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890B1 -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890B1
KR101108890B1 KR1020100000494A KR20100000494A KR101108890B1 KR 101108890 B1 KR101108890 B1 KR 101108890B1 KR 1020100000494 A KR1020100000494 A KR 1020100000494A KR 20100000494 A KR20100000494 A KR 20100000494A KR 101108890 B1 KR101108890 B1 KR 10110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anastomosis
holder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323A (ko
Inventor
김철웅
조광현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0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890B1/ko
Priority to PCT/KR2011/000013 priority patent/WO2011083943A2/ko
Publication of KR2011008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1 홀더; 제2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되며, 제1 가이드그루브를 가지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2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되며, 제2 가이드그루브를 가지는 제2 가이드바;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상대이동하는 제1 가이드샤프트;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상대이동하는 제2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GUIDE GROOVE TYPE ANASTOMOSIS DEVICE}
본 발명은 문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그루브를 이용하여 문합링을 체결하는 문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 피판술(free flap)은 신체 여러 부위의 연부조직 결손 혹은 기능적, 심미적 결여를 재건하기 위해 시행되며 1973년 Daniel과 Taylor에 의해 성공적인 유리 피판술이 시행된 후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였다. 유리 피판술은 술 중 혈관 문합술이 가장 중요한 술식 중의 하나이며 미세 봉합사를 이용한 혈관 문합술은 혈관벽의 손상을 줄이면서 혈관 봉합의 정확한 술기를 익히는 데 많은 수련 기간을 필요로 하고,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며, 혈전 등의 합병증이 생길 위험성이 많은 단점이 있어 왔다. 이런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미세 결합관을 이용한 혈관 문합 방법을 1962년 Nakayama 등이 개발한 이후 외국에서는 지속적인 동물 실험과 임상 결과가 보고되어 왔다. Komei Nakayama 등은 식도 재건시 문합링(anastomosing ring)을 혈관 문합에 적용한 것을 처음 소개하였으며, 이후 기계적 문합술에 대한 지속적인 발전이 거듭되었다.
이와 같은 문합술의 장점은 첫째, 봉합사를 이용한 혈관 문합시처럼 정확하고 숙련된 술기 습득에 필요한 수련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고, 둘째, 혈관 문합 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2-3분으로 짧게 걸리며, 셋째, 술 후 추적 관찰 결과가 봉합사를 이용한 미세혈관 문합법과 비교해서 뒤떨어지지 않고, 넷째 수혜부와 공여부 혈관 직경 차이가 크게 발생할 시에도 쉽게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섯째, 제한된(협소한) 공간에서도 쉽게 문합을 시행할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형조직(예를 들어, 혈관, 대장 또는 소장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는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교한 문합이 가능한 문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1 홀더; 제2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되며, 제1 가이드그루브를 가지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2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되며, 제2 가이드그루브를 가지는 제2 가이드바;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상대이동하는 제1 가이드샤프트;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상대이동하는 제2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는 상기 제1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직선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는 상기 제2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직선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가 상기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근접위치 및 이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홀더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해제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는 상기 제1 직선그루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바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나선그루브를 더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는 상기 제2 직선그루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바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나선그루브를 더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가 상기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근접위치 및 이격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켓슬롯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소켓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소켓이동체를 가지는 소켓; 상기 소켓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가 근접위치 및 이격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각각 회동하는 제1 및 제2 링크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바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바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바의 회동축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바의 제1 및 제2 회전축은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소켓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에 체결되는 외부나사산을 가지는 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레버는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실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대; 상기 제1 가이드샤프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바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상부허브 및 제1 하부허브; 상기 제1 상부허브 및 제1 하부허브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제1 구동스크류; 상기 제2 가이드샤프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바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2 상부허브 및 제2 하부허브; 상기 제2 상부허브 및 제2 하부허브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제2 구동스크류;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다이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고정된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홀더로부터 분리하는 가압바; 그리고 상기 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젝트레버홈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압바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젝트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이젝트레버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홀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바; 