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758B1 -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758B1
KR101108758B1 KR1020090033338A KR20090033338A KR101108758B1 KR 101108758 B1 KR101108758 B1 KR 101108758B1 KR 1020090033338 A KR1020090033338 A KR 1020090033338A KR 20090033338 A KR20090033338 A KR 20090033338A KR 101108758 B1 KR101108758 B1 KR 10110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liquid
drum
processing apparatus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301A (ko
Inventor
배상훈
김민지
송성호
진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080016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388174B/zh
Priority to AU2010237668A priority patent/AU2010237668B2/en
Priority to CN201310201436.2A priority patent/CN103334276B/zh
Priority to EP10764686.1A priority patent/EP2420610B1/en
Priority to PCT/KR2010/002380 priority patent/WO2010120147A2/ko
Priority to CN201310538270.3A priority patent/CN103628289B/zh
Priority to US13/203,391 priority patent/US9145637B2/en
Publication of KR2010009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758B1/ko
Priority to US14/319,734 priority patent/US998875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측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수단;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처리 대상물에 분사될 발향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 상기 발향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수단; 상기 의류 처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따라서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조작수단에는 발향액 분사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향 선택수단 및 상기 향 선택수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발향액 분사에 관한 세부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세부사항 설정수단이 포함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건조기, 향분사, 코스, 조작수단

Description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INJ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옷감의 건조 외에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위한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조기 또는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와 같은 의류 처리장치는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및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풍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드럼 내부에 옷감이 투입된 상태에서, 고온의 열풍을 드럼 내부에 공급하여 옷감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단순히 옷감의 건조 뿐만 아니라, 건조가 완료된 후 옷감의 주름 제거(de-wrinkle), 연화(softening), 냄새 제거(de-odor), 정전기 제거(de-static) 및 향 부가(scent)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가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부가 기능은 건조 과정 중에 드럼 내부에 스팀 또는 발향액 등과 같은 액체를 분사하는 것에 의해 발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에 이러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 내에 저장된 액체를 드럼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수단을 포함하게 된다.
이를 통해, 드럼 내부에 스팀을 분사하여 주름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방지 및 연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발향액을 분사하여 원하는 향을 부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부가 기능들은 사용자가 사전에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코스를 선택하거나 또는 특정 기능만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는 모두 의류 처리장치의 조작 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조작 버튼들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작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조작 패널은 상술한 발향액 분사와 관련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수단은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조작 버튼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 패널에는 전원 버튼(10), 사전에 프로그래밍되어 있는 각각의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선택 버튼(12), 각각의 코스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정지 시키는 동작/일시정지 버튼(14), 건조 정도를 선택하기 위한 건조 레벨 버튼(16), 건조시에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지정하기 위한 온도 조절 버튼(18), 건조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건조시간 설정 버튼(20), 각종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비프음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비프음 설정 버튼(22) 및 각종 선택 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옵션 선택 버튼(2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의류 처리 장치에 향분사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서 이러한 향분사와 관련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 필요하게 되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을 갖는 건조기의 경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게 되므로 조작 버튼의 배치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향부가 기능을 위한 조작버튼을 추가하는 경우 각각의 조작 버튼 및 그와 연관된 기능을 위한 조작 버튼을 찾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액체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향분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수단을 갖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측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수단;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처리 대상물에 분사될 발향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 상기 발향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수단; 상기 의류 처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따라서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조작수단에는 발향액 분사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향 선택수단 및 상기 향 선택수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발향액 분사에 관한 세부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세부사항 설정수단이 포함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발향액 분사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서 발향액 분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향 선택수단 및 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세부사항 설정수단으로 구성하여 향 분사 기능의 조작을 단순화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세부사항으로는 향강도, 건조 대상물의 포량 및 포질 등을 포 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향강도 조절수단, 포량 입력수단 및 포질 입력수단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사항에 따라 발향액 분사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은 상기 향 선택수단이 선택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란 조작수단을 통해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발향액이 분사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이 활성화된 경우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수단은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의 주위 또는 저면에 배치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향부가 기능을 향부가 선택수단 및 그와 관련된 세부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세부사항 설정수단을 통해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고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및 그의 작동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 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건조기에 적용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기(100)는 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본체(102)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2)의 전면에는 건조 대상물인 의류를 본체(102)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4)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04)는 도어(106)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투입구(104)의 상측에는 상기 건조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조작 패널(108)이 위치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건조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 기능을 갖는 임의의 의류 처리장치 예를 들면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 패널(108)의 일측에는 드로워 커버(110)가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커버(110)의 내측에는 후술할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그 내부에 드럼에 분사할 액체, 구체적으로는 발향액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발향액은 물과 발향 원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인 건조기는 본체(10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서 건조대상물이 건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드럼(120)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120)은 전방과 후방에서 서포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0)은 동력전달벨트(122)로 건조기 하부에 구비된 구동모터(15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드럼(120)의 후방에 흡입덕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덕트(130)의 입구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0)의 전방 하측에는 드럼(12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에 포함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80)가 설치되고, 이물질을 거른 후 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완전히 배출하는 덕트(170, 190)가 설치된다.
