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830B1 - 누전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누전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830B1
KR101109830B1 KR1020107005272A KR20107005272A KR101109830B1 KR 101109830 B1 KR101109830 B1 KR 101109830B1 KR 1020107005272 A KR1020107005272 A KR 1020107005272A KR 20107005272 A KR20107005272 A KR 20107005272A KR 101109830 B1 KR101109830 B1 KR 10110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abnormal current
compressor
judgment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453A (ko
Inventor
히로시 도오마에
히또시 하시모또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 H02H3/34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using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누전 검출 기판이 이상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공정(S102)과, 검출 공정에서 이상 전류가 검출되어 압축기가 정지한 시점에서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 항목의 임계치와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실측치를 비교하여 이상 전류가 누전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4 내지 S106). 구체적으로는 이상 전류 검출 시의 가동 시간, 모터의 내부 압력, 토출관 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대응하는 임계치보다 낮을 때는 이상 전류를 누전으로 간주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S108).

Description

누전 검출 장치 및 방법{EARTH LEAKAG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누전 검출 장치 및 누전 검출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전 검출 기능이 기존의 압축기에 사후 부가된 경우의, 누전 검출 장치 및 누전 검출의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압력 스위치를 갖는 전기 온수기 등에 있어서 누전 검출 기능을 구비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실용신안출원공개소63-089550호공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있어서는, 누설 전류를 검출한 경우에 압력 스위치가 누전 차단기에 대하여, 압력 검출 작동 시와 등가의 의사(擬似) 전류를 만들어 내는 작동 신호의 발생원으로서 작용하여 히터 회로에의 비도통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압력 스위치를 갖는 이미 설치된 압축기 등에 누전 검출 기능을 사후 부가하려는 경우,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1) 누전을 검출한 경우에, 압축기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기 접촉기의 도통/비도통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
(2) 누전 검출 기능의 적어도 일부가, 이미 설치된 제어 회로 부분과 공용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전자기 접촉기가 어떤 이상을 검출하여 비도통 상태로 되었을 때에, 그 요인이 누전에 의한 것인지 또는 압력 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것인지의 판단을 할 수 없어, 대처 시에 불편하다는 것;
(3) 상기 (2)와 관련하여 누전 검출이 동작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할 수 없다는 것.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누전 검출 기능이 기존의 압축기에 사후 부가된 경우의 누전 검출의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발명은, 전로(104), 상기 전로의 도통(폐쇄)/비도통(개방)을 절환하는 개폐 수단(106), 상기 개폐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전로에 접속되는 전력 부하(150), 상기 전력 부하의 동작 이상을 검출하는 동작 이상 검출 수단(108), 이상 전류를 검출하는 이상 전류 검출 수단(110), 상기 개폐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12)을 구비하는 전원 계통에 있어서, (a) 상기 전로에 있어서의 이상 전류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S102), (b) 상기 스텝(a)에 있어서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전력 부하가 동작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S104 내지 S106), (c) 상기 스텝(b)에 있어서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에, 상기 전로에 있어서 누전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스텝(S107) 및 (d) 상기 스텝(b)에 있어서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전로에 있어서 누전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스텝(S109)이 실행되는 누전 검출 방법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계통은, 전원(102)과, 상기 개폐 수단(106)을 동작시키는 계전 수단(114)과, 상기 전원과 상기 계전 수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제1 보호 스위치(116) 및 제2 보호 스위치(118)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계전 수단에 급전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개폐 수단이 도통 상태로 되고, 상기 계전 수단에 단전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개폐 수단이 비도통 상태로 되고, 상기 제1 보호 스위치는 상기 스텝(b)에 있어서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에 비도통 상태로 되고, 상기 제2 보호 스위치는 상기 스텝(b)에 있어서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에 비도통 상태로 된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계통은, 미리 정해진 항목의 임계치(122, 126, 130)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120),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항목의 실측치를 계측하는 계측 수단(124, 128, 132)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임계치와 상기 실측치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부하(150)가 동작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4 발명은,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계통은 압축기(100)에 적용되며,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계측 수단(124, 128, 132)이 계측하는 상기 실측치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상기 압축기의 내부 압력과 상기 기억 수단(120)에 기억되는 상기 임계치(122, 126, 130)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부하(150)가 동작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5 발명은,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124)은 상기 압축기의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기억 수단(120)은 미리 정해진 시간 임계치(122)를 기억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이상 전류가 검출된 시간이 상기 시간 임계치보다 짧으면 부정적인 판단을 행한다.
