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389B1 -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389B1
KR100662389B1 KR1020050116342A KR20050116342A KR100662389B1 KR 100662389 B1 KR100662389 B1 KR 100662389B1 KR 1020050116342 A KR1020050116342 A KR 1020050116342A KR 20050116342 A KR20050116342 A KR 20050116342A KR 100662389 B1 KR100662389 B1 KR 10066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data
memory
media
external memory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389B1/ko
Priority to US11/563,314 priority patent/US2007012674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파일이나 미디어)의 저장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파일이나 미디어)를 힙 메모리를 통해 메타데이터로써 관리하는데 적당하며, 특히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될 때 그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와 함께 유동적인 메모리를 통해 관리하도록 해주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메타데이터, 힙 메모리, 미디어,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method for managing storage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외장형 메모리 삽입 시에 정렬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를 위한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외장형 메모리 삽입 시에 정렬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정보(파일이나 미디어)의 저장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단말기 특히, 이동통신단말기 중에는 내부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외장형 메모리를 더 사용하는 구조를 채택한 모델들이 많다.
물론 디지털 카메라나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디지털음악재생기(mp3 player) 등에도 외장형 메모리를 수용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한 외장형 메모리는 카드 타입들이 많이 사용되며, 단말기는 카드형 메 모리를 본체에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기에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될 때, 그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가 외장형 메모리의 데이터에 직접 액세스(Access)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외장형 메모리 삽입 시에 정렬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삽입)될 때 메타데이터(metadata) 없이 미디어들을 정렬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속성(예로써, 이름)이 정렬된 상태에서 외장형 메모리 즉, 메모리 카드가 장착(삽입)되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정보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들의 정보를 포함하여 표출한다.
이때, 종래 기술에서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정보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들의 정보를 서로 분리시킨다. 결국,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정보(미디어 이름)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들의 정보(미디어 이름)를 서로 분리하여 정렬시킨다. 도 1은 미디어 이름을 무작위로 정렬한 경우이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미디어들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없으므로 그들의 정보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들의 정보 뒷부분에서 정렬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정보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정보를 합해서 하나의 기준에 따른 순서로 정렬하기가 어렵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미디어의 정보(특히, 속성)를 저장하기 위해 고정 메모리를 사용한다. 미디어를 저장하는데 지원되는 개수가 제한적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메모리 카드가 장착될 때, 프로세서가 메모리 카드에 직접 액세스해야하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에 액세스하는데 요구되는 시간(latency)이 길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파일이나 미디어)를 힙 메모리를 통해 메타데이터로써 관리하는데 적당한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될 때, 그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와 함께 유동적인 메모리를 통해 관리하도록 해주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방법의 특징은, 미디어가 저장된 신규메모리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미디어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신규파일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신규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 파일들에 근거하여 상기 신규메모리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속성들을 특정 순서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속성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속성은 미디어의 식별자이며, 상기 식별자는 미디어의 이름과 종류와 생성시간과 크기와 저작권자와 생성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속성은 미디어의 위치와 내용, 미디어 권리 조건, 미디어 이용 조건, 미디어 이용 내력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규파일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 파일들과 호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 파일들에 호환되도록 상기 신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규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 개수에 상응하도록 상기 내부 메모리의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할당된 영역에 상기 신규파일을 저장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 후에 특정 미디어의 속성이 지적됨에 따라, 상기 지적된 속성을 나타내는 파일을 통해 해당 미디어로 액세스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 후에 특정 미디어의 속성이 지적됨에 따라, 실행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적된 속성을 나타내는 파일을 통해 해당 미디어를 상기 실행 프로그램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방법의 또다른 특징은, 외장형 메모리의 장착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미 디어의 개수에 상응하게 힙(heap)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영역에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른 순서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에 연계된 미디어들의 속성을 상기 정렬된 순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성은 상기 미디어들의 상기 미디어들의 이름과 종류와 생성시간과 크기와 저작권자와 생성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속성은 미디어의 위치와 내용, 미디어 권리 조건, 미디어 이용 조건, 미디어 이용 내력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 후에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지적됨에 따라, 상기 지적된 메타데이터를 통해 해당 미디어로 액세스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 후에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지적됨에 따라, 상기 지적된 메타데이터에 연계된 미디어를 상기 지적된 메타데이터를 통해 실행 프로그램으로 호출한 후에 상기 