상기 덕트(170,190)에는 상기 드럼(120) 속의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기 외부로 강제 송풍하기 위해서 송풍팬(1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덕트(190)는 그 일단부가 본체(102) 외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송풍팬(16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송풍팬(160)은 상기 드럼에서 공기가 배기되는 덕트 상에 존재하여 드럼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배기 덕트 쪽으로 흡입하는 형식인 풀 타입의 송풍팬이다. 그러나 건조기 구성에 따라서는, 드럼으로 열풍이 공급되는 흡입덕트(130)내에 송풍팬이 위치하도록 하여 흡입덕트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드럼으로 밀어 넣는 형식일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형식을 푸쉬타입이라고 한다.
상기 구동모터(150)의 일측에 형성된 풀리에는 드럼 구동을 위한 동력전달벨트(122)가 연결되어 있고, 구동모터(150)의 타측에는 상기 송풍팬(160)을 구동하기 위해서 송풍팬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50)가 회전하면 상기 드럼 및 송풍팬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드럼과 송풍팬을 동시에 구동하는 시스템을 1모터 시스템이라고 한다.
그런데, 상기 드럼(120)을 회전시키는 드럼 구동 모터와 송풍팬(160)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가 각각 별개의 모터로 이루어져서 2개의 모터가 구비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4는 건조기 내부의 드럼과 카트리지가 드로워에 삽입되는 타입의 향 공급모듈을 간략화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 커버(110)의 배면에는 드로워(11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드로워(112)는 상기 드로워 커버(110)와 함께 인입인출 가능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내측에 카트리지(113)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카트리지(113)는 속이 비어있는 용기로서 상부면에 형성되는 주입구(114)를 통해서 주입된 발향액을 내부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113)는 체크 밸브(미도시) 등을 통해서 분사용 펌프(115)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카트리지(113)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펌프(115)에 의해 고압으로 분사되면서 연결 호스(116)를 따라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호스(116)는 상기 드럼(1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면 서포터에 고정되는 흡입덕트(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노즐(118)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서, 카트리지(113) 내에 저장된 발향액을 무화된 상태로 상기 흡입덕트(130)를 통해서 상기 드럼(120) 내측으로 분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이 흡입덕트(13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상기 노즐(118)이 드럼의 후면에 설치되어서 드럼의 내부로 직접 발향액을 분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113) 내부 또는 상기 연결 호스(116)에는 카트리지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전극 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전극 센서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사이에서의 액체의 저항으로 인한 전압강하 정도를 측정하여 액체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동시에 하나의 카트리지만이 건조기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발향액 또는 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를 교환하여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두 개의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는 예도 고려할 수 있으며, 각각의 카트리지에는 물과 발향액이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 패널(108)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작 패널(108)의 좌측에는 전원 버튼(10)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 버튼(10)의 우측에는 코스 선택 노브(30)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도 1에서 설명된 버튼 중복되는 버튼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코스 선택 노브(30)의 외주부에는 건조기에 구비되는 각각의 코스에 해당하는 항목이 기재되어 있고, 상기 코스 선택 노브(30)를 회전시켜서 상기 항목 중 하나와 노브(30)의 표시선(미도시)을 일치시키는 것에 의해 구비된 코스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노브(30)의 우측에는 동작/일시 정지 버튼(14)이 구비되고, 그 우측으로는 건조 레벨 버튼(16), 건조시에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를 지정하기 위한 온도 조절 버튼(18) 및 각종 선택 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옵션 선택 버튼(2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건조 레벨 버튼(16)의 상부에는 설정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건조 레벨 표시수단(16a)이 구비되는데 상기 건조 레벨 표시수단(16a)은 다수의 LED 소자로 구성되고, 건조 레벨 버튼(16)을 누를 때마다 상기 LED 소자 중 해당되는 레벨의 소자가 발광된다. 이는 상기 온도 조절 버튼(18)의 상부에 배치되는 온도 표시수단(18a)에서도 동일하다.
