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564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564B1
KR101112564B1 KR1020050004513A KR20050004513A KR101112564B1 KR 101112564 B1 KR101112564 B1 KR 101112564B1 KR 1020050004513 A KR1020050004513 A KR 1020050004513A KR 20050004513 A KR20050004513 A KR 20050004513A KR 101112564 B1 KR101112564 B1 KR 101112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voltage
substrate
transmittanc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3633A (ko
Inventor
허일국
유승후
한은희
반병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564B1/ko
Priority to US11/331,929 priority patent/US7768582B2/en
Publication of KR2006008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하며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액정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블랙전압(Vb)은 3 내지 4.4 볼트이며, 상기 액정의 수직방향 유전율(ε)은 수평방향 유전율(ε?)의 0.27배 이상이다. 이에 의해 응답속도가 개선된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화이트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2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블랙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이고,
도 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승시간과 하강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구동 전압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커스프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이 일정할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표 3의 1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표 3의 2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액정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표 4의 1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표 4의 2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표 5의 1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4는 표 5의 2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10 : 제1절연기판 120 : 저장용량 전극선
130 : 게이트 절연막 140 : 보호막
150 : 화소전극 210 : 제2절연기판
220 : 블랙매트릭스 230 : 컬러 필터층
240 : 오버코트층 250 : 공통전극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로서 널리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LCD)는 CRT에 비하여 얇고 가벼우며 또한 소모전력이 작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공통전극 및 컬러 필터 등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 화소전극과 박막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기판 그리고 양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을 포함한다.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여 전계 를 형성하면 액정 분자들의 배열이 변경되어 빛의 투과율이 조절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가 동화상의 표시에 많이 이용되면서 액정의 응답속도(Tre, response time)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액정의 응답속도가 느리면 동영상 번짐(motion blur) 현상이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된다.
본발명의 목적은 응답속도가 개선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하며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상이에 위치하고 있는 액정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블랙전압(Vb)은 3 내지 4.4 볼트이며 상기 액정의 수직방향 유전율(ε)은 수평방향 유전율(ε?)의 0.27배 이상이다.
상기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은 7 내지 12 사이일 수 있다.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화이트전압(Vw)의 일실시예로, 화이트 상태에서 투과율이 10%감소되는 때의 전압을 10% 전압(V10)이라 할 때, 화이트 전압은 10% 전압의 0.5배 이하일 수 있다.
저장용량(Cst)의 일실시예로, 저장용량은 액정용량(Clc)의 0.5배 이상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과 도2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1)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각각 화이트 상태의 액정 배열과 블랙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내고 있다.
액정표시장치(1)는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 그리고 양 기판(100, 200)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300)을 포함한다.
제1기판(100)의 제1절연기판(110)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저장용량(Cst)을 형성하기 위한 저장용량 전극선(120)이 마련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 는 보호막(140)으로 덮여 있으며 저장용량 전극선(120)은 게이트 절연막(130)과 보호막(140)으로 덮여 있다. 보호막(140)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150)이 형성되어 있다.
제2기판(200)의 제2절연기판(210)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블랙매트릭스(220)와, 블랙매트릭스(220)를 경계로 적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230)가 마련되어 있다. 블랙매트릭스(220)와 컬러필터(230)는 오버코트층(240)으로 덮여 있으며, 오버코트층(240) 상에는 공통전극(2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기판(100)과 제2기판(200) 사이에는 액정(300)이 주입되어 있어 전계의 변화에 따라 액정의 배열이 달라지면서 여러 가지 화상을 표현하게 된다.
