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539B1 -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539B1
KR101113539B1 KR1020110052660A KR20110052660A KR101113539B1 KR 101113539 B1 KR101113539 B1 KR 101113539B1 KR 1020110052660 A KR1020110052660 A KR 1020110052660A KR 20110052660 A KR20110052660 A KR 20110052660A KR 101113539 B1 KR101113539 B1 KR 10111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coupling
hole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994A (ko
Inventor
이유수
Original Assignee
이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8402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1353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수 filed Critical 이유수
Priority to PCT/KR2011/00407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20912A2/ko
Priority to CN201180005212.3A priority patent/CN102686815B/zh
Publication of KR2012001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spring-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 측으로 배수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배수되도록 하고, 오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회동커버에 의해 수용하우징의 절개공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구되고 하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절개공이 구비된 수용하우징과;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상기 절개공(110)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커버(200)와; 상기 수용하우징에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와; 상기 회동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BAD SMELL PREVENTION DEVICE INSTALLED AT THE DRAIN}
본 발명은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 측으로 오수가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함과 더불어 하수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외형의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에 마련된 화장실, 소변기, 싱크대, 세면대, 욕조, 등에는 하수구로 오수를 내려보내기 위한 배수구를 두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배수구는 하수구와 직접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오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 하수구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에 하수구의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는, 배수구를 통하여 오수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일정량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외면 일측에 절개공(11)이 마련된 수용하우징(10)과, 수용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오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용하우징(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절개공(11)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어 절개공(11)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는 커버부재(20)와, 수용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커버부재(20)를 절개공(11)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오수가 일정량 미만이 되면 커버부재(20)가 절개공(11)과 접촉되도록 일단이 수용하우징(10)의 일측에 접촉되고 타단이 커버부재(2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로 이루어진다.
수용하우징(10)은 상면이 개구 형성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관상의 부재로서, 그 하면은 경사지게 절단되어 절개공(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의 둘레에는 상기 배수구에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턱(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절개공(11)이 형성된 수용하우징(10)의 상측에는 커버부재(20)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결합홈(13)이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13)에는 커버부재(20)를 결합홈(13)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14)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부재(20)는 절개공(11)보다 다소 큰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서, 그 일측에는 커버부재(20)를 수용하우징(10)의 결합홈(13)에 고정 결합시킴과 동시에 수용하우징(10)의 절개공(11)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도록 그 판면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리브(21)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부재(20)는 연질의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부재(20)의 일측에 마련된 결합리브(21)도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이는 커버부재(20) 자체에 탄성을 부여하여 커버부재(20)의 복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커버부재(20)가 절개공(11)과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부재(20)의 외면에는 후술할 복귀부재(30)가 안착되는 안착홈(22)이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복귀부재(30)는 커버부재(20)가 절개공(11)에서 이탈되어 오수를 절개공(11)을 통하여 하수구 측으로 배출한 후 커버부재(20)를 복귀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을 일정 각도로 절곡시켜 형성된다.
