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568B1 -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568B1
KR101106568B1 KR1020050002737A KR20050002737A KR101106568B1 KR 101106568 B1 KR101106568 B1 KR 101106568B1 KR 1020050002737 A KR1020050002737 A KR 1020050002737A KR 20050002737 A KR20050002737 A KR 20050002737A KR 101106568 B1 KR101106568 B1 KR 101106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orting
file
files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240A (ko
Inventor
조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버
Priority to KR102005000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5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14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의 자원을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파일정렬 시스템은 소정 파일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는 모바일기기; 및 PC에 설치되며, 모바일기기로 부터 복수의 파일 독출하여 소정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한 후, 모바일기기에 재기록하는 파일 정렬 모듈을 구비하되, 이러한 파일정렬 모듈은, 모바일기기와 통신하는 외부인터페이스;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기기에 파일을 기록/독출하는 데이터 기록/독출부; 독출된 복수의 파일을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파일 정렬부; 및 소정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모바일기기의 파일이 독출되어 정렬되도록 데이터 기록/독출부 및 파일정렬부를 제어하고, 정렬된 복수의 파일이 모바일기기에 재기록되도록 데이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경제적, 효율적으로 모바일기기의 파일을 정렬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File sorting System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PC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PC와 접속하여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파일들을 정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이용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재생되는 음악의 순서를 장르 또는 선호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자한다.
그러나 적은 양의 전류를 통해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성능이 간단한 CPU를 채용하게 되고, 이 때문에 파일 재정렬과 같이 많은 자원을 요구하는 작업은 수행이 곤란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 조작을 통해 파일의 저장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재생 프로그램 실행시의 재생되는 파일의 순서만을 임의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단지 보여지는 순서를 재정렬 한 것에 불과하며, 만일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다른 플레이어에 채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등에는 종래의 소프트웨어적 조작을 통해 정렬된 순서대로 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에 파일정렬을 위한 추가적인 자원을 마련할 필요없이, PC가 가지고 있는 충분한 자원을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파일 정렬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시스템은, 소정 파일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는 모바일기기; 및 PC에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기기로 부터 상기 복수의 파일 독출하여 소정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한 후,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기록하는 파일 정렬 모듈을 구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정렬 모듈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통신하는 외부인터페이스;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에 파일을 기록/독출하는 데이터 기록/독출부; 독출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파일 정렬부;및 소정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파일이 독출되어 정렬되도록 상기 데이터 기록/독출부 및 상기 파일정렬부를 제어하고, 정렬된 상기 복수의 파일이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기록되도록 상기 데이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시스템은 FAT(File Allocation Table) 방식이며, 상기 파일정렬부는, 독출된 상기 복수의 파일 각각에 대한 FAT 정보로서 구조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구조체를 상기 정렬순서에 따라 정렬한 후, 이를 통해 상기 정렬 순서에 대응하는 FAT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기록/독출부는, 정렬 순서에 대응하는 상기 FAT로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FAT를 갱신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는, USB 직렬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모바일기기와 통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방법은, 소정 파일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는 모바일기기를 마련하는 단계; 및 PC에 설치된 소정 파일 정렬 모듈을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로 부터 상기 복수의 파일 독출하여 소정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한 후,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기록하는 파일 정렬 단계를 구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정렬 단계는, 상기 모바일기기와 인터페이싱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싱을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파일을 독출하는 단계; 독출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모바일기기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시스템은 FAT(File Allocation Table) 방식이며, 상기 파일정렬 단계는, 독출된 상기 복수의 파일 각각에 대한 FAT 정보로서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구조체를 상기 정렬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상기 구조체를 통해 상기 정렬순서에 대응하는 정렬된 형태의 FAT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기록단계는, 상기 정렬된 형태의 FAT로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FAT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싱을 수립하는 단계는, USB 직렬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시스템은, 모바일기기와, 모바일기기와 통신하며 PC에 설치되는 파일정렬 모듈로 구성된다.
모바일기기(100)는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10), PC(300)에 설치된 파일 정렬 모듈(200)과 데이터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C 인터페이스(130), 및 CPU(170)를 구비한다.
