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734B1 -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734B1
KR101109734B1 KR1020090110340A KR20090110340A KR101109734B1 KR 101109734 B1 KR101109734 B1 KR 101109734B1 KR 1020090110340 A KR1020090110340 A KR 1020090110340A KR 20090110340 A KR20090110340 A KR 20090110340A KR 101109734 B1 KR101109734 B1 KR 10110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rotrusions
carriage
medical device
forc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695A (ko
Inventor
신경민
원용현
명병철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명병철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명병철,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09011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734B1/ko
Priority to CN2010101122309A priority patent/CN102058431B/zh
Publication of KR2011005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5Details of shaft 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61B2017/2913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cams or gui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상기와 같은 의료기기들은 왕복대가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과 반쪽 왕복대를 제조한 다음, 다시 서로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하는 단점 및 왕복대가 항상 왕복운동 즉, 직선운동만을 하기 때문에 중지와 집게손가락은 항상 오무리거나 벌어져야 하므로 시술작업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쉽게 피곤해지므로 중지와 집게손가락의 파지 위치를 바꾸면서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한 왕복대를 타원형으로 구성한 제품이 출시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부를 조립에 의한 간단한 결합을 행하면서도 중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오무리거나 펴주면서 왕복대를 왕복작업을 할 때, 상기한 왕복대를 좌,우로 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시술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포셉, 스내어, 헤모클립, 스톤 바스켓, 의료용기기.

Description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A Controll Device for the medical Instrument as a like the Forcep}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포셉(Forcep), 스내어(Snare), 헤모클립(Hemoclip), 스톤 바스켓(Stone Basket)등과 같은 의료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병변부위를 내시경을 통한 수술 또는 복강경 시술등을 수술 중에 병변부위의 일부 조직을 분리하기 위한 포셉(Forcep), 병변부위에 이미 시술한 스텐트등을 제거하기 위한 스네어(Snare) 및 인체에 들어 있는 담석과 같은 이물질을 부수기위한 스톤 바스켓(Stone Basket)등이 있다.
이러한 기구들은 모두 시술자에 의하여 조작되는데 이들을 대표하여 포셉을 예를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함 도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 와이어 부(2) 및 작동부(3)으로 대별된다.
이때 상기한 작동부(3)와 와이어부(2)는 인체의 병변부위까지 삽입되어 그 목적에 따라 작동을 행하는 부분인데, 이러한 와이어부(2)와 작동부(3)을 시술자가 조작부(1)를 통하여 조작하여 그 목적에 맞게 작동을 시키게 된다.
즉, 포셉의 경우에는 병변부위의 조직을 떼내기 위한 절제클립(4)이 설치되어 있고, 스네어의 경우에는 걸고리가 설치되어 있고, 스톤 바스켓의 경우에는 파쇄용 와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조작부(1)는 중앙에 장공(10)이 형성된 관계로 나누어진 가이드봉(11)과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5)로 구성된 몸체(9)와, 상기 장공(10)에 결합되어 전후작동을 행하는 왕복대(12)로 구성되고, 가이드봉(11)의 끝단에는 플렉스블와이어(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왕복대(12)는 상기 플렉시블와이어(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작동와이어(20)를 고정하는 홈부(21)와 상기 가이드봉(11)을 삽입하여 왕복작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한 작동홈부(22)가 구성된 반쪽 왕복대(12)를 서로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부(2)는 상기한 플렉시블와이어(30)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와이어(20)로 이루어진 것이고, 작동부(3)는 상기한 작동와이어(20)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한 왕복대(12)의 작동에 의해 한쌍의 절제클립(40)이 상기 플렉시블와이어(30)의 끝단에 힌지결합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러질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병변부위의 조직을 절제해내는 것은 조작자가 상기 왕복대(12)를 왕복조작하게 되면 이에 따라 상기 작동와이어(20)가 동기동작하는 왕복작동을 행하게 되고, 이의 끝단에 결합된 상기한 한쌍의 절제클립(40)이 상기 플렉시블와이어(30)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벌어지거나 오므로지면서 병변부위의 일부 조직을 절제해내는 작동을 행하게 된다.
