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601B1 -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 - Google Patents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601B1
KR101108601B1 KR1020100045108A KR20100045108A KR101108601B1 KR 101108601 B1 KR101108601 B1 KR 101108601B1 KR 1020100045108 A KR1020100045108 A KR 1020100045108A KR 20100045108 A KR20100045108 A KR 20100045108A KR 101108601 B1 KR101108601 B1 KR 10110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unwinding
roll
uni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531A (ko
Inventor
전기영
유영택
하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
Priority to KR102010004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6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0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web roll being unwound
    • B65H23/08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web roll being unwound and controll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제품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공급되어야 하는 롤 형태의 비닐원단, 부직포 원단 등의 원단 권출부재가 손모양으로 성형됨에 알맞도록 자동 조절되어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연속공급되는 원단 권출부재가 뒤틀리거나 꼬이지 않고 일정 텐션을 가지면서 공급되어, 제조되는 비닐장갑의 품질이 일정하면서도 향상되도록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일측으로 구비되고,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로부터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에 성형틀로 압력을 가하는 성형부가 구비되고,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권출부재가 당겨지도록 하는 권출작동부가 구비되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 성형부, 권출작동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조장치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VINYL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TENSION ADJUSTING DEVICE AND VINYL GLOVE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비닐제품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공급되어야 하는 롤 형태의 비닐원단, 부직포 원단 등의 원단 권출부재가 손모양으로 성형되기 적당하게 자동 조절되어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연속공급되는 원단 권출부재가 뒤틀리거나 꼬이지 않고 일정 텐션을 가지면서 공급되어, 제조되는 비닐장갑의 품질이 일정하면서도 우수하도록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비닐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비닐장갑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닐장갑의 경우 그 두께가 얇아 식재료를 직접 만지는 것과 같은 촉감을 얻을 수 있어, 일반적인 고무장갑보다 조리가 훨씬 쉽고 각종 자극성 음식재료로부터 손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닐장갑을 제조하는 경우에, 롤 형태로 감겨진 비닐원단으로부터 비닐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손 모양의 형틀을 이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롤 형태의 비닐원단은 연속해서 계속 공급되지만 손 모양의 형틀에 의해 성형되는 중에 일시 진행이 정지되어야 하므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처럼 연속공급되는 비닐원단이 불규칙한 비율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손모양 등을 성형하게 되나, 이러한 경우에도 비닐원단의 일부는 풀려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처럼 불특정 길이로 풀려진 원단이 서로 꼬이거나 뒤틀릴 수 있고, 뒤틀린 경우에는 손모양이 제대로 성형되지 않고,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연속공급되는 과정 및 손모양으로 성형되는 과정 중에 일부 불량이 발생된다 하여 제조장치를 그대로 세워두기란 쉽지 않은 절차이고, 또한 다시 재가동을 한다 하여도 일부 원단 재료는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손모양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연속공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효과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속공급되어야 하는 롤 형태의 비닐원단, 부직포 원단 등의 원단 권출부재가 손모양으로 성형되기 적당하게 자동 조절되어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연속공급되는 원단 권출부재가 뒤틀리거나 꼬이지 않고 일정 텐션을 가지면서 공급되어, 제조되는 비닐장갑의 품질이 일정하면서도 향상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특히 손 모양으로 성형되는 부분에서 원단 권출부재를 당기는 힘의 정도를 감지하여, 롤 형태의 원단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단이 공급되는 부분과 성형되는 부분 사이에서 항상 늘어지지 않도록 하여, 원단이나 불필요한 부재들의 낭비를 막고, 장치의 전체 길이도 짧아지도록 하여, 제조장치의 소형화도 이루면서 제조 공간도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롤 형태의 원단 권출부재를 회전되도록 하는 중에 권출되도록 하는 회전 축봉에는 에어압력을 이용하여 원단 권출부재의 요동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권출작동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와 같이 안정적으로 양호한 품질의 비닐장갑이 제조되도록 함과 함께, 원단의 권출부재가 권출되도록 하는 부분에, 원단의 종류와 권출되는 원단의 수를 알맞게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비닐장갑, 부직포내겹비닐장갑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롤권출회동축부(21)가 형성된 롤권출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롤권출부(20)로부터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지나는 가압센싱롤러(23)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센싱롤러(23)와 연결되어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에 의해 눌려지는 가압력을 센싱하는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가 구비되고,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로부터 전송되는 