액정표시장치(1)는 노말리 화이트 TN모드(normally white twisted nematic mode)이다. 화이트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액정(300)의 장축이 전계(E) 방향과 수직이 되며, 블랙 상태에서는 도2와 같이 액정(300)의 장축이 전계(E) 방향에 수평 이 된다.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이다. 박막트랜지스터(T)는 서로 직교하는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에는 액정용량(Clc)과 저장용량(Cst)가 연결되어 있다. 액정용량(Clc)은 화소전극(150)과 공통전극(250) 사이에서 액정에 형성되는 용량이며, 저장용량(Cst)은 저장용량 전극선(120)과 화소전극(150) 사이에서 게이트 절연막(130) 및 보호막(140)에 형성되는 용량이다. 여기서 저장용량(Cst)은 화소전극(150)을 전단 게이트선(previous gate line)과 겹치게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승시간과 하강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노말리 화이트 TN모드(normally white twisted nematic mode)에서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시간(Tre)은, 구동 전압에 의해 화소전극(150)과 공통전극(250) 사이에 전계가 걸릴 때 액정이 전계의 방향으로 배열하여 안정된 상태에 이르는데 걸리는 시간인 상승시간(rising time, Tr)과 전계가 사라져 액정이 원래의 안정된 상태로 이른데 걸리는 시간인 하강시간(falling time, Tf)을 합한 시간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상승시간은 구동전압에 의해 액정에 전계가 걸려 액정이 전계 방향으로 배열하여 준안정 상태에 이르는 시간으로서 투과율이 90%에서 10%까지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고, 하강시간은 구동전압이 오프됨으로써 전계가 사라져 원래의 안정된 상태로 돌아가는데 걸리는 시간으로서 투과율이 10%에서 90%까지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도 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구동 전압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문턱전압(Vth)이란 처음 전압을 인가하기 시작해서 투과율의 변화가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하는 지점의 전압을 말하며, 10% 전압(V10)이란 화이트 상태에서 투과율이 10% 감소하는 지점의 전압을 말한다.
또한 화이트 전압(Vw)이란 구동 전압 중에서 액정표시장치가 가장 밝은 색을 나타내도록 인가되는 전압을 말하며, 블랙 전압(Vb)이란 구동 전압 중에서 액정표시장치가 가장 어두운 색을 나타내도록 인가되는 전압을 말한다.
노말리 화이트 TN 모드에서는 블랙 전압(Vb)이 구동 전압 중 가장 큰 전압이고, 화이트 전압(Vw)이 구동 전압 중 가장 작은 전압이다.
이하 노말리 화이트 TN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시간에 대하여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시간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에서 신호인가는 4ms가 경과한 후에 이루어져 1프레임에서의 투과율은 약 20.6ms에서의 투과율이 된다. 즉 한 프레임의 시간은 약16.6ms인데, 이는60Hz 구동에서의 한 프레임의 시간이다.
도 6은 커스프(cusp)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이 일정할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한 프레임 동안 액정이 느끼는 전압(V)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식 1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1
여기서 Q는 액정에 인가된 전하량, Clc는 액정용량, Cst는 저장용량을 나타낸다.
식 1에서 액정용량을 나타내는 Clc는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ε)에 의해 한 프레임 내에서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액정이 느끼는 전압(V)도 변화하게 된다. 도 6은 이러한 상태에서 시간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것으로 투과율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부분, 즉 커스프(cusp)가 발생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커스프가 발생한 구역에서는 시간에 따라 투과율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응답속도가 느려진다. 특히 커스프가 투과율 90%이하에서 발생하면 응답속도는 더욱 느려진다. 도 6에서의 응답시간은 20.01ms였다.
도 7은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의 시간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것으로 커스프가 발생하지 않았다. 도 7에서의 응답시간은 12.32ms였다.
한편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저전력소비가 매우 중요하여 구동 전압 중 가장 높은 블랙 전압(Vb)은 3 내지 4.4볼트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3 내지 4.4 볼트에서 블랙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유전율 이방성이 큰 액정을 사용하는데, 액정의 큰 유전율 이방성이 커스프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자들은 저전압구동 액정표시장치에서 액정의 수직방향 유전율(ε) 대 수평방향 유전율(ε?)의 비, 화이트 전압(Vw)의 크기 그리고 저장용량(Cst) 대 액정용량(Clc)의 비를 조절하여 커스프를 발생하지 않게 하거나 투과율 90%이상에서 발생하게 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하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의 수직방향 유전율(ε ) 대 수평방향 유전율(ε ? )의 비
액정이 한 프레임 동안 느끼는 전압은 식 1과 같으며, 액정용량(Clc)과 액정의 유전율(ε)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식 2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2
여기서 ε0는 진공에서의 액정의 유전율, A는 화소전극의 면적, d는 셀갭을 나타낸다. 식 2에 공통인자로서 다음과 같은 Klc를 도입하면, 액정용량은 식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3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3
식 4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4
이에 따라 액정이 느끼는 전압을 다음과 같이 액정의 유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액정이 느끼는 전압은 액정의 유전율에 의존하는 것이다.