이렇게 절제클립(40)에 의하여 절제된 조직을 인체 밖으로 꺼집어 내어 검사등의 방법을 행하기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구들은 조작부(1)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데, 특히 상기한 왕복대(12)가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반쪽 왕복대(12)를 제조한 다음, 다시 서로 접착제로 접착하여 구성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절제클립(4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왕복대(12)를 밀거나 당겨주는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손잡이(5)에 엄지손가락을 끼운상태에서 상기 왕복대(12)를 중지와 집게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왕복대(12)를 밀거나 당기는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시에는 엄지손가락과 중지와 집게손가락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되는데, 엄지손가락은 고정된 상태이고 중지와 집게손가락은 왕복대(12)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반면에 왕복대(12)는 항상 왕복운동 즉, 직선운동만을 하기 때문에 중지와 집게손가락은 항상 오무리거나 벌어져야 하므로 시술작업이 자유롭 지 못하므로 쉽게 피곤해지므로 중지와 집게손가락의 파지 위치를 바꾸면서 작업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한 왕복대(12)를 타원형으로 구성한 제품이 출시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시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작부를 조립에 의한 간단한 결합을 행하면서도 중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오무리거나 펴주면서 왕복대를 왕복작업을 할 때, 상기한 왕복대를 좌,우로 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시술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왕복대의 내부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작동원형구멍, 제2작동원형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1작동원형구멍상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의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구성하고,
상기 조작부를 구성하는 몸체의 상기 장공과 가이드봉에는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와이어를 고정하는 홈부를 구성한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봉를 삽입하여 왕복작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한 작동홈부를 구성한 제1결합가이드와 제2결합가이드를 결합하여 상기 왕복대의 제1작동원형구멍과 제2작동원형구멍에 삽입하어 조립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왕복대가 상기 몸체의 일정 범위내에서 좌,우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왕복대를 왕복 작동을 행하게 하면, 왕복대가 왕복작동을 하면서도 좌, 우로 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왕복대를 파지하고 있는 중지와 집게손가락의 이동없이 용이한 시술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조립 결합을 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도 2부터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의 분해사시도, 3은 도 2에서 부분 결합사시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5는 결합가이드봉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6은 도 5를 뒤집어 투영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7은 도 4의 부분사시도, 8은 도 7에서 왕복대가 결합가이드에 끼움되는 부분 사시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10은 도 8에서 왕복대가 결합가이드와 더 끼움되는 분분 사시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왕복대가 결합가이드와 더 끼움되는 분분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서 왕복대가 결합가이드와 더 끼움되는 분분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E-E, F-F선에 따른 단면도에서 왕복대가 일측으로 회전될 때의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E-E, F-F선에 따른 단면도에서 왕복대가 도 18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포셉(Forcep), 스내어(Snare), 헤모클립(Hemoclip) 및 스톤 바스켓(Stone Basket)이 조작부(1), 와이어부(2) 및 작동부(3)으로 대별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1)는 중앙에 장공(10)이 형성된 관계로 나누어진 가이드봉(11)과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5)로 구성된 몸체(9)와, 상기 장공(10)에 결합되어 전후작동을 행하는 왕복대(12)로 구성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를 구성하는 왕복대(12)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내부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작동원형구멍(51)을 구성하면서 단턱(5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제2작동원형구멍(52)을 형성하고, 상기 제1작동원형구멍(51)상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의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1돌기(56),(56')의 폭길이 보다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제1작동원형구멍(51)상에 각각 한쌍의 제2돌기(57),(57')를 구성한다.
