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748B1 -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748B1
KR101106748B1 KR1020030087360A KR20030087360A KR101106748B1 KR 101106748 B1 KR101106748 B1 KR 101106748B1 KR 1020030087360 A KR1020030087360 A KR 1020030087360A KR 20030087360 A KR20030087360 A KR 20030087360A KR 101106748 B1 KR101106748 B1 KR 101106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mode
clocks
operation mod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072A (ko
Inventor
김지훈
곽인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클럭 공급장치는 복수 개의 동작 모드와 클럭을 가지고 있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클럭이 동작 모드에 따라 주파수가 바뀌는 전자기기에 대해, 기기의 특정 모드에서 사용하는 클럭만을 활성화시켜 공급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클럭에 의해 방사되는 전자파 장애(electromagentic interference : EMI)를 없애고, 서로 다른 종류의 클럭의 체배 주파수가 겹치는 경우를 최소화해서 방사 EMI양을 줄일 수 있다.
전자기기, 주파수, EMI, 클럭제어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lock in electronic device}
도 1은 종래의 전자기기에서 동작 모드별로 사용되고 있는 클럭들의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공급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럭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럭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복합기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럭 공급 장치 11 : 클럭 발생부
12 : 저장부 13 : 모드 설정부
14 : 제어부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수개의 클럭들중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클럭들에 대하여는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전자파 장애(electromagentic interference : EMI)양을 줄일 수 있는 전자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들은 기기내에서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동작 모드별로 사용하는 클럭이 다를 경우가 있다.
종래의 전자 기기는 사용 클럭에 대한 특별한 제어가 없이 일단 전원이 공급되면 모든 클럭이 활성화 된다. 따라서 기기의 동작 모드가 바뀌더라도,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클럭의 측면에서는 변하는 부분이 없이 모든 클럭이 활성화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 기기에서 동작 모드별로 사용되고 있는 클럭들의 일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드 A와 모드 B, 두 개의 동작모드를 가지고 있고, 클럭 1부터 클럭 4까지 네 개의 클럭을 사용하고 있는 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모드 A의 경우에는 클럭 1과 클럭 3을 사용하고, 모드 B의 경우에는 클럭 1, 클럭 2, 클럭 4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각 모드에서 클럭 사용 유무에 관계없이 네 개의 모든 클럭이 활성화 된 상태로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여러 동작 모드 중에서, 특정한 모드에서 사용하지 않는 클럭을 특별히 제어하지 않고 활성화 된 상태로 둔다. 따라서 필요하지 않은 클럭에 대해서 방사 전자파 장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클럭의 체배 주파수가 겹치는 주파수의 경우 방사 전자파 장애 국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복수 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고, 복수 개의 클럭을 사용하고, 클럭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은 동작 모드에 따라 주파수가 바뀌는 제품의 경우, 각 클럭의 체배 주파수는 방사 전자파 장애 측면에서 취약한 부분이다.
특히 다른 종류의 클럭의 체배 주파수가 겹치는 경우, 방사 전자파 장애의 양은 더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방사 전자파 장애 국제 규격 기준에 미달되거나 마진이 부족한 경우가 생긴다.
본 발명은 종래에 복수개의 클럭이 사용될 때 체배 주파수로 인한 전자파 장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수개의 클럭들중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는 클럭들에 대하여는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방사 전자파 장애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클럭 공급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클럭 발생 장치는 복수 개의 동작 모드와 클럭을 가지고 있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클럭이 동작 모드에 따라 주파수가 바뀌는 전자기기에 대해, 전자기기의 특정 모드에서 사용하는 클럭만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클럭에 의한 방사 전자파 장애를 없애고, 서로 다른 종류의 클 럭의 체배 주파수가 겹치는 경우를 최소화해서 방사 전자파 장애의 양을 줄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장치(10)는 전자 기기의 각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클럭들을 발생시켜 해당 동작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포트로 발생된 클럭을 출력하는 클럭 발생부(11)와, 각 동작 모드별로 임의의 동작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들과 사용되지 않는 클럭들에 대한 클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와, 전자 기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설정부(13)와, 모드 설정부(13)의 입력신호에 따라 임의의 동작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저장부(12)에 저장된 클럭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은 활성화시키고,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클럭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클럭 발생부(11)에 클럭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클럭 발생부(11)는 전자 기기의 각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클럭들을 발생시켜 해당 동작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포트로 발생된 클럭을 출력한다. 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 기기에서 필요한 각종 클럭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복합기에서 장착되는 경우라면 클럭 발생부(11)는 스캔을 하는데 필요한 클럭,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저장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클럭, 프린트를 하기 위한 클럭 등을 발생한다.
