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015B1 - 압출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출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015B1
KR101118015B1 KR1020060125219A KR20060125219A KR101118015B1 KR 101118015 B1 KR101118015 B1 KR 101118015B1 KR 1020060125219 A KR1020060125219 A KR 1020060125219A KR 20060125219 A KR20060125219 A KR 20060125219A KR 101118015 B1 KR101118015 B1 KR 10111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die
cooling system
temperature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535A (ko
Inventor
남경구
최기덕
박종성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6012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01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65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6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nozzle zone
    • B29C48/87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6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5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using wet calibration, i.e. in a quenching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압출 원료를 가소화시켜 압출하는 압출기, 압출 성형물을 소정의 속도로 인취하는 인취기, 및 압출 성형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포함하고 있는 압출 냉각 시스템으로서, 압출기의 노즐 부위에는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와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는 30 내지 200℃의 온도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출 냉각 시스템은 압출과 동시에 압출물의 냉각 및 형상 고화가 행해지므로, 진공냉각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압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 냉각 시스템 {Extruding Cool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압출 냉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출 냉각 시스템의 압출 다이 및 진공냉각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의 압출 다이 및 진공냉각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압출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원료를 가소화시켜 압출하는 압출기, 압출 성형물을 소정의 속도로 인취하는 인취기, 및 압출 성형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포함하고 있는 압출 냉각 시스템으로서, 압출기의 노즐 부위에는 고온 다이 및 상기 고온 다이와 30 내지 200℃의 온도 차이를 가지는 저온 다이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 어서, 압출과 동시에 압출물의 냉각 및 형상 고화를 행해지므로, 진공냉각장치를 반드시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압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출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압출 냉각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에서 압출 다이 및 진공냉각장치(calibration unit)의 부분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압출물의 진행 방향에 따라 압출기(10), 압출다이(20), 진공냉각장치(30), 인취기(40) 및 절단기(50)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압출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압출 원료를 교반기(11)로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이 압출기(10)를 통과함으로써 용융된 상태로 압출되며, 소정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노즐(21)을 따라 외부 가열 수단(22)이 장착된 압출다이(20)를 통과하고, 압출다이(20)에서 고온의 상태로 압출물이 유출된다. 그런 다음, 고온의 상태로 다이에서 압출된 형상의 프로파일을 냉각하고 형상을 고화시키기 위하여 진공냉각장치(30)를 통과시키고, 인취기(40)를 거쳐 절단기(50)에 의해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압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출 냉각 시스템에서, 상기 진공냉각장치(30)는 냉각수순환기(31)에 의해 냉매가 순환됨으로써 압출물에 냉각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약 3 내지 6 m 길이의 매우 긴 공정 길이를 갖는 바, 공간적인 제약이 크고, 진공냉각장치를 거치는 경우 압출속도는 약 3 ~ 5 m/min 정도로서, 진공냉각에 의한 인취 속도를 늘리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생산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 성형 장치와 관련하여,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2-086544호는 종래 비교적 급격한 온도구배를 갖는 냉각 공정을 행함으로써 압출물의 중심부가 일부 미고화 상태로 되어 압출 성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온의 압출물을 냉각하는 공정을 2회로 나누어 수행하여 순차적인 냉각을 수행함으로써, 온도 구배를 완화시켜 압출 성형 공정의 속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용융 압출물을 150 내지 180℃로 1차 냉각하고 연이어 60 내지 140℃로 2차 냉각함으로써, 완만한 연속적인 온도 구배의 냉각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냉각에 의하여 고온 다이의 온도까지 저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온도가 하강되는 구간이 길어지게 되어, 고화 공정의 길이가 매우 길어지므로 압출 성형 공정의 속도가 저하되고, 공간 낭비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압출기, 인취기 및 절단기를 포함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에서, 압출기의 노즐 부위에 고온 다이 및 저온 다이를 연속적으로 위치시키고, 이들의 온도차를 급격한 온도 구배의 소정의 온도차로 설정하는 경우, 압출과 동시에 압출물의 냉각 및 형상 고화 를 행하며 이를 인취기로 인취하여 압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짧은 공정 길이의 진공냉각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은 압출 원료를 가소화시켜 압출하는 압출기, 압출 성형물을 소정의 속도로 인취하는 인취기, 및 압출 성형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압출기의 노즐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다이("고온 다이")와 상대적으로 저온의 다이("저온 다이")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와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는 2 내지 40℃/mm의 급격한 온도변화율로 30 내지 200℃의 온도차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압출과 동시에 압출물이 냉각 및 형상 고화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은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의 급격한 온도차에 의해 압출과 동시에 압출물의 냉각 및 형상 고화를 행할 수 있으므로, 압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급격한 온도차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고온 다이의 온도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종래 저온 다이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고온 다이쪽의 온도까지 낮아져 온도 하강 구간이 길어짐으로써 발생할 수 있었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진공냉각장치를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매우 짧은 길이의 진공냉각장치를 사용하고도 소망하는 물성의 압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압출 시스템의 공간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와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2 내지 40℃/mm의 급격한 온도변화율로 30 내지 200℃의 온도차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급격한 온도차로 인하여 압출물의 스킨부가 조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화됨으로써, 압출물의 중심부의 일부에 미고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압출물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진공냉각장치를 별도로 거칠 필요가 없다.