그리고 상기 이동바와 상기 가압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홀더는 상기 가압바의 전단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안내면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형조직(예를 들어, 혈관, 대장 또는 소장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동작을 통해 문합링의 체결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시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몸체 및 회전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소켓과 소켓에 연결된 링크바 및 가이드바, 그리고 가이드바에 연결된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소켓의 이동에 따른 가이드바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이젝트레버와 이젝트레버에 연결된 이동바 및 가압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몸체에 형성된 이동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구동스크류의 회전에 의한 상부허브 및 하부허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혈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피판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 그리고 대장/소장 문합, 심장 질환, 그밖의 관상기관의 문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미세수술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몸체 및 회전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문합장치는 몸체(30) 및 회전레버(40), 그리고 이동소켓(50)을 구비한다. 몸체(3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이와 달리, 몸체(30)는 다각 형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술대 위에서 몸체(30)가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이며, 회전레버(40)는 몸체(30)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전레버(40)는 원기둥 형상이며, 손잡이부(42) 및 구동부(44)를 구비한다. 손잡이부(42)는 회전레버(40)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시술자는 손을 이용하여 손잡이부(42)를 회전시킨다. 이때, 손과 회전레버(40) 사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42)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홈들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44)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외부나사산(46)을 가지며, 외부나사산은 몸체(3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내부나사산(32)에 체결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레버(40)가 회전할 경우, 외부나사산(46)은 내부나사산(3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로 인해 회전레버(40)는 전진 또는 후진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외부나사산(46)과 내부나사산(32)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이동소켓(50)은 링 형상이며, 회전레버(40)의 전방에 위치한다. 회전레버(40)는 이동소켓(50)에 연결되어 이동소켓(50)과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즉, 회전레버(40)는 이동소켓(50)에 구속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레버(40)의 회전시 이동소켓(50)은 회전하지 않는다. 다만, 회전레버(40)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이동소켓(50)은 회전레버(40)와 함께 이동한다.
한편, 몸체(30)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켓슬롯(34)을 가지며, 이동소켓(50)은 소켓슬롯(34) 상에 위치하는 소켓이동체(52)를 구비한다. 회전레버(40)의 이동으로 인해 이동소켓(50)이 이동할 경우, 소켓이동체(52)는 이동소켓(50)과 함께 이동하며, 소켓슬롯(34)은 소켓이동체(52)의 이동을 안내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소켓과 소켓에 연결된 링크바 및 가이드바, 그리고 가이드바에 연결된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가이드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홀더(12,22), 제1 및 제2 종동바(14,24),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 그리고 제1 및 제2 링크바(19,29)를 더 포함한다. 두 개의 문합링(도시안함)은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각각 고정되며, 문합하고자 하는 혈관은 문합링에 삽입된 후 외번되어 문합링에 각각 고정된다. 두 개의 문합링이 체결됨으로써 혈관은 문합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1 및 제2 링크바(19,29)를 통해 이동소켓(50)에 연결되며, 이동소켓(5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하나의 회동축(54)을 가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링크바(19,29)는 회동축(54)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1 링크바(19)는 제2 링크바(29)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때, 가이드바(16,26)는 제1 각도(θ1)를 이루며, 제1 및 제2 홀더(12,22)는 서로 근접한 상태('근접위치')에 놓여져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고정된 문합링들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1 및 제2 링크바(19,29)에 연결되나,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1 및 제2 링크바(19,29)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1 및 제2 링크바(19,29)에 구속받지 않고 회전축(R1,R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가 회전할 경우 제1 및 제2 링크바(19,29)는 회전하지 않는다. 다만, 제1 및 제2 링크바(19,29)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와 함께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R1,R2)과 회동축(54)은 서로 수직관계에 놓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를 가진다.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는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18a,28a)와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18b,28b)를 가지며,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18a,28a)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18b,28b)는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18a,28a)와 연결되며, 제1 나선그루브(18b)는 제2 가이드바(26)를 향해 감기며, 제2 나선그루브(28b)는 제1 가이드바(16)를 향해 감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가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에 삽입되며,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가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를 따라 상대이동한다. 