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321B1 -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321B1
KR101107321B1 KR1020090025867A KR20090025867A KR101107321B1 KR 101107321 B1 KR101107321 B1 KR 101107321B1 KR 1020090025867 A KR1020090025867 A KR 1020090025867A KR 20090025867 A KR20090025867 A KR 20090025867A KR 101107321 B1 KR101107321 B1 KR 101107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ailure
spare
stat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276A (ko
Inventor
김기원
정유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6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1Configuration of trigger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N개의 운용채널 각각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여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트래픽은 예비채널로 절체시킨 후,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해제 상태가 제1시간 동안 지속되면 상기 예비채널로의 절체를 정상 해제시키되,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제2시간 동안 지속되면 상기 예비채널로의 절체를 강제 해제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N개 운용채널과 상기 예비채널을 통해 상대편 전송장치와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브릿지 및 셀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하여 모든 운용채널에 균등한 보호절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보호절체, 1:N 보호절체, 전송네트워크, 장애 발생, 장애 해제

Description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 opportunity protection switching in transport network}
본 발명은 전송네트워크에서의 1:N 보호절체 방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운용채널의 장애가 계속하여 발생하더라도 또 다른 운용채널들에게 균등한 보호절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10-01, 과제명: 다계층 광네트워크 제어 플랫폼 기술 개발].
종래의 전송네트워크에서의 1:N 보호절체 방식은 하나의 예비채널과 N개의 운용채널로 구성되어 네트워크 서비스 트래픽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때, 하나의 예비채널은 N개의 운용채널 중 임의의 운용채널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해당 운용채널의 트래픽을 절체하여 전송할 수 있는 채널로 사용된다. 만약, 예비채널이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고, N개의 운용채널 중에서 하나의 운용채널에 장애가 발생하 면, 해당 채널의 트래픽은 하나의 예비채널로 절체된다.
그러나 종래의 1:N 보호절체 방식에서는 두 개 이상의 운용채널에 동시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오직 하나의 운용채널의 트래픽만을 보호절체할 수 있다. 또한 예비채널로 절체된 하나의 운용채널 트래픽은 원래의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이 복구수리되기 전까지, 예비채널을 계속 점유하여 해당 트래픽을 전달하는 문제도 있다. 즉, 다른 운용채널의 트래픽은 보호절체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있다.
전송네트워크는 수많은 정보를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어야 하므로, 네트워크 요소간 송수신 데이터를 장애 없이 원래의 트래픽대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송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서비스시에 장애에 대한 보호복구 기능은 전송네트워크의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종래의 1:N 보호절체 방식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복구된 운용채널의 장치가 복구수리가 안되면, 예비 운용채널을 계속하여 점유하게 된다. 이는 또 다른 운용채널들에게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보호절체할 수 없게 만들어, 전송네트워크의 망 생존성 및 서비스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송네트워크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식에서 특정 운용채널의 장애가 일정시간이상 발생하면, 예비채널의 상태를 강제로 정상 복귀시켜 또 다른 운용채널들에게 균등한 보호절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이 상태를 운영자에게 통보하여, 이에 대한 대처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N개의 운용채널 각각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N개의 운용채널 중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이 감지되면,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트래픽을 예비채널로 절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과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단계는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장애 발생 시간이 제2시간이 되면,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됨을 확인 하고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단계는 장애 발생 시간이 제2시간이 되면,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에 대한 수동 복구 수리가 필요함을 운영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애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됨을 감지하여 통보하는 균등기회 타이머; N개의 운용채널 각각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이 감지되면 예비채널로의 절체를 요구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상기 예비채널로의 절체를 강제 해제하는N개의 운용채널부; 및 상기 N개의 운용채널부의 상기 예비채널로의 절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트래픽을 상기 예비채널로 절체하여 전달하되,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예비채널부를 포함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는 특정 운용채널의 장애가 일정시간이상 발생하여 예비채널을 비정상적으로 점유하고 있으면, 이를 감지하여 예비채널의 상태를 강제로 정상 복귀시켜 준다.