실행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미디어를 재생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 메타데이터의 표출이 요구됨에 따라, 상기 다수 메타데이터를 상기 정렬된 순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타데이터는 미디어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식별자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식별자는 미디어의 이름과 미디어 의 종류와 미디어의 생성시간과 미디어 크기와 미디어 저작권자와 미디어의 생성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식별자를 기준으로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정렬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는 상기 힙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던 다수 메타데이터와 호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탈거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힙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가 제외된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상기 기준에 따른 순서로 재정렬시킨다.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방법의 또다른 특징은,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파일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신규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신규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장착 메모리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들의 속성들을 특정 순서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장치의 특징은, 미디어와 그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 다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그리고 상기 외부 메모리의 장착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에,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특정 순서로 정렬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렬된 다수 메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메모리는, 상기 다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힙(heap) 메모리와,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와 연계되는 다수 미디어들을 저장하는 미디어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의 탈거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내부 메모리에서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삭제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미디어의 속성에 해당하는 미디어 이름과 미디어 종류와 미디어의 생성시간과 미디어 크기와 미디어 저작권자와 미디어 생성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로 정렬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와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의 호환성 여부를 확인하고, 이어 상호 호환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와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의 호환성 여부를 확인하고, 이어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에 호환되도록 상기 외부 메모리용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장치는 단말기 특히, 외장형 메모리를 더 사용하는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채택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나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디지털음악재생기(mp3 player) 등과 같이 외장형 메모리를 수용하는 구조의 단말기에도 채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장치를 채택하는 단말기는 외장형 메모리가 카드 타입으로 본체에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를 위한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크게 본체와 그 본체에 장착 또는 탈거되는 외장형 메모리(1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에는 제어부(20)와 내부 메모리(embedded memory)(30)와 디스플레이 수단(40)으로 구성된다.
외장형 메모리(10)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external memory)로써, 특히 상기 파일은 영상이나 음악 등의 미디어이다.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10)는 본체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장착된다.
한편 상기 외장형 메모리(10)는 파일과 함께 그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또는 이하 언급되는 메타데이터는 저장 파일을 표현하기 위해 또는 저장 파일을 검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도록, 저장 파일의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본체의 내부 메모리(30)도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저장하며, 그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내부 메모리(30)는 힙(Heap) 메모리(31)와 미디어 메모리(32)로 구성된다. 힙 메모리(31)는 다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미디어 메모리(32)는 힙 메모리(31)에 저장된 다수 메타데이터와 연계되는 다수 파일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미디어 메모리(32)에 저장되는 파일은 영상이나 음악 등의 미디어이다.
제어부(20)는 외장형 메모리(10)가 본체에 장착됨이 감지되면,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를 내부 메모리(30)의 힙 메모리(31)에 저장시킨다. 이때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는 외장형 메모리(10)에 기 저장되어 있던 것이거나 새로이 생성시킨 것이다.
그러면 힙 메모리(31)에는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와 미디어 메모리(32)의 파일들과 연계되는 메타데이터가 같이 저장된다.
이어, 제어부(20)는 힙 메모리(31)에 저장된 다수 메타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른 순서로 정렬시킨다. 다시 언급하면, 상기 힙 메모리(31)에 저장된 다수 메타데이터는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와 미디어 메모리(32)의 파일들에 연계되 는 다수 메타데이터의 합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메타데이터는 그에 연계되는 파일의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를 힙 메모리(31)에 저장할 때, 제어부(20)는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와 기존에 이미 힙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던 메타데이터의 호환성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두 메타데이터가 상호 호환되는 경우에, 제어부(20)는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를 힙 메모리(31)에 저장시킨다.
반면에 두 메타데이터가 상호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20)는 힙 메모리(31)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메타데이터에 호환되는 외장형 메모리(10)용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그를 힙 메모리(31)에 저장시킨다.
상기는 외장형 메모리(10)에 파일과 연계된 메타데이터를 이미 저장하고 있는 경우이다. 그런데 만약 외장형 메모리(10)에 파일과 연계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20)는 외장형 메모리(10)에 저장된 파일을 참조하여 그 파일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힙 메모리(31)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에 호환되도록 생성하고, 그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힙 메모리(31)에 저장시킨다.