다시 말해, 실제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나,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가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18a,28a) 상에 있거나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28a,28b) 상에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가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18a,28a)를 따라 상대이동할 경우,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회동축(54)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가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18b,28b)를 따라 상대이동할 경우,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1 및 제2 링크바(19,29)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가 이동하고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가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와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의 이동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가 고정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가 이동하는 것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소켓의 이동에 따른 가이드바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레버(40)의 회전으로 인해 이동소켓(50)은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동소켓(50)이 전진 또는 후진할 경우, 이동소켓(50)에 연결된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이동소켓(50) 및 제1 및 제2 링크바(19,29)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가 이동소켓(50)에 의해 전진하여 위치한 경우,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와 함께 전진하므로,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는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는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18a,28a)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실제로,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는 고정된 상태이며,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와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18a,28a) 사이에 상대운동이 발생함)하며,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와 회동축(54)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2 각도(θ2,θ2>θ1)를 이룬다. 따라서, 제1 및 제2 홀더(12,22)는 서로 이격된 상태('이격위치')에 놓여지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고정된 문합링은 서로 이격된다. 이때, 제1 및 제2 홀더(12,22)는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각각 고정된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태('대기위치')에 놓여지며, 이 상태에서 이동소켓(50)이 후진할 경우, 제1 및 제2 홀더(12,22)가 근접위치로 전환되어 문합링은 체결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가 더 전진하여 위치하면,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가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와 함께 전진하므로,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는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18b,28b)에 진입하여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18b,28b)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실제로,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는 고정된 상태이며,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와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18b,28b) 사이에 상대운동이 발생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의 거동은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에 의해 구속되므로,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가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18b,28b)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회전한다(도 4에 도시한 제1 및 제2 회전축(R1,R2)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홀더(12,22)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와 함께 회전하여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고정된 문합링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해제위치')에 놓여진다. 이때,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와 회동축(54)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3 각도(θ3,θ3>θ2)를 이룬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이젝트레버와 이젝트레버에 연결된 이동바 및 가압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몸체에 형성된 이동홀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홀더(12,22)가 근접위치로 전환되어 문합링이 체결된 경우, 체결된 문합링을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분리유닛(60)은 문합링을 분리하며, 이젝트레버(62), 이동바(64), 연결바(66), 그리고 가압바(68)를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30)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버슬롯(36)을 가지며, 이젝트레버(62)는 레버슬롯(36) 상에 설치되어 레버슬롯(36)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또한, 몸체(30)는 몸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홀(38)을 가지며, 이동바(64)는 이동홀(38) 상에 설치되어 이젝트레버(62)의 전방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젝트레버(62)가 전후로 이동할 때 이동바(64)도 함께 이동하며, 이동바(64)는 이동홀(38)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바(64)가 원하는 이동방향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바(68)는 제1 및 제2 홀더(12,22)의 후방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압바안내면(12a,22a)(도 3 및 도 4에 도시)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며, 제1 및 제2 홀더(12,22)에 고정된 문합링을 가압하여 제1 및 제2 홀더(12,22)로부터 분리한다. 제1 및 제2 가압바안내면(12a,22a)은 가압바(68)가 문합링을 향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바(68)를 안내한다. 연결바(66)는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가압바(68)를 이동바(64)에 연결한다. 따라서, 이젝트레버(62)를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이동바(64)가 이동홀(38)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며 가압바(68)는 제1 및 제2 가압바안내면(12a,22a)을 따라 이동하여 문합링을 가압한다.
도 9는 구동스크류의 회전에 의한 상부허브 및 하부허브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경우, 홀더(12,22)에 고정된 문합링이 오정렬되어 문합링의 정확한 체결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정교한 문합을 위해서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높이를 정렬할 필요가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는 제1 및 제2 상부허브(75,85)와 제1 및 제2 하부허브(77,87)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상부허브(75,85)와 제1 및 제2 하부허브(77,87)에 의해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상부지지 및 하부지지가 가능하다.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73,83)는 제1 및 제2 상부허브(75,85) 및 제1 및 제2 하부허브(77,87)의 사이에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그루브(18,28)를 따라 상대이동한다.