상기 조작부(1)를 구성하는 몸체(9)의 상기 장공(10)과 가이드봉(11)에는 본 발명의 결합가이드봉(60)가 조립결합되면서 상기한 본 발명의 왕복대(12)과 조립 결합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결합가이드봉(60)에는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와이어(20)를 고정하는 홈부(21)를 구성한 가이드돌기(61)와 상기 가이드봉(11)를 삽입하여 왕복작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한 작동홈부(22)를 구성한 제1결합가이드(70)과 제2결합가이드(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결합가이드(70)를 구성하는 가이드돌기(61)의 폭은 상기한 몸체(9)를 구성하는 상기 장공(10)의 폭으로 구성되고, 이와 연장되는 끝단에는 내측으로 향하는 제1결합돌기(71)과 그 안쪽에 제1결합요홈(72)을 구성하면서 상기 제1결합요홈(72)의 대향면에 상기한 가이드봉(11)와 동일한 곡면을 가진 제1방지턱(73)과 상기 작동홈부(22)를 구성하는 가이드반원형본체(77)의 외면에는 상기 제1작동원형구멍(5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3개의 제1-1, 제1-2, 제1-3걸림단(74),(75),(76)이 등간격(t)으로 돌출 구성되면서 상기 제1-1걸림단(74)의 양단은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2돌기(57),(57')의 폭길이(D)의 1/2D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2걸림단(75)의 중간부는 상기한 제1돌기(56),(56') 및 상기한 제2돌기(56),(56')의 폭길이(D)와 동일한 크기의 삽입요홈(78)이 형성되고, 상기한 등간격(t)은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2돌기(57),(57')의 사이간격(t)과 동일하거나 필요에 따라 약간 큰 간격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가이드(80)를 구성하는 가이드돌기(61)의 폭은 상기한 몸체(9)를 구성하는 상기 장공(10)의 폭으로 구성되고, 이와 연장되는 끝단에는 내측으로 향하는 제2결합돌기(81)과 그 대향면에 상기한 가이드봉(11)와 동일한 곡면을 가진 제2방지턱(83)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홈부(22)를 구성하는 가이드반원형본체(87)의 외면에는 상기 제1작동원형구멍(5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3개의 제2-1, 제2-2, 제2-3걸림단(84),(85),(86)이 등간격(t)으로 돌출 구성되면서 상기 제2-1걸림단(84)의 양단은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2돌기(56),(56')의 폭길이(D)의 1/2D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2-2걸림단(85)의 중간부는 상기한 제1돌기(56),(56') 및 상기한 제2돌기(57),(57')의 폭길이(D)와 동일한 크기의 삽입요홈(88)이 형성되고, 상기 제2-1걸림단(84)와 제2-2걸림단(85)의 사이에 구성되는 제1공간부(95)와 제2-2걸림단(85)과 제3-3걸림단(86)의 사이에 구성되는 제2공간부(96)에 한쪽에 테이퍼면(97)을 가진 걸림턱(82),(89)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한 등간격(t)은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2돌기(57),(57')의 사이간격(t)과 동일하거나 필요에 따라 약간 큰 간격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한 조작부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몸체(9)에 왕복대(15)의 제1작동원형구멍(51)과 제2작동원형구멍(52)을 통하여 삽입을 행하되 상기 제2작동원형구멍(52)이 상기 몸체(9)를 구성하는 손잡이(5)쪽으로 향하게 삽입을 행한다.
이와 같이 몸체(9)에 왕복대(15)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9)의 상기 장공(10)과 가이드봉(11)에는 본 발명의 결합가이드봉(60)를 조립을 행하는데, 먼저 상기한 장공(10)에 상기 결합가이드봉(60)를 구성하는 상기 제1결합가이드(70)와 상기 제2결합가이드(80)를 구성하는 가이드돌기(61)를 양방향에서 각각 삽입하여 준다.
이때 상기 제1결합가이드(70)를 구성하는 제1결합요홈(72)에 상기 제2결합가이드(80)가 구성하고 있는 상기 제2결합돌기(81)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결합가이드(70)의 제1결합돌기(71)는 상기 제2결합가이드(80)를 구성하는 가이드돌기(61)의 끝단에서 안쪽에 위치하도록 조립을 행한다.
이러한 조립을 행하면서 상기 몸체(9)를 구성하는 가이드봉(11)에 각각 제1결합가이드(70)와 제2결합가이드(80)가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작동홈부(22)가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게 되고, 또한 상기한 제1결합가이드(70)와 제2결합가이드(80)가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제1방지턱(73) 및 제2방지턱(83)이 상기 가이드봉(11)의 곡면과 서로 맞닿게 되면서 몸체(9)에 결합가이드봉(60) 즉, 상기한 제1결합가이드(70)와 제2결합가이드(80)가 장공(10)상에서 조립되는 과정을 마친다.