복귀부재(30)의 일단은 커버부재(20)의 결합리브(21)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14)에 삽입되며, 타단은 상술한 안착홈(22)에 안착되어 커버부재(20)가 수용하우징(10)의 절개공(1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커버부재(20)의 결합리브(21)가 수용하우징(10)의 결합홈(13)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단순히 절곡 형성된 복귀부재(30)를 설치한 구조를 가지므로 장시간 사용하면 연질의 커버부재(20)와 커버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리브(21)의 굴곡 부위가 절개될 가능성이 커질 뿐만 아니라 복귀부재(30)가 계속되는 커버부재(20)의 회동에 의해 탄성을 점차 잃게 되어 결국에는 커버부재(20)와 절개공(11)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여 악취가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버부재(20)가 탄성을 갖는 연질로 형성되므로 오수와 접촉하게 되면 오수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커버부재(20)가 변형 또는 손상을 초래함으로 악취의 유출을 완벽하게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수구 측으로 오수가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함과 더불어 하수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외형의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는, 내부로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유입된 오수를 일정량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절개공이 구비된 수용하우징과; 상기 수용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오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공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공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회동커버와; 상기 수용하우징과 상기 회동커버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회동커버가 상기 수용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결합부와; 상기 수용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회동커버를 회동시키고 상기 오수가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기 회동커버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수용하우징의 일측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커버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동커버는 상기 절개공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경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커버는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PVC, 에폭시, 폴리염화비닐,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커버가 상기 수용하우징과 접촉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동커버의 외면에는 상기 복귀수단의 일단이 삽입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커버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수용하우징의 상기 절개공 주연부에는 패킹부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귀수단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비틀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수용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공의 상측에 구비되며 중심에 핀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힌지부재와, 상기 회동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의 상기 핀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재와 상기 고리부재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수용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공의 상측에 구비되며 중심에 핀결합홈이 함몰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 형성된 탄성절개면을 구비한 한 쌍의 힌지부재와, 상기 회동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의 탄성절개면을 통하여 상기 핀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재와 상기 고리부재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절개공의 상측과 인접하는 상기 수용하우징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함몰단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함몰단 내측으로 관통된 핀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회동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함몰단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와, 상기 결합부의 상기 핀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함몰단에 수용된 상기 고리부재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절개공의 상측과 인접하는 상기 수용하우징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함몰단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함몰단 내측으로 핀결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핀결합홈의 일측에 탄성절개면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회동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함몰단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와, 상기 결합부의 상기 탄성절개면을 통해 상기 핀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함몰단에 수용된 상기 고리부재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결합부는, 상기 절개공의 상측과 인접하는 상기 수용하우징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함몰단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단의 내측 측벽에 마주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함몰단에 수용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 사이에는 돌출형성되며 중심에 핀결합공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힌지돌기가 구비된 힌지부재와, 상기 회동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돌기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와, 상기 힌지돌기의 상기 핀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돌기 사이에 배치된 상기 고리부재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에 의하면, 하수구 측으로 배수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회동커버에 의해 수용하우징의 절개공이 폐쇄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하수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귀수단이 스테인레스 재질의 비틀림스프링이 사용되기 때문에 회동커버의 주기적인 회동에도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에 따른 외형의 변형이 방지되어 악취의 유입 및 제품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5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종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는, 내부로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유입된 오수를 일정량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절개공(110)이 구비된 수용하우징(100)과;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오수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공(110)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회동커버(200)와; 상기 수용하우징(100)과 상기 회동커버(20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회동커버(200)가 상기 수용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결합부(300A,300B,300C,300D,300E)와;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회동커버(200)를 회동시키고 상기 오수가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기 회동커버(200)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일측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커버(20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용하우징(100)은 가정의 화장실이나 혹은 싱크대의 배수구(미도시) 등에 삽입되어 오수를 배출하면서 하수구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면이 개구 형성된 상태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관상의 부재로서, 하면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절개공(110)이 상면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외측둘레에는 배수구에 안착되도록 하는 플랜지 형상의 안착턱(12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하우징(100)의 일측면(도 3의 도면상 좌측)은 배수구에 용이하게 삽입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회동커버(2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절개공(110)의 주연부에는 수용하우징(100)이 배수구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수구의 악취가 수용하우징(100)을 통하여 가정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개공(110)과 후술하는 회동커버(2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패킹부재(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패킹부재(130)의 재질은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질은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회동커버(200)는, 절개공(110)의 외경과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판상의 부재로서, 평상시에는 하수구의 악취가 수용하우징(100)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수용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하수구로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수용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절개공(1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절개공(110)과 선택적으로 접촉을 이룬다.
