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306B1 -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306B1
KR101107306B1 KR1020090131664A KR20090131664A KR101107306B1 KR 101107306 B1 KR101107306 B1 KR 101107306B1 KR 1020090131664 A KR1020090131664 A KR 1020090131664A KR 20090131664 A KR20090131664 A KR 20090131664A KR 101107306 B1 KR101107306 B1 KR 10110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gauge
weight
pressure sensor
pressure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255A (ko
Inventor
이경일
김흥락
서호철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30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의 유압 및 일반 산업용 압력계측 등 저압에서 고압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의 압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재질을 개선함으로써 고온강도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갖는 압력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저항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체는 50~60중량%의 Ni 및 40~50중량%의 Cr를 포함하는 Ni-Cr합금: 85~95중량%와 5~7중량%의 Al, 3~5중량%의 V, 0.3~0.7중량%의 Ce, 0.3~0.5중량%의 Si 및 잔부 Ti로 이루어진 Ti합금: 5~1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갖는 압력센서를 그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크립강도등과 같은 고온강도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갖는 압력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저온은 물론 고온에서도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분야 등에 바람직하게 응용될 수 있다.
박막형, 스트레인게이지, 스테인레스, 절연막, 압력센서

Description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Metal Thin Film type Strain Gauge for Pressure Sensor and Pressure Sensor Having the Strain Gauge}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의 유압 및 일반 산업용 압력계측 등 저압에서 고압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의 압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강도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는 금속 또는 반도체의 저항체에 변형이 가해지면 그 저항값이 변화하는 압력 저항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용도로서는 하중, 압력, 토크 기타 실응력의 측정 센서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는 자동차 엔진의 유압 및 일반 산업용 압력계측 등 저압에서 고압에 이르기까지 넓은 영역의 압력, 특히 고정밀도 를 요하는 측정을 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압력도입부를 갖는 다이어프램, 이 다이어프램 위에 생성되는 절연막, 이 절연막 위에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막은 다이어프램의 단면을 폴리싱 처리한 후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절연막 위에 저항체를 증착 및 패턴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체는 일반적인 스퍼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1,000~3,000Å의 두께로 증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저항체 재질로는 NiCr(니크롬) 또는 CuNi(콘스탄탄), FeCrAl, NiCrFeCu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재질중 Ni-Cr합금은 비저항이 크고, 낮은 저항온도계수를 가지면서, 내열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도 및 강도의 저하가 적은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저항체의 재료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합금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상기 Ni-Cr합금의 경우 충분한 비저항성과 저항계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Cr의 함량이 증가되어야 하는데, Cr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휨현상 및 크리프 현상 등의 경시변화가 커지게 되고, 기계적으로 물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질을 개선함으로써 고온강도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갖는 압력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저항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체는 50~60중량%의 Ni 및 40~50중량%의 Cr를 포함하는 Ni-Cr합금: 85~95중량%와 5~7중량%의 Al, 3~5중량%의 V, 0.3~0.7중량%의 Ce, 0.3~0.5중량%의 Si 및 잔부 Ti로 이루어진 Ti합금: 5~1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압력도입부를 갖는 다이어프램, 이 다이어프램위에 생성되는 절연막, 및 이 절연막 위에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가 저항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체는 50~60중량%의 Ni 및 40~50중량%의 Cr를 포함하는 Ni-Cr합금: 85~95중량%와 5~7중량%의 Al, 3~5중량%의 V, 0.3~0.7중량%의 Ce, 0.3~0.5중량%의 Si 및 잔부 Ti로 이루어진 Ti합금: 5~1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립강도등과 같은 고온강도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갖는 압력센서를 제공함으로써, 저온은 물론 고온에서도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분야 등에 바람직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비저항이 크고, 낮은 저항온도계수를 