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208B1 -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208B1
KR100947208B1 KR20080027543A KR20080027543A KR100947208B1 KR 100947208 B1 KR100947208 B1 KR 100947208B1 KR 20080027543 A KR20080027543 A KR 20080027543A KR 20080027543 A KR20080027543 A KR 20080027543A KR 100947208 B1 KR100947208 B1 KR 100947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mobile terminal
reading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2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236A (ko
Inventor
류란
신재경
김미진
김해랑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2008002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20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20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에서 표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의 속성 및 생성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속성 및 생성 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정렬될 수 있다.
이동 단말, 컨텐츠 정렬

Description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RRANGING DATA OF MOBILE TERMINAL AT WEB AND PROVIDING THE ARRANGED DATA TO MOBILE UNIT}
본 발명은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 받은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웹 공간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이동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가공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은 기본적인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사진 및 동영상 촬영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에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의 성능이 점차 향상됨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휴대 전화는 데이터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기능, 음성 녹음 기 능, 위치 인식 기능, 일정 및 문서 작성 기능 등 다양한 입력 기능이 부가되었다.
또한, 이동 단말의 입력의 편의성이 증대됨에 따라, 생성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새로운 컨텐츠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더욱이 이동 단말이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되면서, 사용자들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항상 이동 단말을 휴대하고 다니며, 사진, 동영상, 메모, 일정, 통신 기록 등 일상 생활의 기록을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이동 단말에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이동 단말에 기록된 사진, 동영상, 메모 등은 블로그, 앨범, 다이어리와 같은 형식으로 이동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은 컨텐츠 생성 기능 및 컨텐츠 입력 기능이 강화되었지만, 이동 단말의 인터페이스 상의 한계로 인해 생성된 컨텐츠를 편집하고 정렬하는 것이 여전히 용이하지 않다.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0652701호는 이동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작성된 일기 데이터를 단순히 웹 공간에 업로드하는 기술에 불과하므로, 여전히 이동 단말의 불편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야 하며, 일기 데이터의 가공이나 편집 등이 이동 단말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는데 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이동 단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웹 서버가 수신하고 자동으로 정렬하며, 정렬된 컨텐츠를 다시 이동 단말로 제공하여 이동 단말이 정렬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웹 서버에 의해 정렬된 컨텐츠가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에서 편집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에서 표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의 속성 및 생성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속성 및 생성 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정렬되는 것인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서, 상기 생성된 열람용 컨텐츠를 웹 공간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공된 열람용 컨텐츠의 수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정렬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처리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송수신부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열람용 컨텐츠는 상기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 및 웹 공간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포맷으로 가공 되는 것인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동 단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를 웹 공간에서 자동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는 정렬된 컨텐츠를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를 통해 편집할 수 있고, 편집된 컨텐츠는 웹 서버, 이동 단말 및 컴퓨터와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 정렬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100)은 구비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100)은 셀룰러폰, PDA, 스마트폰 등 휴대 가능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내장된 일정 관리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일정 데이터 등을 생성하고, 주소록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등의 문자 메시지 및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기록을 저장하고, 음성 통신 기록을 저장한다. 이동 단말(100)에 저장된 컨텐츠, 음성 통신 기록 및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록은 생성 시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이처럼 다양한 컨텐츠 및 기록을 생성하고, 생성한 컨텐츠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컨텐츠 및 기록은 다양한 표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및 기록은 이동 단말(100)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직접 업로드될 수도 있지만, 컴퓨터 등의 다른 단말기를 거쳐 간접적으로 업로드 될 수도 있다. 