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873A -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2873A KR20190062873A KR1020170161498A KR20170161498A KR20190062873A KR 20190062873 A KR20190062873 A KR 20190062873A KR 1020170161498 A KR1020170161498 A KR 1020170161498A KR 20170161498 A KR20170161498 A KR 20170161498A KR 20190062873 A KR20190062873 A KR 201900628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uter
- sensor unit
- information
- control center
- central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력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하는 수배전반;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와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분석센서부; 상기 분석센서부와 연결되어 온도나 연기 및 불꽃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설정온도의 초과 또는 연기 및 불꽃 검출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라우터; 전기신호선을 통해 상기 라우터와 연결되도록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어 라우터의 전기신호 발생시 동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소화기; 상기 수배전반이 위치한 현장에 설치되며, 라우터를 통해 분석센서부의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하는 로컬모니터; 유선 랜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상기 라우터와 연결되어 분석센서부의 정보를 제공받아 분석하며, 분석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관제센터; 앱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연결되어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석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80℃ 이상이거나 연기 및 불꽃이 감지되었을 시에는, 상기 라우터가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소화기의 자동 작동을 이룸과 동시에, 중앙관제센터에서 해당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관리자에 의한 조치를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배전반의 온도와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분석센서부와,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화재발생 시 복수 개의 소화기를 동시 작동시키는 라우터를 통해 수배전반의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배전반의 상태를 실시간 점검할 수 있으며, 온도 감지를 통해 이상징후를 판단하여 선 조치를 신속하게 이룰 수 있고, 소화기의 부작동 판단시 라우터의 전기신호를 강제하여 소화기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시도하여 화재 진압을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소화기의 부작동이 지속될 경우 긴급출동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알림을 통해 후 조치를 신속히 하여 소방방재를 3차례에 거쳐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장 등의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수요전력량이 많기 때문에 110V 또는 220V의 저압의 일반용 전기설비와 같이 전력회사로부터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변전소의 배전선으로부터 3,300V 또는 6,600V의 고압을 수전하여 다시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여야 하고, 특히 대규모 빌딩의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22.9kV의 특별고압을 수전하여 다시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바로 수배전반이며, 이러한 수배전반은 분전반, MCC반(Motor Control Center Panel), 저압반, 고압반, 변압기반, 및 특고압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배전반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특별고압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설비와,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고압, 특별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설비, 강압된 전기를 빌딩 내 각부의 전기기기나 조명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설비로 형성되어 빌딩 내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그 내부에 변압기, 차단기, 콘덴서 등 22.9KV, 6.6KV, 3.3KV, 440V, 380/220V 등 국내 공인된 정격 전압이 상시 인가되고 있으며, 무부하 손실 또는 부하 손실에 의한 발열, 차단기 작동에 의한 발열, 콘덴서 등 전하 축적에 의한 발열, 전기기기 동작 시 고유 저항에 의한 발열 등으로 인해 상시 주위 온도 대비 10 ~ 30도의 온도가 상승 된다.
즉, 이러한 수배전반의 가장 큰 사고 위험성은 전압 변환 등을 처리하는 전력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한 온도 상승 및 전력 기기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불꽃 등으로 인한 화재 위험이었다.
