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369B1 -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369B1
KR101116369B1 KR1020100079887A KR20100079887A KR101116369B1 KR 101116369 B1 KR101116369 B1 KR 101116369B1 KR 1020100079887 A KR1020100079887 A KR 1020100079887A KR 20100079887 A KR20100079887 A KR 20100079887A KR 101116369 B1 KR101116369 B1 KR 10111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olt
terminal
wir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282A (ko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주)파워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풀 filed Critical (주)파워풀
Priority to KR102010007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3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improving contact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선과 버스바간의 접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는, 전선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슬리브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되며 상부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부단자; 상기 하부단자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나선홀이 형성되는 상부단자; 및 상기 상부단자와 볼트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전선에 접촉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인 상부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를 강하게 조일수 있어 전선과 버스바의 접속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를 원호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전선과 버스바를 밀착시키므로 접속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Connecting apparatus of sleeve terminal}
본 발명은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장치를 일체화하고 전선에 버스바를 밀착고정하여, 전선과 버스바간의 접속력을 향상시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기 함의 내부에는 계량기, 단자대 및 차단기 등이 설치된다. 계량기는 전력의 사용량을 표시하는 것으로써 전력을 사용하는 공간에는 필수적으로 장착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선에 계량기에 연결된 접속선을 연결함으로써 전력사용량을 계량기에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전선과 접속선의 연결하기 위하여 슬리브 단자대가 사용된다.
[도 6]은 종래 슬리브 단자대를 도시한 사시도로, 하부케이스(20) 및 버스바(50) 구성되며, 하부케이스(20)에 전선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의 일면에는 볼트(60)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버스바(50)는 전선과 접속선을 연결하기 위한것으로, 버스바(50)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접속선이 연결된다.
따라서, 전선과 접속선을 연결하는 경우, 먼저 전선을 하부케이스(20)의 안착 공간에 위치시키고, 접속선이 연결된 버스바(50)를 상기 전선 위에 위치시킨다. 이후, 안착공간에 형성된 나사선에 볼트(60)를 결합하여, 전선과 버스바(50)가 접속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슬리브 단자대의 안착공간은 상부공간보다 하부공간이 좁게 형성되므로, 전선과 버스바의 접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볼트를 강하게 조이면 안착공간이 벌어지게 되어 오히려 접속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과 접속되는 버스바의 일면이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과 버스바가 밀착되지 않아 접속력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착공간의 일면에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동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결합된 볼트가 쉽게 이탈되어 전선과 버스바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선과 버스바간의 접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선에 버스바를 밀착시켜 접속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선과 버스바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접속장치를 일체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는, 전선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슬리브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되며 상부단자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부단자; 상기 하부단자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나선홀이 형성되는 상부단자; 및 상기 상부단자와 볼트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전선에 접촉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의 일면은 전선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에 밀착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스바와 상기 볼트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단자, 버스바 및 볼트는 상기 전선에 신속하게 접속하기 위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단자의 나선홀은 복수개 구비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인 상부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볼트를 강하게 조일수 있어 전선과 버스바의 접속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를 원호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전선과 버스바를 밀착시키므로 접속력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단자의 전면에 나사선이 형성됨으로써, 진동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하여 볼트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전선과 버스바의 결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속장치를 일체화함으로써, 전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전선과 접속장치간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바, 상부단자를 결합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슬리브 단자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는, 전선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로 구성되는 슬리브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되며 상부단자(4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31)이 형성되는 하부단자(30), 상기 하부단자(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며 볼트(60)를 체결하기 위한 나선홀이 형성되는 상부단자(40) 및 상기 상부단자(40)와 볼트(60)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전선에 접속되는 버스바(5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단자(30)는 하부케이스(20)의 안착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공간의 형상과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하부단자(30)에 전선이 안착되도록 전후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U'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단자(30)에는 상부단자(4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31)이 형성된다. 하부단자(30)의 상단에 결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1)은 상부단자(40)를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단자(40)는 하부단자(30)의 결합홈(3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나선홀(41)이 형성된다. 즉, 상부단자(40)는 판상형태로 형성되며, 나사선이 형성된 나선홀(41)이 형성된다.
상부단자(40)와 하부단자(30)의 사이에 버스바(50)가 위치하며, 상부단자(40)에 볼트(60)를 체결하여 버스바(50)에 압력을 가하므로, 상기 버스바(50)와 상기 하부단자(30)에 위치하는 전선이 밀착고정된다. 즉, 볼트(60)를 체결하는 압력에 의해 버스바(50)와 볼트(60)가 밀착결합되며, 이로 인해 버스바(50)가 전선과 밀착고정된다.
또한, 종래 일면에만 나사선이 형성된것과 달리, 상부단자(40)의 전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진동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서 볼트(60)가 이탈되지 않아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선과 버스바(5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60)가 상부단자(40)에 체결되므로, 볼트에 의해서 하부단자(30)가 벌어져 전선과 버스바(50)의 결합력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또한, 상부단자(40)는 복수의 나선홀이 구비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볼트(60)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버스바(50)와 전선의 결합력이 현저히 향상된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버스바(50)의 일면은 전선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버스바(50)의 타면은 접속선이 연결되는 접속홀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50)의 일면은 전선에 밀착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스바(50)의 중간부분을 절곡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버스바(50)에 전선이 용이하게 접속되고 접속선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볼트(60)의 일면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직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볼트(60)는 상부단자(40) 및 버스바(50)에 결합되며, 상부단자(40)에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이 버스바(50)에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볼트(60)의 결합시 상기 볼트(60)가 버스바(50)에 하중을 가하여 상기 버스바(50)와 전선이 밀착고정된다. 또한, 버스바(50)와 결합되는 볼트(60)의 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버스바(50)와 볼트(6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60)의 일면에 나사선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버스바(50)와 볼트(6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버스바(50)에 볼트(60)를 결합한 후, 상기 볼트(60)의 가장자리 부분을 확장시켜 버스바(50)와 볼트(60)가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단자(40), 버스바(50) 및 볼트(6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상부단자(40), 버스바(50) 및 볼트(60)를 하부단자(30)에 결합하여 신속간편하게 전선에 버스바(50)가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슬리브 단자대에 하부단자(30)가 삽입고정되며, 상기 하부단자(30)의 상부에 전선이 놓이게 된다. 그 후, 하부단자(30)의 결합홈(31)에 상부단자(40)를 결합하여 고정하고, 상기 하부단자(30)와 상기 하부단자(40)의 사이에 버스바(50)를 위치시킨다.
상기 버스바(50)의 일면은 전선과 접속하도록 하고 타면에 접속선을 체결한다. 그 후, 볼트(60)를 이용하여 상부단자(40)와 볼트(60)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볼트(60)를 조여서 버스바(50)와 전선이 밀착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볼트(60)를 이용하여 상부단자(40), 버스바(50) 및 볼트(60)를 일체로 결합할 수도 있다.
버스바(50)와 전선이 밀착고정된것을 확인한 후 하부케이스(30)에 상부케이스(10)를 결합한다.
또한, 상부단자(40), 버스바(50) 및 볼트(60)를 일체로 결합한 후, 일체로 결합된 구성을 하부단자(30)의 결합홈(31)에 삽입고정하여 신속간편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50)를 전선에 신속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으며, 고정력 및 접속력을 향상시켜 전기공급의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일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10… 상부케이스
20… 하부케이스
30… 하부단자
31… 결합홈
40… 상부단자
41… 나선홀
50… 버스바
60… 볼트