제6 발명은, 제4 또는 제5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128)은, 상기 압축기의 내부 압력을 계측하고, 상기 기억 수단(120)은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압력 임계치(126)를 기억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이상 전류가 검출된 시점에서의 상기 내부 압력이 상기 압력 임계치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판단을 행한다.
제7 발명은, 제4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132)은, 상기 압축기가 갖는 토출관의 온도를 계측하고, 상기 기억 수단(120)은,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토출관의 온도 임계치(130)를 기억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이상 전류가 검출된 시점에서의 상기 온도가 상기 온도 임계치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판단을 행한다.
제8 발명은,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계통은, 표시 수단(134)을 더 구비하고, (e) 상기 스텝(c), (d)의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S108)이 실행된다.
이상 전류가 검출된 경우, 그 요인으로서 누전 이외에도 전력 부하의 동작 이상이 상정된다. 이 점을 착안하여 제1 발명에 따르면 누전의 존부를, 전력 부하의 동작 이상의 존부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게다가, 스텝(a) 자체는, 전로에 대하여 통상 설치되는 수단을 채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텝(b) 자체의 실행은 전력 부하에 대하여 통상 설치되는 수단을 채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텝(a), (b)의 실행을 위한 수단을 새로 설치하지 않고, 상기 누설 전류 검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계전 수단과 제1 보호 스위치는 종래부터 통상 설치되어 있는 수단이므로, 그들 사이에 제2 보호 스위치를 직렬로 접속하기만 해도 실행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르면 전력 부하가 동작 이상인지의 여부를 고정밀도로 판단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르면 전원 계통이 압축기에 적용된 경우에, 전력 부하가 동작 이상인지의 여부를 고정밀도로 판단할 수 있다.
압축기에 있어서는, 통상은 기동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전류가 초기 동작 및 압축기 내부의 가압에 소비된다. 이 점을 착안하여 제5 발명에 따르면 누전을 고정밀도로 인식할 수 있어, 누전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는, 기존의 압축기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새로운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압축기에 있어서는, 통상은 기동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은 전류가 초기 동작 및 압축기 내부의 가압에 소비된다. 이 점을 착안하여, 제6 및 제7 발명에 따르면 누전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내부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 및 압력 임계치는 기존의 압축기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새로운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압축기에 있어서는, 통상은 기동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은 전류가 초기 동작 및 압축기 내부의 가압에 소비된다. 이 점을 착안하여 제8 발명에 따르면 누전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토출관의 온도를 계측하는 토출관 온도계 및 온도 임계치는 기존의 압축기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새로운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제9 및 제10 발명에 따르면 누전 검출이 동작한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누전 검출 기능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압축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누전 검출의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을 시작으로 하는 이하의 도면에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요소만을 도시한다.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누전 검출의 인식 기술을 실현하는 전원 계통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전원 계통은, 예를 들어 압축기(100)의 모터(전력 부하)(150)와, 모터(1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삼상(三相) 교류의 전원(102)과, 전원(102)으로부터의 전원 전류를 전송하는 전로(104)와, 전로(104)의 도통(폐쇄)/비도통(개방)을 절환하는 전자기 접촉기(개폐 수단)(106)와, 모터(150)의 동작 이상(구체적으로는 압력 이상)을 검출하는 고압 압력 스위치(동작 이상 검출 수단)(108)와, 이상 전류(구체적으로는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누전 검출 기판(이상 전류 검출 수단)(110)과, 전자기 접촉기(106)를 제어하는 제어부(제어 수단)(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모터(150)에는, 예를 들어 압축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계측 수단)(128) 및/또는 토출관(도시 생략)의 온도를 측정하는 토출관 온도계(계측 수단)(1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전자기 접촉기(106)가 비도통 상태로 되었을 때에 영상(零相) 변류기(136)와 협동하여 전자기 접촉기(106)가 비도통 상태로 된 요인이 누전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의 판단에 도움을 주기 위한 센서이다.