가지면서, 내열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도 및 강도의 저하가 적은 특성으로 인하여 스트레인 게이지의 재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Ni-Cr합금의 문제점인 고온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오랜 연구및 실험을 행한 결과, Ni-Cr합금에 Ti합금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Ni-Cr합금의 전기적 특성 뿐만아니라 고온강도도 개선됨을 인지하고,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는 압력센서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저항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항체는 50~60중량%의 Ni 및 40~50중량%의 Cr를 포함하는 Ni-Cr합금: 85~95중량%와 5~7중량%의 Al, 3~5중량%의 V, 0.3~0.7중량%의 Ce, 0.3~0.5중량%의 Si 및 잔부 Ti로 이루어진 Ti합금: 5~15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Ni-Cr합금중 Cr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충분한 비저항을 확보할 수 없고 저항온도계수가 높아지게 되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휨현상 및 크리프 현상 등의 경시변화가 커지게 되고, 기계적으로 물러지게 되므로, 상기 Cr 함량은 40~50 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합금은 강도 특성, 가공성 및 크립강도를 향상시키는 성분으로서, Cr 함유량의 증가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함량이 5 중량%이상이어야 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Ni-Cr합금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비저항값과 같은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므로, Ti합금의 함량은 5~1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합금중 Al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기비저항이 작아지고, 전기저항 온도계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7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기저항 온도계수는 작아지지만 전기비저항이 과도하게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Ti합금중 Al의 함량은 5~7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V 또한 Al과 유사 효과를 얻기 위하여 투입하나, 3중량% 미만일 경우 전기비저항이 작아지고 전기저항 온도계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전기비저항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3~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합금 중 Ce 및 Si는 파단강도를 더 좋게 하기 위하여, 0.3~0.5중량%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압력센서의 일례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센서(1)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압력도입부(7)를 갖는 다이어프램(6), 이 다이어프램 (6)위에 생성되는 절연막(5), 및 이 절연막 위에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3)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3)로는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본 발명의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한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2는 최종보호막을, 4는 전극접촉부를 나타낸다.
상기 박막 스트레인 게이지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조방법을 통해 압력센서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은 경면처리된 다이어프램 위에 스트레인 게이지와의 절연을 위하여 SiO2 또는 SiNX 재질의 절연막을 1~1.5㎛ 두께로 증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트레인 게이지는 PVD 등을 이용하여 0.3~1㎛ 두께로 패턴을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일측이 압력도입부를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다이어프램 표면을 그라인딩 후 다이아몬드 현탄액을 사용하여 랩핑 및 폴리싱 처리를 하였다.
경면처리된 다이어프램 위에 스트레인 게이지와의 절연을 위하여 SiO2 재질의 절연막을 1.2㎛ 두께로 증착하고, 스트레인 게이지를 PVD를 이용하여 0.7㎛ 두 께로 패턴을 형성한 후, SiO2 보호막을 증착/패터닝하고, Al 또는 Au로써 전극부를 형성시키고, 최종적으로 다이어프램 전체에 보호막을 증착하여 도 1과 같은 구조의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발명재들은 스트레인 게이지의 재질로서 Ni: 55중량% 및 Cr: 45중량%로 이루어진 Ni-Cr 합금과 Al:6중량%, V:4중량%, Ce:0.5중량%, Si:0.5중량% 및 잔부 Ti로 이루어진 Ti합금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사용한 것이고, 종래재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재질로서 Ni: 55중량% 및 Cr: 45중량%로 이루어진 Ni-Cr 합금 단독을 사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압력센서에 대하여 고온강도(Kg/㎟), 비저항계수(μΩ-㎝) 및 저항온도계수(10-5K-1)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편No. 스트레인 게이지의 조성 고온강도
(Kg/㎟)
비저항계수
(μΩ-㎝)
저항온도계수(10-5K-1)
발명재1 Ni-Cr합금:90% 및 Ti합금: 10% 42 145 1
발명재2 Ni-Cr합금:87% 및 Ti합금: 13% 38 143 1.5
발명재3 Ni-Cr합금:92% 및 Ti합금: 8% 43 148 0.7
종래재 Ni-Cr합금:100% 25 100 2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Ni-Cr합금에 Ti합금을 본 발명에 따라 첨가한 발명재(1-3)가 Ni-Cr합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종래재에 비하여 고온강도, 비저항계수 및 저항온도계수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 2 : 최종보호막
3 : 스트레인 게이지 4 : 전극접촉부
5 : 절연막 6 : 스테인레스 다이어프램
7 : 압력 도입부 8 : SiO2 등의 절연막

Claims (4)