따라서 수배전반의 화재 발생은 수배전반의 동작 정지로 인한 전력 중단이 발생 될 수 있고, 수배전반이 설치된 건물이 화재 위험성을 내포하므로, 수배전반의 내부 온도 제어 및 화재 발생 감지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화재 감지를 위한 종래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0998531호의 "수배전반의 원격 온도/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 기술은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와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여러 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이를 통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위 종래의 기술은 화재를 감지만 할 수 있을 뿐, 순식간에 확산 되는 화재의 진압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화재를 감지한다 하더라도, 신속한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화재에 의한 피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의 온도와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분석센서부와,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화재발생 시 복수 개의 소화기를 동시 작동시키는 라우터를 통해 수배전반의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우터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는 로컬모니터와, 중앙관제센터를 통해 수배전반의 상태를 실시간 점검할 수 있으며, 분석센서부에 의한 감지 온도가 이상징후로 판단될 경우 라우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신호에 의해 로컬모니터를 모니터링하는 현장관리자 또는 중앙관제센터를 감독하는 제조공급사에 의한 선 조치를 신속히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소방방재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분석센서부의 온도감지를 이용하여 소화기의 부작동을 자동으로 판단하는 중앙관제센터의 원격통신을 통해, 라우터의 전기신호 발생을 강제하여 소화기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시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전기신호에도 소화기의 부작동이 지속 될 경우 긴급출동신고와 더불어,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해당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통해 화재진압을 3차례에 거쳐 순차적으로 이룸으로써 소방방재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하는 수배전반; 상기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와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분석센서부; 상기 분석센서부와 연결되어 온도나 연기 및 불꽃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설정온도의 초과 또는 연기 및 불꽃 검출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라우터; 전기신호선을 통해 상기 라우터와 연결되도록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어 라우터의 전기신호 발생시 동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소화기; 상기 수배전반이 위치한 현장에 설치되며, 라우터를 통해 분석센서부의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하는 로컬모니터; 유선 랜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상기 라우터와 연결되어 분석센서부의 정보를 제공받아 분석하며, 분석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관제센터; 앱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에 연결되어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석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80℃ 이상이거나 연기 및 불꽃이 감지되었을 시에는, 상기 라우터가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소화기의 자동 작동을 이룸과 동시에, 중앙관제센터에서 해당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하여 관리자에 의한 조치를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을 이용하면, 수배전반의 온도와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분석센서부와, 감지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화재발생 시 복수 개의 소화기를 동시 작동시키는 라우터를 통해 수배전반의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으므로 화재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우터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는 로컬모니터와, 중앙관제센터를 통해 수배전반의 상태를 실시간 점검할 수 있으며, 분석센서부에 의한 감지 온도가 이상징후로 판단될 경우 라우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신호에 의해 로컬모니터를 모니터링하는 현장관리자 또는 중앙관제센터를 감독하는 제조공급사에 의한 선 조치를 신속히 이룰 수 있게 되므로 소방방재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분석센서부의 온도감지를 이용하여 소화기의 부작동을 자동으로 판단하는 중앙관제센터의 원격통신을 통해, 라우터의 전기신호 발생을 강제하여 소화기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시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전기신호에도 소화기의 부작동이 지속 될 경우 긴급출동신고와 더불어,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의 해당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통해 화재진압을 3차례에 거쳐 이룰 수 있어 소방방재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상징후정보에 따라 라우터에서 로컬모니터 및 중앙관제센터로 이벤트신호를 주어, 상기 로컬모니터를 모니터링하는 현장관리자 또는 중앙관제센터의 제조공급사에서 현장관리 및 원격분석점검을 이루는 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재감지에 라우터에서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1, 2차에 걸쳐 소화기를 작동시켜 화재 진압을 이루고, 소화기의 부작동시 중앙관제센터에서 119 긴급출동신고와 동시에 스마트기기로 알림을 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상징후정보에 따라 라우터에서 로컬모니터 및 중앙관제센터로 이벤트신호를 주어, 상기 로컬모니터를 모니터링하는 현장관리자 또는 중앙관제센터의 제조공급사에서 현장관리 및 원격분석점검을 이루는 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재감지에 라우터에서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1, 2차에 걸쳐 소화기를 작동시켜 화재 진압을 이루고, 소화기의 부작동시 중앙관제센터에서 119 긴급출동신고와 동시에 스마트기기로 알림을 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10)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전력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하는 수배전반(10); 상기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와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분석센서부(20); 상기 분석센서부(20)와 연결되어 온도나 연기 및 불꽃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설정온도의 초과 또는 연기 및 불꽃 검출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라우터(30); 전기신호선(41)을 통해 상기 라우터(30)와 연결되도록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되어 라우터(30)의 전기신호 발생시 동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소화기(40); 상기 수배전반(10)이 위치한 현장에 설치되며, 라우터(30)를 통해 분석센서부(20)의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하는 로컬모니터(50); 유선 랜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상기 라우터(30)와 연결되어 분석센서부(20)의 정보를 제공받아 분석하며, 분석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관제센터(60); 앱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60)에 연결되어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기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석센서부(2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80℃ 이상이거나 연기 및 불꽃이 