누전 검출 기판(110)은 전로(104)에 설치되는 영상 변류기(136)에 의해 이상 전류(영상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11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검출 결과를 표시부(134)로 전송한다. 표시부(134)는 누전 검출 기판(110)의 제어 하에서 이상 전류의 검출 결과와 제어부(112)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LED를 점등하거나 하여 누전이 발생한 취지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12)에 의한 판단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제어부(112)는 전자기 접촉기(106)를 동작시키는 릴레이(계전 수단)(114)와, 전원(102)과 릴레이(114)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제1 보호 스위치(116) 및 제2 보호 스위치(118)를 갖고 있다. 제1 보호 스위치(116)는 종래부터 통상 설치되어 있는 수단이며, 실외 유닛이나 열원 유닛(모두 도시 생략)에 어떠한 동작 이상(누전을 제외한다)이 발생하여 모터(150)의 내부 압력이 압력치(P1)(도 2 참조)를 초과한 경우에 비도통 상태로 된다. 또한, 제2 보호 스위치는 전로(104)에 있어서의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 비도통 상태로 된다. 즉, 릴레이(114)에는 동작 이상의 발생 시에 한하지 않고, 누설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급전이 차단된다. 따라서, 전자기 접촉기(106)는 릴레이(114)에 급전되고 있을 때에는 도통 상태로 되고, 단전되어 있을 때에는 비도통 상태로 된다.
또한, 제어부(112)는 기억부(기억 수단)(120)와 타이머(계측 수단)(124)를 갖고 있다. 기억부(120)는 시간 임계치(122), 압력 임계치(126), 온도 임계치(130) 등의 누전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에 도움되는 임계치를 기억하고 있다. 타이머(124)는 전원(102)으로부터의 급전이 개시되고나서의 시간을 계측한다.
<누전 발생의 판단 방법>
도 2는 압축기(10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압축기(100)에서는 통상 운전 시에 기동하고나서의 가동 시간에 따라 모터(150)의 내부 압력(P)이 완만하게 변화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토출관 온도(T)도 완만하게 변화한다. 이것은 기동 직후에는 전류가 초기 동작 및 압축기(100) 내부의 가압에 소비되기 때문이다.
동작 이상에 의해 고압 압력 스위치(108)가 작동하는 것은 내부 압력(P)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P1)(예를 들어 4MPa)를 초과하는 경우이며, 내부 압력(P)이 상기 임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t1)(예를 들어 30s)을 필요로 한다. 또한, 임계치(P1) 및 시간(t1)은 선정되는 냉매의 종류나 모터(150)의 성능에 의해 산출된다.
따라서, 기억부(120)에 기억되는 시간 임계치(122)가 시간(t1)으로 설정되고, 가동 시간이 시간(t1)보다 짧은 시점에서 릴레이(114)에의 급전이 차단된(즉, 전자기 접촉기(106)가 비도통 상태로 된) 경우에는, 제2 보호 스위치(118)가 비도통 상태로 되었다고, 즉 누설 전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0)가 타이머(124)와 함께 압력 센서(128)를 구비하고, 기억부(120)가 압력 임계치(126)를 기억함으로써 이하와 같이 하여 누전 발생의 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압력(P)은 통상 운전 시에는 가동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한다. 따라서, 기억부(120)에 기억되는 압력 임계치(126)가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에 따른 소정의 값(도 2에서는 가동 시간에 의존하는 압력 예상치(Pt))으로 설정되고, 릴레이(114)에의 급전이 차단된 시점에서 압력 센서(128)가 계측한 내부 압력치가 압력 예상치(Pt)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2 보호 스위치(118)가 비도통 상태로 되었다고, 즉 누설 전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압력 센서(128)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압축기(100)가 타이머(124)와 함께 토출관 온도계(132)를 구비하고, 기억부(120)가 온도 임계치(130)를 기억함으로써 이하와 같이 하여 누전 발생의 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 온도(T)는 내부 압력(P)의 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바꾸어 말하면 토출관 온도(T)를 계측함으로써 내부 압력(P)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억부(120)에 기억되는 온도 임계치(130)가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에 따른 소정의 값(도 2에서는, 가동 시간에 의존하는 온도 예상치(Ht))으로 설정되고, 릴레이(114)에의 급전이 차단된 시점에서 토출관 온도계(132)가 계측한 토출관 온도가 온도 예상치(Ht)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2 보호 스위치(118)가 비도통 상태로 되었다고, 즉 누설 전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128) 및 토출관 온도계(132)는, 반드시 양쪽이 설치될 필요는 없고, 어느 한쪽뿐이어도 좋다. 또한, 압력 임계치(126) 및 온도 임계치(130)는 반드시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값일 필요는 없고, 다양한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되는 계측치나, 유저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치에 기초하는 함수로 산출되는 값이어도 된다.