이에 특정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지속 여부와 상관없이 나머지 운용채널에게 도 균등한 보호절체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체를 수행한 운용채널에 대한 정보, 절체 해제 여부, 지속적으로 장애가 발생하는 운용채널에 대한 정보등을 운영자에게 통보하여, 운영자에 이에 대한 대처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전송 시스템의 전송 장치를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장치의 일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를 참조하면, 전송 시스템은 기본적인 망구성 요소로써 트래픽을 송신 및 수신하는 제1및 제2전송장치(100, 200), 정상상태일 때 전송장치간 트래픽을 전달하는 N개의 운용채널(301~30N), 및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예를 들어, 301)의 트래픽을 절체하여 전달하는 예비채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 전송장치(예를 들어, 100) 각각은 N개의 운용채널(301~30N) 각각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시하여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이하, 장애 발생 채널(예를 들어, 301))의 신호는 예비채널(400)로 절체시키고, 장애 발생 채널(301)의 장애 발생 상태가 정상적으로 해제되면 예비채널(400)로의 절체를 정상 해제시키고, 장애 발생 채널(301)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예비채널(400)로의 절체를 강제 해제시키는 제어부(110), N개 운용채널(301~30N)과 예비채널(400)을 통해 상대 전송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브릿지 및 셀렉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예비채널(400)은 N개의 운용채널(301~30N)가 장애 없이 정상 운용되거나 예비채널이 미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의 트래픽 전달 채널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10)는 장애 발생 채널(예를 들어, 301)의 장애 발생 상태가 정상적으로 해제됨을 감지하여 통보하는 WTR(Wait To Ratio) 타이머(510), 장애 발생 채널(301)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해제됨을 감 지하여 통보하는 균등기회 타이머(520), N개의 운용채널(301~30N) 각각의 상태를 감시하여, 장애 발생 채널(301)이 감지되면 예비채널(400)로의 절체를 요구하고, 장애 발생 채널(301)의 장애 발생 상태가 정상 해제되거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예비채널(400)로의 절체를 해제시키는 N개의 운용채널부(531~53N), N개의 운용채널부(531~53N)의 예비채널(400)로의 절체 요구에 응답하여 장애 발생 채널(301)의 신호를 예비채널(400)로 절체하여 전달하되, 장애 발생 채널(301)의 발생 상태가 정상 해제되거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예비채널(400)을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는 예비채널부(540), 및 N개의 운용채널부(531~53N)와 예비채널부(54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운영자에게 통보해주는 상태 통보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제어부(110)는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여 WTR 타이머(510), 균등기회 타이머(520), 및 장애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장애 발생 플래그 값을 초기화한다(S301).
N개의 운용채널부(531~53N)는 자신에 관리하는 운용채널(301~30N)에 대한 장애 발생 검사를 실시한다(S302).
단계S302의 검사 결과, 장애 발생을 감지한 운용채널부가 없으면(S303), 장애 발생 플래그 값은 'False'로 유지되고(S304), N개의 운용채널부(531~53N)는 단계S302로 재진입하여 장애 발생 검사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특정 운용채널부(예를 들어, 운용채널부1(531))가 장애 발생을 감지하면(S303), 장애 발생 플래그 값을 'True'로 설정하고(S305), 운용채널부1(531)는 자신의 트래픽을 예비채널(400)로 절체하는 1:N 보호절체를 수행한다(S306).
1:N 보호절체가 수행된 이후에도 운용채널부1(531)가 장애 발생을 계속 감지하여 장애 발생 플래그 값이 'True'으로 유지되면(S307), WTR 타이머(510)는 이에 응답하여 초기화된다(S308). 그리고 상태 통보부(550)는 운용채널부1(531)에 장애가 발생하여 운용채널부1(531)에서 예비채널부(540)로의 1:N 보호절체가 수행되었음을 운영자에게 통보한다(S317).
반면, 운용채널부1(531)가 장애 해제를 감지하여 장애 발생 플래그 값을 'False'로 변경하였으면(S307), WTR 타이머(510)는 장애 발생 운용채널부(531)의 장애 해제 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S309).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해제 상태가 제1시간 동안 지속되어 WTR 타이머(510)의 카운팅이 완료되면(즉,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발생 상태가 정상 해제되면)(S310), 운용채널부1(531)와 예비채널부(540)는 정상상태로 복귀하여 1:N 보호절체를 해제하고(S311),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가 해제되었음을 운영자에게 통보해준다(S317).