가압센싱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가압센싱컨트롤러(27)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센싱컨트롤러(27)의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는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는, 상기 가압센싱롤러(23)의 센싱롤러축(231)을 지지하는 센싱롤러축브라켓(232)과 연결되는 센싱브라켓결합부(251)와; 상기 센싱브라켓결합부(251)의 아래측에 결합되어 가압센싱롤러(23)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센싱바디(25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센싱컨트롤러(27)는,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로부터 전송되는 가압력이 표시되는 가압력표시창(271)과;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작동되는 설정값이 표시되는 설정값표시부(272)와; 상기 설정값표시부(272)에 표시되는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한 설정값조절부(273)가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롤권출회동단속부(29)는 상기 가압센싱컨트롤러(27)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에 의하여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권출회동축부(21)는,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권출에어샤프트(211)와; 상기 권출에어샤프트(211)의 끝단 중앙에 형성되어 권출에어샤프트(21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샤프트에어주입부(212)와; 상기 권출에어샤프트(211)의 외면에 결합되어 주입되는 에어압력에 의하여 권출에어샤프트(211)에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롤고정리프트(213)가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가 일측으로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로부터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에 성형틀로 압력을 가하는 성형부(40)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당겨지도록 하는 권출작동부(60)가 구비되며,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 성형부(40), 권출작동부(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조장치제어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와 성형부(40) 사이에 구비되고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권출부재긴장장치(15)가 더 구비되어지되, 상기 권출부재긴장장치(15)는,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막대형상의 긴장로드부(151)와; 상기 긴장로드부(151)의 다수 곳에 간격을 두어 회동가능하게 된 다수의 긴장롤러(152)와; 상기 긴장로드부(151) 상측의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긴장롤러(152)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연동긴장롤러(153)가 구비되어,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다수의 연동긴장롤러(153)와 다수의 긴장롤러(152) 사이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에 있어서,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이 구비되어,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의하여 2단레이어의 홑겹비닐장갑(121)과; 또는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 제3비닐롤(113), 제4비닐롤(114)이 구비되어,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의하여 4단레이어의 이중비닐장갑(122)과; 또는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과 함께 부직포로 되는 제1부직포롤(115), 제2부직포롤(116)이 구비되어,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의하여 내부의 2단레이어의 부직포층과 외부의 2단레이어의 비닐층으로 되는 부직포내겹비닐장갑(123) 중에서 어느 한 가지의 비닐장갑으로 구비되고, 상기 홑겹비닐장갑(121), 이중비닐장갑(122), 부직포내겹비닐장갑(123) 중 어느 한 가지의 비닐장갑의 내부로 기능성영양성분이 도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연속공급되어야 하는 롤 형태의 비닐원단, 부직포 원단 등의 원단 권출부재가 손모양의 제품, 비닐봉투 등의 형상으로 성형되기 적당하게 원단공급이 자동 조절되어 권출되도록 함으로써, 연속공급되는 원단 권출부재가 뒤틀리거나 꼬이지 않고 일정 텐션을 가지면서 공급되어, 제조되는 비닐장갑, 비닐봉투 등으로 하는 비닐제품의 품질이 일정하면서도 우수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손 모양, 비닐봉투 등의 비닐제품으로 성형되는 부분에서 원단 권출부재를 당기는 힘의 정도를 감지하여, 롤 형태의 원단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원단이 공급되는 부분과 성형되는 부분 사이에서 원단이 항상 늘어지지 않도록 하여, 원단이나 불필요한 부재들의 낭비를 막고, 장치의 전체 길이도 짧아지도록 하여, 비닐제품 제조장치의 소형화도 이루면서 제조 공간도 줄어들게 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비닐제품 제조를 위한 롤 형태의 원단 권출부재를 회전되도록 하는 중에 권출되도록 하는 회전 축봉에는 에어압력을 이용하여 원단 권출부재의 요동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권출작동이 이뤄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와 같이 안정적으로 양호한 품질의 비닐장갑, 비닐봉투 등의 비닐제품이 제조되도록 함과 함께, 원단의 권출부재가 권출되도록 하는 부분에, 원단의 종류와 권출되는 원단의 수를 알맞게 되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비닐 제품 중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비닐장갑, 부직포내겹비닐장갑이 양호한 상태로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의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의 권출부재가압센싱부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의 권출부재가압센싱부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의 롤권출부에 대한 정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의 롤권출부에 대한 후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의 권출작동부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권출부재긴장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비닐장갑의 제조를 위한 비닐제품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내겹장갑의 제조를 위한 비닐제품제조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홑겹비닐장갑에 대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이중비닐장갑에 대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내겹비닐장갑에 대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내겹비닐장갑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10)는 도 1 내지 도 16 등에서와 같이, 일측으로 롤형태로 감겨진 권출부재(11)가 공급되도록 하고, 이러한 권출부재(11)에 융착날(41)에 