PC(300)에 설치되는 파일정렬모듈(200)은 외부 모바일기기(10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인터페이스(210), 외부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바일기기(100)의 메모리(110)로 부터 파일을 독출하고 메모리(110)에 파일을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독출부(230), 독출된 파일을 소정 파일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파일정 렬부(240), 그리고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수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 파일 정렬 수행 선택에 따라 파일 정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250), 및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파일 정렬 명령에 따라 데이터 기록/독출부(230)를 제어하여 모바일기기(100)의 메모리(110)로부터 파일을 독출하고, 유저에 의해 결정된 파일 정렬 순서에 따라 파일이 정렬되도록 파일정렬부(240)를 제어하며, 정렬된 파일들을 모바일기기(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 기록/독출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100)의 PC 인터페이스(130)와 외부인터페이스(1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USB) 직렬통신 방식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통신을 통해 모바일기기는 PC(300) 및 파일정렬 모듈(200)에 하나의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 장치로 인식되게 된다. 한편, 모바일기기(100)는 파일 시스템으로 FAT16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외 시스템의 발달에 따라 FAT32 등의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채용할 수 있다.
데이터기록/독출부(230)는 USB를 통해 매스 스토리지장치로 인식된 모바일기기의 메모리(110)로부터 파일들을 독출하여 소정 임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파일정렬부(140)는 유저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선택된 파일정렬 순서에 따라 독출된 파일을 정렬한다. 이때 파일 정렬 알고리즘으로는 버블 소팅(bubble sorting) 알고리즘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외 다양한 파일정렬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에게 파일 정렬 명령 및 파일 정렬 순서를 입 력받기 위한 메뉴 화면 및 키를 제공하고, 파일정렬 수행결과를 화면(미도시)에 표시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를 통한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방법을 설명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모바일 기기(100)내의 파일 정렬을 위해, 유저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파일을 정렬할 대상이 되는 폴더 및 정렬할 순서를 입력받을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파일 정렬 대상이 되는 폴더 및 정렬 순서를 입력받는다(S300). 이때 정렬 대상 폴더 및 정렬 순서를 입력받기 위해서 USB를 통해 모바일기기(100)와 PC(300)는 연결되며, 데이터 기록/독출부(230)는 USB를 통해 모바일기기를 하나의 매스 스토리지(Mass Storage)로 인식함으로써, 정렬 대상이 되는 폴더 및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S300 단계의 파일 정렬 대상 폴더 입력에 대응하여, 데이터 기록/독출부(230)는 입력된 폴더에 대한 FAT 정보를 독출하여(S310), 파일 정렬부(140)로 제공한다. 이때 독출되는 FAT 정보는 선택된 폴더에 포함되는 각 파일에 대한 FAT 정보 뿐 아니라, 정렬 대상 폴더의 하위 폴더 및 하위 폴더에 포함된 각각의 파일에 대한 것으로서, 각 파일 또는 폴더의 이름 및 물리적인 위치를 포함한다.
파일 정렬부(140)는 파일 정보에 포함된 파일 또는 폴더의 이름과 폴더 플래그를 통해 새로운 구조체를 생성한 후(S320), 이를 S300 단계에서 입력받은 파일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한다(S330). 이때 정렬 방법으로는 버블소팅알고리즘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외 다양한 방식의 정렬 알고리즘이 응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정렬된 구조체를 통해 정렬된 형식의 FAT를 새로이 생성한 후(S340), 이로서 모바일기기(100)의 FAT를 업데이트함으로써(S350), 모바일기기의 해당 폴더에 대한 파일 구조를 사용자 의사에 따라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기기에 파일정렬을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자원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단가가 절감되며,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PC를 통해 파일 정렬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처리가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소정 파일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는 모바일기기;
    PC에 설치되며, 상기 모바일기기로 부터 상기 복수의 파일 독출하여 소정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한 후,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기록하는 파일 정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파일정렬 모듈은 상기 모바일기기와 통신하는 외부인터페이스;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에 파일을 기록/독출하는 데이터 기록/독출부;
    독출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파일 정렬부; 및
    소정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모바일기기의 파일이 독출되어 정렬되도록 상기 데이터 기록/독출부 및 상기 파일정렬부를 제어하고, 정렬된 상기 복수의 파일이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기록되도록 상기 데이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시스템은 FAT(File Allocation Table) 방식이며,
    상기 파일정렬부는, 독출된 상기 복수의 파일 각각에 대한 FAT 정보로서 구조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기 구조체를 상기 정렬순서에 따라 정렬한 후, 이를 통해 상기 정렬 순서에 대응하는 FAT를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 기록/독출부는, 정렬 순서에 대응하는 상기 FAT로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FAT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메뉴화면 및 키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는,
    USB 직렬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모바일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시스템.
