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200B1 -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200B1
KR101108200B1 KR1020110074631A KR20110074631A KR101108200B1 KR 101108200 B1 KR101108200 B1 KR 101108200B1 KR 1020110074631 A KR1020110074631 A KR 1020110074631A KR 20110074631 A KR20110074631 A KR 20110074631A KR 101108200 B1 KR101108200 B1 KR 101108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atch
main
sub
sl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계아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주)락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락시스 filed Critical (주)락시스
Priority to KR1020110074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05B63/146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locks with two or more bolts, each bolt itself being a tumb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레버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래치 볼트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로서, 래치 볼트와; 상기 래치 볼트의 후방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상시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구비되는 메인 슬라이딩 날개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구비되는 서브 슬라이딩 날개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메인 캠 날개를 갖는 메인 캠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 내측에 상기 메인 캠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서브 캠 날개를 갖는 서브 캠을 포함하여,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 캠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 캠의 상기 메인 캠 날개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상기 메인 슬라이딩 날개를 후방으로 가압하여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후진시키고, 상기 메인 캠과 연동된 상기 서브 캠이 회전하며 상기 서브 캠의 상기 서브 캠 날개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상기 서브 슬라이딩 날개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더욱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Latch Assembly having Dead Bolt}
본 발명은, 도어 록 장치에 포함되는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래치 볼트의 후방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유닛 내측에, 회전 가능한 2개의 캠을 설치하고, 각각의 캠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유닛을 가압하여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레버를 작은 각도로 조작하더라도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 작동이 편리한 래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록 장치는, 바 타입 또는 라운드 진 둥근 모양의 도어 레버와, 이 도어 레버의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래치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래치 볼트의 전진은 래치 볼트가 도어 외측으로 튀어 나오는 움직임을 말하며, 래치 볼트의 후진은 래치 볼트가 도어 내측으로 들어가는 움직임을 말한다.
상기 래치 볼트는 전단 일부가 라운드지게 곡면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버 조작 없이 문이 닫히더라도, 경사면이 문턱 또는 벽면과 접촉하여 자연스럽게 후퇴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도어의 닫힘이 가능하다.
한편, 도어에 상기와 같이, 래치 볼트와 도어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록 장치가 구비되면, 문틀 또는 벽면에는 상기 래치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래치 볼트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가 닫히면, 상기 래치 볼트가 상기 래치 볼트 삽입홈에 삽입되는데, 도어 도어 레버를 돌리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 볼트가 문틀 또는 벽면에 의해 밀리며, 자연스럽게 후진하고, 문틀 또는 벽면에 형성된 볼트 삽입 홈이 있는 위치까지 오면, 내장된 스프링 등의 탄성에 의해, 다시 외측으로 전진하여,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렇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면, 외부에서는 도어 레버를 돌려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이때, 잠금의 해제를 위해서는, 도어 내부에서 잠금 해제 조작을 하거나, 도어 외부에서 키(key)로 잠금 상태를 해제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래치 볼트의 충분한 후퇴가, 작은 각도의 레버 조작에 의해서도 가능하게 하여, 도어 개폐의 작동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도어 락 장치를 뜯어내고 그 위치에 그대로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래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래치 어셈블리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버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래치 볼트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로서, 래치 볼트와; 상기 래치 볼트의 후방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유닛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상시 전방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구비되는 메인 슬라이딩 날개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 구비되는 서브 슬라이딩 날개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메인 캠 날개를 갖는 메인 캠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 내측에 상기 메인 캠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서브 캠 날개를 갖는 서브 캠을 포함하여,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 캠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 캠의 상기 메인 캠 날개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상기 메인 슬라이딩 날개를 후방으로 가압하여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후진시키고, 상기 메인 캠과 연동된 상기 서브 캠이 회전하며 상기 서브 캠의 상기 서브 캠 날개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상기 서브 슬라이딩 날개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을 더욱 후진시킨다.
