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486B1 -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486B1
KR101109486B1 KR1020090103815A KR20090103815A KR101109486B1 KR 101109486 B1 KR101109486 B1 KR 101109486B1 KR 1020090103815 A KR1020090103815 A KR 1020090103815A KR 20090103815 A KR20090103815 A KR 20090103815A KR 101109486 B1 KR101109486 B1 KR 10110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n
fastening
crane grab
fasten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060A (ko
Inventor
홍종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4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05Grab supports, e.g. articulations; Oscillation dampers; Ori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테이터에서 돌출되고, 통과홀이 형성되는 연결체와, 그래플에서 돌출되고, 통과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체와, 관통홀과 통과홀에 삽입되는 체결핀부 및 체결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는 로테이터와 그래플이 체결핀부와 고정부의 결합에 의해 연결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부속품간의 안정적인 연결관계가 유지되도록 한다.
크레인 그래브, 핀, 유도부, 가결합

Description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CRANE GRAB}
본 발명은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속품간의 연결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그래브는 포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 등에 장착하거나 매달아서 고철이나 폐자재 또는 원료 등과 같은 스크랩을 물어서 이동시키거나 적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크레인 크래브의 구조는 크게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을 담당하는 로테이터와 하부에 위치되어 파지를 담당하는 그래플로 나누어진다.
상부에 형성되는 로테이터는 크레인의 단부에 크래비스와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이때의 링크는 로테이터의 몸체하우징에 핀으로 체결된다.
또한, 로테이터의 몸체하우징의 하측부에는 내접기어가 위치되고, 상기 내접기어는 몸체하우징의 일측부에 고정된 유압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몸체하우징의 내측부에는 선회하우징이 내접기어의 축과 조립되어 있으므로 유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로테이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로테이터의 하부에 위치되어 스크랩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그래플의 몸체 외측부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집게가 설치된다.
그리고, 크레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압유가 로테이터의 니플을 통해 내접기어의 유로를 따라 이동되어 기어니플을 거쳐 그래플 바디로 유입된 후, 다시 배출되면서 유압호스를 통해 집게의 힌지점에 장착된 유압실린더로 유입됨으로써, 유압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 집게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물체를 파지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크레인 그래브는 작업 중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속품들을 관통하는 핀이 쐐기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부속품간의 충격에 의해 쐐기가 파손되는 경우 핀이 부속품에서 이탈되어 부속품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속품간의 핀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테이터에서 돌출되고, 통과홀이 형성되는 연결체; 그래플에서 돌출되고, 상기 통과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체;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에 삽입되는 체결핀부; 및 상기 체결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체결핀부는 상기 결합체에 걸리는 핀머리; 상기 핀머리에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에 삽입되는 핀몸통; 및 상기 핀몸통에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는 핀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핀부와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 결핀부를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로 안내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유도몸체; 및 상기 유도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핀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몸체의 단부는 테이퍼진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는 로테이터와 그래플이 안정적으로 핀 결합되어 부속품간의 분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는 유도부가 통과홀과 관통홀에 선삽입된 다음 체결핀부를 안내함으로써, 체결핀부가 관통홀과 통과홀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에서 유도부의 사용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가 체결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1)는 회전을 담당하는 로테이터(10)와 파지를 담당하는 그래플(20)로 나누어진다.
그래플(20)은 다수개의 집게(21)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유입니플(22)과 유압호스(23)를 통해 이동되는 유압유에 의해 작동된다.
집게(21)의 힌지부(25)에는 유압호스(23)를 통해 이동되는 유압유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26)가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100)에는 연결체(110), 결합체(120), 체결핀부(130) 및 고정부(140)가 구비된다.
연결체(110)는 로테이터(10)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통과홀(111)이 형성된다.
결합체(120)는 그래플(20)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통과홀(111)에 대응 되는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체(120)는 한 쌍이 마주보는 형상을 하며, 결합체(120) 사이에는 연결체(110)가 위치된다.
체결핀부(130)는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에 삽입되고, 고정부(140)는 체결핀부(130)의 단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부(130)에는 핀머리(131), 핀몸통(132) 및 핀나사(133)가 구비된다.
핀머리(131)는 단면적이 관통홀(121) 보다 크고, 핀몸통(132)은 관통홀(121) 및 통과홀(111)과 동일하거나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그리고, 핀나사(133)는 핀몸통(132)의 단부에서 돌출되고, 고정부(140)에 형성되는 나사홀(141)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핀몸통(132)이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에 삽입되면, 연결체(110)와 결합체(120)는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핀머리(131)는 결합체(120)에 걸리게 되고, 고정부(140)는 핀나사(133)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반대편 결합체(120)에 걸리게 되어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체결핀부(130)와 결합되고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을 관통하여 체결핀부(130)를 관통홀(121)과 통과홀(111)로 안내하는 유도부(15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150)에는 유도몸체(151)와 나사홈부(152)가 구비된다. 유도몸체(151)는 관통홀(121)과 통과홀(111)과 대응되는 단면적을 가져,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을 통과한다. 그리고 나사홈부(152)는 유도몸체(151)의 단부에 형성되고, 핀나사(133)와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유도부(150)가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 이와 결합된 체결핀부(130)는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에 삽입된다.
이때, 유도몸체(151)의 단부는 테이퍼진 형상을 한다. 그리하면, 유도몸체(151)의 단부가 최초 관통홀(121)에 삽입될 때 결합체(120)와의 간섭이 줄어들어 원활한 삽입이 보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테이터(10)의 연결체(110)를 그래플(20)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체(120)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연결체(110)의 통과홀(111)과 결합체(120)의 관통홀(121)을 일치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체결핀부(130)를 각 홀에 삽입시키면, 핀머리(131)는 결합체(1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걸리고, 핀몸통(132)는 각각의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에 삽입되어, 연결체(110)와 결합체(120)의 연결관계를 유지시킨다.
핀몸통(132)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핀나사(133)는 고정부(140)와 나사 결합되고, 고정부(140)는 결합체(120) 중 다른 하나에 걸려, 체결핀부(13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유도부(150)는 체결핀부(130) 보다 먼저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을 통과한다. 이러한 유도부(150)는 체결핀부(130)와 결합됨으로써, 유도부(150)가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을 관통하면서 체결핀부(130)를 관통홀(121)과 통과 홀(111)로 안내한다(도 3 참조).
따라서, 유도부(150)가 연결체(110)와 결합체(120)를 가결합시킨 다음, 유도부가 지속적으로 이동되어 체결핀부(130)가 관통홀(121)과 통과홀(111)에 삽입되어 연결체(110)와 결합체(120)를 가결합 시킨다.
그런 다음, 체결핀부(130)에서 유도부(150)를 분리시키고, 고정부(140)를 체결핀부(130)의 단부에 결합시켜 줌으로써, 체결핀부(130)는 관통홀(121)와 통과홀(1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4 참조).
한편, 크레인 그래브(1)에는 부속품간의 결합을 위해 핀결합이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도부(150)와 체결핀부(130)를 통해 부속품간을 결합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에서 유도부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가 체결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테이터 20 : 그래플
110 : 연결체 111 : 통과홀
120 : 결합체 121 : 관통홀
130 : 체결핀부 131 : 핀머리
132 : 핀몸통 133 : 핀나사
140 : 고정부 150 : 유도부
151 : 유도몸체 152 : 나사홈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로테이터에서 돌출되고, 통과홀이 형성되는 연결체;
    그래플에서 돌출되고, 상기 통과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결합체;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에 삽입되는 체결핀부; 및
    상기 체결핀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핀부는
    상기 결합체에 걸리는 핀머리;
    상기 핀머리에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에 삽입되는 핀몸통; 및
    상기 핀몸통에서 돌출되고, 상기 고정부와 나사 결합되는 핀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핀부와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핀부를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로 안내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도부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는 유도몸체; 및
    상기 유도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핀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몸체의 단부는 테이퍼진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KR1020090103815A 2009-10-29 2009-10-29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KR10110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815A KR101109486B1 (ko) 2009-10-29 2009-10-29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815A KR101109486B1 (ko) 2009-10-29 2009-10-29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060A KR20110047060A (ko) 2011-05-06
KR101109486B1 true KR101109486B1 (ko) 2012-01-31

