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370B1 -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 Google Patents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370B1
KR101116370B1 KR1020110066992A KR20110066992A KR101116370B1 KR 101116370 B1 KR101116370 B1 KR 101116370B1 KR 1020110066992 A KR1020110066992 A KR 1020110066992A KR 20110066992 A KR20110066992 A KR 20110066992A KR 101116370 B1 KR101116370 B1 KR 101116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ignal
power
receiver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진
임정택
Original Assignee
미래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1Methods to deal with contingencies, e.g. abnormalities, faults or fail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건축물에 설치된 각종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수신기가 화재가 감지된 지역을 분배전반에 통보하고, 화재신호를 수신한 분배전반은 화재가 발생한 지역의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화재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화재 구간의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이 개시된다.
개시된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은, 현장에 구비된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발생에 대한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재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지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화재발생 지역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화재감지 제어장치, 주 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1차 분기하고, 상기 1차 분기한 전력을 다시 부하에 2차 분기해주며, 상기 화재감지 제어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력 차단 신호에 따라 화재감지 지역의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Distribute board for linked of fire signal}
본 발명은 분배전반과 같은 전력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설치된 각종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수신기가 화재가 감지된 지역을 분배전반에 통보하고, 화재신호를 수신한 분배전반은 화재가 발생한 지역의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화재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화재 구간의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수신기는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곳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시 화재를 경고하고, 화재를 초기에 진화하기 위한 동작(스프링클러나 소화전 등의 소화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화재수신기는 크게, 1대1 개별 신호 선에 의한 접점 방식인 P형 화재수신기와, 다중통신전송방법에 의한 각 회선 고유신호 방식으로 화재를 경보하는 R형 화재수신기가 있다.
여기서 P형 수신기는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여 전압강하나 간선 수 증가에 지장이 없는 소규모 근린생활공간, 소형빌딩, 아파트, 소규모 공장에 적합하며, R형에 비해 저가인 장점이 있다.
R형 수신기는 신호전달이 확실하고 회로의 증설이나 이설이 용이하기에 전압강하나 간선 수가 대폭 증가하는 초고층 빌딩, 대단지 아파트, 대규모 공장에 적합하다.
P형 화재수신기나 R형 화재수신기는 모두 상용화된 화재감지기를 통하여 화재를 감지하게 된다. 화재수신기는 건축물의 모든 구간에 화재를 감시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건축물에 설치된 분배전반은 전기실에 외함의 형태로 구성되어 설치된다. 주 선로를 통해 인입된 고압 및 저압의 전력은 1차로 배전반에서 분기되고 2차로 분전반에서 분기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033673호(2011.04.29)(이하, "종래기술"이라 약칭함)에 다기능 수배전반이 개시된다.
종래기술에 개시된 분배전반 등의 전력설비는 지진 등을 감지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은 있으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의 규모와 상황을 스스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재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의 인명이나 화재수신기를 모니터하는 방재실 등의 인명으로부터 조작을 통해서만 전원 차단을 한다.
이 경우 이미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서 화재의 규모와 현장 상황을 모르고 건축물 내에서 대피중인 대피로 전력이 투입되어 있을 경우 화재가 아닌 전력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층 건축물의 15층에 화재가 발생하여 인명이 대피 중인 곳에 고압의 전기가 흐르고 있는 전기 선로가 단선되어 대피 중인 인명을 상하게 하거나, 화재진압을 위해 동작한 스프링클러에 의해 물이 고여있는 곳에 단선된 전기 선로가 낙하하게 되면 수많은 사상자를 만드는 대형 사고로 확대될 수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방식은 특정 층에 화재가 발생하면 그때 내벽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동작을 하여 화재수신기는 화재를 인지할 수 있으나, 종래의 분배전반과 같은 전력 기기는 화재시스템과 연동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 상황을 알 수 없어 화재시 전력 차단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033673(등록일: 2011.04.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분배전반과 같은 전력 기기에서 화재 발생의 상황을 인지할 수 없는 단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존의 분배전반과 같은 전력 기기에 화재 신호를 인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화재감지 제어장치를 부가하고,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장치를 이용하여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화재 발생 구간의 전력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이후에 전기로 인한 대형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은,
현장에 구비된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발생에 대한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재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지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화재발생 지역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화재감지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은,
주 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1차 분기하고, 상기 1차 분기한 전력을 다시 부하에 2차 분기해주며, 상기 화재감지 제어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력 차단 신호에 따라 화재감지 지역의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화재감지 제어장치는,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전송된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장치와;
상기 신호장치를 통해 수신한 화재신호를 통해 화재 발생을 인지하고, 상기 화재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지역을 판단한 후, 상기 판단한 화재발생 지역에 공급되는 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발생한 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장치에 화재발생 지역의 전력차단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화재발생 지역의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화재감지 제어장치는,
상기 화재수신기에서 전송된 화재 감지신호 및 화재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수신기를 통해서 인지된 화재신호를 분배전반과 같은 전력 기기에서 연동하여 화재를 감지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지역의 전력을 차단해줌으로써, 작게는 전기로 인한 화재의 확산을 막아주고 크게는 화재 현장의 인명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수신기에서 화재발생과 화재발생 지역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신호를 전송토록 하고, 분배전반과 같은 전력 기기에서 상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 지역의 전력을 조기에 차단함으로써, 전력공급으로 인한 화재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및 화재방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화재감지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및 화재방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크게 화재방재 시스템(100)과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으로 대별되며, 화재방재 시스템(100)은 화재수신기(110), 화재감지기(120), 소화기기(130), 배연기기(150), 화재경보장치(140)로 구성되고,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은 화재감지 제어장치(210) 및 전력장치(220)로 구성된다.