상기 온도변화율이 2℃/mm 미만이거나 또는 온도차가 30℃ 미만인 경우, 충분한 고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압출물의 밀도가 저하되어 압출 성형물의 표면 특성이 저하되므로 소망하는 물성의 압출물이 얻어지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온도변화율이 40℃/mm를 초과하거나 또는 온도차가 200℃를 초과하는 경우, 압출물의 너무 급격한 고화로 인한 유동성 저하로 제조 공정이 진행되기 어려울 수 있고 그러한 조건 설정을 위해 고가의 장비가 요구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온도변화율에 의해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 사이에서 급격한 온도차를 나타내는 구간을, 이하에서는, '온도변화구간'으로 칭하기도 한다.
앞서 설명한 온도변화율은 온도변화구간에서 압출물의 진행방향에 따른 온도 변화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TL= (TH-TC)/L (1)
상기 식에서, TL은 온도변화율이고, TH는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이며, TC는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이고, L 은 온도변화구간의 길이이다.
상기 온도변화구간에서의 온도변화율이 높을수록 압출물에 가해지는 압출물의 밀도가 조밀한 상태로 고화가 가능하므로 표면특성이 우수한 압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온도변화구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0 mm의 길이일 수 있다. 온도변화구간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며, 150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 사이의 온도차를 크게 설정하더라도 온도변화율이 작아져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이 정의된 온도변화구간은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 사이에 급격한 온도차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 사이의 열교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의 급격한 온도차를 설정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예로는, 고온 다이의 종점 부위에 바람직하게는 온도저하 방지를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시키고, 저온 다이의 시점 부위에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포함시키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은 고온 다이의 내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고온 다이의 내부 및 외부에 함께 형성될 수 있고, 그것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않으며, 예를 들어, 통상의 전기 발열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단도 가열수단과 마찬가지로, 저온 다이의 내부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저온 다이의 내부 및 외부에 함께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것의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냉매가 흐르는 파이프 라인 등의 냉각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는 압출되는 압출 원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일 수 있다.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가 150℃ 미만인 경우에는 압출물이 서서히 고화되므로 조밀한 밀도를 가질 수 없으므로 압출물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표면특성이 저하되므로 문제가 있다. 반면에, 2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출 원료의 열화가 일어날 염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는 압출 원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압출 원료의 융점 또는 연화점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가 40℃ 미만인 경우, 급격한 고화로 인하여 제조공정이 진행되기 어렵게 되고, 반대로,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 다이와의 온도차이가 작아져 압출물의 고화가 불충분하므로, 압출물의 고화를 위해 추가적으로 비교적 긴 길이의 진공냉각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다만,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와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가 상기와 같은 범위에서 결정된다 하더라도, 이들 사이의 온도차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2 내지 40℃/mm의 급격한 온도변화율로 30 내지 200℃의 온도차를 가지도록 설정되어야 한 다.