한편 제어부(20)는 외장형 메모리(10)가 본체에 장착됨이 감지되면, 그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를 힙 메모리(31)에 저장하기 전에, 외장형 메모리(10)에 저장된 파일의 개수에 상응하도록 힙 메모리(31)의 저장 영역을 할당한다. 그리고 전술된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를 그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시킨다.
상기에서 본체 입장에서 보면, 외장형 메모리(10)는 신규한 메모리이며, 그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도 신규한 메타데이터이다.
정리하면, 제어부(20)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저장한 신규 메모리가 감지하고, 그에 따라 신규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들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규 메타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그 신규한 메타데이터를 신규 메모리의 파일 개수에 상응하게 할당된 힙 메모리(31)의 영역에 저장시킨다.
다음에 제어부(20)는 힙 메모리(31)에 저장된 다수 메타데이터(이전 메타데이터 + 신규 메타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른 순서로 정렬시킨다.
디스플레이 수단(40)은 상기 정렬된 다수 메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수단(40)은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메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제, 제어부(20)는 외장형 메모리(10)는 물론 미디어 메모리(32)에 저장된 파일들의 속성들을 수집하여, 그 수집된 속성들을 정해진 정렬 순서로 표출한다. 물론 정렬된 다수 메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는 언급이나 저장 파일들의 속성들을 정렬된 순서로 디스플레이한다는 언급은 동일시 간주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다수 메타데이터를 정렬시키고, 그 정렬된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저장 파일들의 속성들을 정렬 순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하나의 속성은 저장 파일의 이름과 종류와 생성시간과 크기와 저작권자와 생성 기기(기기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가 부여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이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상기 나열되는 저장 파일의 속성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로 저장 파일의 속성들을 정렬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저장 파일의 이름을 기준으로 하고, 저장 파일들의 여러 이름들을 알파벳(또는 한글 자모) 순서로 정렬시킨다.
또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저장 파일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고, 저장 파일들을 크기가 큰 순서부터 작은 순서로 정렬시킨다.
한편 만약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속성이 지적되면, 제어부(20)는 지적된 속성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해당 저장 파일에 액세스한다. 즉, 제어부(20)는 지적된 속성의 메타데이터가 가르키는 메모리 주소에서 해당 저장 파일을 읽는다.
상기 액세스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렬 후에 디스플레이된 속성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지적되면, 제어부(20)는 저장 파일을 실행시킬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 이어서 지적된 속성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통해 그 저장 파일을 활성화된 프로그램으로 호출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 파일이 영상 미디어인 경우라면, 상기 호출의 의미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영상 미디어를 재생시키는 것이다.
이후에 만약 외장형 메모리가 본체로부터 탈거되면, 제어부(20)는 그 탈거를 감지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20)는 힙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던 외장형 메모리(10)의 메타데이터를 삭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정보 관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단말기 본체에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외장형 메모리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미디어가 영상 미디어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미디어와 그 영상 미디어에 연계되는 메타데이터가 또한 저장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되는지를 감지한다(S10). 상기 외장형 메모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상 미디어를 저장하며, 그 영상 미디어에 연계되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는 신규 장착된 외장형 메모리가 감지됨에 따라, 그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가 내부 메모리 특히, 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메타데이터와 호환되는지를 체크한다(S11).
만약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가 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메타데이터와 호환되면, 제어부는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힙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저장시킨다(S14).
반면에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가 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메타데이터와 호환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메타데이터와 호환되는 외장형 메모리용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S13). 그리고 그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힙 메모리의 할당 영역에 저장시킨다(S14).
상기에서 힙 메모리의 할당 영역은 제어부가 외장형 메모리의 장착이 감지될 때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미디어의 개수에 상응하게 할당한 힙 메모리의 저장 영역이다.