저장부(12)는 각 동작 모드별로 임의의 동작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들과 사용되지 않는 클럭들에 대한 클럭 정보를 저장한다. 클럭 정보들이 저장부(12)에 저장될때는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클럭 정보 테이블은 각 모드별로 사용 되는 클럭과 사용되지 않는 클럭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클럭은 on(또는 1)으로 하고, 사용되지 않는 클럭은 off(또는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모드 설정부(13)는 운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단순히 상위 기기(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에서 전송되는 모드 설정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4)에 모드 설정 명령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는 모드 설정부(13)의 입력신호에 따라 임의의 동작 모드를 수행할 경우, 저장부(12)에 저장된 클럭 정보 테이블로부터 해당 모드를 수행할 경우에 사용되는 클럭과 사용되지 않는 클럭을 클럭별로 조회하여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은 활성화시키고,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클럭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클럭 발생부(11)에 클럭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럭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의 전원을 켰을 때 또는 버튼이나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여러 종류의 모드로의 전환 명령이 내려오면 모드 설정부(13)을 통해서 제어부(13)에 전달된다(S1). 제어부(14)는 저장부(13)에 저장된 클럭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환하려고 하는 모드에서 사용하는 클럭을 확인한다. 여러 개의 클럭중에서 차례대로 하나의 클럭이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인가를 판단한다(S2)
판단 결과 해당 클럭이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인 경우, 제어부(14)는 해당 클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클럭 발생부(11)에 출력하고, 클럭 발 생부(11)는 해당 클럭을 활성화하여 출력한다(S3). 한편, 판단 결과 해당 클럭이 해당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이 아닌 경우, 제어부(14)는 해당 클럭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클럭 발생부(11)에 출력하고, 클럭 발생부(11)는 해당 클럭을 비활성화하여 출력시키지 않는다(S4). 한편, 클럭을 활성화할 경우, 그 클럭이 모드에 따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한다면, 그 모드에 맞는 주파수로 활성화한다.
하나의 클럭에 대하여 활성 또는 비활성 제어과정이 종료되면 모든 클럭에 대해 클럭 제어를 수행했는지를 확인해 확인할 다음 클럭이 남아 있는지 판단하여(S5) 남아 있는 경우에는 해당 클럭에 대하여 클럭의 사용유무를 판단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임의의 모드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클럭 정보를 참조하여 전환된 해당 모드에서 각 클럭의 사용여부를 판단하여 각 클럭의 발생여부를 재설정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모드 가, 모드 나, 모드 다의 세 모드를 가지고, 클럭 A부터 클럭 D까지 네 개의 클럭을 사용하는 기기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클럭 B는 B'과 B''의 두 주파수를 가진다.
모드 가에서는 클럭 A과 클럭 D를 사용하고, 모드 나에서는 클럭 B, 클럭 C, 클럭 D를 사용한다.
만일, 현재 기기가 모드 가에 있다면 클럭 A와 클럭 D는 활성화된 상태이고, 클럭 B와 클럭 C는 비활성화 된 상태로 있다. 모드 가에서 모드 나로의 모드 전환 신호가 오면, 각 클럭을 확인을 해서 클럭 D는 그대로 활성화 된 상태로 두고, 클럭 B와 C는 모드 나에서 사용하므로 활성화를 시키고, 클럭 A은 모드 나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활성화를 시킨다. 이 때 클럭 B는 주파수 B'와 B''중에서 모드 나에서 사용하는 B'의 주파수로 활성화를 시킨다.
모드 나에서 모드 다로의 모드 전환 신호가 오면, 각 클럭을 확인을 해서 클럭 C는 그대로 활성화 된 상태로 두고, 클럭 A은 모드 나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활성화를 한다. 클럭 B는 모드 다에서는 B''의 주파수로 동작하므로, 주파수 B''으로 활성화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럭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복합기의 시스템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기는 인쇄, 팩스, 복사, 스캔 등의 복수 개의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스캔의 경우 CCD 클럭을 사용하게 되는데, 흑백 스캔인지 컬러 스캔인지에 따라 CCD 클럭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클럭 공급 장치(10)로부터 클럭을 공급받는 복합기의 디바이스들을 살펴보면, 메모리 클럭을 공급받는 메모리(1)와, 컬러 스캔을 위한 CCD 클럭1을 공급받는 컬러 스캔용 스캔장치(2)와, 흑백 스캔을 위한 CCD 클럭2를 공급받는 흑백 스캔용 스캔장치(3)와, LSU(4)와, 비디오모듈(5)와, 모뎀(6)과, USB 포트(7)가 있다.