또한, 상기 메인 캠의 상기 메인 캠 날개는 상기 서브 캠을 향해 한 쌍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브 캠에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캠 핀이 상기 한 쌍의 메인 캠 날개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캠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 캠 날개가 상기 서브 캠 핀을 가압하여 상기 서브 캠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캠의 상기 한 쌍의 메인 캠 날개 사이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에는 제1 절개부 및 제2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캠 날개는 상기 제1 절개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캠 날개는 상기 제2 절개부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 볼트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 사이에는 래치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캠이 연속하여 슬라이딩 유닛을 후퇴시킴으로써, 작은 레버 조작 각도로도,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현관문 뿐만 아니라 실내용 문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도어록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문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래치 어셈블리와 도어 레버를 포함하는 도어 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래치 어셈블리의 래치 커버를 오픈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래치 볼트 및 슬라이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4는 래치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데드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a는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가 모두 전진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b는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가 모두 후퇴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6c는 래치 볼트는 전진하고 데드 볼트는 후퇴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a는 도6c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b는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가 모두 후퇴하여 문이 닫힌 상태에서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가 볼트 삽임 홈 내측으로 전진하기 직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c는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가 모두 전진하여 볼트 삽입 홈 내측에 삽입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8은 래치 볼트와 데드 스토퍼, 그리고 래치 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도어 락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도어 락 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락 장치는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를 위해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레버(200)와, 상기 레버(200)와 연동되는 래치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 어셈블리(100)는 래치 볼트(10) 및 데드 볼트(20)를 구비하며, 측면에는 커네팅 홀(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 홀(110)에는 커넥팅 바(300)가 삽입된다. 상기 커넥팅 바(300)는 일단이 상기 커넥팅 홀(110)에 삽입되고 타단은 레버(2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200)를 돌리면, 커넥팅 바(300)가 회전하고, 커넥팅 바(300)에 의해 래치 어셈블리(100)에 내장된 후술하는 메인 캠(60)이 회전함으로써, 이와 연결된 래치 볼트(10)와 데드 볼트(20)가 이동하여,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 래치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2는 래치 어셈블리(100)의 래치 커버(40)를 열어, 그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래치 어셈블리(100)는, 래치 바디(30) 및 래치 커버(40)와, 상기 래치 바디(30)의 내부에 내장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유닛(50)과, 상기 래치 바디(30) 및 슬라이딩 유닛(5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메인 캠(60) 및 서브 캠(70)과, 슬라이딩 유닛(50)의 전방에 결합되는 래치 볼트(10) 및 데드 볼트(20)와, 상기 데드 볼트(20)의 전진 또는 후진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데드 스토퍼(80)와, 상기 데드 볼트(20)의 후진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래치 암(90) 등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래치 바디(30)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면에는 2개의 바디 절개부(31)가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 대칭이 되는 위치에 2개의 바디 절개부(31)가 형성된다. 이 바디 절개부(31)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유닛(50)의 슬라이딩 날개(51, 52)가 이동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래치 바디(30) 내측의 후방쪽에는 메인 스프링 수용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 바디(30)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 스프링 수용부(32)의 전방 쪽에는, 슬라이딩 유닛(5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3에는 슬라이딩 유닛(50)의 평면도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은 제1측면부(50a), 제2측면부(50b), 및 전면부(50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측면부(50a) 및 제2측면부(50b)에는 각각 후방으로부터 메인 날개(51)와, 서브 날개(5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측면부(50a)는 도1을 기준으로 할때 상부에 위치하며, 제2 측면부(50a)는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측면부(50a)의 전단 근방에서 제2 측면부(50b) 쪽으로 해제 날개(57)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메인 슬라이딩 날개(51)와 서브 슬라이딩 날개(52)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 날개(51, 52)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제1측면부(50a)와 제2측면부(50b)의 일부가 절개되어 관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부(50a)가 구비된 부분에 형성된 절개된 공간은 제1절개부(53), 상기 제2 측면부(50b)가 구비된 부분에 형성된 절개된 공간을 제2절개부(54)라 한다.