이러한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압출 다이에 일체형으로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온도변화구간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저온 다이는 하나 이상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용융물의 토출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저온 다이와 압출물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온 다이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진공냉각기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압출기와 인취기 사이에 짧은 공정 길이의 진공냉각기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저온 다이에서 고화된 상태인 압출물에 추가적으로 냉각 및 고화가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진공냉각기를 거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압출 냉각 시스템에서의 상기 진공냉각기는 상대적으로 짧은 공정 길이를 갖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종래의 진공냉각장치에 비해 공정 길이를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2 m 이하의 공정 길이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진공냉각기 및/또는 냉각수단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기(chiller)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순환기에 의해 냉각수가 공급되어 냉매가 순환됨으로써 압출물에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수 순환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냉각수 순환기를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성 및 원리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상기 압출 원료는 압출 가능한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기반 복합체이고, 상기 압출기에서 가열 용융되어 가소화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물은 미발포체 및 발포체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발포체를 제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미세 발포체일 수 있다. 이러한 미세 발포체는, 바람직하게는,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2005-11563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세 발포체의 스킨 부분의 기공이 코어 부분의 기공보다 미세한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써, 스킨 부분의 밀도가 조밀하고 무발포 시트와 유사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발포체일 수 있다. 상기 출원의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합체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의 압출 다이 및 진공냉각장치의 부분 모식도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압출 냉각 시스템은 압출물의 진행 방향에 따라 압출기(100), 압출다이(200), 진공냉각장치(300), 인취기(400) 및 절단기(500)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기(110)에 의해 혼합된 압출 원료는 압출기(100)를 통과하면서 용융 가소화되고, 압출다이(200)를 통해 소정의 형태로 압출된다.
압출다이(200)는, 내부 가열 수단(220)이 장착된 고온 다이(250)와, 이러한 고온 다이(250)에 연속하여, 내부에 냉각 수단(230)이 장착되어 있는 저온 다이(260)로 이루어져 있다.
고온 다이(250)의 종점 온도와 저온 다이(260)의 시점 온도는 2 내지 40℃/mm의 급격한 온도변화율로 30 내지 200℃의 온도차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고온 다이(250)의 내부 가열 수단(220)과 저온 다이(260)의 냉각 수단(230)은 매우 근거리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급격한 온도차를 유발한다.
용융 가소화물은 압출다이(200)로부터 압출될 때 고화된 상태로 만들어지면서 인취기(40)에 의해 인출된다.
선택적으로 압출물에 추가적인 냉각 및 고화가 필요한 경우, 저온 다이(260)를 통과해 나온 압출물을 진공냉각장치(300)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이때, 진공냉 각장치(300)는 약 2 m 이하의 짧은 공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간적 낭비를 방지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정 길이가 줄어듦에 따라 압출 속도가 향상되므로 생산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상기 저온 다이(260) 및/또는 진공냉각장치(300)에는 냉각수순환기(310)가 연결되어 있어서, 냉매가 순환됨으로써 압출물에 냉각 및 고화가 행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4]
온도조절이 가능한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압출 다이와 어댑터를 이축 압출기에 장착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을 준비하였다. 이 때, 고온 다이의 길이는 125 mm로, 저온 다이의 길이는 40 mm가 되도록 하였고,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의 온도변화구간의 길이는 27 mm가 되도록 하였다.
경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컴파운드(LG 화학 제조) 98 중량부를 상기 압출기에 투입하여 PVC를 완전히 가소화시킨 후,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2 중량부의 질소를 압출기의 배럴에 주입하여 단일상의 혼합물을 성형하여 두께 2 mm, 폭 100 mm인 PVC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기의 조건은 배럴들의 순차적인 온도가 190℃ - 180℃ - 175℃가 되도록 하였으며, 어댑터의 온도는 130℃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온 다이, 온도변화구간, 및 저온 다이의 조건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
온도조절이 가능한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압출 다이를 사용하지 않고, 고온 다이만으로 구성된 종래의 압출 다이를 사용하였고, 약 4 m 길이의 진공냉각장치를 사용하여 냉각을 행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VC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고온 다이의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6091325987-pat00001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에서 PVC 시트를 압출 성형하는 공정에서 압 출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 내지 4의 압출 속도는 종래의 진공냉각장치를 사용한 비교예 1의 압출속도와 동등하거나, 약 10 내지 15%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진공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압출 성형시 공간적 낭비를 해소하고, 압출속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발명의 내용을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출 냉각 시스템은 압출기의 노즐 부위에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와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를 급격한 온도 구배의 차이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진공냉각장치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 않아 공간적 낭비를 방지하고, 압출 제조 비용을 절감하며, 압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생산 효율의 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압출 원료를 가소화시켜 압출하는 압출기, 압출 성형물을 소정의 속도로 인취하는 인취기, 및 압출 성형물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압출기의 노즐 부위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다이("고온 다이")와 상대적으로 저온의 다이("저온 다이")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와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는 2 내지 40℃/mm의 급격한 온도변화율로 30 내지 200℃의 온도차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압출과 동시에 압출물이 냉각 및 형상 고화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압출 냉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화율을 나타내는 구간의 길이는 1 내지 1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부위에 온도저하 방지를 위한 가열수단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저온 다이의 시점 부위에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기 발열체이고, 상기 냉각수단은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다이의 종점 온도는 150 내지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다이의 시점 온도는 4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다이와 저온 다이는 하나의 압출 다이에 일체형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와 인취기 사이에 2 m 이하의 공정 길이를 가진 진공냉각기가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기(chiller)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원료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기반 복합체이고, 상기 압출기에서 가열 용융되어 가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물은 미세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렌(P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냉각기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기(chiller)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냉각 시스템.