제어부는 장착되는 외장형 메모리와 같이 신규한 메모리가 감지되면, 그 감지된 메모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의 호환성 여부를 체크한 후에 호환되는 신규한 메타데이터를 힙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이후에 제어부는 힙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메타데이터(외장형 메모리의 신규한 메타데이터와 기 저장되어 있던 내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취합한 후에 그들을 정렬시킨다(S16). 상기한 정렬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미디어의 표출 요구가 있을 경우(S15)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정렬 동작의 실시를 반드시 영상 미디어의 표출 요구가 있을 경우로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힙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메타데이터를 정렬시킨 후에, 그 다수 메타데이터를 정렬된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시킨다(S17). 그러면 메타데이터가 영상 미디어의 속성을 포함하는 특성으로 인해,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미디어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미디어의 속성들이 정렬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메타데이터의 정렬 순서는 영상 미디어의 식별자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상기 영상 미디어의 속성은 영상 미디어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이며, 그 식별자는 영상 미디어의 이름과 종류와 생성시간과 크기와 저작권자와 생성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별도의 예로써, 영상 미디어의 속성은 영상 미디어의 위치와 내용, 영상 미디어 권리(rights) 조건, 영상 미디어 이용 조건, 영상 미디어 이용 내력 등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한다.
상기한 정렬 이후에 디스플레이된 다수 메타데이터 중에서 특정한 영상 미디어의 메타데이터가 지적되면(S18), 제어부는 지적된 메타데이터를 통해 해당 영상 미디어에 접근(Access)한다(S19). 상기 접근 과정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하였다.
만약 외장형 메모리가 본체로부터 탈거되면, 제어부는 그 탈거를 감지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는 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삭제시킨다. 그리고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즉, 원래 힙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메타데이터를 정해진 기준에 따른 순서로 재정렬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외장형 메모리 삽입 시에 정렬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삽입)될 때 메타데이터를 새로이 구성하여 미디어들을 정렬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속성(예로써, 이름)이 알파벳 순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외장형 메모리 즉, 메모리 카드가 장착(삽입)되면, 메모리 카드의 메타데이터와 내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취합하여 하나의 기준으로 정렬시킨다.
그에 따라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속성정보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들의 속성정보가 섞인 후에 동일한 기준에 의해 정렬된다.
결국, 1번부터 4번까지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들에 해당하는 것이고 5번부터 9번까지가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던 미디어들에 해당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하나의 기준에 따라 정렬된다. 도 4는 미디어 이름을 알파벳 순서로 정렬한 경우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한번 정렬되었다 할지라도 미디어의 정렬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미디어 이름에 대해 알파벳 순서로 정렬한 후에 미디어 크기에 따라 또는 미디어의 생성일에 따라 또는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또는 그 밖에 미디어의 어느 하나의 속성에 따라 정렬 기준을 변경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렬 기준은 상기에서 언급된 것들 이외에도 소정 디렉토리의 여러 파일들을 정렬하는 일반적인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기준도 모두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파일이나 미디어)를 힙 메모리를 통해 메타데이터로써 관리하기 때문에, 그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삽입)될 때, 프로세서가 외장형 메모리에 직접 액세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 액세스하는데 걸리는 시간(latency)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될 때, 그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와 함께 할당이 유동적인 힙 메모리를 통해 관리하기 때문에, 저장된 정보의 관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지원되는 개수가 유동적이다.
또한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속성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정보들의 속성을 합해서 하나의 기준에 따른 순서로 정렬하기 때문에, 저장 정보의 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외장형 메모리가 장착될 때마다 내부에서는 메타데이터를 새롭게 구성하기 때문에, 외장형 메모리가 매번 바뀌더라도 그때마다 메타데이터로 저장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Claims (27)

  1. 미디어가 저장된 신규메모리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미디어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신규파일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신규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 파일들에 근거하여 상기 신규메모리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들의 속성들을 특정 순서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속성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미디어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미디어의 이름과 종류와 생성시간과 크기와 저작권자와 생성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은 미디어의 위치와 내용, 미디어 권리 조건, 미디어 이용 조건, 미디어 이용 내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파일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 파일들과 호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 파일들에 호환되도록 상기 신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 개수에 상응하도록 상기 내부 메모리의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영역에 상기 신규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후에 특정 미디어의 속성이 지적됨에 따라, 상기 지적된 속성을 나타내는 파일을 통해 해당 미디어로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1. 외장형 메모리의 장착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외장형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의 개수에 상응하게 힙(heap)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할당된 영역에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른 순서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에 연계된 미디어들의 속성을 상기 정렬된 순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후에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지적됨에 따라, 상기 지적된 메타데이터를 통해 해당 미디어로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미디어를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식별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식별자는 미디어의 이름과 미디어의 종류와 미디어의 생성시간과 미디어 크기와 미디어 저작권자와 미디어의 생성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식별자를 기준으로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는 상기 힙 메모리에 기 저장되어 있던 다수 메타데이터와 호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탈거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힙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메모리의 메타데이터가 제외된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상기 기준에 따른 순서로 재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법.