이때, 회동커버(200)가 수용하우징(100)의 절개공(110)과 접촉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회동커버(200)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복귀수단(400)의 일단이 삽입되어 복귀수단(40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돌기(21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동커버(200)는 장시간 사용시에도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경질(硬質)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불어 배수구를 통하여 하수구로 버려지는 오수 및 오물과 장시간 접촉되더라도 오수 및 오물에 포함된 화학 성분에 의하여 화학적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내 화학성이 강한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PVC, 에폭시, 폴리염화비닐,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회동커버(200)는 회동결합부(300A)에 의해 회동된다.
회동결합부(300A)는 회동커버(200)가 수용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수용하우징(100)과 회동커버(200) 사이에 게재되어 있다.
정확하게는, 회동결합부(300A)가 수용하우징(100)에 형성된 절개공(110)의 상측 즉 수용하우징(100)의 타측 외주면(도 3의 도면상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회동결합부(300A)는 수용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절개공(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중심에 핀결합공(311a)이 관통 형성된 한 쌍의 힌지부재(311)와,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힌지부재(311)에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313)와, 힌지부재(311)의 핀결합공(311a)에 삽입되어 힌지부재(311)와 고리부재(313)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315)으로 구성있다.
여기서, 회동결합부(300A)가 구비되는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동결합부(300A)가 수용하우징(100)의 함몰된 부위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수용하우징(100)의 외경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구에 삽입될 때 간섭없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힌지부재(311)는 수용하우징(100)의 함몰된 부위에 수용하우징(100)의 외측방향으로 한 쌍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힌지부재(311) 사이에는 회동커버(20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된 한 쌍의 고리부재(313)가 배치되어 있으며, 힌지부재(311)와 고리부재(313)는 결합핀(315)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이때, 힌지부재(311)의 핀결합공(311a)은 결합핀(315)이 삽입 결합된 후에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핀(315)이 힌지부재(311)의 일측면에서 핀결합공(311a)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리부재(313)에는 결합핀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회동커버(200)는 회동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복귀수단(400)은 수용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량에 따라 절개공(110)의 개폐가 가능토록 회동커버(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회동커버(200)를 회동시켜 절개공(110)을 개방하고, 오수가 일정량 미만이 되면 회동커버(200)가 수용하우징(100)의 절개공(110)의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부재(13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복귀수단(400)은 회동커버(200)를 수용하우징(100)의 절개공(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핀(315)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일단이 회동커버(200)와 접촉되고 타단이 수용하우징(100)에 접촉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틀림스프링은 오수나 혹은 공기에 의하여 산화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순히 금속을 절곡시켜 형성한 종래의 복귀부재(30)보다 탄성 한계가 더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비틀림스프링은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일정량 이하의 오수가 수용될 경우에는 회동커버(200)가 회동하지 않고 패킹부재(130)과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오수가 배수되기 전 까지는 하수구의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회동커버(200)는 수용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기 전까지 절개공(110)의 패킹부재(130)와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복귀수단(400)이 결합핀(3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하지 않도록 복귀수단(400)의 일단은 회동커버(200)의 전면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210) 사이에 삽입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단은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별도의 홈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정에서 사용된 오수를 배수구 측으로 흘려보내면 오수는 수용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일정량 이상이 될 때까지 수용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복귀수단(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커버(200)의 주연부가 절개공(110)의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부재(130)와 완벽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오수가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하수구의 악취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그 후, 더 많은 오수가 