Family

ID=4423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815A KR101109486B1 (ko) 2009-10-29 2009-10-29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074B1 (ko) * 2015-01-22 2016-12-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철판 운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146A (ko) * 1997-09-19 2001-03-26 제넨테크, 인크. Tie 리간드 상동체
KR20040028290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에스에스7/브이5 프로토콜의 하위계층 구동방법
KR200428290Y1 (ko) * 2006-07-21 2006-10-11 김동극 측면개폐형 비닐하우스의 빗물 유입방지를 위한 비닐받침대
JP2009052673A (ja) * 2007-08-27 2009-03-12 Honda Motor Co Ltd 締結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146A (ko) * 1997-09-19 2001-03-26 제넨테크, 인크. Tie 리간드 상동체
KR20040028290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에스에스7/브이5 프로토콜의 하위계층 구동방법
KR200428290Y1 (ko) * 2006-07-21 2006-10-11 김동극 측면개폐형 비닐하우스의 빗물 유입방지를 위한 비닐받침대
JP2009052673A (ja) * 2007-08-27 2009-03-12 Honda Motor Co Ltd 締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060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640B2 (en) Boom foot pin attachment and detachment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CN206220720U (zh) 限位铰链
KR101109486B1 (ko) 크레인 그래브용 체결장치
US20120096998A1 (en) Lifting device for self-adjusting locking pliers
CN205346624U (zh) 一种防脱钩装置
CN203021200U (zh) 一种港机防风拉杆
CN208914017U (zh) 轴承拆卸用拉拔器
CN205906956U (zh) 一种链条导链装置
CN205616458U (zh) 一种钻机天车滑轮组件偏转机构
CN109578430B (zh) 一种防水盒连接铰链及其制作方法
CN205799390U (zh) 一种顶拔器
CN210178736U (zh) 一种船用快速连接环
KR20080004188U (ko) 크레인 그래브의 그래플
KR101099683B1 (ko) 크레인
CN218236640U (zh) 船用柴油机机架工作平台
CN110127512A (zh) 一种防滑自脱吊钩
CN216895596U (zh) 一种泵站用链条收紧器
CN213628697U (zh) 一种单轴卡扣穿线夹
CN104929240B (zh) 一种下水道除污专用抓斗装置
CN102678825A (zh) 钢丝绳快速连接器
CN217081058U (zh) 一种高强度内防滑螺栓
KR20220001477U (ko) 고중량 회전용 샤클
CN217177288U (zh) 一种可快速拆装的牵引拖链
KR20020011717A (ko) 크레인그래브의 집게 작동용 유압실린더
CN214303730U (zh) 抽油杆吊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