의하여 장갑형태로 성형된 후 배출되도록 하여 비닐장갑(12), 비닐봉투(미도시됨) 등을 비롯한 비닐제품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는 일측으로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가 구비되는 것으로, 롤형태의 권출부재(11)가 결합되어, 권출부재(11)가 연속해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는, 일반적으로 투명의 비닐이 공급될 수 있고, 또는 불투명이나 반투명의 고무재, 비닐재가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권출부재(11)의 일부 재료로 부직포가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부직포가 포함된 비닐장갑의 경우, 첨부된 도 15, 도 16 등의 예에서와 같이, 내부에 부직포가 포함되고 반면 외부로 비닐층이 감싸도록 하여 비닐장갑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부직포가 포함된 비닐장갑은 추운 겨울철에 찬물을 이용할 경우에도 유리할 것이고, 부직포에 의해 비닐장갑 내부에 손의 피부와 비닐과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땀이나 물기의 습기에 영향없이 비닐장갑을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비닐장갑의 제조의 경우에는 비닐재원단, 부직포 원단 등의 다양한 재질의 원단이 공급되어 비닐장갑이 제조될 수 있고, 이외에도 투명재원단, 불투명재원단, 색상을 갖는 원단, 엠보싱 돌기와 홈의 요철형상을 갖는 원단 등이 공급되어 비닐봉투, 비닐장갑 등 다양한 종류의 비닐제품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하에서는 비닐장갑을 주로 하여 기술설명을 하도록 하며, 이러한 설명에 의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비닐장갑을 비롯하여 비닐제품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처럼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로부터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상황에 따라 알맞은 재질로 하여 구비되고, 이에 따른 부속장치들의 구성을 필요시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로부터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에 성형틀로 압력을 가하는 성형부(4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성형부(40)에는 가열된 융착날(41)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융착날(41)이 가열된 상태에서 권출부재(11)를 형상대로 절단하고, 또한 절단된 부분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당겨지도록 하는 권출작동부(60)가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 성형부(40), 권출작동부(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조장치제어부(8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조장치제어부(80)에 의하여 비닐제품제조장치(10)의 각 부재들에 전원공급이 이뤄지도록 하고, 또한 작동제어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일부 부하가 크게 걸리는 장치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전원공급부(미도시됨)에서 직접 공급되도록 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해당 구성부재들이 작동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있어서, 일측의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로부터 권취(wind, 捲取)된 권출부재의 롤로부터 권출부재(11)가 권출(unwind, 捲出)되어 연속 공급된다. 그리고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는 성형부(40)를 지나면서 손 모양의 형태로 성형되는 것으로, 후방의 권출작동부(60)에 의하여 권출부재(11)가 당겨지는 과정 중에 성형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에 성형부(40)의 융착날(41)에 의하여 손 모양이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손가락 형상을 이룰 수도 있고, 벙어리 장갑 형태로 하여 성형될 수도 있으며, 크기가 다양하게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융착날(41)은 상하작동되는 중에 일시 정지된 권출부재(11)를 가압하여 성형하게 되고, 더욱 효과적인 성형을 위하여 가열하여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절단과 기밀에 대한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서, 일측으로 비닐 또는 부직포 등이 권취된 권출부재(11)가 연속 공급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가 구비되고, 이에 이러한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의 권출부재(11)가 연속 공급되도록 반대 측의 권출작동부(60)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권출작동부(60)에 대해서 도 9에서와 같이 구비되는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조장치제어부(80)에 의하여 작동되는 권출작동모터(미도시됨)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절단칼날(61)이 구비되고, 절단칼날(61)의 아래 측에는 대응되어 고정칼날(62)이 결합된다. 따라서 절단칼날(61)이 권출작동모터(미도시됨)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절단링크(63)에 의한 작동으로 상하 이동되는 중에, 연속공급되면서 성형부(40)에서 성형과정이 수행된 권출부재(11)를 손 모양의 비닐장갑의 형태에 알맞도록 하여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단칼날(61)의 앞쪽으로는 절단칼날(61) 측으로 권출부재(11)가 연속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급롤러(64)가 회전되어 권출부재(11)를 당기게 된다.
물론 이러한 공급롤러(64)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롤러(64)에는 소형의 다수 개의 강화스프링(65)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강화스프링(65)에 의하여 권출부재(11)가 안정적으로 인출되면서, 또한 성형된 비닐장갑의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권출작동부(60)의 전방과 후방에는 정전기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방지제가 살포되도록 하는 정전기발생방지노즐(66)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닐재질로 되어 다수의 공정을 거치면서 정전기가 발생될 우려가 있지만 정전기발생방지노즐(66)을 통해서 분부되는 정전기방지제에 의하여 정전기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비닐장갑의 상태가 양호하면서 우수한 제품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있어서,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의 상세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측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롤권출회동축부(21)가 형성된 롤권출부(2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롤권출회동축부(21)에는 롤 형태로 감겨진 권출부재(11)가 위치되어,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작동으로 롤 형태의 권출부재(11)가 연속해서 풀리면서 공급되는 것이다.