발생되면 오수는 수용하우징(100)의 내부로 계속 유입되고, 수용하우징(100)된 오수의 무게가 복귀수단(400)의 탄성력보다 더 커지게 되면 회동커버(200)가 결합핀(31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패킹부재(130)와의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오수는 하수구 측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오수가 하수구 측으로 흘러나감으로써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오수의 무게가 복귀수단(400)의 탄성력보다 작아지게 되면 회동커버(200)가 복귀수단(400)에 의해 복귀되어 패킹부재(130)과 완벽하게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커버(200)는 오수의 무게에 의해 회동 됨에 따라 하수구의 악취가 가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회동결합부(300B)는, 상기 회동결합부(300B)는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중심에 핀결합홈(321a)이 함몰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 형성된 탄성절개면(321b)을 구비한 한 쌍의 힌지부재(321)와, 상기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재(321)에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323)와, 상기 힌지부재(321)의 탄성절개면(321b)을 통하여 상기 핀결합홈(321a)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재(321)와 상기 고리부재(323)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3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핀결합홈(321a)의 일측으로 형성된 탄성절개면(321b)의 폭은 핀결합홈(32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하구수 악취 방지장치는, 수용하우징(100)에 회동커버(200)를 결합함에 있어서, 먼저 회동커버(200)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부재(323)에 결합핀(325)을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결합핀(325)의 양단이 한 쌍의 힌지부재(321)에 각각 형성된 탄성절개면(321b)을 통하여 핀결합홈(321a)에 삽입됨에 따라 회동커버(200)를 수용하우징(100)에 용이하게 힌지결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핀(325)을 삽입시키기 위하여 힌지부재(321)에 별도의 구멍을 관통시킨 형태가 아니라 일측이 절개된 홈을 형성한 형태이므로 결합핀(325)이 힌지부재(3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회동결합부(300C)는,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과 인접하는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함몰단(331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함몰단(331a) 내측으로 관통된 핀결합공(331b)이 형성된 결합부(331)와, 상기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함몰단(331a)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333)와, 상기 결합부(331)의 상기 핀결합공(331b)에 삽입되어 상기 함몰단(331a)에 수용된 상기 고리부재(333)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3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하구수 악취 방지장치는, 수용하우징(100)에 회동커버(200)를 결합함에 있어서,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부재(333) 사이에 복귀수단(400)을 배치시켜 고리부재(333) 및 복귀수단(400)을 함몰단(331a)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결합핀(335)을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단(331a)의 내측으로 관통형성된 핀결합공(331b)에 삽입하기 때문에 회동커버(200)를 수용하우징(100)에 용이하게 힌지결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핀결합공(331b)이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핀(335)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회동결합부(300D)는,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과 인접하는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함몰단(341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함몰단(341a) 내측으로 핀결합공(331b)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핀결합공(331b)의 일측에 탄성절개면(341c)이 형성된 결합부(341)와, 상기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함몰단(341a)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343)와, 상기 결합부(341)의 상기 탄성절개면(341c)을 통해 상기 핀결합홈(341b)에 삽입되어 상기 함몰단(341a)에 수용된 상기 고리부재(343)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3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핀결합공(331b)의 일측으로 형성된 탄성절개면(341c)의 폭은 핀결합홈(341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4 실시예에 따른 하구수 악취 방지장치는, 수용하우징(100)에 회동커버(200)를 결합함에 있어서,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부재(343) 사이에 복귀수단(400)을 배치시켜 한 쌍의 고리부재(343)를 관통하는 결합핀(345)을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고리부재(343) 및 복귀수단(400)을 함몰단(341a)에 수용시킴과 동시에 결합핀(345)의 양단이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단(341a)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탄성절개면(341c)을 통하여 핀결합공(331b)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회동커버(200)를 수용하우징(100)에 용이하게 힌지결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핀결합공(331b) 및 탄성절개면(341c)이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핀(345)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핀(345)을 삽입하기 위하여 핀결합공(331b)의 일측이 절개된 홈을 형성한 형태이므로 결합핀(345)이 