감지되었을 시에는, 상기 라우터(30)가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소화기(40)의 자동 작동을 이룸과 동시에, 중앙관제센터(60)에서 해당 정보를 스마트기기(70)로 전송하여 관리자에 의한 조치를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수배전반(10)은 변전소의 배전선으로부터 3,300V 또는 6,600V의 고압을 수전하여 사용전압으로 변압시키거나, 22.9KV의 특별고압을 수전하여 사용전압으로 변압시키는 작용을 하는 장치로서, 전력 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배전반(10)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특별고압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설비와,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고압, 특별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설비와, 강압된 전기를 빌딩 내 각부의 전기기기나 조명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설비로 형성되어 빌딩 내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작용을 하며, 이러한 수배전반(10)은 공지된 통상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둘째, 분석센서부(20)는 화재 감지 및 전력 계측 등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온도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와,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연기센서와, 불꽃센서 등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센서부(20)에서 감지 및 계측된 정보는 공지된 지그비 통신 또는 통신선과 같은 전기적인 연결 등을 통해 라우터(30)로 실시간 전송되며, 이러한 분석센서부(20)는 수배전반(10)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다수 설치됨으로써 화재 감지 및 전력 계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라우터(30)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중계해주는 통상의 기기로서, 본 발명에서는 분석센서부(20)와 연결됨으로써 수배전반 내부의 온도나 연기 및 불꽃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의 초과하거나, 연기 및 불꽃 검출시 소화기(40)를 작동시키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소화기(40)는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수배전반(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라우터(30)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통상의 에어로졸 소화기로서, 수배전반(10)의 크기에 비례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어 라우터(30)와 연결된 전기신호선을 통해 서로 연동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는 칼륨산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통상의 소화제와 냉각제가 혼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라우터(30)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에 의해 소화기(40)에 구성된 유리벌브의 폭발이 이루어지면, 소화제가 연소하면서 생성되는 소화성분의 가스압력에 의해 소화제와 냉각제가 혼합되게 되어, 차가운 성질의 소화성분이 화재지역으로 분사되며, 이로 인해 화재발생지역으로 공급되는 산소 라디칼이 차단되어 수배전반(10) 내부의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섯째, 로컬모니터(50)는 상기 수배전반(10)이 위치한 현장에 설치되어 라우터(30)를 통해 분석센서부(20)의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 현장관리자에 의한 용이한 점검 및 관리를 위하여 구성된다.
여섯째, 중앙관제센터(60)는 유선 랜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유선 및 무선원격통신을 통해 상기 라우터(30)와 연결됨으로써 분석센서부(2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제공받아 분석하고, 분석한 정보를 표 또는 그래프 등으로 2차 가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구성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는 제조공급사에서 통합운영한다.
즉, 각각의 건물의 수배전반(10)에 설치된 각각의 라우터(30)를 통해 정보를 제공 받음으로써 각기 다른 장소에 설치된 다수의 수배전반(10)을 제조공급사가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중앙관제센터(60)인 것이다.
일곱째, 스마트기기(70)는 앱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60)에 접속함으로써 분석된 수배전반(10)의 정보를 제공받는 통상의 기기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관제센터(60)로부터 분석된 정보를 제공방법 방법은 사용자 ID를 이용한 앱의 로그인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문자를 통한 알림으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10)에서의 화재 발생으로 인해 분석센서부(20)에서 감지된 온도가 80℃ 이상이거나 또는, 연기 및 불꽃이 감지되게 되면, 상기 라우터(30)가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소화기(40)의 자동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라우터(30)는 소화기(30)의 부작동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24V, 0.5A의 전기신호를 3회 연속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센서부(20)에 의한 감지 온도가 70℃ 이상 80℃ 미만 일 경우,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를 분석센서부(20)가 라우터(30)로 전송하는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라우터(30)에서는 전송받은 이상징후 정보를 이벤트신호로 발생시킴으로써 로컬모니터(50)와 중앙관제센터(60)로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상기 로컬모니터(50)를 모니터링하는 현장관리자 또는 중앙관제센터(60)를 감독하는 제조공급사에 의한 선 조치를 신속히 이룰 수 있게 되어 예방진단 및 소방방재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터(30)에 의한 전기신호 발생에도 온도의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소화기(40)의 작동을 중앙관제센터(60)에서 강제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소화기(40)의 부작동 여부를 분석센서부(20)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변화를 통해 중앙관제센터(60)에서 판단한 후, 소화기(40)가 부작동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중앙관제센터(60)에서 라우터(30)의 전기신호 발생을 원격통신으로 강제하는 것에 의해 이룰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작용은 라우터(30)의 전기신호 발생 후, 수 초 내로 온도의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상기 중앙관제센터(60)에서 라우터(30)를 원격통신으로 강제하는 것으로 이룰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화기(40)의 작동이 반복적으로 시도되어 상기 소화기(40)의 부작동률이 최소화되므로 소방방재의 안정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라우터(30)의 반복적인 전기 신호에도 온도의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라우터(30)의 오류 또는 소화기(40)의 불량 등으로 판단하여 119로 긴급출동신고가 자동 접수되고, 이를 통해 해당 현장으로 긴급출동이 이루어져 화재에 신속한 대처를 이룰 수 있음과 동시에, 앱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60)와 연결된 스마트기기(70)로 해당 상황의 알림이 전송되거나, SMS 문자 전송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3차례에 걸친 화재방재의 대책으로 소방방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배전반(10) 내부의 온도가 70℃ 이상 80℃ 미만에서는 분석센서부(20)에 의한 감지를 통해 이상징후 정보가 라우터(30)로 전송되고, 상기 라우터(30)로 전송된 이상징후는 이벤트신호로 발생되어 로컬모니터(50)와 중앙관제센터(60)로 제공되며, 상기 중앙관제센터(60)에서는 제공된 이벤트신호를 분석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로컬모니터(50)를 모니터링하는 현장관리자에 의한 현장 점검 또는, 중앙관제센터를 감독하는 제조공급사에 의한 원격 분석 점검을 통해 수배전반(1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여 예비진단을 이루는 등과 같은 선 조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수배전반의 유지 및 점검관리가 편리해지게 된다.
