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346B1 - 센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센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346B1
KR101108346B1 KR1020050073939A KR20050073939A KR101108346B1 KR 101108346 B1 KR101108346 B1 KR 101108346B1 KR 1020050073939 A KR1020050073939 A KR 1020050073939A KR 20050073939 A KR20050073939 A KR 20050073939A KR 101108346 B1 KR101108346 B1 KR 10110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ead
holder
main body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212A (ko
Inventor
민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34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1Panel PC, e.g. single housing hosting PC and display panel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본체(56)와 상기 센서본체(56)에서 연장되어 기판(50)에 실장되는 리드(58)로 구성되는 센서(54)와, 상기 센서본체(56)와 리드(58)를 고정하여 상기 센서(54)가 위치되는 부품에 형합되어 결합되는 홀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60)는 상기 센서본체(56)가 안착되는 본체안착부(64)를 구비하는 홀더본체(62)와, 상기 본체안착부(64)에서 홀더본체(62)를 관통하여 형성된 리드통공(65)을 통해 나온 상기 리드(58)를 안내하는 리드안내리브(66)와, 상기 센서(54)가 위치되는 부품에 형합되어 결합되는 형합부(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장착구조에 의하면 비접촉센서를 정확한 높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비접촉센서의 리드가 서로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센서, 장착, 높이, 고정

Description

센서 장착구조{Sensor moun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센서장착구조가 채용된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센서장착구조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기판 52: 커넥터
54: 센서 56: 센서본체
58: 리드 60: 홀더
62: 홀더본체 64: 본체안착부
65: 리드통공 66: 리드안내리브
68: 형합부
본 발명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동작정보를 검출하 기 위한 센서를 기판상에 장착하는 센서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센서장착구조를 채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이 부분절결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터의 본체부(1)를 바텀케이스(3)와 키보드데크(5)가 형성한다. 상기 키보드데크(5)의 상면에는 키보드(7)가 구비된다. 도면 부호 7'는 터치패드이다.
상기 본체부(1)의 후단에는 힌지부(9)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가 연결된다. 상기 힌지부(9)는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부(1)의 후단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는 상기 힌지부(9)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부(1)에 대해 회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에는 일반적으로 액정패널인 표시화면(11')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의 후단 모서리 부근 내부에는 보조기판(13)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기판(13)은 본체부(1)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기판(도시되지 않음)과는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는 다수개의 커넥터(15)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기판(13)에는 또한 비접촉센서(17)가 실장된다. 상기 비접촉센서(17)는 크게 센서본체(18)와 리드(19)로 구성되는데, 상기 리드(19)는 상기 보조기판(13)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어 솔더링된다. 상기 리드(19)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리드(19)의 끝부분에 센서본체(18)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본체(18)는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본체(18)는 상기 커넥터(15)상에 위치되는데, 그 높이와 설치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커넥터(15)에서 노이즈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쉴드부재(20)가 상기 커넥터(15)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의 전면 내부에는 마그네트(21)가 구비된다. 상기 마 그네트(21)는 디스플레이부(11)의 내면에 형성된 안착리브(22)에 설치된다. 상기 그네트(21)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가 본체부(1)에 대해 겹쳐지게 되었을 때, 상기 비접촉센서(17)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센서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비접촉센서(17)는 상기 커넥터(15)상에 단지 쉴드부재(20)에 의해 그 높이와 설치상태 그리고 노이즈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비접촉센서(17)의 센서본체(18)는 상기 쉴드부재(20)상에 단순히 얹어져 있는 상태여서, 외력에 의해 그 위치가 쉽게 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19) 역시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어, 리드(19)사이의 간격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으면,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접촉센서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접촉센서의 리드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접촉센서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 은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본체와, 상기 센서본체에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로 구성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본체와 리드를 고정하여 상기 센서가 위치되는 부품에 형합되어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센서본체가 안착되는 본체안착부를 구비하는 홀더본체와, 상기 본체안착부에서 홀더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리드통공을 통해 나온 상기 리드를 안내하는 리드안내리브와, 상기 센서가 위치되는 부품에 형합되어 결합되는 형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장착구조에 의하면 비접촉센서를 정확한 높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비접촉센서의 리드가 서로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기판(50)상에는 커넥터(52)가 실장된다. 상기 기판(50)은 본 발명의 센서 장착구조가 채용되는 전자제품의 메인기판이거나 메인기판과 별도의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50)에 반드시 커넥터(52)가 실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기능을 하는 부품이 실장될 수도 있다.
센서(54)는 크게 센서본체(56)와 다수개의 리드(58)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본체(56)는 예를 들면 마그네트의 자력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즉, 필요한 정보를 감지하는 부분이 센서본체(56)이다. 상기 리드(58)는 상기 센서본체(56)와 기판(5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리드(58)를 통해 상기 센서본체(56)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센서본체(56)에서 감지된 정보가 상기 기판(50)으로 전달된다.
홀더(60)는 상기 센서(54)를 특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홀더(60)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6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홀더본체(62)가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홀더본체(62)는 상기 기판(50)에 실장된 부품인 커넥터(52)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홀더본체(62)에는 본체안착부(64)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안착부(64)는 상기 센서(54)의 센서본체(56)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안착부(64)는 상기 센서본체(56)가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센서본체(56)가 형합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본체안착부(64)에서 상기 홀더본체(62)를 관통하여 리드통공(65)이 천공된다. 상기 리드통공(65)은 상기 센서(54)의 리드(58)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리드통공(65)이 개구된 상기 홀더본체(62)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리드안내리브(66)가 형성된다. 상기 리드안내리브(66)은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센서(54)의 리드(58)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리드안내리브(66)의 갯수는 적어도 상기 리드(58)의 갯수보다 하나 적은 갯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안내리브(66)가 형성된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리드(58)가 소정의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센서본체(56)와 기판(50)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홀더본체(62)에는 상기 센서(54)가 위치되는 부품인 커넥터(52)에 결합되는 형합부(68)가 구비된다. 상기 형합부(68)는 상기 커넥터(52)의 외면이 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형합부(68)가 상기 커넥터(52)에 형합됨에 의해 별도의 부품없이 상기 커넥터(52)의 외면에 홀더(60)가 장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더(60)의 본체안착부(64)에 상기 센서(54)의 센서본체(56)가 안착되게 하고, 상기 센서(54)의 리드(58)가 상기 리드통공(65)을 관통하여 상기 리드안내리브(66)의 사이사이를 각각 통과한다. 상기 홀더(60)는 그 홀더본체(62)의 형합부(68)가 상기 기판(50)에 실장된 부품인 커넥터(52)의 외면에 형합됨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더(60)에 의해 상기 센서(54)가 상기 기판(50)에 실장된 커넥터(52)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센서(54)의 센서본체(56)는 상기 커넥터(52) 상면의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센서본체(56)가 상기 본체안착부(64)에 안착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안착부(64)에 센서본체(56)가 안착되고, 홀더본체(62)가 커넥터(5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센서(54)의 센서본체(56)는 임의로 유동되지 않고, 외력에도 견딜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58)는 상기 본체안착부(64)에서 상기 리드통공(65)을 통해 상기 리드안내리브(66)를 따라 안내되어 기판(50)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58)가 상기 센서본체(54)와 기판(50) 사이에서 연장될 때, 인접한 다른 리드 (58)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고, 외력에 의해 리드(58)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센서(54)는 상대물인 마그네트가 인접하여 자력을 미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기판(50)으로 신호를 보내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가 본체부에 겹쳐지게 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본체부가 하이버네이션모드(Hibernation mode)로 들어가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홀더(60)의 홀더본체(62)의 형상, 특히 형합부(68)의 형상은 센서(54)가 위치되는 부품(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넥터(52))의 외관에 따라 달리 형성된다. 즉, 형합부(68)가 센서(54)가 위치되는 부품의 외관에 맞게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장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홀더가 센서의 센서몸체를 몸체안착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지지하고, 리드를 리드안내리브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므로, 비접촉센서를 보다 견고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가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고, 설치된 위치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아 센서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 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센서의 리드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리드안내리브가 방지한다. 즉, 리드가 리드안내리브 사이에 위치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설치시에도 리드끼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되므로, 센서가 단락되어 손상되거나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본체와, 상기 센서본체에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로 구성되는 센서와;
    상기 센서본체와 리드를 고정하여 상기 센서가 위치되는 부품에 형합되어 결합되는 절연성 재질의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상기 센서본체가 안착되는 본체안착부를 구비하는 홀더본체와,
    상기 본체안착부에서 홀더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리드통공을 통해 나온 상기 리드를 안내하는 리드안내리브와,
    상기 센서가 위치되는 부품에 형합되어 결합되는 형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착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50073939A 2005-08-11 2005-08-11 센서 장착구조 KR10110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39A KR101108346B1 (ko) 2005-08-11 2005-08-11 센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39A KR101108346B1 (ko) 2005-08-11 2005-08-11 센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212A KR20070019212A (ko) 2007-02-15
KR101108346B1 true KR101108346B1 (ko) 2012-01-25