이에 권출부재(11)로는 비닐로 되는 비닐롤, 부직포로 되는 부직포롤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비닐장갑에 대해서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야 하므로, 사용자 손의 윗면과 아랫면을 커버하기 위하여, 홑겹비닐장갑의 경우에도 두 개의 비닐이 제공되어 제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홑겹비닐장갑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비닐롤이 롤권출부(20)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수 겹으로 하여 비닐장갑이 제조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비닐롤이 롤권출부(20)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기타 비닐장갑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직포나 기능성 필름 등이 함께 마련되는 경우에는 해당 부직포 또는 기능성 필름 등에 해당하는 롤 형태의 부재가 롤권출부(20)에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기타 제조되는 비닐장갑의 특성이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부재가 롤권출부(20)에 마련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에 있어서, 상기 롤권출부(20)로부터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지나는 가압센싱롤러(23)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연속공급되는 필름 형태의 권출부재(11)는 가압센싱롤러(23)를 지나서 후단의 성형부(40) 및 권출작동부(60) 등으로 연속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센싱롤러(23)와 연결되어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에 의해 눌려지는 가압력을 센싱하는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가 구비된다. 이에 권출작동부(60)에 의하여 권출부재(11)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처럼 권출부재(11)를 당기는 힘은 그대로 가압센싱롤러(23)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가압센싱롤러(23)의 상측으로 권출부재(11)가 지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권출부재(11)에 의하여 가압센싱롤러(23)를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이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에 반해 권출부재(11)가 가압센싱롤러(23)의 아래 방향으로 지나는 실시예에서는 권출부재(11)가 가압센싱롤러(23)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는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른 센싱방식이 변경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가압센싱롤러(23)의 상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권출부재(11)가 누르는 가압력을 측정하게 되는 경우에는, 가압센싱롤러(23)의 센싱롤러축(231)의 회동을 지지하는 센싱롤러축브라켓(232)에 누르는 가압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센싱롤러축브라켓(232)과 연결된 센싱브라켓결합부(251)에 가압력의 힘이 전달되고, 이러한 가압력은 센싱브라켓결합부(251)의 아래에 결합된 센싱바디(252)에서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센싱브라켓결합부(251)에서는 권출부재(11)에 의한 가압력을 측정하여 컨트롤러로 전송하게 된다.
즉 이러한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는, 상기 가압센싱롤러(23)의 센싱롤러축(231)을 지지하는 센싱롤러축브라켓(232)과 연결되는 센싱브라켓결합부(251)와; 상기 센싱브라켓결합부(251)의 아래측에 결합되어 가압센싱롤러(23)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센싱바디(252) 등으로 이루어져, 센싱된 데이터는 가압센싱컨트롤러(27)로 전송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로부터 전송되는 가압센싱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기 위하여 가압센싱컨트롤러(27)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센싱컨트롤러(27)의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는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가압센싱컨트롤러(27),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로부터 전송되는 가압력이 표시되는 가압력표시창(271)과;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작동되는 설정값이 표시되는 설정값표시부(272)와; 상기 설정값표시부(272)에 표시되는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한 설정값조절부(273)가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센싱컨트롤러(27)에 있어서,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로부터 전송되는 권출부재(11)에 의한 가압력은 가압력표시창(271)에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설정값조절부(273)를 이용하여 설정값표시부(272)에 표시되는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의 설정으로 설정값표시부(272)에 표시된 설정값보다 큰 값으로 하여 가압데이터가 전송되면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상기 롤권출회동단속부(29)는 상기 가압센싱컨트롤러(27)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에 의하여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권출작동부(60)에 의하여 권출부재(11)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권출부재(11)의 공급 중에, 성형부(40)에 의하여 손가락 모양의 형태와 유사하게 만들어 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성형부(40)에 권출부재(11)가 위치되면 권출작동부(60)의 작동이 일시 정지되는 것이다. 즉 성형부(40)의 융착날(41)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와 이동이 일시 정지된 권출부재(11)를 가압하여 손 모양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이처럼 권출부재(11)가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성형부(40)의 융착날(41)에 의하여 성형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의 당김작용이 일시 정지되는 것이다. 