상술한 구성 중 누전 검출 기판(110), 제2 보호 스위치(118), 압력 센서(128), 토출관 온도계(132), 표시부(134), 영상 변류기(136)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모터(150)에 대하여 통상 설치되는 수단이므로, 간단한 작업으로 누전 검출 기능을 사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고압 압력 스위치용의 커넥터에 하니스 가공 등을 실시하여 표시부(134)를 갖는 누전 검출 기판(110)을 접속하고, 릴레이(114)와 제1 보호 스위치(116) 사이에 제2 보호 스위치(118)를 끼운다. 또한, 압력 센서(128) 및/또는 토출관 온도계(132)를 적절하게 설치하고 그 출력을 제어 수단에 접속한다.
또한, 모터(150)에 흐르는 전류, 구체적으로는 전자기 접촉기(106)에 흐르는 전류는 릴레이(114)에 흐르는 전류에 비하여 훨씬 크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2 보호 스위치(118)를 전자기 접촉기(106)에 직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자기 접촉기(106)에 흐르는 대전류에 적당한 내압 스위치를 사이에 끼울 필요가 있어 곤란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114)에 흐르는 전류는 전자기 접촉기(106)에 흐르는 전류에 비하여 훨씬 작으므로 제2 보호 스위치(118)는 전력 용량이 작은 스위치를 적용할 수 있어 사후 부가가 쉽다.
<동작>
도 3은 누전 검출의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압축기(100)의 전원 계통은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또한, 본 흐름도에서는 누전 검출의 인식 기술에 관한 처리만을 나타내고, 그 밖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압축기(100)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112)에 의해 자동으로 행하여진다.
우선, 전원(102)이 OFF로부터 ON으로 절환되어 기동하면 누전 검출 기판(110)은 영상 변류기(136)가 전로(104)에 있어서 이상 전류가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01, S102).
이상 전류가 검출되면 스텝 S102에 있어서 "예"를 선택하고, 릴레이(114)에의 급전을 차단한다(스텝 S103). 또한, 이상 전류가 검출된 시점에 있어서, 기동으로부터의 가동 시간이 시간(t1) 미만인지의 여부, 또는 압력 센서(128)가 계측한 내부 압력치가 압력 예상치(Pt) 미만인지의 여부, 또는 토출관 온도계(132)가 계측한 토출관 온도가 온도 예상치(Ht)보다 낮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4 내지 S106).
상기 스텝 S104 내지 S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예"를 선택한 경우에는 누전 발생에 의해 제2 보호 스위치(118)가 비도통 상태로 된 것에 의해 릴레이(114)에의 급전이 차단되었다고 판단하여 누전이 발생한 취지를 표시부(134)에 표시한다(스텝 S107, S108). 상기 스텝 S104 내지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에는 동작 이상에 의해 모터(150)의 내부 압력이 압력치(P1)를 초과하여 고압 압력 스위치(108)가 작동함으로써 릴레이(114)에의 급전이 차단되었다고 판단한다(스텝 S109).
<효과>
이상과 같이, 이상 전류가 검출된 경우, 그 요인으로서 누전 이외에도 모터(150)의 동작 이상이 상정된다. 이 점을 착안함으로써 누전의 존부를 모터(150)의 동작 이상의 존부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게다가, 이상 전류의 검출 수단은 전로(104)에 대하여 통상 설치되는 수단을 채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이상의 존부 판단은 모터(150)에 대하여 통상 설치되는 수단을 채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 전류의 검출 및 동작 이상의 존부 판단을 위한 수단을 새로 설치하지 않고, 누전 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114) 및 제1 보호 스위치(116)는 종래부터 통상 설치되어 있는 수단이므로 그들 사이에 제2 보호 스위치를 직렬로 접속하기만 해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0)에 있어서는 통상은 기동하고나서 소정의 시간(t1)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은 전류가 초기 동작 및 압축기(100) 내부의 가압에 소비된다. 이 점을 착안함으로써 누전을 고정밀도로 인식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124)는 기존의 압축기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새로운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0)의 내부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128) 및 압력 임계치(126)는 기존의 압축기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새로운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토출관 온도를 계측하는 토출관 온도계(132) 및 온도 임계치(130)는 기존의 압축기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새로운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누전 검출 기판(110)에 의해 검출된 결과에 기초하여 누전이 발생한 취지를 표시하므로 누전 검출이 동작한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4)는 누전이 발생한 경우뿐만 아니라, 이상 전류가 누전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도 LED를 점등하거나 해도 좋다. 그 경우, 예를 들어 누전 발생 시의 표시와는 다른 색으로 표시한다. 이에 의해, 누전 검출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어, 동작 이상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술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Claims (10)

  1. 전로(104),
    상기 전로의 도통(폐쇄)/비도통(개방)을 절환하는 개폐 수단(106),
    상기 개폐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전로에 접속되는 전력 부하(150),