상기 온도 조절 버튼(18)의 우측에는 향 선택버튼(40)이 구비된다. 상기 향 선택버튼(40)은 상기 노브(30)에 의해 코스를 선택한 후, 해당 코스 수행 후에 발향액을 분사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향 선택버튼(40)을 누르면 상부에 배치된 LED(40a)가 점등되면서 발향액 분사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건조 과정이 끝난 후 발향액을 분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코스 선택을 하지 않고 상기 향 선택버튼(40)을 누르면 건조과정없이 발향액을 분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향 선택버튼(40)의 상부에는 카트리지 내에 발향액이 부족한 경우 이를 알려주는 재충전 램프(40b)가 구비된다. 상기 재충전 램프(40b)는 발향액이 부족한 경우 뿐만 아니라 건조기 내에 발향액을 저장하는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도 발광할 수 있다. 물론, 카트리지 미장착 여부를 위한 별도의 램프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기 향 선택버튼(40)과 인접하여 향강도 설정버튼(50)이 구비된다. 상기 향강도 설정버튼(50)은 사용자가 누를 때마다 4단계로 향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설정된 향강도는 향강도 표시수단(50a)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향강도 조절버튼(50)은 상기 향 선택버튼(40)에 의해 발향액이 분사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만 활성화되고, 그 이외에는 버튼을 눌러도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상기 향강도 조절버튼(50)을 눌러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향액 분사를 선택한 후 순차적으로 향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 편의성도 증대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향강도 조절버튼(50)의 하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LED 소자가 설치되어 상기 향강도 조절버튼(50)이 활성화된 경우 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한다. 상기 옵션 버튼(24) 중에서 도면 부호 24a는 건조시간 설정버튼으로서 상기 건조시간 설정버튼(24a)을 통해서 소정시간 동안만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향강도 조절버튼(50)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세부사항 설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향강도 조절버튼과 인접하여 포량 입력버튼 또는 포질 입력버튼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건조 대상물의 양 및 옷감의 종류 등을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이렇게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발향액 분사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작 수단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향 선택버튼(40)과 향강도 조절버튼(50)의 주위에 직사각형 형태의 패턴(60)을 인쇄 또는 부착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패턴(60) 내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버튼이 서로 기능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되어 기기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만일, 상술한 포량 입력버튼 및 포질 입력버튼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이들을 모두 하나의 패턴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조작 수단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향 선택버튼과 향강도 조절버튼을 하나의 버튼으로 일체화 시킨 것이다. 도 7에서 도면 부호 24b는 각종 경고음 출력을 설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비프음 설정버튼이고, 26은 상술한 건조시간 설정버튼이며, 26a는 설정된 건조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향강도 조절버튼(50)의 상부에 구비되는 LED(50a)에는 설정된 향 강도를 4단계에 걸쳐서 표시된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노브(30)를 통해 코스를 선택한 후 상기 향강도 조절버튼(50)의 조작없이 동작 버튼(14)을 누르면 발향액 분사가 없는 일반적인 건조 코스가 수행되고, 코스 선택 후 상기 향강도 조절버튼(50)을 통해서 분사될 향강도를 입력하면 건조 코스 수행 후 발향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도, 상술한 포량 및 포질 입력버튼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조기의 조작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포함되는 조작 패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포함되는 조작 패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포함되는 조작 패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Claims (7)

  1.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로서,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측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 공급 수단;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처리 대상물에 분사될 발향액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
    상기 발향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수단;
    상기 의류 처리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따라서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조작수단에는 발향액 분사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향 선택수단 및 상기 향 선택수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발향액 분사에 관한 세부사항을 설정하기 위한 세부사항 설정수단이 포함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에는 상기 발향액에 의한 향 강도를 설정하기 위한 향강도 조절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향강도 조절수단에 의해 선택된 향강도에 따라 향강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에는 건조 대상물의 양을 입력하기 위한 포량 입력수단이 추가적으로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포량 정보에 따라 발향액 분사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에는 건조 대상물의 종류를 입력하기 위한 포질 입력수단이 추가적으로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건조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발향액 분사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은 상기 향 선택수단이 선택된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이 활성화된 경우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세부사항 설정수단의 주위 또는 저면에 배치되는 발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090033338A 2009-02-17 2009-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110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160354A CN102388174B (zh) 2009-04-16 2010-04-16 具有液体喷射功能的衣物处理设备