  1.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로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저항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체는 50~60중량%의 Ni 및 40~50중량%의 Cr를 포함하는 Ni-Cr합금: 85~95중량%와 5~7중량%의 Al, 3~5중량%의 V, 0.3~0.7중량%의 Ce, 0.3~0.5중량%의 Si 및 잔부 Ti로 이루어진 Ti합금: 5~1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가 Ni-Cr합금: 90중량%와 Ti합금: 1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3. 압력도입부를 갖는 다이어프램, 이 다이어프램위에 생성되는 절연막, 및 이 절연막 위에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가 저항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체는 50~60중량%의 Ni 및 40~50중량%의 Cr를 포함하는 Ni-Cr합금: 85~95중량%와 5~7중량%의 Al, 3~5중량%의 V, 0.3~0.7중량%의 Ce, 0.3~0.5중량%의 Si 및 잔부 Ti로 이루어진 Ti합금: 5~1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가 Ni-Cr합금: 90중량%와 Ti합금: 10중량%로 구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KR1020090131664A 2009-12-28 2009-12-28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KR10110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64A KR101107306B1 (ko) 2009-12-28 2009-12-28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664A KR101107306B1 (ko) 2009-12-28 2009-12-28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55A KR20110075255A (ko) 2011-07-06
KR101107306B1 true KR101107306B1 (ko) 2012-01-20

Family

ID=4491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664A KR101107306B1 (ko) 2009-12-28 2009-12-28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5995B (zh) * 2018-08-01 2024-02-02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基于金刚石薄膜的快速响应的海水压力传感器及制备方法
CN109238525A (zh) * 2018-08-28 2019-01-18 西安航天动力研究所 金属薄膜式压力-温度复合传感器及其制作方法
CN110108397B (zh) * 2019-03-27 2021-05-11 重庆城市管理职业学院 一种可抗高电压的薄膜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752A (ja) 1982-03-08 1983-09-12 Takeshi Masumoto Ni−Cr系合金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752A (ja) 1982-03-08 1983-09-12 Takeshi Masumoto Ni−Cr系合金材料
US4655857A (en) 1982-03-08 1987-04-07 Tsuyoshi Masumoto Ni-Cr type alloy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255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436B1 (ko)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압력센서
Kazi et al. The electromechanical behavior of nichrome (80/20 wt.%) film
US9933321B2 (en) High gage factor strain gage
US5508676A (en) Strain gauge on a flexible support and transducer equipped with said gauge
JP2013217763A (ja) 薄膜ひずみセンサ用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薄膜ひずみセンサ
US7732721B2 (en) Nickel alloy precision force transducer with strain gauge elements
KR101107306B1 (ko) 압력센서용 금속 박막형 스트레인 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JP2011069823A (ja) パッシベーションを用いずにセンサデバイス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センサデバイス
JP2013117422A (ja) 歪抵抗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歪検出装置
JP5928863B2 (ja) 歪抵抗薄膜および当該歪抵抗薄膜を用いたセンサ
JP4482250B2 (ja) 圧力感度及び温度感度を低減したひずみゲージ及びその設計方法
US4100524A (en) Electrical transducer and method of making
JP4131990B2 (ja) 超低温での零シフト非線形性を補償する圧力センサ
US10371588B2 (en) High resolution strain gages for ceramic matrix composit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N116121721B (zh) 一种纳米应变薄膜、轮辐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WO2009056159A1 (en) Combination of bearing component and sensor
EP0359132A2 (en) Thin film resistor for strain gauge
US11177059B2 (en) Film resistor and thin-film sensor
JP2020524290A (ja) シート抵抗及び薄膜センサ
JP6840317B2 (ja) 歪抵抗薄膜および当該歪抵抗薄膜を用いたセンサ
DE102007029683B4 (de) Verfahren zur Messung von Zustandsgrößen an mechanischen Komponenten
JPH0666162B2 (ja) 歪ゲージ用薄膜抵抗体
KR19980084450A (ko) 다이어 프램식 압력센서
DE102010054970A1 (de) Vorrichtung zum Wandeln einer Dehnung und/oder Stauchung in ein elektrisches Signal, insbesondere Dehnungsmessfolie
DE102013007644B4 (de) Anordnung zur Messung einer Dehnung, eines Druckes oder einer Kraft mit einer Widerstandsschic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