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751B1 -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 Google Patents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751B1
KR101112751B1 KR1020080138333A KR20080138333A KR101112751B1 KR 101112751 B1 KR101112751 B1 KR 101112751B1 KR 1020080138333 A KR1020080138333 A KR 1020080138333A KR 20080138333 A KR20080138333 A KR 20080138333A KR 101112751 B1 KR101112751 B1 KR 101112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base
building
li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764A (ko
Inventor
고아랑
고혜미
Original Assignee
(주) 천수패널
주식회사 천수본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천수패널, 주식회사 천수본사 filed Critical (주) 천수패널
Priority to KR1020080138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7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amping the waves, e.g. by pouring oil o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부를 형성하고 수면에 부상되도록 부력을 갖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축조되는 건축물(110)과, 상기 베이스(100)의 둘레면에 설치된 균형 유지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균형 유지수단(200)은 베이스(100)의 둘레면에 설치된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고정힌지(21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링크(220)와, 상기 제1링크(220)의 단부에 가동힌지(22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230)와, 상기 제2링크(230)의 단부에 설치된 실린더(240)와, 상기 실린더(240)의 단부에 연결힌지(241)를 매개로 설치된 균형유지용 부구(250)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수상건물, 부구, 링크, 균형, 링크

Description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The house built on stilts over the water where the balanced maintenance means is had}
본 발명은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에 부상된 수상건물의 하부 둘레면에 설치된 부구를 링크의 동작으로 상/하 이동시켜 수상건물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들은 주로 지상에 시설되기 때문에 안정된 구조로 시설되며, 최첨단 시공법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면서 도심 미관을 화려하게 이루도록 다양한 시설물로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건물이나 시설물들이 지상에 설치되기에는 지면이 한정되어 있으며, 또한 강이나 해안 등에 도강용 임시교, 해안 접안시설물, 선박 인양시설물, 해안공사설비용 임시설치구조, 해안 활주로, 해안도시 등 특별한 구조물을 시설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수상에 다양한 형태의 수상구조물이 시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수상구조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15566호(부유 구조물, 부유 활주로 및 부교 설치 방법)는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용기가 마련되는 것이다.
즉,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활주로의 예시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활주로는 상부의 활주로가 부유용기 내의 부력조에 의하여 받혀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상부유구조물은 바다 위에 시설되는 것으로, 먼저 수상에 부유되도록 하는 부유체가 시설되어야 하나, 부유용기와 같이 거대한 부유체를 시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장비 및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시공에 앞서 단일 형태의 거대한 부유용기를 지상에서 먼저 제조한 다음에, 해당 수상의 위치로 옮겨야 시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거대한 부유용기를 망망대해에 운반하여야 하고, 고정을 위한 시설물을 먼저 시공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부유구조물 시공에 어려움이 있으며, 공사비가 상당하게 소요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 시설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수상구조물은 바람 또는 파도와 같은 외력이 수상구조물에 전달될 경우에는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수상구조물을 지상의 건물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데 한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상에 설치되는 수상건물의 하부 둘레면에 링크를 매개로 상/하 이동되는 부구를 각각 설치하여 수상건물의 균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은 하부를 형성하고 수면에 부상되도록 부력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축조되는 건축물과, 상기 베이스의 둘레면에 설치된 균형 유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균형 유지수단은 베이스의 둘레면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단부에 가동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단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연결힌지를 매개로 설치된 균형유지용 부구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균형 유지수단은 베이스의 둘레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것이다.
또한, 균형유지용 부구는 내부에 공기가 충입되는 풍선이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균형유지용 부구에 공기를 충입하기 위한 공기발생수단이 설치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상에 설치되는 수상건물의 하부 둘레면에 링크를 매개로 상/하 이동되는 부구를 각각 설치하여 수상건물의 균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를 형성하고 수면에 부상되도록 부력을 갖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축조되는 건축물(110)과, 상기 베이스(100)의 둘레면에 설치된 균형 유지수단(200)으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그 상면에 축조되는 건축물(1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며, 베이스(100)는 건축물(110)이 수면으로 부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부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건축물(110)은 베이스(100)의 면적 및 부력에 따라서, 그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게 축조되는 것으로서, 지상에 축조되는 통상의 건축물(1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용도로 축조하는 것이며, 일예로, 상가건물, 또는 각종 편의시설용 건축물은 물론, 강 또는 바다에 부상되는 각종 조형물, 광고시설물 등이 축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균형 유지수단(200)은 베이스(100)의 둘레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를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일예로 베이스(100)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베이스(10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도록 4개를 등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이때 건축물의 무게가 어느 일측으로 집중할 경우에는 그 무게가 집중 되는 부분에 또 균형 유지수단(200)을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균형 유지수단(200)은 베이스(100)의 상면 둘레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1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210)에는 제1링크(220)가 고정힌지(21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링크(220)의 단부에는 가동힌지(221)를 매개로 제2링크(2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제2링크(230)의 단부에는 실린더(2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40)의 단부에는 연결힌지(241)를 매개로 균형유지용 부구(250)를 설치하되, 상기 균형유지용 부구(250)는 내부에 공기가 충입되는 풍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균형유지용 부구(250)의 부력 및 상/하 이동에 의해서 건축물(110)의 균형을 유지함과 동시에 균형유지용 부구(250)에 충입되는 공기의 충입량으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며, 이때에는 고정부재(210)에 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발생수단(26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100)의 부력에 의해서 그 베이스(100)의 상면에 축조된 건축물(1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면에 부상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람 또는 파도에 의해서 건축물(110)이 유동되면 상기 건축물(110) 내부의 사용자가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210)에 설치된 제1링크(220) 및 제2링크(230)의 회전 및 실린더(240)가 신축되도록 작동시켜, 균형유지용 부구(250)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시키는 것으로서, 건축물(110)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일예로 건축물(110)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는 그 기울어지는 방향에 설치된 균형유지용 부구(250)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로 이동시켜 건축물(110)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형유지용 부구(250)에 충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균형유지용 부구(250)의 부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상에 설치되는 수상건물이 바람 또는 파도 등 외력에 의해서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는 베이스(100)의 둘레면에 설치된 균형유지 수단(200)을 작동시켜 베이스(100)의 상면에 축조된 건축물(110)의 균형을 신속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건축물(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균형 유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건축물
200 : 균형 유지수단 210 : 고정부재
211 : 고정힌지 220 : 제1링크
221 : 가동힌지 230 : 제2링크
240 : 실린더 241 : 연결힌지
250 : 균형유지용 부구 260 : 공기발생수단