Claims (5)

  1. 전선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20)로 구성되는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되며 상부단자(4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31)이 형성되는 하부단자(30);
    상기 하부단자(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며 볼트(60)를 체결하기 위한 나선홀(41)이 형성되는 상부단자(40); 및
    상기 상부단자(40)와 볼트(60)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전선에 접촉되는 버스바(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단자(40), 버스바(50) 및 볼트(60)는 상기 전선에 신속하게 접속하기 위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50)의 일면은 전선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전선에 밀착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50)와 상기 볼트(60)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자(40)의 나선홀(41)은 복수개 구비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KR1020100079887A 2010-08-18 2010-08-18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KR10111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87A KR101116369B1 (ko) 2010-08-18 2010-08-18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887A KR101116369B1 (ko) 2010-08-18 2010-08-18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282A KR20120017282A (ko) 2012-02-28
KR101116369B1 true KR101116369B1 (ko) 2012-03-09

Family

ID=4583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887A KR101116369B1 (ko) 2010-08-18 2010-08-18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3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05Y1 (ko) 2006-03-16 2006-06-29 남영기전 주식회사 터미널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05Y1 (ko) 2006-03-16 2006-06-29 남영기전 주식회사 터미널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282A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8754B2 (ja) 機器用コネクタ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KR20110039224A (ko) 배선용 차단기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방법
CN201663248U (zh) 线缆接线辅助连接器
KR101116369B1 (ko) 슬리브 단자대용 접속장치
WO2023082761A1 (zh) 一种充电桩
KR101090558B1 (ko) 분전반
CN205752608U (zh) 导线转换通用装置
CN205751809U (zh) 变压器配线通用装置d型
KR20080076003A (ko) 노출형 다공 콘센트의 입,출력선 연결 장치
KR101068743B1 (ko) 전선 접속구와 이를 구비한 터미널블럭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CN203813375U (zh) 一种电力架线连接金具
CN206490206U (zh) 一种螺栓进线式光伏端子
CN106058510A (zh) 验电接地接口通用装置
JP2012038643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ズ
JP2015060814A (ja) コネクタ
KR100691432B1 (ko) 터미널 블록 조립체
CN107946787A (zh) 一种铜排连接夹件
KR100633294B1 (ko) 계량기용 터미널 어셈블리
KR100941924B1 (ko) 배전선로의 더블류형 분기슬리브
KR200458046Y1 (ko) 티분기용 클램프
CN202931166U (zh) 电涡流缓速器接线座
CN201515034U (zh) 一种电线接头
KR200425728Y1 (ko) 접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