본 발명에서는 단계S307 내지 단계 S311의 절차를 수행함과 동시에, 균등한 보호절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도 수행해준다.
이를 위해, 운용채널부1(531)의 트래픽이 예비채널부(540)로 절체되는 1:N 보호절체가 수행되면, 균등기회 타이머(520)는 장애 발생 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S312).
균등기회 타이머(520)의 카운팅이 완료되기 이전에(S313), 단계 S311에 의해 1:N 보호절체가 해제되어 장애가 발생했던 운용채널부1(531)와 예비채널부(540)이 모두 정상 상태로 복귀되었으면(S314), 균등기회 타이머(520)는 초기화된다(S315). 그러나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부1(531)와 예비채널부(540)이 1:N 보호절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면(S314), 균등기회 타이머(520)는 계속하여 장애 발생 시간을 카운팅한다(S312).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발생 상태가 제2시간 동안 지속되어 균등기회 타이머(520)의 카운팅이 완료되면(즉,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S313), 다른 운용채널부(132~53N)에게도 1:N 보호절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1:N 보호절체를 강제 해제시켜 예비채널부(540)는 정상상태로 강제로 복귀시킨다(S316). 그리고 상태 통보부(550)는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가 지속되므로, 해당 운용채널부1(531)를 수동으로 복구 수리할 필요가 있음을 운영자에게 통보해준다(S317).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4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본 발명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은 운용채널부1(531), 운용채널부 N(53N) 및 예비채널부(540) 모두 정상상태고(S411, S412, S413), WTR 타이머(510) 및 균등기회 타이머(520)는 초기화 상태(S414, S415)에서 시작된다고 가정한다.
운용채널부1(531)에서 장애 발생을 감지하면(S421), 예비채널부(540)는 1:N보호절체를 수행하여 운용채널부1(531)의 트래픽을 절체하여 송수신하고(S422), 균등기회 타이머(520)는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발생 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S423).
균등기회 타이머(520)의 카운팅이 완료되기 전에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가 해제되면(S424), WTR 타이머(510)는 장애 해제 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S425).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해제 시간이 제1시간이 되어 WTR타이머(510)의 카운팅이 완료되면(S426), WTR 타이머(510)는 다시 초기화되고(S427), 예비채널부(540)는 1:N보호절체를 해제하여 정상상태로 복귀한다(S428). 그러면 예비채널부(112)로 전달됐던 운용채널부1(531)의 트래픽은 원래의 운용채널부1(531)로 복귀되어 운용채널부1(531) 또한 정상상태로 복귀되고(S429), 균등기회 타이머(520)도 이에 응답하여 초기화된다(S430).
이러한 상태에서 운용채널부1(531)가 장애 발생을 다시 감지하면(S431), 예비채널부(540)는 1:N보호절체를 수행하고(S432), 균등기회 타이머(520)는 장애 발생 시간을 다시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S433).
균등기회 타이머(520)가 장애 발생 시간을 카운팅하는 사이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가 해제되면(S434), WTR 타이머(510)는 장애 해제 시간을 카운팅하되(S435), 카운팅이 완료되기 전에 운용채널부1(531)에 다시 장애가 발생하 면(S436), WTR 타이머(510)는 다시 초기화 된다(S437).
이와 같이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상태가 지속되어 예비채널부(540)와 운용채널부(531)가 정상상태로 복귀되지 못하면, 다른 운용채널부(예를 들어, 운용채널부 N(53N))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S438), 운용채널부 N(53N))에서 예비채널부(540)로의 1:N보호절체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S439).
이에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발생 시간이 제2시간이 되어 균등기회 타이머(520)의 카운팅이 완료된 후(S440), 균등기회 타이머(520)가 초기화되면(S441), 예비채널부(540)는 이에 응답하여 1:N보호절체를 해제하고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하고(S442), 운용채널부1(531)는 수동 수리가 필요함을 확인한다(S443).