하지만 권출부재(11)는 롤 형태로 되어 롤권출부(20)의 롤권출회동축부(2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력은 회전토크에 따른 관성을 갖기 때문에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권출부재(11)가 롤권출회동축부(2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 성형부(40)의 융착날(41)에 의한 작업으로 인하여 일시 이동이 정지된 때에도 권출부재(11)가 계속해서 권출되어 풀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면 성형부(40)와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 사이에 권출부재(11)가 잔뜩 쌓이게 될 수 있고, 따라서 성형부(40)의 융착날(41)에 의한 성형작업으로 일시 권출부재(11)의 진행이 정지된 때에도 권출부재(11)가 롤권출부(20)에서의 권출과정이 일시 정지되도록 함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처럼 성형과정을 진행 중에 권출작동부(60)의 당김작용이 일시 정지된 때에는 권출부재(11)를 당기는 힘이 작용되지 않게 되고, 이처럼 권출부재(11)를 당기는 힘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가압센싱롤러(23),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 및 가압센싱컨트롤러(27) 등에 의하여 이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권출부재(11)를 당기는 힘이 작용되지 않음을 감지한 것으로 하여 가압센싱컨트롤러(27)에서 판별하는 것은,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에서 감지된 가압력의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값의 비교를 통하여, 설정값보다 작은 값의 가압력으로 판별되면 롤권출회동단속부(29)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작동되어 롤권출부(20)의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이 일시 정지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롤권출회동단속부(29)의 회전정지작동은 에어작동정지방식, 유압작동정지방식, 링크부재정지방식 등으로 하여 마련될 수 있고, 특히 전기 공급에 따른 자력부재에 의한 전기작동정지방식으로 하여 마련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에어작동정지방식, 유압작동정지방식, 링크부재정지방식, 전기작동정지방식 등은 일반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해당 기술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에어작동정지방식에는 에어펌프, 에어탱크, 에어작동에 대한 에어액츄에이터, 회전축에 대한 정지가압부재 등의 일반적인 에어작동부재가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고, 유압작동정지방식에서는 유압펌프, 유압탱크, 유압실린더를 비롯한 유압액추에이터, 기타 유압작동에 따른 회전축에 대한 정지가압부재 등의 일반적인 유압작동부재가 적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링크부재정지방식에서는 모터 등에 의하여 링크부재가 작동되도록 함에, 회전되는 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일반적인 부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8 등의 도면에서와 같이 전기작동정지방식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전자석에 의하여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성형부(40)에서 성형과정이 수행됨에 따라 권출작동부(60)에서 권출부재(11)를 당기지 않음을 감지한 경우에는, 가압센싱컨트롤러(27) 및 롤권출회동단속부(29) 등의 작동으로 롤권출부(20)의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여, 롤 형태로 감겨진 권출부재(11)가 권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반면 성형부(40)에서 융착날(41)에 의한 성형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해당 비닐, 또는 부직포 등이 포함되는 권출부재(11)가 연속해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권출작동부(60)가 작동된다.
이에 따라 권출부재(11)는 연속해서 당겨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에서 성형부(40) 측으로 연속공급되는 것이다.
이에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는 가압센싱롤러(23)를 지나면서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가압력은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 및 가압센싱컨트롤러(27)에서 감지하고 판별하게 된다. 이처럼 가압력이 작용됨을 감지하면 롤권출회동단속부(29)에 의한 정지작동을 중지함으로써, 롤권출부(20)의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권출작동부(60)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작용되면, 자유롭게 회전되는 롤권출회동축부(21)에 결합된 권출부재(11)가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성형부(40) 측으로 연속공급되는 것이다.
이에 권출부재(11)는 내부에 지관이 형성되고 외부로 비닐, 부직포 또는 기능성 시트로 하여 감겨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롤형태의 권출부재(11)가 일시 정지 또는 자유회전이 되도록 작동함에, 일시 정지시에는 롤권출회동축부(21)가 정지될 경우에는 권출부재(11)도 함께 회전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일반 회전봉의 경우 롤 형태의 권출부재(11)의 내측 지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부재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록 롤권출회동축부(21)가 정지되었다 하여도 권출부재(11)의 롤 형태의 지관을 잡지 못하기 때문에, 연속해서 권출부재(11)가 권출되어 풀리게 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권출부재(11)의 롤이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롤권출회동축부(21)에는,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권출에어샤프트(211)와; 상기 권출에어샤프트(211)의 끝단 중앙에 형성되어 권출에어샤프트(21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샤프트에어주입부(212)가 마련되어, 권출에어샤프트(211) 내부로 에어가 주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권출에어샤프트(211)의 외면에 결합되어 주입되는 에어압력에 의하여 권출에어샤프트(211)에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롤고정리프트(213)가 함께 마련되는 것으로, 권출에어샤프트(211) 내에 에어가 주입되면 이러한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돌출롤고정리프트(213)가 외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권출에어샤프트(211)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솟아 오르는 돌출롤고정리프트(213)에 의하여 권출부재(11)의 롤 형태의 지관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되어, 결국 권출에어샤프트(211)와 롤 형태의 권출부재(11)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롤 형태의 권출부재(11)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권출에어샤프트(211)의 일측으로 구비된 샤프트에어주입부(212)를 눌러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권출에어샤프트(211)의 외면으로 솟아올랐던 돌출롤고정리프트(213)는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권출부재(11)가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에서 내부의 지관을 권출에어샤프트(211)에 끼우게 된다.
이처럼 알맞은 위치로 하여 권출에어샤프트(211)에 롤형태로 감겨진 권출부재(11)를 끼워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난 후, 샤프트에어주입부(212)를 통하여 에어를 주입하게 되어 권출에어샤프트(211) 내부에는 에어 공급에 따른 압력이 고압으로 채워지게 될 것이다.