KR1020060125219A 2006-12-11 2006-12-11 압출 냉각 시스템 KR10111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219A KR101118015B1 (ko) 2006-12-11 2006-12-11 압출 냉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219A KR101118015B1 (ko) 2006-12-11 2006-12-11 압출 냉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535A KR20080053535A (ko) 2008-06-16
KR101118015B1 true KR101118015B1 (ko) 2012-02-24

Family

ID=3980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219A KR101118015B1 (ko) 2006-12-11 2006-12-11 압출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0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808A (ja) * 1999-05-25 2000-12-05 Sekisui Chem Co Ltd 複合樹脂押出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1205751A (ja) * 2000-01-26 2001-07-31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複合材料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86544A (ja) * 2000-09-20 2002-03-26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複合材料の押出成形方法及びその押出装置
JP2002113768A (ja) * 2000-10-11 2002-04-16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複合材料成形体の押出成形方法及び押出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808A (ja) * 1999-05-25 2000-12-05 Sekisui Chem Co Ltd 複合樹脂押出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1205751A (ja) * 2000-01-26 2001-07-31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複合材料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86544A (ja) * 2000-09-20 2002-03-26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複合材料の押出成形方法及びその押出装置
JP2002113768A (ja) * 2000-10-11 2002-04-16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複合材料成形体の押出成形方法及び押出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535A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kinson et al. Polymer processing and structure development
KR100924540B1 (ko) 고광택 압출 성형물의 제조방법
KR100890159B1 (ko) 균일한 발포율의 미세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위한 압출 발포 시스템
JP2008068517A (ja) 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
KR101118015B1 (ko) 압출 냉각 시스템
KR20070002495A (ko) 합성수지시트 제조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롤러
KR101815833B1 (ko) 다공성 플라스틱 압출기
KR101118021B1 (ko) 고광택 압출 성형물의 제조를 위한 압출 시스템
CN204844791U (zh) 大截面发泡塑料制品挤出机头
JP2006281698A (ja) 発泡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発泡成形品の成形装置
AU2004245248B2 (en) Continuous method for producing solid, hollow or open profiles
KR100764900B1 (ko) 냉각성능을 향상시킨 다이를 이용한 미세발포체의 제조방법
JPH0631726A (ja) 発泡性熱可塑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
JP2007504518A5 (ko)
JPH04275127A (ja) 結晶性熱可塑性合成樹脂薄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6315261A (ja) 複合スクリュ混練押出機および押出発泡成形方法
KR101150291B1 (ko) 합성목재 미세발포체의 제조방법
CN104827644A (zh) 大截面发泡塑料制品挤出机头
JP4350633B2 (ja) 樹脂チューブ製造装置の冷却水循環装置
CN108748840B (zh) 一种稳压pp板材发泡方法
JPH0467494B2 (ko)
JP4330485B2 (ja) 射出発泡成形方法
JPS5850187B2 (ja) イケイオシダシセイケイヒンノセイゾウホウホウ
KR101226859B1 (ko) 두꺼운 플라스틱 보드,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70056668A (ko) 냉각성능을 향상시킨 다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수지의 미세발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