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719B1 -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 - Google Patents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719B1
KR101111719B1 KR1020100077658A KR20100077658A KR101111719B1 KR 101111719 B1 KR101111719 B1 KR 101111719B1 KR 1020100077658 A KR1020100077658 A KR 1020100077658A KR 20100077658 A KR20100077658 A KR 20100077658A KR 101111719 B1 KR101111719 B1 KR 101111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armature
synchronous motor
core
linear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배
이형우
이병송
강부병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3Electric propulsion by linear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분할된 티스 구조에 의해 자체적인 폴슈 구조와 방열 구조를 가지며 제작이 용이한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권선형계자는 분리된 제1분할티스와 제2분할티스가 전기자와 대향하는 반대면에 사이 영역이 슬롯으로 형성되고,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계자폴슈를 형성하는 이분할티스들이 서로 인접하는 사이 영역을 코일안착홈으로 형성하며 연결된 구조의 계자코어;와, 상기 전기자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이분할티스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안착홈에 결합되는 계자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폴슈기능을 가지면서도 권선이 용이하겨 대형 권선형계자 및 선형전동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이분할티스에 형성되는 슬롯에 의해 향상된 열방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WINDING TYPE FIELD OF LINEAR SYNCHRONOUS MOTOR AND LINEAR SYNCHRONOUS MOTOR WITH TEETHS SPLITED 2 PART}
본원 발명은 분할된 티스 구조에 의해 자체적인 폴슈 구조와 방열 구조를 가지며 제작이 용이한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증가와 생활영역의 확대, 고유가 등에 따라 대중 교통의 혁신적인 차세대 교통수단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왔다.
이러한 차세대 교통수단은 고속, 내구성, 안전성 등과 같은 여러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하며, 편리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경량화 및 대량 운송이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기존 철도시스템과 달리 전자석을 이용하여 바퀴를 대체하고 안내 궤도에서 부상하여 어떠한 접촉도 없이 전자기적으로 추진력을 발생하여 운송되는 자기부상열차는 이러한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적합한 시스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고속 자기부상열차는 최고 운행속도가 대략 580km/h 정도이며, 공기저항 및 공기역학적 소음에 의해 더 이상의 속도 증대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속도 한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저항을 대폭으로 줄일 수 있는 0.1기압 정도의 아진공 튜브 속을 주행하는 초고속튜브열차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상술한 개념의 초고속튜브열차에 적용되는 종래기술의 추진/부상용 선형동기전동기 중 도 1은 계자폴슈(field pole shoe)가 없는 선형동기전동기(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계자폴슈(27)가 있는 선형동기전동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계자폴슈가 없는 종래기술의 선형동기전동기(1)는 지상에 추진/부상용 전기자(10)가 설치되고, 차상에는 권선형계자(2)가 설치된다. 차상에 설치되는 권선형계자(2)는 코일이 권선된 계자 타입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계자티스(4)을 구비한 다수의 계자요크(3)를 가지는 계자코어판(5)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계자코어(C1)와, 적층된 각각의 계자티스(4)에 권취되는 계자코일(6)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상에 설치되는 전기자(10)는 전기자코어판(11)이 적층되어 형성된 전기자코어(E)와 전기자코어(E)의 권선형계자(2)와 대향하는 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상을 가지도록 권선된 전기자 3상 코일(12) 등의 전기자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계자폴슈(27)가 있는 종래기술의 선형동기전동기(20)는 지상에 도 1과 동일한 구조의 추진/부상용 전기자(10)가 설치되고, 차상에는 계자폴슈(27)가 형성된 권선형계자(22)가 설치된다. 차상에 설치되는 권선형계자(22)는 코일이 권선된 계자 타입으로 단부에 폴슈(27)가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계자티스(24)들을 구비한 다수의 계자요크(23)를 가지는 계자코어판(25)들이 적층되어 형성된 계자코어(C2)와 적층된 각각의 계자티스(24)에 권취되는 계자코일(6)들로 구성된다.