이처럼 권출에어샤프트(211) 내부가 고압을 형성하게 되면, 돌출롤고정리프트(213)는 외향으로 돌출작동하게 되어, 결국 권출에어샤프트(211)의 외부면으로 돌출되려 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권출에어샤프트(211)에 끼워진 롤 형태의 권출부재(11)를 돌출롤고정리프트(213)가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에, 권출부재(11)는 항상 롤권출회동축부(21)의 권출에어샤프트(211)와 함께 회전되거나 정지작동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권출회동축부(21)는 권출작동부(60)에 의하여 권출부재(11)를 당기게 되면 권출에어샤프트(211) 및 롤 형태의 권출부재(11)의 회동 및 권출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성형부(40)에서의 성형으로 권출작동부(60)의 작동이 일시 정지되게 되면, 권출부재(11)에 의하여 가압센싱롤러(23)를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이를 감지한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 이에 대한 가압센싱컨트롤러(27) 등의 부재에 의하여,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작동되어, 롤권출회동축부(21)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롤 형태의 권출부재(11)가 권출되지 않도록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성형부(40)에서 성형과정이 종료됨에 따라 권출작동부(60)가 다시 작동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판별한 가압센싱컨트롤러(27) 및 이에 따른 롤권출회동단속부(29) 등에 의하여 다시 권출부재(11)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속작동으로 인하여 성형과정시에는 권출부재(11)가 그대로 있고, 성형과정 사이에는 권출부재(11)가 공급되도록 하면서, 권출부재(11)가 불필요하게 풀어지지 않고 텐션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와 성형부(40) 사이를 지나는 권출부재(11)는 종래에는 늘어지는 천을 이용하여 권출부재가 연속되면서도 고른 상태로 성형부(40)로 공급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와 성형부(40) 사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장치 전체의 길이가 길고 이에 따른 공간도 넓게 확보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의 각 부재에 의하여,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당겨지면 공급되고, 당기는 힘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체 비닐제품제조장치(10)의 길이가 단축되도록 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0)는 도 4 내지 도 8 등에서와 같이, 롤권출회동축부(21)가 마련된 롤권출부(20), 권출에어샤프트(211), 샤프트에어주입부(212), 돌출롤고정리프트(213) 등으로 하는 에어고정부재, 가압센싱롤러(23),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 가압센싱컨트롤러(27), 롤권출회동단속부(29) 등의 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속공급되는 롤 형태의 권출부재(11)가 연속되어 공급되도록 하되, 늘어지지 않고 당겨지는 힘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주요 특징 기술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가 비닐장갑을 제조하기 위한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비닐장갑의 상태가 양호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는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비닐롤백제조장치, 비닐백적층제조장치, 비닐장갑적층제조장치 등의 다수 비닐관련 제조장치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비닐제조장치에 더하여, 종이부재의 인쇄 또는 제조장치, 비닐부재의 인쇄 또는 제조장치, 부직포 재료의 인쇄 또는 제조장치, 기타 수지재, 실리콘재의 롤 형태의 권출부재로부터 권출되면서 제조되거나 인쇄되는 등의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에 의하여, 형태의 부재들이 풀리도록 하는 힘만 작용하여도 풀리도록 하고, 반면 롤 형태의 부재들이 풀리도록 하는 힘이 작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풀리지 않도록 하여 부재들이 늘어지지 않도록 하는 등, 롤 형태의 부재들이 권출되면서 적용될 수 있는 장치들에 마련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와 성형부(40) 사이에 구비되고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권출부재긴장장치(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권출부재긴장장치(15)는 링크부재와 다수의 롤러로 되어 권출부재가 다수의 롤러를 돌아가면서 긴장되도록 하는 방식, 천으로 하여 권출부재가 정리되도록 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여 안정된 형태로 권출부재가 성형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중에서 도 10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권출부재긴장장치(15)는,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막대형상의 긴장로드부(151)와; 상기 긴장로드부(151)의 다수 곳에 간격을 두어 회동가능하게 된 다수의 긴장롤러(152)와; 상기 긴장로드부(151) 상측의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긴장롤러(152)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연동긴장롤러(153) 등으로 하여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다수의 연동긴장롤러(153)와 다수의 긴장롤러(152) 사이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권출부재긴장장치(15)에 의하여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는 안정된 상태로 하여 성형부(40)로 공급되기 때문에, 성형부(40)의 융착날(41)에 의한 성형상태가 알맞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의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12)은 비닐로 되는 권출부재에 의하여 제조되어 상하의 비닐 사이로 사용자의 손을 넣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비닐장갑(12)의 종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의 롤권출부(20)에서 권출되는 롤 형태의 권출부재(11)의 수 및 종류와 관련되는 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홑겹으로 하여 상하 양측의 비닐로 되는 경우에는 두 개의 롤 형태 권출부재(11)가 마련되어 제조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두 