  20. 미디어와 그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
    다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메모리; 그리고
    상기 외부 메모리의 장착이 감지됨에 따라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에,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특정 순서로 정렬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다수 메타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메모리는,
    상기 다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힙(heap) 메모리와, 상기 힙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와 연계되는 다수 미디어들을 저장하는 미디어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의 탈거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내부 메모리에서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삭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를 미디어의 속성에 해당하는 미디어 이름 과 미디어 종류와 미디어의 생성시간과 미디어 크기와 미디어 저작권자와 미디어 생성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로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장치.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와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의 호환성 여부를 확인하고, 이어 상호 호환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메모리의 메타데이터와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의 호환성 여부를 확인하고, 이어 상기 내부 메모리의 다수 메타데이터에 호환되도록 상기 외부 메모리용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장치.
  27.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파일의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신규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신규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장착 메모리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들의 속성들을 특정 순서로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정보 관리 방 법.
KR1020050116342A 2005-12-01 2005-12-01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KR10066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342A KR100662389B1 (ko) 2005-12-01 2005-12-01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US11/563,314 US20070126746A1 (en) 2005-12-01 2006-11-27 Manag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342A KR100662389B1 (ko) 2005-12-01 2005-12-01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389B1 true KR100662389B1 (ko) 2007-01-02

Family

ID=3786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342A KR100662389B1 (ko) 2005-12-01 2005-12-01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26746A1 (ko)
KR (1) KR100662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0501B2 (en) * 2007-11-28 2012-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ttribute presenter of object attributes and method for presenting object attributes using the attribute presenter
KR20090058660A (ko) * 2007-12-05 2009-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5362B1 (en) * 1998-11-13 2002-06-11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software installation and cleanup
US6564225B1 (en) * 2000-07-14 2003-05-13 Time Warner Entertain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rchiving in and retrieving images from a digital image library
US7627552B2 (en) * 2003-03-27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nd organizing items based on common elements
US20060004699A1 (en) * 2004-06-30 2006-01-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etadata
US20070050396A1 (en) * 2005-05-05 2007-03-01 Perception Digital Limited Fast algorithm for building multimedia library data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6746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429B1 (ko) 파티션 작성 방법 및 삭제 방법
US9575972B2 (en) Contiguous file allocation in an extensible file system
US71464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ccess to memory devices requiring block writing
CN110162525B (zh) 基于b+树的读写冲突解决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5100451A (ja) ファイルシステムにおけるオブジェクトの効率的な記憶
US20130262379A1 (en) Extending cluster allocations in an extensible file system
CN102227729A (zh) 仅向主机呈现与定义的主机性能相兼容的文件的存储器件
CN1471327A (zh) 用于管理移动通信终端中的存储器的装置和方法
JP3044005B2 (ja) データ格納制御方式
US200600366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 data management of files
KR101512296B1 (ko) 어플리케이션 연관 파일 처리 단말 및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연관 파일 처리 방법
CN107479834A (zh) 一种基于cos的文件存储方法及装置
KR100662389B1 (ko) 저장 정보 관리 방법과 그를 위한 장치
JP2007249155A (ja) メディア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メディア再生装置
CN100440383C (zh) 外部存储性能测试方法和装置
KR100954603B1 (ko) 파일 시스템의 로그 파일 및 상기 파일 시스템의 오류 복구방법
CN112969092B (zh) 视频文件播放系统
US87823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data field and operation methods of the same
KR101106568B1 (ko)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JP3620241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記録媒体及び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JP2001110169A (ja) データ管理方法
JP2006338298A (ja) マルチデータの分割管理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端末装置
EP22047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files in a file system
CN112181918B (zh) 一种用于嵌入式系统的摄像机录像文件快速预分配方法
JP4003709B2 (ja)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