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379B1 -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379B1
KR101110379B1 KR1020040092955A KR20040092955A KR101110379B1 KR 101110379 B1 KR101110379 B1 KR 101110379B1 KR 1020040092955 A KR1020040092955 A KR 1020040092955A KR 20040092955 A KR20040092955 A KR 20040092955A KR 101110379 B1 KR101110379 B1 KR 10111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are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114A (ko
Inventor
권해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3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4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부만을 구비하고서도, 내장 표시부와 외장 표시부를 모두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전체적인 애뉴시에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영역 변경,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DISPLAY AREA IN STRECH TYP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도.
본 발명은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은 표시부의 크기에 맞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예로서 스트레치(Strech)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 이 커버를 잡아당김으로서 내장된 표시부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때 외에는 표시부가 디스플레이 커버가 표시부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커버를 잡아당김으로서 표시부 전면을 노출시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다. 이하 이처럼 표시부 전면이 노출되는 상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픈 상태라고 칭하기로 하고, 디스플레이 커버에 의해 표시부 전체 혹은 일부가 가려져 있는 상태를 클로즈 상태라고 칭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폴더(folder)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장 표시부와 외장 표시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표시부마다 이러한 애뉴시에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를 열지 않고서도, 배터리의 잔량은 얼마인지 또는 안테나의 수신 상태는 어떤지, 그리고 현재 시각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폴더 형태가 아닌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하나의 표시부만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상기한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들이 현재의 날짜와 시간 또는 안테나 수신 상태나 배터리 잔량, 그리고 SMS 메시지 수신 상태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를 오픈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라 표시부의 화면 상태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전체 또는 일부를 덮거나, 상기 표시부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애뉴시에이터(Annuciator) 정보들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전체 또는 일부를 덮거나, 상기 표시부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변경 단계와,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애뉴시에이터(Annuciator) 정보들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애뉴시에이터 정보 위치 조정 단계와,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표시 위치가 조정된 애뉴시에이터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가 현재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를 감지하고,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조절하도록 한다. 그리고 조절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애뉴시에이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부(102), 키 입력부(104), 표시부(106), 베이스밴드 처리부(108), 코덱(CODEC: Coder-Decoder)(112),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116)가 제어부(1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1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1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116)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고, 현재 표시부(106)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이 필요한 상태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만약 표시부(106)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116)로부터 감지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애뉴시에이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표시부(106)가 클로즈된 상태에서도 현재 노출되어 있는 표시부(106)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변경된 디스플레이 화 면과 함께 애뉴시에이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표시부(106)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00)가,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홀 스위치(Hall Switch)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커버에 자석을 장착하고, 단말기 본체에 홀 스위치를 달아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된 자석이 가까워지면 표시부(106)가 클로즈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멀어지면 표시부(106)가 오픈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한 방법등을 통해 현재 상태가 표시부(106)의 일부분을 디스플레이 커버가 덮고 있는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가 덮여있는 위치에 따라 표시부(106)에 표시되는 화면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변경한다. 그리고 애뉴시에이터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영역이 변경된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클로즈된 상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부(106)에 표시되며, 애뉴시에이터 정보 역시 위치가 변경되어, 현재 노출되어 있는 표시부(106)의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키 입력부(104)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표시부(106)는 통상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애뉴시에이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RF부(110)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는 제어부(100)와 RF부(1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110)에 인가하며, RF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코덱(112)은 증폭부(1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1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1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116)는 상술한 방법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커버에 장착된 자석을 이용하는 홀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어부(100)가 현재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정보로는 표시부(106)로부터 감지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116)로부터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정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조절한다. 그리고 감지된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라 날짜와 시간, 그리고 배터리 잔량 상태와 안테나 수신 상태등을 표시하는 애뉴시에이터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부(106)의 노출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을 조정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이 온 되는 경우 200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커버의 현재 위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홀 스위치를 이용한 방법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 홀 스위치에 의해 표시부(106)가 오픈 상태d에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크기를 초기 상태, 즉, 표시부의 표시 화면을 꽉 채우는 초기 상태로 설정하고, 다시 200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체크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202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오픈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즉, 상기 200단계에서 감지된 전자기장의 양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 제어부(100)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지한다. 그리고 2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4단계에서 감지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표시부(106)에 표시될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애뉴시에이터 정보들이 표시되고 있는 위치를 체크하여, 상기 206단계에서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애뉴시에이터의 표시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조정된 애뉴시에이터의 표시 위치에 애뉴시에이터 정보가 화상 정보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다시 200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를 체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가 표시부(106)의 일부 영역을 덮게 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영역을 조절한다. 그리고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애뉴시에이터의 표시 위치를 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록 클로즈된 상태에 있다고 할지라도, 변경된 디스플레이 화면과 함께 애뉴시에이터 정보들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106)의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내장, 외장의 구분이 없는 하나의 표시부만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오픈 시키지 않고서도 애뉴시에이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표시부만을 구비하고서도 외장 표시부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3의 (a)에서는 디스플레 이되는 애뉴시에이션 정보들,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에 표시되고 있는 배터리 잔량 정보와 안테나 수신 상태 정보, 그리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고 있는 현재 날짜 정보와 시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서는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06)가 클로즈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되고, 그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 그리고 안테나 수신률등을 포함하는 애뉴시에이터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06)가 클로즈된 상태에도 노출되는 표시부(106)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도 3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커버를 닫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가 클로즈된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116)에서 감지되는 표시부(106)의 전자기장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서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제어부(100)는 현재 표시부(106)의 상태가 클로즈된 상태라고 인식하게 되고, 현재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영역을 변경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애뉴시에이터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재조정하여 표시부(106)가 도 3의 (b)에서처럼 클로즈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장된 하나의 표시부만을 구비하고서도, 외장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폴더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표시부를 오픈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애뉴시에이터 정보, 즉, 배터리의 잔량이나 안테나의 수신 상태, 또는 현재의 정확한 시각과 날짜, 그리고 SMS 메시지의 수신 상태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가, 표시부가 클로즈된 상태에 있는 경우, 자석의 특정 극이나 극성에 따라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되는 홀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표시부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자기장이 기 설정된 임계값이상일 경우에 상기 표시부가 클로즈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방법 및 접촉 면적의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량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단순히 하드웨어 또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어 표시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신장되었을 경우에 제어부로 입력되는 하드웨어 또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제어부가 표시부의 상태가 오픈 상태에 있음을 인식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지 애뉴시에이터 정보가 표시부의 상태에 따라 그 위치가 조정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였으나, 이러한 애뉴에이터 정보 외에 다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애뉴시에이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변경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부만을 구비하고서도, 내장 표시부와 외장 표시부를 모두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전체적인 애뉴시에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7)