  6. 소정 파일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파일을 저장하는 모바일기기를 마련하는 제 1 단계;
    PC에 설치된 소정 파일 정렬 모듈을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로 부터 상기 복수의 파일 독출하여 소정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한 후, 상기 모바일기기에 재기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모바일기기와 인터페이싱을 수립하는 제 2a 단계;
    상기 인터페이싱을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복수의 상기 파일을 독출하는 제 2b 단계;
    독출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제 2c 단계; 및
    정렬된 상기 복수의 파일을 상기 모바일기기에 기록하는 제 2d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시스템은 FAT(File Allocation Table) 방식이며,
    상기 제 2c 단계는,
    독출된 상기 복수의 파일 각각에 대한 FAT 정보로서 구조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구조체를 상기 정렬순서에 따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상기 구조체를 통해 상기 정렬순서에 대응하는 정렬된 형태의 FAT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d 단계는,
    상기 정렬된 형태의 FAT로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FAT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순서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 및 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a 단계는,
    USB 직렬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파일정렬 방법.
KR1020050002737A 2005-01-12 2005-01-12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737A KR101106568B1 (ko) 2005-01-12 2005-01-12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737A KR101106568B1 (ko) 2005-01-12 2005-01-12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40A KR20060082240A (ko) 2006-07-18
KR101106568B1 true KR101106568B1 (ko) 2012-01-19

Family

ID=3717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737A KR101106568B1 (ko) 2005-01-12 2005-01-12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11B1 (ko) * 2006-01-05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사진 파일의 정렬 방법
KR100947208B1 (ko) * 2008-03-25 2010-03-11 엔에이치엔(주)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175A (ja) * 2000-01-18 2001-07-27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20097413A (ko) * 2001-06-21 2002-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록되는 파일의 순서를 변경 가능한 광기록장치
US20030172079A1 (en) 2002-03-08 2003-09-11 Millikan Thomas N. Use of a metadata presort file to sort compressed audio fi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2175A (ja) * 2000-01-18 2001-07-27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20097413A (ko) * 2001-06-21 2002-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록되는 파일의 순서를 변경 가능한 광기록장치
US20030172079A1 (en) 2002-03-08 2003-09-11 Millikan Thomas N. Use of a metadata presort file to sort compressed audio f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40A (ko)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6825C (zh) 创建符号链接的方法以及使用符号链接的方法和装置
JP521940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402036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2227729A (zh) 仅向主机呈现与定义的主机性能相兼容的文件的存储器件
US7050190B2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CN102693185A (zh) 管理设备和管理方法
CN101983376A (zh) 访问装置、信息记录装置、信息记录系统、文件管理方法和程序
US20040107309A1 (en) Data rewri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080201659A1 (en) Computer system having multipurpose desktops
KR101176022B1 (ko) 기록재생장치, 정보전송 관리방법 및 기록매체
KR101106568B1 (ko)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620632B (zh) 文件操作设备
JP2007249155A (ja) メディア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メディア再生装置
JP2000057037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CN101114304A (zh) 用于文件信息移动处理的方法和装置
US20080033948A1 (en)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CN101515281B (zh) 影像编辑装置、终端装置以及gui程序发送方法
CN106980685B (zh) 数据处理方法及数据处理装置
US2008003394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4265408B2 (ja) 電子音楽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62389B1 (ko)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US20030223319A1 (en) Optical disc player providing user-management function for MP3 files and method thereof
CN100382019C (zh) 程序的更新方法及程序的更新装置
CN112036133A (zh) 一种文件保存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7257494A (ja) データ記録装置、接続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