핀결합공(331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마감구성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5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5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의 회동결합부(300E)는,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과 인접하는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함몰단(351a)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단(351a)의 내측 측벽에 마주하는 가이드홈(351b)이 형성된 결합부(351)와, 상기 함몰단(351a)에 수용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351b)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353a)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353a) 사이에는 돌출형성되며 중심에 핀결합공(353b)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힌지돌기(353c)가 구비된 힌지부재(353)와, 상기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돌기(353c)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355)와, 상기 힌지돌기(353c)의 상기 핀결합공(353b)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돌기(353c) 사이에 배치된 상기 고리부재(355)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35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5 실시예에 따른 하구수 악취 방지장치는, 수용하우징(100)에 회동커버(200)를 결합함에 있어서,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부재(355) 및 복귀수단(400)을 힌지부재(353)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돌기(353c)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핀(357)을 힌지돌기(353c)에 형성된 핀결합공(353b)에 삽입시킨 후 상기의 힌지부재(353)를 수용하우징(100)의 함몰단(351a) 내부로 가압하면서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회동커버(200)가 수용하우징(100)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즉, 수용하우징(100)에 회동커버(200)를 힌지결합시키기 위해 힌지부재(353)와 고리부재(355)와 결합핀(357)을 조립하여 하나로 모듈화시킴으로써 이 상태에서 힌지부재(353) 만이 수용하우징(100)의 함몰단(351a)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서 회동커버(200)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더불어, 결합핀(357)이 함몰단(351a)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용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이 원천적으로 방지되어 힌지부재(353)와 고리부재(355)의 안정적인 결합이 보장된다.
이때, 결합핀(357)의 길이는 한 쌍으로 형성된 힌지돌기(353c)의 사이의 길이와 대응하는 것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는, 하수구 측으로 배수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수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회동커버에 의해 수용하우징의 절개공이 폐쇄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하수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귀수단이 스테인레스 재질의 비틀림스프링이 사용되기 때문에 회동커버의 주기적인 회동에도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에 따른 외형의 변형이 방지되어 악취의 유입 및 제품의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수용하우징의 형상, 회동커버의 형상 및 재질, 복귀수단의 종류, 패킹부재의 종류, 회동결합부의 구조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수용하우징 110 : 절개공
120 : 안착턱 130 : 패킹부재
200 : 회동커버 210 : 유동방지돌기
400 : 복귀수단
300A : 회동결합부
311 : 힌지부재, 311a : 핀결합공, 313 : 고리부재, 315 : 결합핀
300B : 회동결합부
321 : 힌지부재, 321a : 핀결합홈, 321b : 탄성절개면, 323 : 고리부재, 325 : 결합핀
300C : 회동결합부
331 : 결합부, 331a : 함몰단, 331b : 핀결합공, 333 : 고리부재, 335 : 결합핀
300D : 회동결합부
341 : 결합부, 341a : 함몰단, 331b : 핀결합공, 341c : 탄성절개면, 343 : 고리부재, 345 : 결합핀
300E : 회동결합부
351 : 결합부, 351a : 함몰단, 351b : 가이드홈, 353 : 힌지부재, 353a : 가이드돌기, 353b : 핀결합공, 353c : 힌지돌기, 355 : 고리부재, 357 : 결합핀

Claims (11)

  1. 내부로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유입된 오수를 일정량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절개공(110)이 구비된 수용하우징(100)과;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오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공(110)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회동커버(200)와;
    상기 수용하우징(100)과 상기 회동커버(20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회동커버(200)가 상기 수용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결합부(300C)와;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회동커버(200)를 회동시키고 상기 오수가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기 회동커버(200)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일측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커버(20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결합부(300C)는,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과 인접하는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함몰단(331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을 통해 상기 함몰단(331a) 내측으로 관통된 핀결합공(331b)이 형성된 결합부(331)와, 상기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함몰단(331a)에 수용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333)와, 상기 결합부(331)의 상기 핀결합공(331b)에 삽입되어 상기 함몰단(331a)에 수용된 상기 고리부재(333)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3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결합공(331b)의 일측에는 탄성절개면(341c)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3. 