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054B1 -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054B1
KR101113054B1 KR1020090112333A KR20090112333A KR101113054B1 KR 101113054 B1 KR101113054 B1 KR 101113054B1 KR 1020090112333 A KR1020090112333 A KR 1020090112333A KR 20090112333 A KR20090112333 A KR 20090112333A KR 101113054 B1 KR101113054 B1 KR 10111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lluminance
information
image sensor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779A (ko
Inventor
권순
이충희
임영철
이종훈
하수영
Original Assignee
아진산업(주)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진산업(주),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아진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11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0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6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image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는 외부의 화상 정보를 감지하며 동폭의 제어가 가능한 화상 센서, 외부의 조도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화상 정보와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조도 모드를 설정하는 조도 감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 감응 제어부는 상기 화상 정보 또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의 빛포화도를 분석하는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 및 상기 화상 빛포화도 분석 정보에 따라 상기 화상 센서의 동폭을 결정하는 동폭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용 블랙박스, 동폭제어, 화상센서, 근적외선

Description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RECORDING IMAGE DATA APPLYING OUTSIDE LIGHT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차량용 사고기록장치(이하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주야간의 구별없이 신뢰성 있는 사고기록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종래의 차량용 블랙박스의 운행정보 저장방법에 있어 영상데이터가 사고 당시의 상황을 재연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센서의 경우 일반적으로 주간에 비해 야간의 영상 판독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사고위험이 높은 비포장도로, 좁은 골목길, 외곽 구도 등에서는 가로등과 같은 조명환경이 더욱 열악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뢰성 있는 사고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외부조도센서 및 센서의 동폭(danamic range)제어부, LED기반의 근적외선 조명시스템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야간의 주변환경 및 물체구별문제 및 상대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에 의한 영상 빛포화현상(saturation)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영상 촬영 시스템은 사고개연성이 높은 환경에서의 신뢰성 있는 사고지역의 영상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고재연 및 분석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는 외부의 화상 정보를 감지하며 동폭의 제어가 가능한 화상 센서, 외부의 조도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화상 정보와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조도 모드를 설정하는 조도 감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 감응 제어부는 상기 화상 정보 또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의 빛포화도를 분석하는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 및 상기 화상 빛포화도 분석 정보에 따라 상기 화상 센서의 동폭을 결정하는 동폭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은 외부의 화상 정보 또는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 빛포 화도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한 조도 정보에 의해 외부의 조도 환경에 따라 화상 센서의 동폭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센서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차량용 블랙박스에 비해 화상센서를 환경에 강인하게 동작할 수 있는 구조로서, 주간/야간의 다양한 빛의 변화와 야간의 열악한 조명환경 상황에서 사고기록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제안된 구조는 레이더나 IR촬상센서, 광동폭 카메라 등 고가의 센서가 아닌 기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하드웨어 및 센서의 구조로 차량용 블랙박스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는 화상센서, 속도센서, GPS, G센서 등의 다수의 센서로부터 동기화된 정보를 받아들여 사고발생 시 특정조건에 맞춰 센서의 데이터를 기록시스템에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에는 블랙박스의 기능을 지능화 시켜 사고전의 주변환경 정보를 실시간 감지하거나 데이터베이스화 된 정보로부터 받아들여 사고기록의 경보단계를 높여 데이터 저장수준을 차등화하는 기법도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차량용 블랙박스는 센서로부터 받아들이는 정보는 특별히 가공하거나 하지 않으므로, 실제로 운행상황에서 발생하는 열악한 환경에 따른 센서정보의 신뢰도가 가변될 수 있다. 가령 어둔운 산길, 외곽도로, 눈, 비 등 다양한 날씨에 따라 화상센서로부터의 데이터는 판독이 어려울 수 있으며, 운전대의 핸들링정보 또한 눈, 비와 같은 날씨 하에서 정확하지가 않다.