상기 해제 날개(57)는 후술하는 데드 스토퍼(80)의 제2 해제 돌기(85)를 가압하기 용이하도록 후단이 경사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제1측면부(50a)와 제2측면부(50b)의 후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절개된 부분이 2개 형성되고, 이 절개된 부분의 사이에 남은 부분이 메인 스프링 삽입 돌기(55)를 형성한다. 이 메인 스프링 삽입 돌기에는(55)에는 메인 스프링(56)의 전단이 삽입된다.
한편 슬라이딩 유닛(50)의 전면부(50c)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데드 볼트(2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둥근 원호 모양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전면부 전방에는 래치 볼트(10)가 위치한다. 도4는 래치 볼트(10) 만을 따로 떼어 도시하고 있다. 상기 래치 볼트(1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의 전방 일부를 라운드진 곡면으로 경사지게 하고, 경사진 곡면의 반대쪽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평면 형상을 갖게 하여 형성된다. 여기서는 경사지게 라운드 진 곡면을 경사면(13)이라 하고, 상기 경사면(13)의 일측에서 전후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측평면(14)이라 한다.
한편, 상기 경사면(13)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데드 볼트 수용부(11)가 구비된다.
참고로, 여기서 전방은 래치 볼트 및 데드 볼트가 도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이며, 후방은 래치 볼트 및 데드 볼트가 도어 내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도3을 기준으로 할때, 좌측이 전방이며 우측이 후방이 된다.
상기 래치 볼트(10)의 후단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스프링 수용부(12)가 형성되며, 이 래치 스프링 수용부(12)에 전단이 수용되는 래치 스프링(15)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이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전면부(50c) 전방에 지지되어, 래치 볼트(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슬라이딩 유닛(50) 및 래치 바디(3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래치 볼트(10)의 측평면(14)에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암(90)이 회전축(9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측평면(14)의 중앙 일부는 후술하는 래치 암(9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된다.
상기 래치 암(90)은,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된 회전축(91, 도7a 내지 도7c에 도시)을 통해 래치 볼트(10)에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방 일부가 상기 측평면(1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래치 암(90)의 전방 일부는 도4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측평면(14)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며, 자연히 회전축(91)의 후방 부분은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상기 래치 암(90)의 돌출된 전방 부분을 외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래치 암(90)의 돌출된 전방이 측평면(14)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상기 래치 암(90)의 회전축(91) 후방 부분은 상대적으로 반대쪽을 향해 돌출되는 회전 움직임을 갖는다.
상기 래치 볼트(10)의 데드 볼트 수용부(11)에는 데드 볼트(2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상기 데드 볼트(20)의 형상은 도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데드 볼트(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측방에서 바라볼때, 전면과 측면이 소정 각도(도면에서는 대략 직각)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래치 볼트(10)의 경사면(13)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데드 볼트(20)는 전단 일부가 상기 경사면(13) 외측으로 더 튀어나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데드 볼트(20)는 측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플라스틱 카드나 기타 다른 부재에 의해 측면이 외측으로부터 가압되더라도, 후방으로 밀려나지 않는다.
상기 데드 볼트(20)의 일측면에는 걸림홈(21)이 구비되고, 후방쪽에는 후방을 향해 개구된 데드 스프링 수용부(22)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21)은 데드 볼트(20)의 후방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후술하는 데드 스토퍼(80)가 걸리는 부분으로, 데드 스토퍼(80)와 데드 볼트(20) 사이의 자세한 작동 관계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데드 스프링 수용부(22)에는 데드 스프링(44)의 전방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데드 볼트(20)를 상시 전방 쪽으로 가압하는데, 상기 데드 스프링(44)의 후방은 도2에 도시된 래치 커버(40)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래치 커버(40)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드 스프링 끼움 돌기(41)가 구비되며, 상기 데드 스프링 끼움 돌기(41)의 후단에는 데드 스프링(44)의 직경보다 더 넓은 단면을 갖는 스프링 스토퍼(42)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 커버(40)에는 후술하는 메인 캠(6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인 캠(60)의 형상의 대응되도록 홀(4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래치 바디(30) 및 슬라이딩 유닛(50)의 내측에는, 메인 캠(6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메인 캠(60)은,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 외측으로는 한쌍의 메인 캠 날개(61)가 돌출되고, 내주면 내측으로는 걸림 돌기(62)가 돌출된다.