화재감지기(120)는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가스 감지기와 같은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화재수신기(110)에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소화기기(130)는 통상의 소화를 위한 장비로서, 물 분무기, 소화전, 에어 폼 챔버, 스프링클러, 할로겐화합물 분무기, 이산화탄소 분무기 등을 포함한다.
배연기기(150)는 발생한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비로서, 배연 댐퍼, 방화문, 방화삿다, 방연커텐, 배연창 등을 포함한다.
화재경보장치(140)는 화재수신기(110)로부터 화재 신호가 발생하면 각종 화재 경보를 발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화재 수신기(110)는 화재감지기(120)로부터 발생한 화재 신호를 인지하고, 화재 발생시 소화기기 동작과 배연기기 동작, 경보 발생, 화재신호를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에 전송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재 수신기(110)는 상기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화재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화재신호에는 화재감지신호와 화재가 발생한 화재발생 지역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역 정보는 화재수신기(110)의 내부 메모리에 자신이 담당하는 지역정보를 저장하거나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화재발생으로 화재정보를 전송할 때 이러한 지역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화재발생 지역정보로 화재감지신호와 함께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 내의 화재감지 제어장치(210)는 현장에 구비된 화재수신기(110)로부터 화재발생에 대한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재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지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화재발생 지역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신호를 발생하여 전력장치(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력장치(220)는 주 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1차 분기하고, 상기 1차 분기한 전력을 다시 부하에 2차 분기해주며, 상기 화재감지 제어장치(210)에서 발생하는 전력 차단 신호에 따라 화재감지 지역의 전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배전반과 분전반이 포함된 전력 기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화재감지 제어장치(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수신기(110)로부터 전송된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장치(211)와; 상기 신호장치(211)를 통해 수신한 화재신호를 통해 화재 발생을 인지하고, 상기 화재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지역을 판단한 후, 상기 판단한 화재발생 지역에 공급되는 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212)와; 상기 중앙처리부(212)에서 발생한 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장치(220)에 화재발생 지역의 전력차단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화재발생 지역의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제어기(2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 제어장치(210)는 상기 중앙처리부(2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재수신기(110)에서 전송된 화재 감지신호 및 화재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기(214)와; 상기 중앙처리부(212)에 기능을 설정하거나 관리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키(215)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화재감지기(120)와 화재수신기(110)가 감지선로를 통해 연결되고, 화재수신기(110)와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은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어 특정의 통신방식으로 화재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화재수신기(110)는 소화를 위한 장비인 소화기기(130)와 제어선로로 연결되고, 배연을 위한 장비인 배연기기(150)와도 별도의 제어선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감지기(120)의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가스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선로를 통해 화재감지 신호를 화재수신기(110)에 전달하게 되고, 화재수신기(110)는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경보장치(140)를 구동시키게 된다. 화재경보장치(140)는 화재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여 인명의 대피 및 소방서에 신고 등의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소화기기(130)와 배연기기(150)를 동작시켜 화재 소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화재수신기(110)는 화재가 감지되면 신호선(통신 라인)으로 연결된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에 화재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전송되는 화재신호에는 화재감지신호와 화재발생 지역정보를 포함한다. 화재발생 지역정보는 주지한 바와 같이 자신의 고유번호를 화재신호와 함께 전송해주어,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에서 해당 고유번호를 갖는 화재수신기가 설치된 위치(장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미리 메모리에 화재발생 지역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에 전송하여 화재발생 지역을 인지하도록 한다.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200)은 화재감지 제어장치(210) 내의 신호장치(211)에서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화재수신기(110)로부터 전송된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중앙처리부(212)에 전달한다.