따라서 운전자가 직접 환경에 맞도록 센서를 보정하는 작업은 사실상 불가능한 부분이므로, 차량용 블랙박스가 환경을 인식하고 자율적으로 센서의 상태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주야간 및 다양한 조명환경에서도 차량용 블랙박스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구조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랙박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크게 조도 감응 제어부(110), 화상 센서(120), 근적외선 생성기(130), 조도 센서(140)로 구성된다. 또한, 조도 감응 제어부(110)는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112), 동폭 결정부(114), 그리고 근적외선 발생기(116)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화상센서의 경우 주간에 비해 야간 및 눈, 비 등의 날씨상황에서 가시성 제약이 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상 센서(120)는 동폭제어와 근적외선(Fore Infrared Ray, FIR)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 센서(120)는 동폭을 제어할 수 있는 동폭 제어부를 포함한다. 화상 센서 레지스터 제어부(122)에서 동폭 제어부를 포함하여 화상 센서(120)의 동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랙박스에서는 조도 센서(140)를 포함하여, 조도 정보를 함께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센서는 외부 정보를 감지하는데, 외부 정보의 감지에는 감지한 정보를 외부 컨트롤러 또는 외부 장치로 송신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센서(120)는 동폭제어가 가능하여, 기존 의 화상센서에 비해 센서의 동폭의 범위가 훨씬 넓기 때문에, 외부의 다양한 화상 환경(어둡거나 밝은 상황)에서 모든 화소의 밝기가 검은색 또는 흰색이 되지 않고 정보가 남아있도록 한다. 동폭 확장의 효과가 있는 로그(Log)스케일 기반의 동폭제어가 가능한 센서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센서(120)로 구현가능하다. 이는 동폭이 넓은 센서의 고비용을 고려하여, 차량용 블랙 박스 시스템에 비용 대비 효율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동폭 제어를 통해 주변 환경에 동적으로 화상 정보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근적외선을 사용한다. 차량 주변이 광동폭(wide dynamic range)모드에서도 화상 센서가 화상 정보를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조도 센서(140)는 이러한 주변 밝기 정보를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112)에 전달하고, 빛포화도 분석부(112)는 근적외선 발생기(116)에 근적외선을 발생하여 화상 센서(12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근적외선 발생기(116)는 입력된 제어 정보에 따라, 근적외선 생성기(130)를 제어하여, 근적외선을 생성한다. 생성된 근적외선은 주변의 물체로부터 반사되며 반사된 적외선은 화상 센서(120)에 의해 감지되어 이를 화상 정보와 결합하는 등 영상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다.
동폭 결정부(114)는 화상 센서(120)의 동폭을 제어하는데, 동폭을 제어하기 위해 조도 센서의 조도 정보를 사용하며, 부가적으로 화상 센서에서 입력된 화상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조도정보 및/또는 화상 정보를 통해 외부에서 강한 빛이 입사될 경우에는 화상 센서(120)의 동폭을 상향하여 강한 빛에 의한 영상 포화 영역을 최소화 시켜 화상 센서(120)가 주변 정보를 최대한 기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함이다.
도 1의 조도 감응 제어부(110)는 차량 외부의 주변 조도 정보와 화상 정보를 각각 조도 센서(140)와 화상센서(120)로부터 수신하여, 이 두 가지 정보로부터 입력된 화상의 빛포화도를 분석한다. 화상의 빛포화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도 모드를 설정한다. 조도 모드의 설정은 발명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앞서 살펴본 화상 센서의 동폭 제어에 따라 세분될 수 있으며, 또한 근적외선을 발생시킬 것인지에 의해서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조도 모드에 따라 동폭 결정부(114) 및 근적외선 발생기(116)가 작동할 수 있는데, 발명의 구현에 따라, 동폭 결정부(114)가 화상 센서(120) 또는 화상 센서 레지스터 제어부(122) 내에 구현될 수 있으며, 근적외선발생기(116)는 근적외선 생성기(130) 내에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도 모드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화상 센서(120)로부터 화상 정보를 수신하고(S202), 조도 센서(140)로부터 조도 정보를 수신한다(S204).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112)에서는 조도 정보룰 분석하여(S206), 조도에 따라 화상 센서 및 근적외선 생성기를 제어한다. 조도의 범위를 Lx_low, Lx_mid, Lx_high로 나누며, Lx_low는 조도가 일정 수준이하의 범위인 저조도(low light), Lx_mid는 조도가 정상적인 수준의 범위인 정상 조도(normal light), 그리고 Lx_high는 조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범위인 포화조도(saturation)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조도는 화상 센서가 지향하는 방향의 조명 환경을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조도가 Lx_low 범위에 포함되는지 확인한다(S210). 조도가 Lx_low 범위에 포함되면 주변 상황이 빛이 매우 적게 들어오는 어두운 상황일 수 있다. 또한, 어두운 상황에서는 특정 빛, 예를 들어 헤드라이트와 같은 강하면서도 특정된 작은 영역의 광원으로부터 빛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화상 빛포화도 분석을 진행한다(S212). 물론, 앞서 조도 정보 분석과정(S206)에서 미리 화상 빛포화도 분석을 함께 진행하여 그 결과값을 사용할 수 있다. 밝기 편차가 특정 값인 T 이상인 경우(S214), 즉 밝기의 편차가 큰 경우, 헤드라이트와 같은 강렬한 점광원에서 빛이 발생하는 경우로, 이 경우, 동폭을 조정하는 것으로도 화상 정보를 복원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 근적외선을 통한 화상 감지 과정이 필요하므로, 근적외선 발생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S216). 그리고 제어 명령을 근적외선 생성기(130)에 송신한다(S218). 물론,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근적외선 발생기(116)에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근적외선 발생기(116)이 근적외선 생성기(130)의 적외선 신호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214 단계에서 밝기 편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 외부가 어둡기 때문에 동폭을 하단으로 최대한 확장한다. 이를 위해 동폭 하단 확장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S222), 제어 명령을 화상 센서(120)에 송신한다(S224). 그리고 화상 센서(120)는 동폭을 하단으로 확장하여 화상을 센싱한다(S226).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어 명령은 동폭 결정부(114)를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화상센서 레지스터 제어부(122)에서도 제어가능하다.