식 5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5
식 5를 이용하여 블랙 상태에서 화이트 전압을 인가하여 화이트 상태로 전이될 때 전압 변화를 살펴본다.
수직방향 유전율(ε) 은 4.4이고 수평방향 유전율(ε?)은 17인 경우를 예로 든다. 초기 블랙상태에서 액정은 거의 수직배향 상태이고 액정의 유전율은 수평방향 유전율(ε?)의 지배를 받아 초기 전압(Vi)은 다음과 같이 된다.
식 6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6
이 후 액정이 누우면서 액정은 거의 수평배향 상태가 되고 액정의 유전율은 수직방향 유전율(ε) 의 지배를 받아 최종 전압(Vf)은 다음과 같이 초기전압(Vi)보다 높게 된다.
식 7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7
이와 같이 낮은 화이트 전압을 인가하였으나 액정용량이 변화하면서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이 같은 전압변화가 커스프(cusp)의 발생원인이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액정용량 변화를 최소화해야 한다.
화이트 상태에서의 액정용량(Clcw)과 블랙 상태에서의 액정용량(Clcb)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식 8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8
Clcw/Clcb은 다음과 같이 ε?로 나타낼 수 있다.
식 9
Figure 112005002710919-pat00009
액정용량 변화를 작게 해야 하는 것은 Clcw/Clcb를 크게 한다는 것으로 즉 ε?를 크게 해야 함을 알 수 있다.
표 1은 수직방향 유전율(ε) 을 3.58로 고정시키고 수평방향 유전율(ε?)을 변화시키면서 전압변화를 관찰한 것이며, 표 2는 수평방향 유전율(ε?)을 10.68 로 고정시키고 수직방향 유전율(ε)을 변화시키면서 전압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표 1과 표 2의 데이터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얻은 것이며 블랙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화이트 전압을 인가한 경우이다. 화이트 전압은 0.7V와 0.5V 두 가지 경우로 나누었다. 블랙전압은 3.8V이며 셀갭은 4.0㎛였다.
표 1
Figure 112005002710919-pat00010
표 2
Figure 112005002710919-pat00011
표 1에서 보면 수평방향 유전율(ε?) 이 감소할수록 블랙 상태에서의 액정 용량(Clcb)이 감소하며 수직방향 유전율(ε)이 증가할수록 화이트 상태에서의 액정 용량(Clcw)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수평방향 유전율(ε?) 이 감소할수록 그리고 수직방향 유전율(ε⊥)이 증가할수록 액정용량의 변화가 작아지는 것이다.
프레임 경과 후의 전압을 인가된 화이트 전압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 유전율(ε?) 이 감소할수록 프레임 후의 전압과 인가된 화이트 전압과의 차이가 적었다. 수직방향 유전율(ε)이 증가할수록 프레임 후의 전압과 인가된 화이트 전압과의 차이가 적었다. 즉 수평방향 유전율(ε?) 이 감소할수록 그리고 수직방향 유전율(ε)이 증가할수록 액정은 인가한 화이트 전압과 유사한 전압을 느끼는 것이다.
이와 같이 표 1과 표2로부터 수직방향 유전율(ε⊥) 대 수평방향 유전율(ε?)의 비가 크면 전압변화가 적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은 ε?를 변경하면서 응답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화이트 전압은 0.5V 였으며, 블랙 전압은 3.8V였다.