도 1의 계자폴슈가 없는 권선형계자(2)는 제작 시 계자코어판(5)을 제작하고, 별도의 공정에서 보빈(미 도시)에 코일을 권선한 계자 코일(6)을 계자 코어(5)의 계자티스(4)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작성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도 1의 계자폴슈가 없는 권선형계자(2)는 제작성은 용이하나 계자티스(4)에 계자폴슈가 없으므로 전기자(10)의 자속쇄교 면적이 한정되어 누설자속이 커지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2의 계자폴슈(27)를 구비한 권선형계자(22)는 계자폴슈(27)로 인해 선형동기전동기의 전기자(10)와 자속 쇄교 면적이 증가되어 누설 자속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2의 계자폴슈(27)가 있는 권선형계자(22)는 각각 계자티스(24)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계자폴슈(27)가 돌출되도록 계자코어(25)를 제작하고, 계자코어(25)에 바로 계자코일(6)을 권선해야 한다. 따라서 초고속튜브열차에 적용되는 대형의 계자코어(25)에 바로 계자코일(6)을 권선하는 경우 계자폴슈(27)에 의해 권선 작업이 방해되어 계자코일(27)의 권선 작업이 어려워 지며, 이로 인해 권선형계자(22) 및 선형동기전동기의 제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각각의 권선형계자(2, 22)는 계자 요크(3)의 상부면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 자체적인 방열 구조를 가지지 못하므로, 계자코어(5, 25)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강제 냉각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열방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계자폴슈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빈에 권취된 계자코일의 장착이 용이하고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별도의 강제 냉각을 수행하지 않고도 열방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열방출 효율이 향상된 초고속튜브열차 등의 자기부상식 열차에 적용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는, 분리된 제1분할티스와 제2분할티스가 전기자와 대향하는 반대면에 사이 영역이 슬롯으로 형성되고,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계자폴슈를 형성하는 이분할티스들이 서로 인접하는 사이 영역을 코일안착홈으로 형성하며 연결된 구조의 계자코어;와, 상기 전기자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이분할티스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안착홈에 결합되는 계자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는,
분리된 제1분할티스와 제2분할티스가 전기자와 대향하는 반대면에 사이 영역이 슬롯으로 형성되고,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계자폴슈를 형성하는 이분할티스들이 서로 인접하는 사이 영역을 코일안착홈으로 형성하며 연결된 구조의 계자코어와, 상기 전기자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이분할티스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안착홈에 결합되는 계자코일을 구비하여 열차에 장착되는 권선형계자;와,
상기 권선형계자와 대향하는 면에 전기자 코일을 권취되어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전기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에서,
상기 계자코어는 양측부가 제1분할티스 또는 제2분할티스 중 어느 하나만으로 형성되는 보조티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자코어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보조티스의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에는 계자코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폴슈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계자코어는, 또한, 결합부에서 계자요크를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어 계자코어를 형성하는 다수의 분할계자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계자코어는 인접되는 분할계자코어와 결합되는 일측 단면에는 계자슬롯이 형성되고, 타측 단면에는 계자레일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분할계자코어 중 상기 계자코어의 최 외측에 위치하는 분할계자코어는 인접되는 분할계자코어와 결합되지 않는 단부에 제1분할티스 또는 제2분할티스 중 어느 하나만으로 형성되는 보조티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자코어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보조티스는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에서 계자코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폴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별도의 보빈에서 권선된 후 상기 이분할티스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코일안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는 전기자와의 자속쇄교 면적을 크게하는 폴슈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계자폴슈를 구비하면서도 계자코일의 귄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이 높은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는 계자폴슈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분할티스에 형성되는 슬롯이 외부와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계자폴슈(field pole shoe)가 없는 선형동기전동기(1)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의 계자폴슈(27)가 있는 선형동기전동기(20)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제1권선형계자(100a)를 구비한 제1실시예의 선형동기전동기(실시예의 설명에서 식별을 위하여 '제1선형동기전동기(100)'라 함)의 단면도,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서로 분할된 분할계자코어인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권선형계자(100b)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가 조립된 상태의 제2권선형계자(100b)의 사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선형동기전동기(실시예의 설명에서 식별을 위하여 '제2선형동기전동기(200)'라 함)의 사시도,
도 7은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선형동기전동기(100, 200)가 장착된 초고속튜브열차 등의 자기부상열차(이하 열차(50)라 함)의 개략도,
도 8은 종래기술의 선형동기전동기와 본원 발명의 선형동기전동기의 비교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제1권선형계자(100a)와 제2권선형계자(100b)를 통칭하는 경우 '권선형계자'라 하고,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를 통칭하는 경우 '분할계자코어'라 하며, 계자코어(101)와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 등의 분할계자코어들이 연결되어 형성된 계자코어를 통칭하는 경우 '계자코어'라 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는 제1권선형계자(100a)를 구비한 제1실시예의 제1선형동기전동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제1선형동기전동기(100)는 제1권선형계자(100a)와 전기자(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권선형계자(100a)는 다수의 이분할티스(112)를 가지는 계자코어(101)와 다수의 이분할티스(112)에 권선되는 계자코일(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계자코어(101)는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반대면에 슬롯(slot)(111)이 형성되어 제1분할티스(112a)와 제2분할티스(112b) 및 계자폴슈(112c)를 구비한 이분할티스(112)들이 코일안착홈(116h)의 사이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가 일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계자폴슈(112c)는 자속쇄교면을 증가시키도록 제1분할티스(112a)와 제2분할티스(112b)의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계자코어(101)의 구조에서 인접되는 이분할티스(112)의 서로 대향하는 분할티스들(제1분할티스(112a) 또는 제2분할티스(112b))이 상단부가 연결되어,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면에는 코일안착홈(116h)을 가지며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은 슬롯(111)에 의해 분할되어 인접되는 계자요크(116)와 계자폴슈(112c)에 의해 연결되는 계자요크(116)를 형성한다.