정상 조도상황인지 여부, 즉 조도가 Lx_mid 범위에 포함되는지 확인하여(S230) 정상 조도 범위에 포함될 경우 정상 모드로 화상을 센싱한다(S228). 조도가 저조도 또는 정상 조도의 범위를 벗어난 포화조도 상태인 경우 빛에 의해 화상 영역이 포화되어 전체적으로 희게 표현되므로, 동폭을 상단으로 최대한 확장하여 화상을 센싱해야 한다. 따라서, 동폭 상단 확장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S232), 제어 명령을 화상 센서에 송신한다(S234). 그리고 화상 센서는 동폭 상단 확장으로 화상을 센싱한다(S236).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도 감응 제어부가 도 1과 비교하여 보다 밀접하게 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도 감응 제어부는 화상 센서의 동폭을 결정하고, 근적외선 생성기를 제어하여 화상 센서가 근적외선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도 감응 제어부가 도 1과 같이 구별되어 차량용 블랙 박스의 구성 요소로 결합될 수 있으나, 도 3과 같이 화상 센서 및 근적외선 생성기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화상 센서(320)는 동폭제어가 가능하며, 기존 센서와 비교할 때, 센서의 동폭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외부의 다양한 화상 환경(어둡거나 밝은 상황)에 서 모든 화소의 밝기가 검은색 또는 흰색이 되지 않고 정보가 남아있는 특징이 있다. 화상 센서(320)에서 화상 정보를 감지하고, 조도 센서(340)에서 조도 정보를 감지하면 이 정보는 화상 빛포화도 분석 및 제어 신호 생성부(312)에 전달된다. 화상 정보는 외부를 촬영한 정보로, 화소에는 영상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상 정보와 조도 정보를 통해 외부의 조도가 저조도인지, 고조도인지, 혹은 정상 조도인지 판별을 할 수 있다. 화상 빛포화도 분석 및 제어 신호 생성부(312) 에서는 해당 조도에 따라 화상 센서의 동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동폭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동폭 제어 신호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저조도의 경우, 동폭 하단 확장이 되도록 화상 센서(320)를 제어하고, 고조도의 경우, 동폭 상단 확장이 되도록 화상 센서(320)를 제어한다. 한편, 저조도인 경우에도 빛의 분포 및 편차를 분석하여 밝기의 편차가 큰 경우, 강한 광원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화상 센서(320)가 감지할 수 있도록 근적외선 생성기(330)가 근적외선을 발생하도록 근적외선 발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화상 센서(320)는 외부에서 동폭 제어 신호를 보내면, 그 신호에 따라 동폭을 상단/하단 확장하거나, 혹은 정상 모드로 화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근적외선 생성기(330) 역시 외부의 근적외선 발생 제어 신호에 따라 근적외선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블랙박스 시스템은 외부의 조명 환경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의 조명 환경을 확인하여 동폭을 제어하는 것으로, 동폭 제어를 위한 기준으로 외부의 조도 정보 또는 화상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조도 감응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화상 정보 와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동폭과 적외선 발생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화상 정보와 조도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조명 상황에 맞도록 동폭과 적외선 발생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주변의 조명 환경이 실시간으로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폭 제어를 한 후 입력되는 화상 정보 또는 조도 정보를 체크하고, 외부 조명의 변화가 발생할 경우, 해당 변화에 맞추어 화상 센서 또는 근적외선 생성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랙박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조도 모드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조도 감응 제어부가 도 1과 비교하여 보다 밀접하게 결합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9)

  1. 동폭(dynamic range)을 제어하여 외부의 화상 정보를 감지하는 화상센서;
    외부의 조도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상기 화상 정보와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조도 모드를 설정하는 조도 감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도 감응 제어부는
    상기 화상 정보 또는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의 빛포화도를 분석하는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 및
    상기 화상 빛포화도 분석 정보에 따라 상기 화상 센서의 동폭을 결정하는 동폭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센서는 근적외선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는, 상기 화상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근적외선을 생성하는 근적외선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도감응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생성기를 제어하는 근적외선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근적외선 발생기는 상기 화상빛포화도 분석부에 의해 근적외선 발생 여부를 제어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의 분석 결과 조도가 저조도 범위에 포함되며, 상기 화상에서의 밝기 편차가 소정의 값을 넘을 경우,
    상기 조도 감응 제어부는 상기 근적외선 발생기에 근적외선 발생을 제어하는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의 분석 결과 조도가 저조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상 센서의 동폭을 하단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빛포화도 분석부의 분석 결과 조도가 고조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화상 센서의 동폭을 상단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