Claims (4)

  1. 하부를 형성하고 수면에 부상되도록 부력을 갖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축조되는 건축물(110)과, 상기 베이스(100)의 둘레면에 설치된 균형 유지수단(200)을 포함하는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에 있어서,
    균형 유지수단(200)은 2개 이상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베이스(100)의 둘레 면에 설치된 고정부재(210)와, 상기 고정부재(210)에 고정힌지(21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링크(220)와, 상기 제1링크(220)의 단부에 가동힌지(22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230)와, 상기 제2링크(230)의 단부에 설치된 실린더(240)와, 상기 실린더(240)의 단부에 연결힌지(241)를 매개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충입된 균형유지용 부구(250)가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138333A 2008-12-31 2008-12-31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KR101112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333A KR101112751B1 (ko) 2008-12-31 2008-12-31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333A KR101112751B1 (ko) 2008-12-31 2008-12-31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764A KR20100079764A (ko) 2010-07-08
KR101112751B1 true KR101112751B1 (ko) 2012-03-13

Family

ID=4264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333A KR101112751B1 (ko) 2008-12-31 2008-12-31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0638A (zh) * 2016-02-02 2016-07-06 张世奎 一种自游式水上钓鱼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7660B (zh) * 2013-11-29 2017-07-04 大连理工大学 半潜式钻井储油平台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248A (en) * 1980-06-25 1984-07-03 Thurston John W Multihull vessels
JPS6177591A (ja) 1984-09-26 1986-04-21 Nippon Kokan Kk <Nkk> 船体の傾斜減少・動揺減衰装置
JPS62244790A (ja) * 1986-04-17 1987-10-26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減揺装置
JP2002225788A (ja) * 2001-01-30 2002-08-14 Takatsugu Daito 海上構造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248A (en) * 1980-06-25 1984-07-03 Thurston John W Multihull vessels
JPS6177591A (ja) 1984-09-26 1986-04-21 Nippon Kokan Kk <Nkk> 船体の傾斜減少・動揺減衰装置
JPS62244790A (ja) * 1986-04-17 1987-10-26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減揺装置
JP2002225788A (ja) * 2001-01-30 2002-08-14 Takatsugu Daito 海上構造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0638A (zh) * 2016-02-02 2016-07-06 张世奎 一种自游式水上钓鱼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764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72950A2 (es) Plataforma flotante autoalineable al viento que soporta multiples turbinas eolicas y solares para la generacion de energia eolica y solar y metodo de construccion del mismo
EP1966037B1 (en) Fixed structure platform on water
US9505469B2 (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loating arrangement
ES2637142T3 (es) Estructura sumergible de soporte activo para torres de generadores y subestaciones o elementos similares, en instalaciones marítimas
ES2617991B1 (es) Estructura marítima para la cimentación por gravedad de edificaciones, instalaciones y aerogeneradores en el medio marino
WO2014013097A1 (es) Plataforma semisumergible triangular para aplicaciones en mar abierto
US10689071B2 (en) Stabilized floating platform structure
CN114207218B (zh) 浮动式防波堤结构
CN102390494B (zh) 悬浮式可升降海上风电场支撑系统
ES2387232A1 (es) Plataforma semisumergible para aplicaciones en mar abierto
KR20140102111A (ko) 잠수식 부교를 이용한 계류장치
KR101112751B1 (ko) 균형 유지수단이 구비된 수상건물
CN202194114U (zh) 一种桥墩防撞的装置
CN105480386A (zh) 水上作业平台
KR20100110372A (ko) 플로팅타입 호텔
CN103332273B (zh) 滚塑浮筒
CN103738478A (zh) 深水立柱式外输浮筒
Koekoek Connecting modular floating structures: a general survey and structural design of a modular floating pavilion
Howard et al. Structural design of deep water pontoon mooring anchors
CN114960397A (zh) 一种长距离跨深海的悬浮式桥梁
TW202323141A (zh) 錨定系統
JPH0920285A (ja) 浮体工法用浮
CN201347536Y (zh) 一种漂浮式水上码头
CN112726828A (zh) 一种半潜式水上房屋
Seymour et al. Large Column-Supported Floating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