계자코어(101)의 최 외측에 위치되는 티스(teeth)들은 계자폴슈(112c)가 없이 제1분할티스(112a) 또는 제2분할티스(112b)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는 보조티스(114)로 형성된다.
상기 계자코일(6)은 보빈(미도시)에 코일을 권선하는 별도의 작업에 의해 보빈에 권선된 후 이분할티스(112)를 형성하는 제1분할티스(112a)와 제2분할티스(112b)가 동일한 자기극을 가지도록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면에서 이분할티스(112)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이분할티스(112)를 감싸면서 코일안착홈(116h)에 결합된다.
상기 전기자(10)는 종래기술의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와 같이, 전기자코어판(11)이 적층되어 형성된 전기자코어(E)와 전기자코어(E)의 권선형계자(2)와 대향하는 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상을 가지도록 권선된 전기자 3상 코일(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서로 분할된 분할계자코어인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권선형계자(100b)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가 조립된 상태의 제2권선형계자(100b)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제2권선형계자(100b)는 슬롯(111)이 형성된 이분할티스(112)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분할계자코어(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계자코어(150)와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면에서 이분할티스(112)들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 계자코일안착홈(116h)에 삽입되는 계자코일(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의 결합부는 계자요크(116)가 수직으로 분할된 것과 같은 단면을 가지며,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의 결합요크(116b)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단면 중 제1계자코어(110)의 측 단면에는 결합슬롯(132)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계자코어(120)의 측 단면에는 결합슬롯(132)에 가로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레일(134)이 돌출 형성된다.
제1계자코어(110)의 결합요크(116b)와 반대에 위치하는 최 외측 계자요크(116a)의 보조티스(114)에는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단부의 외 측면에 외부 자속누설을 최소로 하기 위한 보조폴슈(115)가 형성된다.
제2계자코어(120)의 결합레일(134)과 반대에 위치하는 최 외측 계자요크(116a)의 보조티스(114)의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단부의 외 측면에 또한 외부 자속누설을 최소로 하기 위한 보조폴슈(115)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는 결합슬롯(132)에 결합레일(134)이 삽입되어 형성되는 결합요크(116b)를 구비한 일체형의 계자코어(150, 도 5 참조)를 형성한다.
계자코일(6)은 별도로 보빈(미도시)에 권취된 후 계자코어(150)의 전기자(10)와 대향하는 면에서 이분할티스(112)의 외부연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계자코일안착홈(116h)에 결합되어 제2권선형계자(100b)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5의 제2권선형계자(10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계자코어의 구조, 결합슬롯(132), 결합레일(134) 및 보조폴슈(115)를 구비하는 구조를 가지는 점에서 제1권선형계자(100a)와 상이한 구조를 가진다.
도 5의 제2권선형계자(100b)에서 분할계자코어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슬롯(132)과 보조폴슈(115)가 형성되거나, 결합레일(134)과 보조폴슈(115)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분할계자코어들을 2개 이상 연결하여 계자코어(150)를 형성하는 경우 최 외측에 위치되는 분할계자코어들은 각각 도 4 및 도 5의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로 구성되나, 제1계자코어(110)와 제2계자코어(120)의 사이에 연결되는 분할계자코어들은 보조폴슈(115)를 구비하지 않으며 일 측에는 결합슬롯(132)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결합레일(134)이 형성되어, 2개 이상의 분할계자코어들을 서로 연결 구성하여 계자코어(150)의 길이를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는 선형동기전동기(실시예의 설명에서 식별을 위하여 '제2선형동기전동기(200)'라 함)의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제2선형동기전동기(200)는 지상의 가이드레일(60)에 설치되는 전기자(10)와 도 5의 구조를 가지며 차상에 설치되는 제2권선형계자(1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6의 계자코어(150), 제1계자코어(110), 제2계자코어(120)들은 계좌코어의 측면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계자코어판들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또는 제2 선형동기전동기(100, 200)가 장착된 초고속튜브열차 등의 자기부상열차(이하 열차(50)라 함)의 개략도이다.