AU2010237668A AU2010237668B2 (en) 2009-04-16 2010-04-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praying function
CN201310201436.2A CN103334276B (zh) 2009-04-16 2010-04-16 具有液体喷射功能的衣物处理设备
EP10764686.1A EP2420610B1 (en) 2009-04-16 2010-04-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praying function
PCT/KR2010/002380 WO2010120147A2 (ko) 2009-04-16 2010-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CN201310538270.3A CN103628289B (zh) 2009-04-16 2010-04-16 衣物处理设备
US13/203,391 US9145637B2 (en) 2009-02-17 2010-04-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praying function
US14/319,734 US9988756B2 (en) 2009-02-17 2014-06-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pray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102 2009-02-17
KR20090013102 2009-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01A KR20100094301A (ko) 2010-08-26
KR101108758B1 true KR101108758B1 (ko) 2012-02-16

Family

ID=4275847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38A KR101108758B1 (ko) 2009-02-17 2009-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090033337A KR101040423B1 (ko) 2009-02-17 2009-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090033335A KR101108760B1 (ko) 2009-02-17 2009-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090033336A KR101040386B1 (ko) 2009-02-17 2009-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37A KR101040423B1 (ko) 2009-02-17 2009-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090033335A KR101108760B1 (ko) 2009-02-17 2009-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090033336A KR101040386B1 (ko) 2009-02-17 2009-04-16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145637B2 (ko)
KR (4) KR101108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5927B2 (ja) 2010-05-18 2015-05-27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高効率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28406A (ko) * 2012-08-28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와 이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72373B2 (en) 2013-03-15 2018-09-1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laundry items
US9702074B2 (en) 2013-03-15 2017-07-1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laundry items
KR20140121027A (ko) * 2013-04-04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패널, 컨트롤패널의 제어방법 및 상기 컨트롤 패널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EP2789728B1 (en) * 2013-04-08 2017-06-2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of a laundry dryer
US10036115B2 (en) * 2015-07-20 2018-07-3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displa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BE1023000B1 (fr) * 2015-09-11 2016-10-31 Manoha Sprl Séchoir, en particulier pour le séchage de vêtements et d'accessoires pour salle blanche
US11018888B2 (en) 2015-12-03 2021-05-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of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US11098436B2 (en) 2019-07-10 2021-08-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dditive reservoir receptacle for an appliance
CN114411390B (zh) * 2022-01-25 2022-12-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留香珠投放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458A (ko) * 2004-07-20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80107766A (ko) * 2007-06-08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세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893A (en) 1956-05-02 1957-10-01 Gen Electric Clothes dryer with clothes odorizing means
JPS51137960A (en) 1975-05-23 1976-11-29 Hitachi Ltd Drum dryer
