B1 (ko) 분체, 분쇄, 분급 겸용 건조기
KR200247628Y1 (ko) 벼 도정장치
KR101462164B1 (ko) 원료 공급 장치
KR101287876B1 (ko)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KR20020037947A (ko) 슈트에서의 이송물 균등분배 조절장치
JP2008188555A (ja) 破砕装置
CN210474180U (zh) 一种带有冷风装置的搅拌粉碎给料机
KR101069312B1 (ko) 원료탄 공급 장치
KR20150137595A (ko) 폐아스콘 정량 공급장치
JP2024018515A (ja) 蒸煮原料分配装置及び蒸煮原料分配方法
US213963A (en) Improvement in millstone-exhaust apparatus
JP2546776B2 (ja) ビリ砂利破砕方法およびビリ砂利破砕装置
US2712905A (en) Combined disintegrator and blower unit
US1254008A (en) Wheat scalping and conditioning machine.
KR100464646B1 (ko) 골재 파쇄기
KR200144528Y1 (ko) 연속식 진동볼밀의 배출제어장치
JPH05253A (ja) 竪型粉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