겹으로 되는 권출부재의 경우에는 하나의 롤 형태의 권출부재로부터 상하 홑겹비닐장갑이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이 구비되어,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의하여 2단레이어(1v-2v)(v, vinyl, 비닐)의 홑겹비닐장갑(121)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단일 겹으로 하여 권출부재로부터 홑겹비닐장갑이 제조되는 경우에는 롤 형태의 권출부재가 두 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반면 두 겹으로 하는 권출부재의 경우에는 하나의 롤 형태의 권출부재가 마련되어 상하 두 층의 2단레이어(1v-2v)로 되는 홑겹비닐장갑이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로,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 제3비닐롤(113), 제4비닐롤(114)이 구비되어,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의하여 4단레이어(1v-2v-3v-4v)의 이중비닐장갑(122)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 제3비닐롤(113), 제4비닐롤(114)로 되는 권출부재로부터 마련되는 경우에는 4단레이어(1v-2v-3v-4v)의 이중비닐장갑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롤 형태의 권출부재가 두 겹으로 하여 마련되는 경우에는 두 롤의 권출부재로부터 이중비닐장갑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과 함께 부직포로 되는 제1부직포롤(115), 제2부직포롤(116)이 구비되어,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의하여 내부의 2단레이어(3n-4n)(n, non-woven fabric, 부직포(不織布))의 부직포층(123)과 외부의 2단레이어(1v-2v)의 비닐층(124)으로 되는 4단레이어(1v-2v-3n-4n)의 부직포내겹비닐장갑(123)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 12와 같이 비닐롤과 부직포롤로 되는 권출부재로부터 제조된 4단레이어(1v-2v-3n-4n)의 부직포내겹비닐장갑(123)은 도 15, 도 16 등에서와 같이, 내부로 부직포가 구비되고, 외부로 비닐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추운 겨울철에는 내부의 부직포에 의한 공기층이 형성되어 보다 따뜻하게 이용할 수 있고, 더운 경우에는 손에서 땀이 날 경우에도 비닐층과 손이 달라붙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비닐제품제조장치(10)에 의하여 제조된 비닐장갑의 경우, 상기 홑겹비닐장갑(121), 이중비닐장갑(122), 부직포내겹비닐장갑(123) 중 어느 한 가지의 비닐장갑의 내부로 기능성영양성분이 도포되도록 하여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성영양성분으로는 건조한 손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는 수분, 보습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핸드크림이나 영양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기타 식물성의 비타민성분, 다양한 식물추출성분 등이 도포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손을 보호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10 : 비닐제품제조장치 11 : 권출부재
12 : 비닐장갑 13 : 프레임
15 : 권출부재긴장장치 20 : 롤권출부
21 : 롤권출회동축부 23 : 가압센싱롤러
25 : 권출부재가압센싱부 27 : 가압센싱컨트롤러
29 : 롤권출회동단속부 30 :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
40 : 성형부 41 : 융착날
60 : 권출작동부 80 : 제조장치제어부
111 : 제1비닐롤 112 : 제2비닐롤
113 : 제3비닐롤 114 : 제4비닐롤
115 : 제1부직포롤 116 : 제2부직포롤
121 : 홑겹장갑 122 : 이중비닐장갑
123 : 부직포내겹비닐장갑 151 : 긴장로드부
152 : 긴장롤러 153 : 연동긴장롤러
211 : 권출에어샤프트 212 : 샤프트에어주입부
213 : 돌출롤고정리프트 231 : 센싱롤러축
232 : 센싱롤러축브라켓 251 : 센싱브라켓결합부
252 : 센싱바디 271 : 가압력표시창
272 : 설정값표시부 273 : 설정값조절부

Claims (6)

  1. 일측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롤권출회동축부(21)가 형성된 롤권출부(20)가 구비되고,
    상기 롤권출부(20)로부터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지나는 가압센싱롤러(23)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센싱롤러(23)와 연결되어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에 의해 눌려지는 가압력을 센싱하는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가 구비되고,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로부터 전송되는 가압센싱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가압센싱컨트롤러(27)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센싱컨트롤러(27)의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는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는, 상기 가압센싱롤러(23)의 센싱롤러축(231)을 지지하는 센싱롤러축브라켓(232)과 연결되는 센싱브라켓결합부(251)와; 상기 센싱브라켓결합부(251)의 아래측에 결합되어 가압센싱롤러(23)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센싱바디(25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센싱컨트롤러(27)는,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로부터 전송되는 가압력이 표시되는 가압력표시창(271)과; 롤권출회동단속부(29)가 작동되는 설정값이 표시되는 설정값표시부(272)와; 상기 설정값표시부(272)에 표시되는 설정값을 조절하기 위한 설정값조절부(273)가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롤권출회동단속부(29)는 상기 가압센싱컨트롤러(27)로부터 인가받은 전기에 의하여 롤권출회동축부(21)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권출회동축부(21)는,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의 권출에어샤프트(211)와; 상기 권출에어샤프트(211)의 끝단 중앙에 형성되어 권출에어샤프트(211)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는 샤프트에어주입부(212)와; 상기 권출에어샤프트(211)의 외면에 결합되어 주입되는 에어압력에 의하여 권출에어샤프트(211)에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롤고정리프트(213)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