또한, 분석센서부(20)에 의해 감지된 수배전반(10)의 내부 온도가 80℃를 초과하거나, 불꽃 및 연기가 감지되었을 때에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들이는 라우터(30)가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여 복수 개의 소화기(4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어 화재의 진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로컬모니터(50)와 중앙관제센터(60)로 화재발생 정보를 제공하는 작동이 이루어져, 상기 로컬모니터(50)를 모니터링하는 현장관리자 및 중앙관제센터(60)를 감독하는 제조공급사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화기(40)를 작동시키는 라우터(30)의 전기신호 3회 발생에도 상기 소화기(4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전기신호 발생 수 초 후, 중앙관제센터(60)에서의 원격통신을 통해 라우터(30)의 전기신호 발생을 강제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중앙관제센터(60)의 라우터(30) 강제 조작을 통해 소화기(40)의 작동을 반복 시도하여 화재 진압을 2차 시도할 수 있으며, 2차 화재 진압 시도에도 소화기(40)가 부작동되어 온도의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중앙관제센터(60)에 의한 119 긴급출동 신고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소방관의 현장출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중앙관제센터(60)에서 스마트기기(70)로 상황을 알리는 3차 화재 대책이 이루어지므로, 비상상황에 따른 소방방재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10 : 수배전반
20 : 분석센서부
30 : 라우터 40 : 소화기 41 : 전기신호선
50 : 로컬모니터 60 : 중앙관제센터
70 : 스마트기기
100 :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30 : 라우터 40 : 소화기 41 : 전기신호선
50 : 로컬모니터 60 : 중앙관제센터
70 : 스마트기기
100 :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Claims (3)
- 전력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하는 수배전반(10);
상기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되어 온도와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는 분석센서부(20);
상기 분석센서부(20)와 연결되어 온도나 연기 및 불꽃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으며, 설정온도의 초과 또는 연기 및 불꽃 검출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라우터(30);
전기신호선(41)을 통해 상기 라우터(30)와 연결되도록 수배전반(10) 내부에 설치되어 라우터(30)의 전기신호 발생시 동시 작동하는 복수 개의 소화기(40);
상기 수배전반(10)이 위치한 현장에 설치되며, 라우터(30)를 통해 분석센서부(20)의 정보를 제공받아 디스플레하는 로컬모니터(50);
유선 랜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상기 라우터(30)와 연결되어 분석센서부(20)의 정보를 제공받아 분석하며, 분석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중앙관제센터(60);
앱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60)에 접속하여 분석된 정보를 제공받는 스마트기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분석센서부(2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80℃ 이상이거나 연기 및 불꽃이 감지되었을 시에는, 상기 라우터(30)가 전기신호를 3회 연속으로 발생시켜 소화기(40)의 자동 작동을 이룸과 동시에, 중앙관제센터(60)에서 해당 정보를 스마트기기(70)로 전송하여 관리자에 의한 조치를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을 하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센서부(20)에 의한 온도의 감지가 70℃ 이상 80℃ 미만일 경우에는, 분석센서부(20)가 이상징후 정보를 라우터(30)로 전송하며,
상기 라우터(30)에서는 전송받은 이상징후 정보를 이벤트신호로 발생시킴으로써 로컬모니터(50)를 모니터링하는 현장관리자 또는 중앙관제센터(60)를 감독하는 제조공급사에 의한 선 조치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30)의 전기신호 발생 후, 수 초 내로 온도의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중앙관제센터(60)에서 소화기(40)의 부작동을 자가 판단하는 작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중앙관제센터(60)에서 원격통신을 통해 라우터(30)의 전기신호 발생을 강제 수행하여 소화기(40)의 작동을 반복 시도하고,
상기 라우터(60)의 반복적인 전기신호 발생에도 온도의 저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119로 긴급출동 신고가 자동 접수되어 현장출동이 이루어지며,