상기 메인 캠 날개(61)는 전방을 향해 비스듬이 대략 V자 내지 U자 형태로 한쌍이 연장되며, 2개의 날개(61) 사이 공간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62)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200)를 돌릴때, 커넥팅 바(300)가 삽입되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 캠(60)이 상기 커넥팅 바(30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걸림 돌기(62)의 갯수 및 형상은, 상기 커넥팅 바(3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며, 상기 커넥팅 바(300)가 삽입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무방하다.
상기 메인 캠(60)의 전방에는 서브 캠(7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서브 캠(70)은, 상기 메인 캠(60)과 유사하게 대략 짧은 원통 형상 내지 링 형상을 가지며, 전방을 향해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V자형 내지 U자형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한쌍의 서브 캠 날개(71)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서브 캠 핀(72)을 구비한다. 상기 서브 캠 핀(72)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상기 서브 캠(70)과 상기 메인 캠 날개(61)는 상기 서브 캠(70)과 상기 메인 캠(60)의 회전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서브 캠 핀(72)은 한 쌍의 상기 메인 캠 날개(6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캠(60)이 회전할 때, 메인 캠 날개(61)와 맞닿아 밀려남으로써, 상기 서브 캠(70)이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브 캠 핀(72)의 전방 쪽에는 데드 스토퍼(80)가 구비된다.
상기 데드 스토퍼(80)는 전방 일부가 구부러진 후크 형상의 후크부(81)와, 후단 근방에서 양쪽 외측으로는 돌출되는 회전축(83)과,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해제 돌기(82) 및 제2 해제 돌기(85)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드 스토퍼(80)의 형상은 도7a 내지 도8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83)에는 코일 스프링인 락킹 스프링(84)이 끼워져 후크부(81)가 형성된 전단을 상시 데드 볼트(20) 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도7c에서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데드 스토퍼(80)가, 상기 데드 볼트(20)의 이동 경로에서 상기 데드 볼트(20)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데드 볼트(20)를 후퇴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며, 도7a 또는 도7b 에서와 같이, 상기 데드 볼트(20)가 후진하면, 상기 데드 스토퍼(80)의 후크부(81)가 상기 데드 볼트(20)의 걸림 홈(21)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 볼트(10) 및 상기 데드 볼트(20)를 강제로 후퇴시키는 외력이 사라지더라도, 데드 볼트(20)는 원상태 대로 전진하지 않고, 후퇴한 채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제1 해제 돌기(82)는 상기 래치 암(9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된다. 즉, 가압되기도 하고, 가압되지 않기도 하는데, 상기 래치 암(90)의 전단이 도7a 및 도7b에서와 같이 측평면(14)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제1 해제 돌기(82)를 가압하지 않으며, 도7c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 암(90)의 상기 래치 볼트(10)의 측평면(14) 외측으로 돌출된 전방 부분이 외측에서 가압되어 측평면(14)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상기 래치 암(90)의 회전축(91) 후방 부분은 상대적으로 반대쪽을 향해 돌출되며, 제1 해제 돌기(82)를 걸림턱(21) 반대 쪽으로 가압한다. 즉, 상기 데드 스토퍼(80)는, 상기 래치 암(90)에 의해 제1 해제 돌기(82)가 가압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데드 볼트(10)의 전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해제 돌기(85)는 슬라이딩 유닛(50)의 해제 날개(57)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데, 레버(200) 조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이 후퇴하면, 상기 해제 날개(57)의 구부러진 단부가 상기 제2 해제 돌기(85)를 가압하며, 그에 따라 상기 데드 스토퍼(80)가 락킹 스프링(84)의 탄성을 이기며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데드 볼트(20)가 후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래치 어셈블리 및 이러한 래치 어셈블리가 장착된 도어 락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6a는, 도어 레버(200, 도1 참조)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래치 볼트(10)와 데드 볼트(20)가 모두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데드 볼트(10)는 상기 데드 스토퍼(90)에 의해 후퇴가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의 레버(200)를 돌리면, 도1에 도시된 커넥팅 바(300)가 회전하고, 커넥팅 바(300)와 결합된 메인 캠(60)이 회전한다.