표 3
Figure 112005002710919-pat00012
표 3을 보면 ε?가 0.340과 0.0280인 1번과 2번의 경우 응답속도가 16ms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도 8과 도 9에서 보듯이 커스프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ε?가 0.266인 3번의 경우 응답속도가 20.01ms로서 16ms보다 크며 커스프는 88%의 투과율에서 나타났다.
이로부터 ε?는 약 0.27 이상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Δε)은 7 내지 12 사이일 수 있다. 도 10은 서로 다른 유전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이 7보다 작으면 3.8V와 같은 저전압에서 수직배향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블랙 전압으로3.8V를 사용할 경우 완전한 블랙상태를 얻을 수 없는 것이다. 반면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이 12보다 클 경우 낮은 전압에서 블랙 상태를 얻을 수 있으나, 투과율이 전압변화에 민감하게 되어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액정의 화이트 전압
상술한 바와 같이 노말리 화이트 TN 모드에서, 화이트 상태에서는 도 1과 같이 액정의 장축이 전계 방향과 수직이고, 블랙 상태에서는 도 2와 같이 액정의 장축이 전계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액정에 가해지는 구동력이 큰 경우에는 액정이 빠른 시간 내에 수직 배향에서 수평 배향으로, 또는 수평 배향에서 수직 배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응답속도가 빨라진다.
액정에 가해지는 구동력(F)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0
Figure 112005002710919-pat00013
여기서 Vbw는 블랙 전압과 화이트 전압의 전압차를, d는 셀갭을, Q는 전하량을 나타낸다.
전압차가 클수록 액정에 가해지는 구동력이 커지므로 액정이 빨리 회전하고, 이에 따라 보다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블랙 전압은 저전압 구동을 위해 일정 전압이상 올릴 수 없는 반면 화이트 전압은 조절이 가능하다.
표 4는 화이트 전압를 변화시키면서 응답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10%전압(V10)은 0.2V, 수직방향 유전율(ε)은 3.6 그리고 수평방향 유전율(ε? )은 13.6로서 ε?는 약 0.27이고, 유전율 이방성은 10, 블랙전압은 3.8V, 셀갭은 약 4㎛였다.
표 4
Figure 112005002710919-pat00014
도 11은 표 4의 1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표 4의 2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번과 2번의 경우 응답시간이 각각 20.01ms와 19.01ms로 나타났으며 커스프도 90%이하의 투과율에서 나타났다. 반면 3번의 경우 15.86ms의 응답시간을 나타냈으며 커스프도 90%에서 나타났다.
이로부터 화이트 전압을 V10의 0.5배 이하로 하면 응답시간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의 실험값은 ε?가 약 0.27인 액정을 이용하여 얻었으나 ε?가 0.27이상인 액정에 대하여도 화이트 전압을 낮추는 효과는 동일하게 얻어진다.
저장 용량 대 액정 용량의 비
한 프레임 동안 액정이 느끼는 전압(V)은 식 1과 같이 표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용량은 액정의 배열에 따라 변화한다. 반면 저장용량은 일정하므로 저장용량 대 액정용량의 비를 증가시키면 전압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표 5는 저장용량 대 액정용량의 비(Cst/Clc)를 변화시키면서 응답속도를 측 정한 결과이다. 수직방향 유전율(ε)은 3.6 그리고 수평방향 유전율(ε?)은 13.6로서 ε?는 약 0.27이고, 유전율 이방성은 10, 블랙전압은 3.8V, 셀갭은 약 4㎛였다.