앱을 통해 상기 중앙관제센터(60)에 접속된 스마트기기(70)로 해당 상황의 알림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498A KR20190062873A (ko) | 2017-11-29 | 2017-11-29 |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1498A KR20190062873A (ko) | 2017-11-29 | 2017-11-29 |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2873A true KR20190062873A (ko) | 2019-06-07 |
Family
ID=6685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1498A KR20190062873A (ko) | 2017-11-29 | 2017-11-29 |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6287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7304B1 (ko) * | 2020-02-04 | 2020-12-31 | 강정수 | IoT 기반의 소화 장치를 이용한 통합 소방방재 장치 및 방법 |
KR20210028351A (ko) | 2019-09-04 | 2021-03-12 | 한국전력공사 | 수전 설비의 이상상태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CN117275167A (zh) * | 2023-10-23 | 2023-12-22 | 韩文源 | 智慧消防控制系统用智能监控设备 |
WO2024124899A1 (zh) * | 2023-04-13 | 2024-06-20 | 中建三局集团华南有限公司 | 一种用于机房设备的高频开关电源电路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8531B1 (ko) | 2010-05-31 | 2010-12-07 | 경성산업 주식회사 | 수배전반의 원격 온도/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7
- 2017-11-29 KR KR1020170161498A patent/KR20190062873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8531B1 (ko) | 2010-05-31 | 2010-12-07 | 경성산업 주식회사 | 수배전반의 원격 온도/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8351A (ko) | 2019-09-04 | 2021-03-12 | 한국전력공사 | 수전 설비의 이상상태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KR102197304B1 (ko) * | 2020-02-04 | 2020-12-31 | 강정수 | IoT 기반의 소화 장치를 이용한 통합 소방방재 장치 및 방법 |
WO2021157771A1 (ko) * | 2020-02-04 | 2021-08-12 | 강정수 | IoT 기반의 소화 장치를 이용한 통합 소방방재 장치 및 방법 |
WO2024124899A1 (zh) * | 2023-04-13 | 2024-06-20 | 中建三局集团华南有限公司 | 一种用于机房设备的高频开关电源电路系统 |
CN117275167A (zh) * | 2023-10-23 | 2023-12-22 | 韩文源 | 智慧消防控制系统用智能监控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7530B1 (ko) |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 |
CN111643834B (zh) | 一种集装箱储能系统消防装置及其控制方法 | |
KR20190062873A (ko) |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시스템 | |
KR101880864B1 (ko) | 배전반 화재 관리시스템 | |
KR20190062871A (ko) | Iot기반 수배전반 소방방재 및 예방진단 클라우드 시스템 | |
KR102156751B1 (ko) |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 | |
KR20190051225A (ko) |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 |
KR102115292B1 (ko) | 배전반 화재 관리 시스템 | |
KR100714998B1 (ko) | 아크 검출을 이용한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 |
KR101520263B1 (ko) | 화재 감지 지능형 배전반 | |
KR200416819Y1 (ko) | 배전반 소화장치 | |
KR101701455B1 (ko) | 공동주택의 원격소방점검 시스템 | |
KR101721235B1 (ko) |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 |
CN106802622A (zh) | 基于总线结构的消防设备电源智能综合监控系统 | |
CN212282621U (zh) | 防火电气控制柜 | |
KR20140143872A (ko) | 변전소 가스절연개폐기의 가스압력 감시 장치 및 방법 | |
CN104658206A (zh) | 一种新型小区火灾防护系统 | |
KR102040431B1 (ko) |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 |
KR20100126874A (ko) | 수배전반 원격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 | |
CN114326468A (zh) |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消防远程监控系统 | |
KR102119039B1 (ko) | 아크검출 기반 복합 화재 감지장치 | |
KR20160113784A (ko) |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 |
CN205028412U (zh) | 电源车漏电火灾探测系统 | |
CN210895730U (zh) | 一种火灾报警装置 | |
CN109767592A (zh) | 基于总线结构的消防设备电源智能综合监控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