메인 캠(60)이 회전하면,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캠 날개(61)가 회전하여 슬라이딩 유닛(50)의 메인 슬라이딩 날개(51)를 후방으로 밀어 슬라이딩 유닛(50)을 후방으로 후퇴시키며, 이와 동시에 한쌍의 메인 캠 날개(61)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 캠 핀(72)을 밀어 내어, 서브 캠(70)이 회전하도록 한다.
서브 캠(70)이 회전하면, 서브 캠 날개(71)가 슬라이딩 유닛(50)의 서브 슬라이딩 날개(52)를 가압하여 후방으로 더욱 밀어냄으로써, 슬라이딩 유닛(50)을 더욱 뒤쪽으로 후퇴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이 후퇴하면서, 해제 날개(57)가 데드 스토퍼(80)의 제2 해제 돌기(85)를 가압하여, 데드 스토퍼(80)가 회전함으로써, 데드 볼트(20)가 후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에 의해, 래치 볼트(10) 및 데드 볼트(20)가 동시에 후방으로 후퇴하여,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의 캠(60, 70)이 존재함으로 인해, 도어의 레버(200)를 적은 각도로만 회전시켜도, 래치 볼트(10)가 충분히 후퇴 가능하므로, 도어의 개폐가 더욱 용이해 진다.
한편, 레버(2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유닛(50)이 전진하며, 메인 캠(60)과 서브 캠(70)이 원래의 위치대로 돌아온다. 또한, 슬라이딩 유닛(50)의 전진에 의해 그 전방에 위치하는 래치 볼트(10)도 함께 전진한다.
단, 이때 상기 래치 볼트(10)의 중앙에 위치하는 데드 볼트(20)는 전진하지 않고, 후진한 상태로 고정된다. 데드 볼트(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 턱(21)에 데드 스토퍼(80)가 걸려, 데드 볼트(20)의 전진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도6c를 AA'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7a를 통해 잘 설명되고 있다.
상기 데드 스토퍼(80)는 락킹 스프링(84)에 의해 상시 그 전단의 후크부(81)가 데드 볼트(20) 쪽을 향하도록 가압되므로, 데드 스토퍼(80)를 상기 데드 볼트(20)의 걸림 턱(21)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지 않는 한, 데드 볼트(20)는 후진하여 고정된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레버(200)를 돌리지 않고도 도어를 닫을 수 있다. 래치 볼트(10)의 경사면(13)이 문틀 또는 벽면에 닿아 후방으로 밀리기 때문이다. 이렇게 레버(200) 조작을 하지 않고 도어를 닫으면, 순간적으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7b의 화살표는 도어가 회전하여 닫히는 방향을 나타내며, 도어가 열릴때에는 상기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래치 볼트(10)는 문턱 또는 벽면에 밀려 후퇴하다가, 볼트 삽입 홈(4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르면, 메인 스프링(56)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나가기 되는데, 도7b는 래치 볼트(10)가 전방으로 밀려 나가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이때의 래치 어셈블리(100)의 내부 모습은, 사용자가 레버(200)를 돌려, 메인 캠(60), 서브 캠(70)이 회전하여, 슬라이딩 유닛(50)과 함께, 래치 볼트(10) 및 데드 볼트(20)가 후퇴한, 도6b에서와는 그 상태가 다른데, 레버(200) 조작이 없이 후퇴한 상태에서는, 메인 캠(60)과 서브 캠(70)이 회전하지 않고, 도6a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그 날개(61, 71)가 전방을 향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레버(200)를 돌린 상태에서 문을 닫는다면, 이때는 메인 캠(60) 및 서브 캠(70), 슬라이딩 유닛(50) 등이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래치 볼트(10)가 볼트 삽입 홈(400) 내측으로 들어가면 도7c에 그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볼트 삽입 홈(400)의 일 측면은, 래치 볼트(10)의 삽입 시, 래치 볼트(10)의 측평면(14)과 접촉하거나, 약간 이격되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래치 볼트(10)가 볼트 삽입 홈(400) 내측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래치 암(90)의 전단이 상기 볼트 삽입 홈(400)의 모서리 부분에 걸려 가압됨으로써, 측평면(14) 내측으로 회전하여 들어가게 된다.