도 7과 같이 도 3에서 설명한 제1권선형계자(100a) 또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제2권선형계자(100b)는 열차(50)의 차상프레임(51)에 각각 장착되고, 전기자(10)는 지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60)의 날개부(61)에 각각 설치되어 자기부상식 열차(5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선형동기전동기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제1권선형계자(100a) 또는 제2권선형계자(100b)의 구조에서 슬롯(111)들은 계자코어들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권선형계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분할티스(112)에 형성되는 계자폴슈(112c)들은 계자코일(6)의 권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종래기술의 폴슈(27)와 같이 자속쇄교면적을 증가시키고 누설자속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선형동기전동기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2실시예에 구성되는 분할계자코어들은 열차(50)에 설치되는 권선형계자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차(50)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필요한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선형동기전동기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할계자코어들은 대형 권선형계자를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부분들을 제작한 후 연결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권선형계자 또는 선형동기전동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제2실시예의 보조폴슈(115)들은 권선형계자의 최 외측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을 감소시킴으로써 선형동기전동기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8은 종래기술의 선형동기전동기와 본원발명의 권선형계자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성능을 비교실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에 도시된 바과 같이, 기존의 선형동기전동기와 본원발명의 권선형계자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를 300km/h의 속도로 주행시킨 결과, 종래기술의 선형동기전동기는 추진력이 165.6kN, 극당 부상력이 5.60kN으로 나타났고, 본원 발명의 선형동기전동기는 추진력이 165.9kN, 극당 부상력이 5.51kN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선형동기전동기와 본원발명의 권선형계자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를 700km/h의 속도로 주행시킨 결과, 종래기술의 선형동기전동기는 추진력이 69.73kN, 극당 부상력이 5.17kN으로 나타났고, 본원 발명의 선형동기전동기는 추진력이 69.5kN, 극당 부상력이 4.98kN으로 나타났다.
즉, 본원발명에 따르는 선형동기전동기는 티스에서 돌출되는 폴슈를 구성하지 않는 것에 계자코일의 권선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계자폴슈와 보조폴슈에 의해 자속누설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종래기술의 폴슈를 구비하는 권선형계자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와 거의 유사한 성능을 가지는 선형동기전동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6: 계자코일, 10: 전기자, 50: 열차, 51: 차상프레임, 60: 가이드레일
61: 날개부, 100: 제1선형동기전동기, 110: 제1계자코어
120: 제2계자코어, 111: 슬롯, 112: 이분할티스, 113: 계자폴슈
114: 보조티스, 115: 보조폴슈,
116b: 결합요크, 131: 슬롯요크부, 132: 결합슬롯, 133: 레일요크부
134: 결합레일, 150: 계자코어, 200: 제2선형동기전동기

Claims (11)

  1. 분리된 제1분할티스와 제2분할티스가 전기자와 대향하는 반대면에 사이 영역이 슬롯으로 형성되고,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계자폴슈를 형성하는 이분할티스들이 서로 인접하는 사이 영역을 코일안착홈으로 형성하며 연결되되, 최소한 상기 계자폴슈와 연결되는 상기 이분할티스의 선단부가 상기 코일안착홈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계자코어;와,
    상기 전기자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이분할티스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안착홈에 결합되는 계자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자코어는,
    양측부가 제1분할티스 또는 제2분할티스 중 어느 하나만으로 형성되는 보조티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티스는,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에서 계자코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폴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자코어는,
    결합부에서 계자요크를 형성하며 서로 결합되어 계자코어를 형성하는 다수의 분할계자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할계자코어는,
    인접되는 분할계자코어와 결합되는 일측 단면에는 계자슬롯이 형성되고, 타측 단면에는 계자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할계자코어 중 상기 계자코어의 최 외측에 위치하는 분할계자코어는 인접되는 분할계자코어와 결합되지 않는 단부에 제1분할티스 또는 제2분할티스 중 어느 하나만으로 형성되는 보조티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티스는,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에서 계자코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폴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계자코일은,