  4. 제 1항의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가 일측으로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로부터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에 성형틀로 압력을 가하는 성형부(40)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로부터 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당겨지도록 하는 권출작동부(60)가 구비되며,
    상기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 성형부(40), 권출작동부(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조장치제어부(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재가압센싱부(25)와 성형부(40) 사이에 구비되고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권출부재긴장장치(15)가 더 구비되어지되,
    상기 권출부재긴장장치(15)는,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막대형상의 긴장로드부(151)와; 상기 긴장로드부(151)의 다수 곳에 간격을 두어 회동가능하게 된 다수의 긴장롤러(152)와; 상기 긴장로드부(151) 상측의 프레임(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긴장롤러(152)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연동긴장롤러(153)가 구비되어,
    연속공급되는 권출부재(11)가 다수의 연동긴장롤러(153)와 다수의 긴장롤러(152) 사이를 지나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의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에 있어서,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이 구비되어,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를 거치고, 성형부(40)의 융착날(41)에 의하여 2단레이어로 구성되는 홑겹비닐장갑(121)과;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 제3비닐롤(113), 제4비닐롤(114)이 구비되어,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를 거치고, 성형부(40)의 융착날(41)에 의하여 4단레이어로 구성되는 이중비닐장갑(122)과;
    상기 롤권출부(20)에 비닐재질로 되는 제1비닐롤(111), 제2비닐롤(112)과 함께 부직포로 되는 제1부직포롤(115), 제2부직포롤(116)이 구비되어,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30)를 거치고, 성형부(40)의 융착날(41)에 의하여 내부의 2단레이어로 구성되는 부직포층과 외부의 2단레이어로 구성되는 비닐층으로 되는 부직포내겹비닐장갑(123) 중에서 어느 한 가지의 비닐장갑으로 구비되고,
    상기 홑겹비닐장갑(121), 이중비닐장갑(122), 부직포내겹비닐장갑(123) 중 어느 한 가지의 비닐장갑의 내부로 기능성영양성분이 도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제품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
KR1020100045108A 2010-05-13 2010-05-13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 KR10110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08A KR101108601B1 (ko) 2010-05-13 2010-05-13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08A KR101108601B1 (ko) 2010-05-13 2010-05-13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31A KR20110125531A (ko) 2011-11-21
KR101108601B1 true KR101108601B1 (ko) 2012-02-09

Family

ID=4539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108A KR101108601B1 (ko) 2010-05-13 2010-05-13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436B1 (ko) 2014-05-12 2015-10-12 홍성호 단열 테이프 권취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7696A (ko) * 1993-12-02 1995-07-20 이헌조 포일 이송장치의 텐션 조절방법
KR100704013B1 (ko) 2005-11-22 2007-04-04 대신기계 주식회사 포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7696A (ko) * 1993-12-02 1995-07-20 이헌조 포일 이송장치의 텐션 조절방법
KR100704013B1 (ko) 2005-11-22 2007-04-04 대신기계 주식회사 포대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436B1 (ko) 2014-05-12 2015-10-12 홍성호 단열 테이프 권취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531A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0786B2 (en) Wrapping materials for solid objects
EP0531021B1 (en) Process and method for producing stretch wrap plastic film
US11731390B2 (en) Thermoplastic bags with complex stretch patterns
CN104540669A (zh) 通过具有不同回弹率的膜的不连续层叠形成的多层起皱膜
KR101161334B1 (ko) 이중융착날이 구비된 비닐장갑제조장치
CN107283997A (zh) 一种四层复合机
KR101108601B1 (ko) 텐션조절원단공급장치가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비닐장갑
JP2019529256A (ja) 水分解性袋
KR101161335B1 (ko) 하부열판이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US2689378A (en) Process for embossing plastic sheet materials
KR20010027503A (ko) 코일의 외관 포장 간지 권취장치
KR200392714Y1 (ko) 위생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CN210945471U (zh) 可阻止和减少压敏胶层脱落的pvc保护膜
JP5853027B2 (ja) 巻尻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30176130A1 (en) Bonding machine for a substrate
CN201052844Y (zh) 一种具有制袋器的包装机械
KR20160072504A (ko) 포일 원단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4610706U (zh) 一种卷材分切机
CN108618467B (zh) 一种高透气性的气垫床及其制造方法
CN210795220U (zh) 一种复合机放膜张力自动控制装置
CN208842731U (zh) 钢材棒材卷智能套袋机
JP3632016B2 (ja) プラスチック袋体ロール
WO2008034303A1 (fr) Liseré pour film d'emballage et son procédé de production
CN113401859A (zh) 一种床垫加工用处理装置
CN115649528A (zh) 多列可变间距三边封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