제1 및 제2 상부허브(75,85)는 제1 및 제2 상부다이얼(72,82)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상부다이얼(72,82)은 제1 및 제2 상부지지대(74,84)에 형성된 제1 및 제2 관통홀(74a,84a) 및 몸체(3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다이얼홀(71,81)을 통해 몸체(30)의 상부로 인출된다. 제1 및 제2 상부다이얼(72,82)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미끄럼홈이 형성된다. 한편, 제1 및 제2 하부허브(77,87)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78,88)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78,88)의 나사산은 제1 및 제2 하부지지대(76,86)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린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78,88)가 회전할 경우,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78,88)는 승강하며, 제1 및 제2 상부허브(75,85)와 제1 및 제2 하부허브(77,87)는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78,88)와 함께 승강한다. 제1 및 제2 하부다이얼(79,89)은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78,88)에 연결되며, 몸체(30)에 형성된 하부다이얼홀(79a,89a)을 통해 몸체(30)의 하부로 인출된다. 제1 및 제2 하부다이얼(79,89)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미끄럼홈이 형성된다.
시술자는 제1 및 제2 상부다이얼(72,82) 또는 제1 및 제2 하부다이얼(79,89)을 회전하여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78,88)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78,88)는 회전시 승강하므로,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상부허브(75,85)와 제1 및 제2 하부허브(77,87)를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부허브(75,85)와 제1 및 제2 하부허브(77,87)에 의해 상부지지 및 하부지지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16,2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2,22 : 홀더 14,24 : 종동바
16,26 : 가이드바 18,28 : 가이드그루브
19,29 : 링크바 30 : 몸체
32 : 내부나사산 34 : 소켓슬롯
40 : 회전레버 42 : 손잡이부
44 : 구동부 50 : 이동소켓
52 : 소켓이동체 54 : 회동축
60 : 분리유닛 62 : 이젝트레버
64 : 이동바 66 : 연결바
68 : 가압바 72,82 : 상부다이얼
74,84 : 상부지지대 75,85 : 상부허브
76,86 : 하부지지대 77,87 : 하부허브
78,88 : 구동스크류 79,89 : 하부다이얼

Claims (11)

  1. 제1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1 홀더;
    제2 문합링이 고정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되며, 제1 가이드그루브를 가지는 제1 가이드바;
    상기 제2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근접한 근접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홀더가 이격된 이격위치로 전환되며, 제2 가이드그루브를 가지는 제2 가이드바;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상대이동하는 제1 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를 따라 상대이동하는 제2 가이드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는 상기 제1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직선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는 상기 제2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직선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가 상기 제1 및 제2 직선그루브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근접위치 및 이격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홀더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해제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제1 가이드그루브는 상기 제1 직선그루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바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나선그루브를 더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그루브는 상기 제2 직선그루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가이드바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나선그루브를 더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샤프트가 상기 제1 및 제2 나선그루브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근접위치 및 이격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켓슬롯을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소켓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소켓이동체를 가지는 소켓;
    상기 소켓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가 근접위치 및 이격위치로 전환됨에 따라 각각 회동하는 제1 및 제2 링크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바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바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바의 회동축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바의 제1 및 제2 회전축은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소켓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나사산에 체결되는 외부나사산을 가지는 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레버는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실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대;
    상기 제1 가이드샤프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바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1 상부허브 및 제1 하부허브;
    상기 제1 상부허브 및 제1 하부허브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제1 구동스크류;
    상기 제2 가이드샤프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가이드바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제2 상부허브 및 제2 하부허브;