    상기 전력 부하의 동작 이상을 검출하는 동작 이상 검출 수단(108),
    이상 전류를 검출하는 이상 전류 검출 수단(110),
    상기 개폐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12),
    상기 개폐 수단을 동작시키는 계전 수단(114),
    전원과 상기 계전 수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제1 보호 스위치(116)를 구비하는 전원 계통에 적용되는 누전 검출 장치이며,
    상기 제1 보호 스위치와 상기 계전 수단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제2 보호 스위치(118)를 구비하고,
    상기 이상 전류 검출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계전 수단에 급전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개폐 수단이 도통 상태로 되고,
    상기 계전 수단에 단전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개폐 수단이 비도통 상태로 되고,
    (a) 상기 전로에 있어서의 이상 전류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S102),
    (b) 상기 스텝(a)에 있어서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전력 부하가 동작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S104 내지 S106),
    (c) 상기 스텝(b)에 있어서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에 상기 전로에 있어서 누전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스텝(S107) 및
    (d) 상기 스텝(b)에 있어서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전로에 있어서 누전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스텝(S109)이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제1 보호 스위치는, 상기 스텝 (b)에 있어서의 판단이 긍정적인 경우에 비도통 상태로 되고,
    상기 제2 보호 스위치는, 상기 스텝 (b)에 있어서의 판단이 부정적인 경우에 비도통 상태로 되는, 누전 검출 장치.
  2. 제1항에 기재된 누전 검출 장치를 사용하는 누전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 계통은,
    미리 정해진 항목의 임계치(122, 126, 130)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120),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항목의 실측치를 계측하는 계측 수단(124, 128, 132)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임계치와 상기 실측치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부하(150)가 동작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누전 검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계통은 압축기(100)에 적용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계측 수단(124, 128, 132)이 계측하는 상기 실측치에 기초하여 산정되는 상기 압축기의 내부 압력과 상기 기억 수단(120)에 기억되는 상기 임계치(122, 126, 130)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부하(150)가 동작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누전 검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124)은, 상기 압축기의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기억 수단(120)은, 미리 정해진 시간 임계치(122)를 기억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이상 전류가 검출된 시간이 상기 시간 임계치보다 짧으면 부정적인 판단을 행하는, 누전 검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128)은 상기 압축기의 내부 압력을 계측하고,
    상기 기억 수단(120)은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압력 임계치(126)를 기억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이상 전류가 검출된 시점에서의 상기 내부 압력이 상기 압력 임계치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판단을 행하는, 누전 검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128)은 상기 압축기의 내부 압력을 계측하고,
    상기 기억 수단(120)은,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압력 임계치(126)를 기억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이상 전류가 검출된 시점에서의 상기 내부 압력이 상기 압력 임계치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판단을 행하는, 누전 검출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수단(132)은 상기 압축기가 갖는 토출관의 온도를 계측하고,
    상기 기억 수단(120)은, 기동 시부터의 가동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토출관의 온도 임계치(130)를 기억하고,
    상기 스텝(b)에서는, 상기 이상 전류가 검출된 시점에서의 상기 온도가 상기 온도 임계치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판단을 행하는, 누전 검출 방법.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계통은 표시 수단(134)을 더 구비하고,
    (e) 상기 스텝(c), (d)의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S108)이 실행되는, 누전 검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계통은 표시 수단(134)을 더 구비하고,
    (e) 상기 스텝(c), (d)의 판단 결과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스텝(S108)이 실행되는, 누전 검출 방법.