표 5
Figure 112005002710919-pat00015
도 13은 표 5의 1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4는 표 5의 2번 경우 시간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저장용량 대 액정용량의 비(Cst/Clc)가 0.5이상이면 응답속도가 16ms이하이며 커스프도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표 5의 실험값은 ε?가 약 0.27인 액정을 이용하여 얻었으나 ε ?가 0.27이상인 액정에 대하여도 저장용량 대 액정용량의 비(Cst/Clc)를 조절하는 효과는 동일하게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에 따르면 응답속도가 개선된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대향하며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2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액정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블랙전압(Vb)은 3 내지 4.4 볼트이며,
    상기 액정의 수직방향 유전율(ε)은 수평방향 유전율(ε?)의 0.27배 이상이고,
    화이트 상태에서 투과율이 10%감소되는 때의 전압을 10% 전압(V10)이라 할 때,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화이트전압(Vw)은 10% 전압(V10)의 0.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은 7 내지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저장용량(Cst)이 액정용량(Clc)의 0.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50004513A 2005-01-18 2005-01-18 액정표시장치 KR10111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513A KR101112564B1 (ko) 2005-01-18 2005-01-18 액정표시장치
US11/331,929 US7768582B2 (en) 2005-01-18 2006-01-13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513A KR101112564B1 (ko) 2005-01-18 2005-01-1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633A KR20060083633A (ko) 2006-07-21
KR101112564B1 true KR101112564B1 (ko) 2012-03-13

Family

ID=3668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513A KR101112564B1 (ko) 2005-01-18 2005-01-1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68582B2 (ko)
KR (1) KR101112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856B1 (ko) * 2008-01-21 2014-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에 포함되는 액정 조성물
US9341896B2 (en) 2008-01-21 2016-05-17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70130641A (ko) * 2009-10-21 2017-11-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07045235A (zh) 2010-02-26 2017-08-1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液晶显示装置
CN104232105A (zh) * 2014-08-18 2014-12-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混合物、液晶显示面板、液晶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575A (ja) * 1996-10-01 1998-04-24 Hiroshima Opt Kk 液晶表示装置
KR20040091747A (ko) * 2002-03-18 2004-10-2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틱 액정에 기초한 타원 편광자를 갖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6867A (en) * 1990-01-09 1996-11-19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Liquid crystal switching elements having a parallel electric field and βo which is not 0° or 90°
JP2503830B2 (ja) 1991-03-27 1996-06-05 旭硝子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US6137560A (en) * 1995-10-23 2000-10-24 Hitachi, Ltd.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light source color compensation
US6304304B1 (en) * 1997-11-20 2001-10-16 Sanyo Electric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an off driving voltage greater than either zero or an optical characteristics changing voltage
JP2001166331A (ja) 1999-12-03 2001-06-22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WO2002007142A1 (en) * 2000-07-19 2002-0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cb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ctive matrix and supplemental capacitors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KR100900546B1 (ko) 2002-11-22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5055880A (ja) * 2003-07-24 2005-03-03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7196758B2 (en) * 2003-12-30 2007-03-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comprising exposing an alignment material to an interference patter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575A (ja) * 1996-10-01 1998-04-24 Hiroshima Opt Kk 液晶表示装置
KR20040091747A (ko) * 2002-03-18 2004-10-28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틱 액정에 기초한 타원 편광자를 갖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68582B2 (en) 2010-08-03
KR20060083633A (ko) 2006-07-21
US20060158573A1 (en)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6790A (en) LCD device having relationship between spontaneous polarization and capacitance
US94959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for same, and driving circuit for same
KR100870589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40052512A (ko) 액정 장치
JP4555063B2 (ja) 液晶表示装置、その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US2011029202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same
KR101112564B1 (ko) 액정표시장치
JP3920821B2 (ja) 強誘電性液晶の電界配向方法と液晶表示装置
US703479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e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50156839A1 (en) Field sequential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KR20060086641A (ko) 듀얼모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681528B2 (ja) 液晶ライトバルブ装置
JP3518873B2 (ja) 相転移形液晶表示装置駆動方法
JP2007193362A (ja) 液晶パネルの駆動方法
KR20060083643A (ko) 액정 표시 장치
Stojmenovik Ion transport and boundary image retention in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s
KR100956349B1 (ko) 액정 표시 장치
EP0552886A1 (en) Method of driving active-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4004510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384611Y1 (ko) 두께공차가 큰 칼라시퀀스 액정표시소자
JPH07261149A (ja) 液晶装置
KR100923349B1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Thomsen et al. AMLCD image retention design issues for avionics applications
KR2004006120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2116467A (ja) 液晶素子の製造方法、及び液晶素子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