이러한 조립에 의하면, 상기한 제1결합가이드(70)를 구성하는 제1-1걸림단(74)의 양단이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2돌기(57),(57')의 폭길이(D)의 1/2D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제2결합가이드(80)를 구성하는 제2-1걸림단(84)의 양단은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2돌기(57),(57')의 폭길이(D)의 1/2D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므로 결국에는 제1-2걸림단(75)의 중간부에 구성된 삽입요홈(78) 및 제2-2걸림단(85)의 중간부에 구성된 삽입요홈(88)과 동일한 크기의 삽입요홈(90),(91)이 각각 형성되고 이는 상기한 제1돌기(56),(56') 및 상기한 제2돌기(57),(57')의 폭길이(D)와 동일한 크기의 삽입요홈(90),(91)이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삽입요홈(90)과 삽입요홈(91)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고, 또한 삽입요홈(78)과 삽입요홈(88)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이는 서로 등간격의 위치로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걸림단(74)와 상기 제2-1걸림단(84), 상기 제1-2걸림단(75)와 제2-2걸림단(84) 및 상기 제1-3걸림단(76)과 상기 제2-3걸림단(86)은 동일 원주상에서 결합되는 형태이므로 원형링 형태로 각각 돌출구성되고, 그 사이에는 상기 제1돌기(56),(56') 및 제2돌기(57),(57')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 제1공간 부(95)와 제2공간부(96)이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상기 삽입요홈(78), 삽입요홈(88)삽입요홈(90)과 및 삽입요홈(91)과 연통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결합가이드봉(60)를 구성하는 상기 삽입요홈(90),(91)을 상기 몸체(9)를 구성하는 제1작동원형구멍(51)에 형성된 상기 제2돌기(57),(57')를 통과시킨 다음, 제1-1걸림단(74), 제2-1걸림단(84)과 제1-2걸림단(75), 제1-2걸림단(85)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95)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90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돌기(57),(57')는 상기 제1공간부(95)에서 90도의 위치만큼 이동되면서 상기 삽입요홈(90),(91)의 위치를 벗어나서 상기 삽입요홈(78)과 삽입요홈(88)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삽입요홈(90),(91)에는 상기 몸체(9)를 구성하는 제1작동원형구멍(51)에 구성된 상기 제1돌기(56),(56')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삽입을 행하면, 상기 제2돌기(57),(57')는 삽입요홈(78)과 삽입요홈(88)을 통과하여 제2공간부(96)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돌기(56),(56')는 상기 삽입요홈(90),(91)을 통과하여 제1공간부(95)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결합가이드봉(60)를 구성하는 가이드돌기(61)는 장공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방지턱(73) 및 제2방지턱(83)과 합께 상기 제2작동원형구멍(52)의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이 행해지게 되고, 상기 결합가이드봉(60)를 구성하는 상기 제1결합가이드(70)와 제2결합가이드(80)의 제1-1걸림단(74) 및 제2-1걸림단(84)가 단턱(50)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므로 가이드반원형본체(77),(87)은 상기 제1작동원형구멍(51)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회전을 시키게 되면, 상기 제1돌기(56),(56')는 제1공간부(95)상에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돌기(57),(57')는 상기 제2공간부(96)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기(56),(56')는 제2돌기(57),(57')를 각각 제1공간부(95) 및 제2공간부(96)에서 이동을 행하면서 회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상기제1공간부(95) 및 제2공간부(96)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82),(89)을 통과시키되 상기 걸림턱(82),(89)의 테이퍼면(97)을 지나도록 강제로 각각 강제로 통과시킨다.