  10. 삭제
KR1020107005272A 2007-10-30 2008-09-09 누전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109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1146 2007-10-30
JP2007281146A JP4650477B2 (ja) 2007-10-30 2007-10-30 漏電検出方法
PCT/JP2008/066228 WO2009057387A1 (ja) 2007-10-30 2008-09-09 漏電検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453A KR20100039453A (ko) 2010-04-15
KR101109830B1 true KR101109830B1 (ko) 2012-02-13

Family

ID=4059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272A KR101109830B1 (ko) 2007-10-30 2008-09-09 누전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77465B2 (ko)
EP (1) EP2207247A4 (ko)
JP (1) JP4650477B2 (ko)
KR (1) KR101109830B1 (ko)
CN (1) CN101939889B (ko)
AU (1) AU2008320176B2 (ko)
WO (1) WO2009057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0477B2 (ja) * 2007-10-30 2011-03-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漏電検出方法
US20130141957A1 (en) * 2010-08-10 201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conversion device
US8390221B2 (en) 2010-09-27 2013-03-05 Emerson Climate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three-phase motors
JP5496843B2 (ja) * 2010-09-30 2014-05-21 サンデン株式会社 電動圧縮機の漏れ電流検査方法
CN102320246B (zh) * 2011-06-30 2013-05-2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空调安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JP5454596B2 (ja) * 2012-02-08 2014-03-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
CN103472351B (zh) * 2013-09-12 2016-02-03 国家电网公司 配网线路异常监控方法及装置
JP6464903B2 (ja) * 2015-04-16 2019-02-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インバータ駆動装置
JP6628527B2 (ja) * 2015-09-10 2020-01-08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8469565B (zh) * 2016-05-25 2020-10-27 大唐河南清洁能源有限责任公司 电力故障诊断方法及在电力故障诊断中的应用
CN111526645B (zh) * 2020-04-30 2022-07-12 深圳市奥拓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路灯的漏电安全控制方法以及智慧路灯
CN112216077B (zh) * 2020-09-02 2022-04-26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物联感知监测系统及监测预警方法、移动终端及云端服务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4217A (ja) * 1989-04-28 1990-12-0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漏電遮断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7202A (en) * 1975-12-19 1977-05-31 Robertshaw Controls Company Voltage protection circuit
JPS61291881A (ja) * 1985-06-20 1986-12-22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の異常検知装置
JPS6389550U (ko) 1986-11-28 1988-06-10
JPH02214412A (ja) * 1989-02-14 1990-08-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しゃ断器
JPH07117284B2 (ja) * 1990-06-01 1995-1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H06257906A (ja) * 1993-03-03 1994-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H084680A (ja) * 1994-06-22 1996-01-09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
US5784232A (en) * 1997-06-03 1998-07-21 Tecumseh Products Company Multiple winding sensing control and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ic motors
US20050280961A1 (en) * 2004-06-18 2005-12-22 Steve Campolo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bnormal non-electrical conditions
JP4650477B2 (ja) * 2007-10-30 2011-03-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漏電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4217A (ja) * 1989-04-28 1990-12-05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漏電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7247A1 (en) 2010-07-14
WO2009057387A1 (ja) 2009-05-07
AU2008320176A1 (en) 2009-05-07
EP2207247A4 (en) 2014-08-06
US20100296206A1 (en) 2010-11-25
JP2009112105A (ja) 2009-05-21
US8477465B2 (en) 2013-07-02
AU2008320176B2 (en) 2011-10-06
JP4650477B2 (ja) 2011-03-16
KR20100039453A (ko) 2010-04-15
CN101939889A (zh) 2011-01-05
CN101939889B (zh)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830B1 (ko) 누전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2403691B (zh) 用于使用光和时间鉴别来检测电弧闪光事件的方法、系统、和设备
US7352545B2 (en) Compressor terminal fault interrup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68862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오류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9083179B2 (en) Load circuit disconnection detector
RU2553669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индикацией отказов и вторичным источником питания
JP5855699B2 (ja) 電磁接触器の溶着検出機能を有するモータ駆動装置
KR101699674B1 (ko) 전자식 회로 차단기
CN104247197A (zh) 用于供电电路的保护器
KR100883042B1 (ko) 온도센서를 구비한 기중차단기
EP2843792B1 (en) Protector for electricity supply circuit
RU2013116580A (ru) Электронный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альтернативным режимом работы, использующим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JP2009089529A (ja) ケーブル断線検知回路
JP2009089529A5 (ko)
KR101415079B1 (ko) 차단기 제어 회로 전원의 변화를 고려한 차단기 진단 장치
JP5423649B2 (ja) 電源系統及び漏電検出方法
TWM450893U (zh) 供電保護裝置及供電系統
JP2008167510A (ja) エンジン発電機
KR200342993Y1 (ko)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101014160B1 (ko) 엘이디 및 음성 경보 출력기능을 갖는 지능형 누전차단장치 및 방법
KR20180106312A (ko) 모터 보호 계전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014773A (ko) 건설기계 차량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00002072U (ko) 전류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류 차단기
WO2008090776A1 (ja) 漏電検出回路及び漏電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