이러한 상태에서 운용채널부N(53N)는 장애 발생을 감지하여(S444), 예비채널부(540)에 1:N보호절체를 요구하면, 예비채널부(540)는 운용채널부N(53N)의 1:N보호절체 요구에 응답하여 운용채널부N(53N)의 트래픽을 절체하여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S445). 즉, 예비채널부(540)는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 발생 상태와 상관없이 다른 운용채널부에 대한 1:N보호절체를 수행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1:N보호절체 동작을 수행한 운용채널부1(531)의 장애가 지속되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1:N보호절체를 강제로 해제시켜, 다른 운용채널부도 1:N보호절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Claims (4)

  1. N개의 운용채널부가 대응하는 N개의 운용채널 각각의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운용채널 중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이 감지되면, 예비채널부가 상기 운용채널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트래픽을 예비채널로 절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상기 예비 채널부가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단계는,
    균등기회 타이머가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장애 발생 시간이 제2시간이 되면, 상기 균등기회 타이머가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채널부가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단계는,
    상기 장애 발생 시간이 제2시간이 되면, 상태 통보부가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에 대한 수동 복구 수리가 필요함을 운영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4. 장애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됨을 감지하여 통보하는 균등기회 타이머;
    N개의 운용채널 각각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이 감지되면 예비채널로의 절체를 요구하고,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상기 예비채널로의 절체를 강제 해제하는N개의 운용채널부; 및
    상기 N개의 운용채널부의 상기 예비채널로의 절체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트래픽을 상기 예비채널로 절체하여 전달하되, 상기 장애가 발생한 운용채널의 장애 발생 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지속되면 상기 예비채널을 정상상태로 강제 복귀시키는 예비채널부를 포함하는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장치.
KR1020090025867A 2008-12-08 2009-03-26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 KR101107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293 2008-12-08
KR20080124293 200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76A KR20100066276A (ko) 2010-06-17
KR101107321B1 true KR101107321B1 (ko) 2012-01-20

Family

ID=4236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867A KR101107321B1 (ko) 2008-12-08 2009-03-26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354B1 (ko) * 2014-04-29 2016-01-18 주식회사 비티비솔루션 병렬 연결식 서버시스템의 통신 장애 복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210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전달망 시스템에서 특정 정합 장치의 보호/절체지원을 위한 패킷 처리 방법
KR20070056225A (ko) * 2005-11-29 2007-06-04 엘지노텔 주식회사 유비쿼터스환경하의 센서 네트워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210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전달망 시스템에서 특정 정합 장치의 보호/절체지원을 위한 패킷 처리 방법
KR20070056225A (ko) * 2005-11-29 2007-06-04 엘지노텔 주식회사 유비쿼터스환경하의 센서 네트워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76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70282A (ja) 通信システム、マスタ装置、および、スレーブ装置
CA2182450A1 (en) Circuit and method of testing for silent faults in a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O2016095344A1 (zh) 链路切换方法、装置及线卡
US8687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ment of Ethernet link loss forwarding
KR101107321B1 (ko) 전송네트워크에서의 균등기회 보호절체 방법 및 장치
CN110545198B (zh) Erps环路的破环方法及主节点
CN101515835A (zh) 一种跨单板光口备份方法及装置
KR20030048503A (ko) 이중화 서버 구조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통신 시스템 및방법
JP6345390B2 (ja) 光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光切替装置
RU259699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тказов одиночного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JP2006338600A (ja) 二重化切換システム
EP2080323A1 (en) Method for protection switching
JP5005425B2 (ja) 制御装置復帰システム
US66504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protection
JP2008204113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CN101924662A (zh) 一种告警传递方法
KR100212183B1 (ko) 제7모듈 공통선 신호방식에서 메세지전달부 레벨2처리회로팩의 이중화장치 및 그 구현방법
JPS58170247A (ja) 自動ル−プ・バツク制御方式
JPH1196033A (ja) 情報処理装置
KR200439091Y1 (ko) 듀얼 리스타트 재발을 최소화하는 이중화 시스템
KR100328758B1 (ko) 유한상태머시인을 이용한 동기식 광전송 장치의 보호절체 방법
KR102062097B1 (ko) 자동복구기능을 탑재한 이중화 구조의 버스정보안내단말기
KR20080039189A (ko) 이더넷 물리계층에서 상태정보 시그널링에 의한 이더넷링크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35331A (ko) 가상화 기반 재난 방송 시스템
JP2004145665A (ja) フェールセーフ機能を備えた火災受信機、及び、これを使用した火災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