Family

ID=4365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939A KR101108346B1 (ko) 2005-08-11 2005-08-11 센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3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021A (ko) * 1999-10-13 2001-05-07 권태웅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237355Y1 (ko) 2001-03-10 2001-10-06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마그네틱 센서
KR20020037355A (ko) * 1999-09-10 2002-05-18 간디 지오프레이 에이치. 올레핀의 중합 촉매
KR20040033913A (ko) * 2002-10-16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판의 센서 고정구
KR20060027880A (ko) * 2004-09-24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스위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355A (ko) * 1999-09-10 2002-05-18 간디 지오프레이 에이치. 올레핀의 중합 촉매
KR20010037021A (ko) * 1999-10-13 2001-05-07 권태웅 마그네틱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237355Y1 (ko) 2001-03-10 2001-10-06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마그네틱 센서
KR20040033913A (ko) * 2002-10-16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판의 센서 고정구
KR20060027880A (ko) * 2004-09-24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절전스위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212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0716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01331654A (zh) 板安装连接器
KR20090004550A (ko) 낮은 프로파일의 기판탑재 커넥터
JP2002259051A (ja) タッチパネル一体型lcdにおいてのタッチコントローラとlcdモジュールコントローラとの結合構造
US2008030424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housing
US750379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40087211A1 (en) Flash memory card connector
US555482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 digitizer coordinate detecting tablet is properly operating and/or writing adjustment data into a memory associated with the tablet
KR101108346B1 (ko) 센서 장착구조
US10747904B2 (en) Detection of the opening of a data-entry device
KR200463254Y1 (ko) 차량용 후드 스위치
US6120325A (en) Device for mounting a shielded connector on a circuit board
RU124431U1 (ru) Usb-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US7447001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insulating cap for end of fastener protruding into housing
JP3532123B2 (ja) 集積回路内蔵カード
KR20060134587A (ko)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커버
KR20090004203A (ko) 그라운드 차폐형 인쇄회로기판용 슬롯
KR20130004171U (ko) 전류센서
KR100919945B1 (ko) 커넥터
CN218647822U (zh) 开关安装结构及开关
JP5864737B2 (ja) 生体情報測定用コネクタと、それを用いた生体情報測定装置
US7314381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connector attached to case via seal member
JP2007220421A (ja) 金属球検知センサ
KR101879396B1 (ko) 자동차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소켓 조립체
KR20060022976A (ko) 회로기판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접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