    보빈에 권선되어 상기 이분할티스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코일안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9. 분리된 제1분할티스와 제2분할티스가 전기자와 대향하는 반대면에 사이 영역이 슬롯으로 형성되고,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계자폴슈를 형성하는 이분할티스들이 서로 인접하는 사이 영역을 코일안착홈으로 형성하며 연결되되, 최소한 상기 계자폴슈와 연결되는 상기 이분할티스의 선단부가 상기 코일안착홈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계자코어와, 상기 전기자와 대향하는 면에서 상기 이분할티스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안착홈에 결합되는 계자코일을 구비하여 열차에 장착되는 권선형계자;와,
    상기 권선형계자와 대향하는 면에 전기자 코일을 권취되어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전기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계자코어는,
    양측부가 제1분할티스 또는 제2분할티스 중 어느 하나만으로 형성되는 보조티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조티스는,
    보조티스의 전기자와 대향하는 단부에서 계자코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폴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
KR1020100077658A 2010-08-12 2010-08-12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 KR10111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58A KR101111719B1 (ko) 2010-08-12 2010-08-12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58A KR101111719B1 (ko) 2010-08-12 2010-08-12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719B1 true KR101111719B1 (ko) 2012-02-16

Family

ID=4584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58A KR101111719B1 (ko) 2010-08-12 2010-08-12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7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4405A (zh) * 2018-08-30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动子组件、直线电机
CN109039006A (zh) * 2018-08-30 2018-1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动子组件、直线电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980A (ja) * 2003-06-20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ニアモータの電機子
JP2005168243A (ja) 2003-12-04 2005-06-23 Yaskawa Electric Corp 永久磁石型同期リニアモータ
KR20070114653A (ko) * 2006-05-29 2007-12-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니어 모터
KR20100063783A (ko) * 2007-10-04 2010-06-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니어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980A (ja) * 2003-06-20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ニアモータの電機子
JP2005168243A (ja) 2003-12-04 2005-06-23 Yaskawa Electric Corp 永久磁石型同期リニアモータ
KR20070114653A (ko) * 2006-05-29 2007-12-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니어 모터
KR20100063783A (ko) * 2007-10-04 2010-06-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니어 모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4405A (zh) * 2018-08-30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动子组件、直线电机
CN109039006A (zh) * 2018-08-30 2018-1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动子组件、直线电机
WO2020042448A1 (zh) * 2018-08-30 2020-03-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动子组件、直线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7325B2 (en) Linear propulsion system
US9929631B2 (en) Interior magnet linear induction motor
CN101777821A (zh) 集中绕组分段式永磁同步直线电机
US20230406115A1 (en) Electromagnetic levitation train-track system and levitation electromagnet
EP2826131B1 (en) Laminar segment for electric motor segmented stator
KR101069334B1 (ko) 세그먼트 구조를 갖는 리니어 모터 및 자기부상 시스템
KR102175409B1 (ko) 계자권선형 동기모터의 회전자
CN102545416A (zh) 一种低齿槽转矩电机定子及其装配方法
KR101372426B1 (ko) 2상2열 리니어 펄스 모터 추진시스템
KR101111719B1 (ko) 이분할티스를 구비한 선형동기전동기의 권선형계자 및 선형동기전동기
CN104779772A (zh) 基于单双层混合绕组的模块化平板式多相永磁直线电机
US3547041A (en) Induction linear traction motor for monorail systems
CN108616207A (zh) 一种用于轨道交通的长定子直线电机绕组
WO2012073290A1 (en) Transverse flux machine
CN101310428B (zh) 磁浮铁路系统的磁体及其制造方法
CN103023269A (zh) 一种单磁极磁通反向永磁直线电机
JPH10257750A (ja) リニアモータ
KR101142464B1 (ko) 초고속튜브열차 추진 및 부상용 lsm의 보상권선을 구비한 권선형 계자
CN212677053U (zh) 磁浮列车用直线电机系统
CN103701236A (zh) 一种外转子同步磁阻电机转子
CN111106732B (zh) 直线电机的初级绕组及直线电机
CN105196880A (zh) 交直流混合励磁轨道涡流制动器
CN103236773A (zh) 一种次级分段式磁通切换永磁直线牵引电机
KR20090059918A (ko) 철도차량용 리니어 추진시스템의 일체형 지상 2차측 고정자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114915131A (zh) 一种用于磁浮列车的永磁与电励磁组合直线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