    상기 제2 상부허브 및 제2 하부허브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나사산과 체결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제2 구동스크류; 및
    상기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구동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고정된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홀더로부터 분리하는 가압바; 및
    상기 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젝트레버홈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압바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젝트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이젝트레버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홀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와 상기 가압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홀더는 상기 가압바의 전단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안내면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KR1020100000494A 2010-01-05 2010-01-05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KR10110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494A KR101108890B1 (ko) 2010-01-05 2010-01-05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PCT/KR2011/000013 WO2011083943A2 (ko) 2010-01-05 2011-01-04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494A KR101108890B1 (ko) 2010-01-05 2010-01-05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323A KR20110080323A (ko) 2011-07-13
KR101108890B1 true KR101108890B1 (ko) 2012-01-30

Family

ID=4430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494A KR101108890B1 (ko) 2010-01-05 2010-01-05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08890B1 (ko)
WO (1) WO201108394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169B1 (ko) 2013-01-08 2013-06-12 (주)트리플씨메디칼 분기식 드라이브바를 구비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1342622B1 (ko) 2013-01-02 2013-12-17 (주)트리플씨메디칼 정-역 나사산을 이용한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724A (ko) 2011-08-11 201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CN109646066A (zh) * 2019-02-19 2019-04-1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步式血管吻合器
CN112790814B (zh) * 2021-01-21 2023-08-01 吴一芃 一种游离皮瓣移植手术血管快速阻断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090A (en) 1982-06-24 1990-04-17 Unilink, Inc. Method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JP2005095564A (ja) 2003-08-29 2005-04-14 Terumo Corp 手術器具
US7223274B2 (en) 2002-01-23 2007-05-29 Cardica, Inc. Method of performing anastomosi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2273B4 (de) * 2001-10-20 2007-03-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redundanten Abschaltpfades
KR101011445B1 (ko) * 2008-04-11 2011-01-28 (주)트리플씨메디칼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090A (en) 1982-06-24 1990-04-17 Unilink, Inc. Method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US7223274B2 (en) 2002-01-23 2007-05-29 Cardica, Inc. Method of performing anastomosis
JP2005095564A (ja) 2003-08-29 2005-04-14 Terumo Corp 手術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622B1 (ko) 2013-01-02 2013-12-17 (주)트리플씨메디칼 정-역 나사산을 이용한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1274169B1 (ko) 2013-01-08 2013-06-12 (주)트리플씨메디칼 분기식 드라이브바를 구비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43A3 (ko) 2011-11-17
KR20110080323A (ko) 2011-07-13
WO2011083943A2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890B1 (ko) 가이드그루브 방식의 문합장치
CN101700191B (zh) 组织夹紧器具
JP6556210B2 (ja) 脈管プロテーゼ送達デバイスおよび使用方法
EP3582697B1 (en) Suturing devices for heart valve surgery
ES2896908T3 (es) Dispositivo de fruncido de válvula protésica
US20220240913A1 (en) Puncture Core Assembly and Puncture Device with Puncture Core Assembly
CN102573702A (zh) 经心尖传送装置及使用方法
WO2021136252A1 (zh) 造口系统
CN105962981A (zh) 一种关节转动结构及具有该结构的吻合器
CN201108460Y (zh) 外科用装订器械旋转刀头
CN202619754U (zh) 一种带有间隙调节机构的吻合器
WO2009000160A1 (fr) Tête de coupe rotative pour agrafeuse chirurgicale
WO2020200149A1 (zh) 用于输送植入体的驱动手柄及输送系统
KR100994112B1 (ko) 구동체 및 종동체를 구비하는 관상기관 문합장치
CN112827054A (zh) 一种适用于大血管手术的插管推进装置
CN113456141A (zh) 一种吻合器的主动弯转系统
KR100982581B1 (ko) 회전병진이동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CN111374737A (zh) 一种穿刺芯组件和穿刺器
KR101027744B1 (ko) 자동봉합장치
CN215688177U (zh) 一种吻合器抵钉座呈递装置
CN219089434U (zh) 一种血管缝合装置
CN213249408U (zh) 一种通用型消化道吻合器
CN112754574B (zh) 一种弧形切割吻合器及其操作方法
KR100995794B1 (ko) 구동기어들을 구비하는 관상기관 문합장치
CN116327292A (zh) 一种外翻式膀胱尿道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