이러한 걸림턱(82),(89)의 통과에 의하여, 상기 제1돌기(56),(56')와 제2돌기(57),(57')를 역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도 테이퍼면(97)의 대향면에서 상기한 걸림턱(82),(89)에 걸리기 때문에 역회전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에 의하여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제2돌기(57),(57')는 제1공간부(95)과 제2공간부(96)에서 상기 걸림턱(82),(89)의 범위내에서 좌우로 회전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결국, 상기한 왕복대(15)가 몸체(9)의 장공(10)상에서 상기 가이드봉(11)의 안내를 받으면서 종래와 같이 왕복운동이 가능하면서도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왕복대(15)를 중지와 집게손가락을 잡고 행해지는 조작이고, 이러한 조작은 위 손가락들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오무리거나 펴주는 작업을 행하는 것이고, 이러한 반복 조작을 행하여도 상기한 왕복대(15)가 몸체(9)에서 왕복운동을 행하면서 좌, 우로 이동을 하므로 위 손가락들의 위치를 바꾸지 않 고도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에 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시경, 복강경 시술중에 흔히 사용되는 헤모클립(Hemoclip), 스톤 바스켓(Stone basket), 스내어(Snare), 인젝숀 니들(Injection needle)등과 같이 손을 사용한 시술장치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도 1b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부분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결합가이드봉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6은 도 5를 뒤집어 투영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7은 도 4의 부분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왕복대가 결합가이드에 끼움되는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왕복대가 결합가이드와 더 끼움되는 분분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왕복대가 결합가이드와 더 끼움되는 분분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서 왕복대가 결합가이드와 더 끼움되는 분분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E-E, F-F선에 따른 단면도에서 왕복대가 일측으로 회전될 때의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E-E, F-F선에 따른 단면도에서 왕복대가 도 18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조작부 2 : 와이어부
3 : 작동부 5 : 손잡이
9: 몸체 10 : 장공
11 : 가이드봉 12 : 왕복대
20 : 작동와이어 51 : 제1작동원형구멍
60 : 결합가이드봉 70 : 제1결합가이드
80 : 제2결합가이드

Claims (10)

  1. 포셉(Forcep), 스내어(Snare), 헤모클립(Hemoclip) 및 스톤 바스켓(Stone Basket)이 조작부(1), 와이어부(2) 및 작동부(3)으로 대별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1)는 중앙에 장공(10)이 형성된 관계로 나누어진 가이드봉(11)과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5)로 구성된 몸체(9)와, 상기 장공(10)에 결합되어 전후작동을 행하는 왕복대(12)로 구성되어진 포셉 의료기기에 있어서,
    상기 왕복대(12)를 내부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작동원형구멍(51)을 구성하면서 단턱(5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제2작동원형구멍(52)을 형성하고, 상기 제1작동원형구멍(51)상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의 제1돌기(56),(56')를 구성하고, 상기 제1돌기(56),(56')의 폭길이 보다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제1작동원형구멍(51)상에 각각 한쌍의 제2돌기(57),(57')를 구성하고,
    상기 조작부(1)를 구성하는 몸체(9)의 상기 장공(10)과 가이드봉(11)에는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와이어(20)를 고정하는 홈부(21)를 구성한 가이드돌기(61)와 상기 가이드봉(11)를 삽입하여 왕복작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한 작동홈부(22)를 구성한 제1결합가이드(70)과 제2결합가이드(80)를 결합하여 상기 왕복대(12)의 제1작동원형구멍(51)과 제2작동원형구멍(52)에 삽입하여 조립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왕복대(12)가 상기 몸체(9)의 일정 범위내에서 좌,우로 회전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가이드(70)는 상기 가이드돌기(61)와 연장되는 끝단에는 내측으로 향하는 제1결합돌기(71)과 그 안쪽에 제1결합요홈(72)을 구성하면서 상기 제1결합요홈(72)의 대향면에 상기한 가이드봉(11)와 동일한 곡면을 가진 제1방지턱(73)과 상기 작동홈부(22)를 구성하는 가이드반원형본체(7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반원형본체(77)의 외면에는 상기 제1작동원형구멍(5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3개의 제1-1, 제1-2, 제1-3걸림단(74),(75),(76)이 등간격으로 돌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1걸림단(74)의 양단은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2돌기(57),(57')의 폭길이의 1/2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2걸림단(75)의 중간부는 상기한 제1돌기(56),(56') 및 상기한 제2돌기(56),(56')의 폭길이와 동일한 크기의 삽입요홈(7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가이드(80)는 상기 가이드돌기(61)와 연장되는 끝단에 내측으로 향하는 제2결합돌기(81)과 그 대향면에 상기한 가이드봉(11)와 동일한 곡면을 가진 제2방지턱(83)과 상기 작동홈부(22)를 구성하는 가이드반원형본체(8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반원형본체(87)의 외면에는 상기 제1작동원형구멍(51)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3개의 제2-1, 제2-2, 제2-3걸림단(84),(85),(86)을 