내부로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유입된 오수를 일정량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하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절개공(110)이 구비된 수용하우징(100)과;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오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공(110)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회동커버(200)와;
    상기 수용하우징(100)과 상기 회동커버(20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회동커버(200)가 상기 수용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동결합부(300E)와;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오수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회동커버(200)를 회동시키고 상기 오수가 일정량 미만이 되면 상기 회동커버(200)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일측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커버(20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결합부(300E)는,
    상기 절개공(110)의 상측과 인접하는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소정깊이를 갖는 함몰단(351a)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단(351a)의 내측 측벽에 마주하는 가이드홈(351b)이 형성된 결합부(351)와, 상기 함몰단(351a)에 수용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가이드홈(351b)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353a)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353a) 사이에는 돌출형성되며 중심에 핀결합공(353b)이 관통형성된 한 쌍의 힌지돌기(353c)가 구비된 힌지부재(353)와, 상기 회동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돌기(353c)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한 쌍의 고리부재(355)와, 상기 힌지돌기(353c)의 상기 핀결합공(353b)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힌지돌기(353c) 사이에 배치된 상기 고리부재(355)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35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커버(200)는 상기 절개공(1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판상의 경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커버(200)는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PVC, 에폭시, 폴리염화비닐,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커버(200)가 상기 수용하우징(100)과 접촉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동커버(200)의 외면에는 상기 복귀수단(400)의 일단이 삽입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방지돌기(21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커버(2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수용하우징(100)의 상기 절개공(110) 주연부에는 패킹부재(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40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비틀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52660A 2010-08-13 2011-06-01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111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4079 WO2012020912A2 (ko) 2010-08-13 2011-06-03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CN201180005212.3A CN102686815B (zh) 2010-08-13 2011-06-03 下水口防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80 2010-08-13
KR20100078180 2010-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994A KR20120015994A (ko) 2012-02-22
KR101113539B1 true KR101113539B1 (ko) 2012-02-29

Family

ID=4584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660A KR101113539B1 (ko) 2010-08-13 2011-06-01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3539B1 (ko)
CN (1) CN102686815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5957A (zh) * 2014-10-18 2015-01-07 魏伯卿 弹簧式微阻力止回阀
KR20160020902A (ko) 2014-08-14 2016-02-24 정호수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160098852A (ko) 2015-02-11 2016-08-19 최형남 악취차단과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190061780A (ko) 2017-11-28 2019-06-05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20190142693A (ko) 2018-06-18 2019-12-27 홍성정 배수트랩에 설치되는 악취 유입을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
KR102361094B1 (ko) * 2020-12-23 2022-02-09 박용기 유체 회전을 유도하여 배수 속도를 향상시키는 냄새 역류 방지 하수구 트랩
WO2022139067A1 (ko) * 2020-12-23 2022-06-30 박용기 조립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하수구 트랩