USB 포트(7)를 통하여 인쇄 명령이 내려올 경우, 우선 스캐너와 관련된 부분은 사용을 하지 않으므로 스캔에 사용하는 CCD 클럭1,2와 모뎀을 이용한 통신에 사용하는 모뎀 클럭은 비활성화를 시키고, 인쇄와 관련된 나머지 클럭만 활성화를 한 다.
병렬포트를 통하여 인쇄 명령이 내려올 경우, CCD 클럭 1,2와 모뎀 클럭은 USB 포트(7)를 통한 인쇄와 동일하게 비활성화를 하고, 추가로 USB 클럭을 비활성화 한다.
PC에서 USB 포트(7)를 이용하여 스캔을 하는 경우, 인쇄와 관련된 부분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LSU 클럭, 비디오 클럭, 모뎀 클럭은 비활성화를 한다. 스캔에 사용하는 CCD 클럭과 메모리 클럭은 데이터를 메모리(1)에 저장하거나 할 때 사용하므로 항상 활성화가 된 상태로 둔다.
이때, 스캔에 사용하는 CCD 모듈은 컬러 스캔이냐 흑백 스캔이냐에 따라 CCD 클럭이 달라진다. 칼라 스캔(CCD 클럭 1)의 경우 흑백 스캔과 동일하나 칼라 스캔용 클럭(CCD 클럭 2)의 약 1/4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동작 모드와 클럭을 가지고 있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클럭이 동작 모드에 따라 주파수가 바뀌는 기기에 대해, 기기의 특정 모드에서 사용하는 클럭만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클럭에 의한 방사 전자파 장애를 없애고, 서로 다른 종류의 클럭의 체배 주파수가 겹치는 경우를 최소화해서 방사 전자파 장애의 양을 줄인다. 또한 하드웨어나 기구적인 추가 요소가 없기 때문에, 방사 전자파 장애 감소를 위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않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자 기기의 각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클럭들을 발생시켜 해당 동작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포트로 발생된 클럭을 출력하는 클럭 발생부와,
    각 동작 모드별로 임의의 동작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들과 사용되지 않는 클럭들에 대한 클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설정부와,
    상기 모드 설정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임의의 동작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클럭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은 활성화시키고,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클럭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클럭 발생부에 클럭 발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럭 발생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클럭을 출력시키기 위한 클럭 선택 신호를 출력하여 그 클럭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클럭 발생부가 서로 다른 종류의 클럭을 발생시켜 하나의 포트에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를 각 동작 모드별로 임의의 동작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들과 사용되지 않는 클럭들에 대한 클럭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하는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장치.
  4. 각 동작 모드별로 임의의 동작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들과 사용되지 않는 클럭들에 대한 클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임의의 동작 모드에 대한 수행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클럭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모드에서 각 클럭의 사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해당 동작 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은 활성화시키고,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지 않는 클럭은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클럭 발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클럭 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럭만을 생성하여 해당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포트에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임의의 모드가 수행되고 있는 중에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 된 클럭 정보를 참조하여 전환된 해당 모드에서 각 클럭의 사용여부를 판단하여 각 클럭의 발생여부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클럭 공급 방법.
KR1020030087360A 2003-12-03 2003-12-03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60A KR101106748B1 (ko) 2003-12-03 2003-12-03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60A KR101106748B1 (ko) 2003-12-03 2003-12-03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072A KR20050054072A (ko) 2005-06-10
KR101106748B1 true KR101106748B1 (ko) 2012-01-18

Family

ID=3724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360A KR101106748B1 (ko) 2003-12-03 2003-12-03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444B1 (ko) * 2006-08-29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온-칩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7102B1 (ko) * 2007-01-09 2009-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모드 클럭 생성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025A (ja) * 1999-04-28 2000-11-07 Nec Corp クロック信号線制御方式
KR20020012847A (ko) * 2000-08-09 2002-02-20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모드에 따라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025A (ja) * 1999-04-28 2000-11-07 Nec Corp クロック信号線制御方式
KR20020012847A (ko) * 2000-08-09 2002-02-20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모드에 따라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072A (ko)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0575B1 (en) Clock supply circuit
US90761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thereof
US9774759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72779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390759A2 (en) Power save mod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and system
KR2011008300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US2020028065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activating an application therein
KR101106748B1 (ko) 전자 기기의 클럭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39994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인쇄방법
JP2017140708A (ja) 通信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装置
JP2019113933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5050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3962696B2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43226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ower supply control
US2011012856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95444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tandby mode
US678248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s a CPU that reduces operation capability of large scale integration circuit by switching large scale integration circuit to low power save mode
WO2016121595A1 (ja) 電力供給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6023636A (ja) 画像形成装置
US201802490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5333855B2 (ja) 電子機器の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50179924A1 (en) Option module using clock frequency, electr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20200314261A1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form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725947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6676235B1 (en) Multi-resolution pr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