DE2823351A1 (de) * 1978-05-29 1979-12-13 Henkel Kgaa Verfahren zum konditionieren und trocknen von waesche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642908A (en) * 1985-04-26 1987-02-17 Whirlpool Corporation Additive dispenser for clothes dryer
CA1280907C (en) * 1986-02-15 1991-03-05 Kabushiki Kaisha Toshiba Detergent dispensing system for clothes washing machine or the like
JPH0768094A (ja) 1993-08-31 1995-03-14 Sekisui Chem Co Ltd 衣類乾燥機
GB9823559D0 (en) * 1998-10-28 1998-12-23 Brulines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a fluid in a conduit
US7066412B2 (en) 2002-05-28 2006-06-27 Johnsondiversey, Inc. Apparatu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dding fragrance to laundry
CA2517583C (en) * 2002-11-08 2008-02-19 Heather R. Schramm Dispensing of multiple volatile substances
JP2005095226A (ja) 2003-09-22 2005-04-14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1529875A3 (en) 2003-11-04 2017-05-17 LG Electronics, Inc.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16480B2 (en) * 2005-03-16 2016-08-1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ing ste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888206A (zh) 2005-06-30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备烘干功能的滚筒洗衣机
US7921578B2 (en) *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554463B2 (en) 2006-04-18 2009-06-3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EP1852541B1 (en) * 2006-05-02 2011-08-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ryer with drying sequence using an additive
DE602006006292D1 (de) 2006-05-02 2009-05-28 Electrolux Home Prod Corp Trockner mit einem zusatzunterstützten Trocknungsprogramm
DE602006020413D1 (de) 2006-05-02 2011-04-14 Electrolux Home Prod Corp Trockner mit geändertem Trocknungsprogramm
US8707743B2 (en) 2006-08-02 2014-04-29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P2126183B1 (en) 2006-12-11 2012-07-18 LG Electronics Inc. Washing/drying machine
KR101448619B1 (ko) * 2007-07-06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
EP2152949B1 (en) 2007-07-10 2012-08-29 LG Electronics Inc. Removing method of smells
US20090272004A1 (en) * 2008-05-01 2009-11-05 Whirlpool Corporation Intelligent dispensing in a laundry appliance
US8286288B2 (en) * 2008-07-01 2012-10-1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dicating operational information for a bulk dispensing system
US7950088B2 (en) * 2008-07-01 2011-05-3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indicating operational information for a dispensing system having both single use and bulk dispensing
KR101521911B1 (ko) 2008-08-06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KR101495174B1 (ko) 2008-08-07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향 공급유닛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1502006B1 (ko) 2008-08-08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8458A (ko) * 2004-07-20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80107766A (ko) * 2007-06-08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0423B1 (ko) 2011-06-13
US9988756B2 (en) 2018-06-05
US20140310973A1 (en) 2014-10-23
US9145637B2 (en) 2015-09-29
KR20100094301A (ko) 2010-08-26
KR20100094298A (ko) 2010-08-26
US20120017457A1 (en) 2012-01-26
KR20100094299A (ko) 2010-08-26
KR101040386B1 (ko) 2011-06-13
KR101108760B1 (ko) 2012-02-16
KR20100094300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758B1 (ko) 액체 분사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EP2145997B1 (en) Clothes dryer having fragrance supplying module
EP2055827B1 (en) Control method of dryer
KR101056942B1 (ko) 진동자를 이용한 향 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EP2145995B1 (en) Clothes dryer having fragrance supplying module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100917827B1 (ko) 스팀 세탁장치
US20150168060A1 (en) Control method of fabric treatment apparatus
CN103628289B (zh) 衣物处理设备
CN103334276B (zh) 具有液体喷射功能的衣物处理设备
KR101174660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의 향 분사방법
KR101040493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의 향 분사방법
EP242061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liquid spraying function
KR101108822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방법
KR101414622B1 (ko) 건조기
KR101108814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방법
KR101108810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방법
KR101072029B1 (ko) 향 공급모듈이 구비된 의류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