중앙처리부(212)는 수신된 화재신호를 분석하여, 화재감지 신호와 화재발생 지역정보를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기(214)에 화재 감지신호 및 화재관련 정보를 전송해주어 시각적으로 화재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중앙처리부(212)는 상기 추출한 화재발생 지역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전반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분전반 확인 방법은 미리 메모리에 각각의 분전반이 전력을 공급해주는 위치정보를 저장해 놓거나 분전반과 대응하는 화재수신기를 미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해 놓음으로써, 쉽게 화재발생 지역의 분전반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화재발생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분전반을 확인하게 되면, 전력 제어기(213)를 통해 전력장치(220)의 해당 분전반에 전력 차단 신호를 전송해준다.
전력장치(220)의 해당 분전반은 전력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차단기를 통해 해당 지역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시 공급 전력에 의해 대형화재가 발생하거나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분전반에는 공급 전력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공급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렇게 구비된 차단기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화재가 발생한 지역의 전력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력 제어기(213)와 전력장치(220) 간에는 통신 라인을 통해 전력 차단 신호를 통신으로 전달해주는 방법도 있으며, 신호선 또는 제어선을 이용하여 직접 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차단기에 연결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배전반에서 화재수신기와 연동하여 화재 신호가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공급 전력에 의해 대형 화재가 발생하거나 공급 전력에 의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재방재 시스템
110… 화재수신기
120… 화재감지기
200…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210… 화재감지 제어장치
211… 신호장치
212… 중앙처리부
213… 전력 제어기
214… 디스플레이기
220… 전력장치

Claims (5)

  1.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에 있어서,
    현장에 구비된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발생에 대한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재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지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화재발생 지역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화재감지 제어장치와;
    주 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1차 분기하고, 상기 1차 분기한 전력을 다시 부하에 2차 분기해주며, 상기 화재감지 제어장치에서 발생하는 전력 차단 신호에 따라 화재감지 지역의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 제어장치는,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전송된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장치와;
    상기 신호장치를 통해 수신한 화재신호를 통해 화재 발생을 인지하고, 상기 화재신호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지역을 판단한 후, 상기 판단한 화재발생 지역에 공급되는 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발생한 전력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력장치에 화재발생 지역의 전력차단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화재발생 지역의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장치는 주 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1차 분기해주는 배전반과, 상기 배전반에 의해 1차 분기한 전력을 부하에 2차 분기해주는 분전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 제어장치는,
    상기 화재수신기에서 전송된 화재 감지신호 및 화재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KR1020110066992A 2011-07-06 2011-07-06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KR101116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92A KR101116370B1 (ko) 2011-07-06 2011-07-06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92A KR101116370B1 (ko) 2011-07-06 2011-07-06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370B1 true KR101116370B1 (ko) 2012-03-09

Family

ID=4614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992A KR101116370B1 (ko) 2011-07-06 2011-07-06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3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538B1 (ko) * 2000-04-08 2001-11-07 임지수 분전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20030064548A (ko) * 2002-01-28 2003-08-02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분전반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538B1 (ko) * 2000-04-08 2001-11-07 임지수 분전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20030064548A (ko) * 2002-01-28 2003-08-02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분전반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4339B2 (ja) 火災時現場対応支援システム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N201927150U (zh) 火灾智能报警灭火系统
US20080179067A1 (en) Central control chemical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US20140293049A1 (en) Fire De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KR101583184B1 (ko) 재난 감지 시스템
KR101364813B1 (ko) 스마트형 소방 방재시스템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KR100962030B1 (ko) 유무선망을 이용한 건축물 방재 및 안전관리 통보시스템
CN109741563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灾情监控装置
JP7249380B2 (ja) 防災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器
KR20210020392A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2873A (ko)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JP2016140414A (ja) 自動火災報知消火システム
KR101116370B1 (ko) 화재신호 연동형 분배전반
KR102060467B1 (ko) 개선된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방법
KR20100002104A (ko)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JP7441919B2 (ja) 防災システム
KR101970986B1 (ko) 소화기 작동 감지 시스템
CN213220637U (zh) 一种带自动灭火系统的石油钻机电控房
CN210313005U (zh) 电梯机房消防监控系统
KR101676692B1 (ko) 스파크 검출기를 이용한 전기설비의 화재발생 감시장치
KR101028753B1 (ko) 통신기능을 구비한 전력 감시용 화재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