  6. 외부의 화상 정보 또는 조도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 빛포화도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한 조도 정보에 의해 외부의 조도 환경에 따라 화상 센서의 동폭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센서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빛포화도를 분석한 결과, 밝기의 편차가 소정의 값을 넘을 경우, 근적외선의 발생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된 근적외선을 상기 화상 센서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정보가 저조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센서의 동폭을 하단으로 확장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정보가 고조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센서의 동폭을 상단으로 확장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KR1020090112333A 2009-11-20 2009-11-20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1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333A KR101113054B1 (ko) 2009-11-20 2009-11-20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333A KR101113054B1 (ko) 2009-11-20 2009-11-20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779A KR20110055779A (ko) 2011-05-26
KR101113054B1 true KR101113054B1 (ko) 2012-02-22

Family

ID=4436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333A KR101113054B1 (ko) 2009-11-20 2009-11-20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928B1 (ko) * 2013-10-11 2014-08-29 박규진 차량 블랙박스용 시큐리티 램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89U (ja) * 1993-03-12 1994-09-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後方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0672015B1 (ko) * 2005-05-13 2007-01-19 서만호 조도측정용 구조물이 구비된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및 그시스템을 이용한 차량번호판 영상의 선명도 개선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989U (ja) * 1993-03-12 1994-09-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後方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0672015B1 (ko) * 2005-05-13 2007-01-19 서만호 조도측정용 구조물이 구비된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및 그시스템을 이용한 차량번호판 영상의 선명도 개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779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1617B2 (ja) 関連領域特定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認識装置及び方法
US667798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light conditions in front of a moving object,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US6765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state of humidity on a road on which a vehicle is travelling
US727438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visibility
US7583182B2 (en) Lane departure warning method and apparatus
US8395698B2 (en) Exposure determin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10763285B2 (en) Image generation devices and image processing systems for converting resolutions of image data captured by image sensors mounted on movable-body apparatuses
US9635271B2 (en) Vision-based scene detection
EP4020405A1 (en) Road lane condition detection with lane assist for a vehicle using infrared detecting device
KR102009207B1 (ko) 이종 데이터 기반의 통합형 터널조명 제어시스템
JP2006308514A (ja) 路面の画像処理型積雪センサー及び積雪検出方法
JP5535665B2 (ja) ドライブレコーダ
KR101113054B1 (ko) 외부의 조명 환경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1697A (ko) 차량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선 유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36515A (ko) 차량 인식 장치
KR100836402B1 (ko) 차량에서의 하이빔 제어 장치 및 방법
US88180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n image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for a vehicle
JPS6290800A (ja) 車両ナンバ−自動読取りシステム
US535302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moving state of vehicle in tunnel
KR101329911B1 (ko) 차량의 상향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44066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47212A (ko) 라이더를 이용한 hba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0285379A (ja) 画像形車両感知器
KR102574540B1 (ko) 영상 내 개인정보 영역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592860B1 (ko)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