이때, 래치 암(90)의 회전축(91) 후방쪽은 반대로 데드 볼트(2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회전하며, 제1 해제 돌기(82)를 데드 볼트(2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가압한다.
제1 해제 돌기(82)가 가압되면, 데드 스토퍼(80)가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전단이 데드 볼트(20)로부터 멀어지며, 전단의 후크부(81)가 걸림턱(21)으로부터 빠져나와, 데드 볼트(20)의 후방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데드 볼트(20)가 래치 볼트(10)와 함께 전진하여, 볼트 삽입 홈(400) 내측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데드 볼트(20)가 볼트 삽입 홈(400) 내측에 삽입되면, 도어 락의 안정성이 증대된다. 종래에는 도어 외측에서 플라스틱 카드 등을 집어 넣어, 플라스틱 카드 등이 래치 볼트(10)의 경사면(13)을 타고 삽입되어, 래치 볼트(10)를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강제로 도어를 여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데드 볼트(20)가 존재함으로 인해, 그러한 작업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10: 래치 볼트 11: 데드 볼트 수용부
12: 래치 스프링 수용부 13: 경사면
14: 측평면 15: 래치 스프링
20: 데드 볼트 21: 걸림 턱
22: 데드 스프링 수용부 30: 래치 바디
31: 바디 절개부 40: 래치 커버
41: 데드 스프링 끼움 돌기 42: 데드 스프링 스토퍼
43: 홀 50: 슬라이딩 유닛
50a: 제1 측면부 50b: 제2 측면부
50c: 전면부 51: 메인 슬라이딩 날개
52: 서브 슬라이딩 날개 53: 제1 절개부
54: 제2 절개부 55: 메인 스프링 삽입 돌기
56: 메인 스프링 57: 해제 날개
60: 메인 캠 61: 메인 캠 날개
62: 걸림 돌기 70: 서브 캠
71: 서브 캠 날개 72: 서브 캠 핀
80: 데드 스토퍼 81: 후크부
82: 제1 해제 돌기 83: 회전축
84: 락킹 스프링 85: 제2 해제 돌기
90: 래치 암 91: 회전축
100: 래치 어셈블리 110: 커넥팅 홀
200: 레버 300: 커넥팅 바
400: 볼트 삽입 홈

Claims (6)

  1. 레버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래치 볼트를 갖는 래치 어셈블리로서,
    래치 볼트(10)와;
    상기 래치 볼트(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유닛(50)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일측면에서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메인 슬라이딩 날개(51)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일측면에서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메인 슬라이딩 날개(51)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브 슬라이딩 날개(52)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5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메인 캠 날개(61)를 갖는 메인 캠(60)과;
    상기 슬라이딩 유닛(50) 내측에 상기 메인 캠(6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서브 캠 날개(71)를 갖는 서브 캠(70)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 캠(6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 캠(60)의 상기 메인 캠 날개(61)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상기 메인 슬라이딩 날개(51)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을 후진시키고, 상기 메인 캠(60)의 회전과 연동된 상기 서브 캠(70)이 회전하며 상기 서브 캠(70)의 상기 서브 캠 날개(70)가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상기 서브 슬라이딩 날개(52)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을 더욱 후진시키는 래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캠(60)의 상기 메인 캠 날개(61)는 상기 서브 캠(70)을 향해 한 쌍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브 캠(70)에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캠 핀(72)이 상기 한 쌍의 메인 캠 날개(6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캠(6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 캠 날개(61)가 상기 서브 캠 핀(72)을 가압하여 상기 서브 캠(70)이 회전하도록 하는 래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캠(60)의 상기 한 쌍의 메인 캠 날개(61) 사이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래치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에는 제1 절개부(53) 및 제2 절개부(54)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 슬라이딩 날개(51)는 상기 제1 절개부(53)의 후방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서브 슬라이딩 날개(52)는 상기 제2 절개부(54)의 후방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래치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볼트(10)와 상기 슬라이딩 유닛(50) 사이에는, 전단이 상기 래치 볼트(10)의 후면에 지지되고 후단이 상기 슬라이딩 유닛(50)의 전면에 지지되는 래치 스프링(15)이 설치되는 래치 어셈블리.