돌출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1걸림단(84)의 양단은 상기한 제1돌기(56),(56')와 상기한 제2돌기(56),(56')의 폭길이의 1/2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2걸림단(85)의 중간부는 상기한 제1돌기(56),(56') 및 상기한 제2돌기(57),(57')의 폭길이와 동일한 크기의 삽입요홈(8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1걸림단(84)와 제2-2걸림단(85)의 사이에 구성되는 제1공간부(95)와 제2-2걸림단(85)과 제3-3걸림단(86)의 사이에 구성되는 각각의 공간부에 한쪽에 테이퍼면(97)을 가진 걸림턱(82),(89)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KR1020090110340A 2009-11-16 2009-11-16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KR10110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340A KR101109734B1 (ko) 2009-11-16 2009-11-16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CN2010101122309A CN102058431B (zh) 2009-11-16 2010-02-08 用于医疗器械的操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340A KR101109734B1 (ko) 2009-11-16 2009-11-16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95A KR20110053695A (ko) 2011-05-24
KR101109734B1 true KR101109734B1 (ko) 2012-02-16

Family

ID=43994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340A KR101109734B1 (ko) 2009-11-16 2009-11-16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9734B1 (ko)
CN (1) CN10205843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614A1 (ko) * 2013-11-14 2015-05-21 (주) 태웅메디칼 인체 내강 시술용 장치
KR20160079989A (ko) 2014-12-26 2016-07-0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포셉
KR102014087B1 (ko) 2019-01-04 2019-08-26 (주)메디컬에이드 일회용 내시경 포셉
KR20200043807A (ko) 2018-10-18 2020-04-28 김평옥 바이옵시 포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5278A (zh) * 2016-08-12 2016-12-14 王淑娟 一次性使用静脉输液针
KR102571929B1 (ko) 2021-06-18 2023-08-29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조직 절제용 포셉
CN116423196B (zh) * 2023-03-23 2023-09-29 杭州圣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吸收止血结扎夹自动化组装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07U (ko) * 1989-08-11 1991-07-30
US5325866A (en) 1993-04-20 1994-07-05 Jacek Krzyzanowski Flexible biopsy forceps
JP2006068076A (ja) 2004-08-31 2006-03-16 Olympus Corp 内視鏡用処置具
JP2009261609A (ja) 2008-04-24 2009-11-12 Fujinon Corp 内視鏡用処置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8688Y (zh) * 1993-06-04 1994-03-16 雷佰敏 深部外科结结扎杆
CN201094664Y (zh) * 2007-08-24 2008-08-06 王忠春 医用自动加压取钉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07U (ko) * 1989-08-11 1991-07-30
US5325866A (en) 1993-04-20 1994-07-05 Jacek Krzyzanowski Flexible biopsy forceps
JP2006068076A (ja) 2004-08-31 2006-03-16 Olympus Corp 内視鏡用処置具
JP2009261609A (ja) 2008-04-24 2009-11-12 Fujinon Corp 内視鏡用処置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614A1 (ko) * 2013-11-14 2015-05-21 (주) 태웅메디칼 인체 내강 시술용 장치
US9913657B2 (en) 2013-11-14 2018-03-13 Taewoong Medical Co., Ltd Apparatus for transluminal procedures
KR20160079989A (ko) 2014-12-26 2016-07-07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포셉
KR20200043807A (ko) 2018-10-18 2020-04-28 김평옥 바이옵시 포셉
KR102014087B1 (ko) 2019-01-04 2019-08-26 (주)메디컬에이드 일회용 내시경 포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8431A (zh) 2011-05-18
KR20110053695A (ko) 2011-05-24
CN102058431B (zh)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734B1 (ko) 포셉 의료기기용 조작장치
JP4302602B2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処置システム並びに支持アダプタ
JP5138715B2 (ja) 止血クリップ
JP6203926B2 (ja) 縫合糸をガイ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5105814B (zh) 自定心夹子和钳夹
ES2250753T3 (es) Aparato endoscopico de sutura vascular.
JP6396667B2 (ja) 心耳結紮システム
CN105816217A (zh) 具有集成切割器的手术施夹器
US9782197B2 (en) Tissue grasping device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US10524780B2 (en)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and method
KR101703453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JP6858258B2 (ja) クリップ処置具
JP6233146B2 (ja) 体内組織保持部材の保持解除装置
WO2004000106A1 (en) Dual short throw advancer/retractor
KR101306032B1 (ko) 외과 수술용 장치
KR101812558B1 (ko) 헤모클립
JP6776581B2 (ja) クリップ取外装置
RU2223044C2 (ru) Аппарат для аппендэктомии
JP2004105326A (ja) レ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