KR20230000437U (ko) 2021-08-20 2023-02-28 박용기 배수구 트랩 설치용 유가를 포함하는 탈착식 배수구 트랩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1778A (zh) * 2013-12-27 2014-04-23 陈福环 带有自动虹吸阀门装置的坐便器
CN105256880B (zh) * 2015-09-02 2016-10-12 杨晔辰 一种双翻板防臭地漏
TWM550313U (zh) * 2016-06-17 2017-10-11 Su Xuan-Wei 多功能排水頭(一)
KR200491442Y1 (ko) * 2018-03-23 2020-04-08 정호수 이물질의 끼임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악취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수트랩
CN109736393B (zh) * 2019-02-18 2024-05-17 东莞市森菲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下水口感应开启的装置及其控制方法
CN111945856B (zh) * 2020-08-10 2021-11-05 厦门五工科技有限公司 一种翻板式地漏芯
DE102021102052A1 (de) * 2021-01-29 2022-08-04 Dallmer Gmbh & Co. Kg Klappe für eine Geruchsverschlussvorrichtung und/oder eine Rückstausicherung sowie Geruchsverschlussvorrichtung mit einer derartigen Klappe
KR102428307B1 (ko) * 2021-07-06 2022-08-01 김재옥 조립성이 개선된 하수구 트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359Y1 (ko) * 1996-10-05 1999-06-15 이시호 배수관용 개폐기
KR200434948Y1 (ko) * 2006-09-29 2006-12-28 전경희 하수구용 배스트랩
KR101022021B1 (ko) * 2009-12-29 2011-03-16 이유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5410A (en) * 1961-04-12 1963-01-09 Jerrold Stuart Newman Improved drainage structure
US4201241A (en) * 1977-06-29 1980-05-06 Schertler William E Check valve with removable seat
CN2199247Y (zh) * 1994-05-08 1995-05-31 王殿清 便池隔味防返污水自动阀
CN2257304Y (zh) * 1996-05-15 1997-07-02 李博文 自动排水密封装置
JP2001056063A (ja) * 1999-08-19 2001-02-27 Kubota Corp フラップ弁
GB0211682D0 (en) * 2002-05-22 2002-07-03 Hobart Heating Ltd Toilet installations
CN2848980Y (zh) * 2005-04-23 2006-12-20 赵宝泉 下水道防蚊虫、防臭装置
CN2923846Y (zh) * 2006-06-14 2007-07-18 梁莹 一种生活污水下水道单向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359Y1 (ko) * 1996-10-05 1999-06-15 이시호 배수관용 개폐기
KR200434948Y1 (ko) * 2006-09-29 2006-12-28 전경희 하수구용 배스트랩
KR101022021B1 (ko) * 2009-12-29 2011-03-16 이유수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902A (ko) 2014-08-14 2016-02-24 정호수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CN104265957A (zh) * 2014-10-18 2015-01-07 魏伯卿 弹簧式微阻力止回阀
KR20160098852A (ko) 2015-02-11 2016-08-19 최형남 악취차단과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190061780A (ko) 2017-11-28 2019-06-05 이양호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20190142693A (ko) 2018-06-18 2019-12-27 홍성정 배수트랩에 설치되는 악취 유입을 차단하는 악취차단부재
KR102361094B1 (ko) * 2020-12-23 2022-02-09 박용기 유체 회전을 유도하여 배수 속도를 향상시키는 냄새 역류 방지 하수구 트랩
WO2022139067A1 (ko) * 2020-12-23 2022-06-30 박용기 조립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하수구 트랩
KR20230000437U (ko) 2021-08-20 2023-02-28 박용기 배수구 트랩 설치용 유가를 포함하는 탈착식 배수구 트랩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86815B (zh) 2015-03-11
CN102686815A (zh) 2012-09-19
KR20120015994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539B1 (ko)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0938733B1 (ko) 배수트랩
KR101022021B1 (ko)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1169771B1 (ko)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KR100859736B1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JPH11241394A (ja) 排水桝における逆流防止弁
KR20180000380U (ko) 회동커버의 작동을 위한 탄성수단의 고장을 방지한 배수트랩
KR20140004654U (ko) 하수용 배수트랩
KR200311269Y1 (ko) 누름개폐식 팝업기능을 갖는 배수밸브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WO2012020912A2 (ko)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20160020902A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30047401A (ko) 도로용 측구 뚜껑의 록킹장치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0826869B1 (ko) 역류시 동작 가능한 배수구 개폐장치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101159174B1 (ko)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0451193Y1 (ko) 배수트랩
JP2014218890A (ja) 排水用継手構造と調整リング
KR200303598Y1 (ko) 하수용 악취차단구
KR200318121Y1 (ko) 하수의 악취 및 역류방지를 위한 고무방취구 구조
KR102495348B1 (ko) 하수구 트랩 설치용 멀티탭
KR20140088429A (ko) 배수 트랩
CN219508770U (zh) 地漏芯子
KR200343796Y1 (ko) 양변기의 절수용 레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0823

Effective date: 2014022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63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307

Effective date: 2022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