  6. 삭제
KR1020110074631A 2011-07-27 2011-07-27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KR101108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631A KR101108200B1 (ko) 2011-07-27 2011-07-27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631A KR101108200B1 (ko) 2011-07-27 2011-07-27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8200B1 true KR101108200B1 (ko) 2012-01-31

Family

ID=4561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631A KR101108200B1 (ko) 2011-07-27 2011-07-27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079A1 (ko) * 2015-08-24 2017-03-02 동성산업 주식회사 도어 래치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269A (ko) * 2001-08-29 2003-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동적 가변 비트율을 가지는 데이터 트래픽의특성화 방법
KR200334269Y1 (ko) 2003-08-14 2003-11-21 주식회사 엔젤금속 도어록의 래치 앗세이
US20050057051A1 (en) 2003-07-25 2005-03-17 Ian Bartos Latch
KR100543715B1 (ko) 2003-10-16 2006-01-23 주식회사 봉영 프라이버시 도어록용 튜블라래치
JP2011052526A (ja) 2009-08-06 2011-03-17 Opnus:Kk 扉の反転ラッチ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269A (ko) * 2001-08-29 2003-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동적 가변 비트율을 가지는 데이터 트래픽의특성화 방법
US20050057051A1 (en) 2003-07-25 2005-03-17 Ian Bartos Latch
KR200334269Y1 (ko) 2003-08-14 2003-11-21 주식회사 엔젤금속 도어록의 래치 앗세이
KR100543715B1 (ko) 2003-10-16 2006-01-23 주식회사 봉영 프라이버시 도어록용 튜블라래치
JP2011052526A (ja) 2009-08-06 2011-03-17 Opnus:Kk 扉の反転ラッチ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079A1 (ko) * 2015-08-24 2017-03-02 동성산업 주식회사 도어 래치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9752B2 (ja) バックセットが調整可能なドアズームアップラ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ドアロック装置
US8915105B2 (en) Latch assembly
KR101126400B1 (ko)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US5941581A (en) Door lock arrangement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KR101108200B1 (ko)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KR101109413B1 (ko)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KR101133918B1 (ko)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KR20130014010A (ko)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KR200460758Y1 (ko) 배전반용 도어 잠금장치
KR20110000989A (ko) 도어락
KR10063824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KR101334117B1 (ko) 사물함 손잡이의 잠금장치
EP1522661A2 (en) Safety lock with front coupling for sliding doors
JP5632825B2 (ja) 筐体の扉用錠装置
CN105392948A (zh) 门锁
JP4693631B2 (ja) 扉開閉用ハンドルの掛金装置
JP2018145768A (ja) 扉錠及び扉
JP6318222B1 (ja) ラッチ錠装置
US20070182167A1 (en) Door handle with built-in string latch actuation mechanism for door opening
WO2018104816A1 (en) Multipoint door lock
KR20020023614A (ko) 도어 잠금장치
KR101481324B1 (ko) 데드볼트를 구비한 문잠금장치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0872636B1 (ko) 슬라이딩 도어가 장착된 차량의 연료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