  1.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전체 또는 일부를 덮거나, 상기 표시부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애뉴시에이터(Annuciator) 정보들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뉴시에이터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애뉴시에이터(Annuciator)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안테나 수신률, 현재 날짜와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는,
    자석의 특정 극이나 극성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검출하 는 홀 스위치(Hall Switch)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부는,
    상기 표시부가 클로즈 상태에 있을 경우 이를 알리는 표시부 클로즈 알림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표시부가 오픈 상태에 있을 경우 이를 알리는 표시부 오픈 알림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장치.
  5.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전체 또는 일부를 덮거나, 상기 표시부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변경 단계와,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애뉴시에이터(Annuciator) 정보들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는 애뉴시에이터 정보 위치 조정 단계와,
    상기 변경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표시 위치가 조정된 애뉴시에이터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 감지 단계는,
    홀 스위치(Hall Switch)를 이용하여 검출된 극성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변경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에 의해 덮혀진 클로즈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
KR1020040092955A 2004-11-15 2004-11-15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1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955A KR101110379B1 (ko) 2004-11-15 2004-11-15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955A KR101110379B1 (ko) 2004-11-15 2004-11-15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14A KR20060047114A (ko) 2006-05-18
KR101110379B1 true KR101110379B1 (ko) 2012-02-24

Family

ID=3714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955A KR101110379B1 (ko) 2004-11-15 2004-11-15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549A (ko) * 2013-12-03 2015-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446A (ko) * 2002-09-24 2004-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어넌시에이터 정보 표시 장치
KR20040036465A (ko) * 2002-10-26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표시부에 동적인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446A (ko) * 2002-09-24 2004-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어넌시에이터 정보 표시 장치
KR20040036465A (ko) * 2002-10-26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 표시부에 동적인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549A (ko) * 2013-12-03 2015-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KR102213899B1 (ko) * 2013-12-03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14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2040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608731B1 (ko) 스위블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US9407745B2 (en) Electronic apparatus, water detection means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operation mode setting method
KR10040720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US20100081481A1 (en) Mobi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of notifying incoming call for mobile terminal
KR101110379B1 (ko) 스트레치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을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369653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5286741A (ja) 携帯通信端末
KR100595621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안내 방법
KR1005941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입력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JP2010039289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346206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경보 방법
KR100310344B1 (ko) 휴대폰에서 저전압시 전화번호부 동작방법
KR100424624B1 (ko) 벨소리 제어 방법
KR100557564B1 (ko) 폴더형 이동무선 단말기의 경보 구동 제어방법
KR100790102B1 (ko) 볼륨 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662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착신신호 알림 방법
KR100713466B1 (ko) 휴대 단말기의 발신자 번호 표시 방법
KR101539079B1 (ko)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제어 장치 및 방법
JP4304886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及びその開閉検出方法
KR100415110B1 (ko) 폴더의 열림/닫힘 제어 방법
JPH07162955A (ja) 残り通話時間表示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H098873A (ja) 通信端末の呼出し音量制御装置
KR200404026Y1 (ko) 무선통신단말기의 자동 통화종료장치
KR20000041310A (ko) 휴대폰에서 소모전류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