간접적으로 업로드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100)의 컨텐츠 및 기록이 컴퓨터 등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로 업로드된 후, 다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로부터 컴퓨터로 컨텐츠 및 기록을 전송하는 방법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RS-232C 케이블을 통한 연결, 블루투스(Bluetooth),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기술을 이용한 연결, 유/무선 모뎀을 이용한 연결, 외장 메모리를 이용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USB 메모리, T-플래쉬(flash) 메모리, MMC 메모리, 메모리 스틱, SD 카드, 외장 HDD 등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이동 단말(100)에 내장된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의해 특정 시간대에 자동적으로 컨텐츠 및 기록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업로드 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정렬 및 배치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수신한 컨텐츠 파일은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식별자는 이동 단말, 사용자, 컨텐츠의 종류, 생성 시기, 생성 위치, 업로드 시기 및 업로드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기준 값으로 설정된 방식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방식에 따라 수신한 컨텐츠를 정렬 및 배치한다. 컨텐츠의 정렬 및 배치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생성 시점, 컨텐츠의 생성 위치, 컨텐츠의 업로드 시점, 컨텐츠의 업로드 위치 등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종류별로 정렬되거나, 생성된 시간 또는 업로드된 순서를 기준으로 정렬되거나, 또는 생성된 지역 또는 업로드된 지역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컨텐츠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시간 순서로 정렬되면 하나의 웹 다이어리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동 단말(100) 또는 컴퓨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정렬된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 또는 컴퓨터(300)는 정렬된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는 정렬된 컨텐츠를 재배치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 또는 컴퓨터(300)에 의해 컨텐츠가 재배치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서로 대응하는 이동 단말용 컨텐츠 또는 컴퓨터용 컨텐츠를 재배치하여 동기화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 정렬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S105)에서, 이동 단말(100)은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동 단말(100)이 생성하는 컨텐츠 데이터는 사진, 동영상, 오디오 데이터, 일정, 주소록, 통신 기록, 기타 메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100)은 셀룰러폰, PDA, 스마트폰 등 휴대 가능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는 이동 단말(100)에 여러 공간에 가공이나 정렬없이 저장된다.
단계(S110)에서, 이동 단말(100)은 생성한 컨텐츠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컴퓨터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로 업로드된 후, 다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데이터는 USB를 이용한 케이블 통신 등의 유선 통신을 통하여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업로드될 수 있다.
단계(S11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계(S110)에서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한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사진, 동영상, 일정, 주소록 등을 구별하여 속성별로 정렬하거나, 컨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 또는 생성된 지역에 따라 정렬할 수 있으며, 또는 업로드된 시간 또는 업로드된 지역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계(S115)에서 정렬된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가공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생성한다. 컨텐츠 데 이터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가 열람하기 용이하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또는 일기 형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즉, 컨텐츠 데이터는 "제목", "날짜", "시간" 등의 카테고리가 첨부되어 가공되어 열람용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가 웹 상에서 일자별로 그룹핑되어, 시간별 또는 위치 별로 정렬되는 경우에는 그 정렬된 데이터는 이동 단말(100) 사용자의 웹 다이어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가공은 열람용 컨텐츠가 표시되는 단말에 따라 구분되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열람용 컨텐츠는 표시되는 단말에 따라, 예를 들어,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 또는 웹 열람용 컨텐츠로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열람용 컨텐츠는 웹 또는 이동 단말에 적합하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상이한 포맷으로 생성되고 저장될 수 있다.
단계(S125)에서, 이동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단계(S120)에서 생성된 열람용 컨텐츠를 요청한다. 즉, 이동 단말(100)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열람용 컨텐츠의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단계(S1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열람용 컨텐츠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 받은 열람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100)로 제공한다.
단계(S135)에서, 이동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 받은 열람용 컨텐츠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열람용 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동 단말(100)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표시한다.
이 경우, 이동 단말(100)은 자신이 특별한 순서나 가공없이 저장해두었던 다양한 컨텐츠 데이터를 정렬된 형태로 열람할 수 있으며, 상기 열람용 컨텐츠가 일자별로 그룹핑되어 시간 및 위치별로 정렬되어 제공된다면, 마치 자동으로 생성된 다이어리 데이터를 열람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단계(S140)에서, 이동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열람용 컨텐츠에 대한 수정 사항을 수신하고, 수정 사항을 반영한 수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수정 사항은 열람용 컨텐츠에 포함된 컨텐츠 데이터의 삭제, 명칭 변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 요청은 이동 단말(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상기 수정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단계(S145)에서, 이동 단말(100)은 단계(S140)에서 생성된 수정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100)은 수정 데이터의 전송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수정 데이터를 단계(S120)에서 생성된 열람용 데이터에 반영하여 열람용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한다. 이 경우 수정되고 저장되는 열람용 데이터는 이동 단말 열람용 포맷과 웹 열람용 포맷에 공히 저장되어, 웹 열람용 컨텐츠와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는 상호 동기화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의해 생성된 열람용 컨텐츠는 이동 단말(100)로 제공되어 표시되고,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열람용 컨텐츠에 반영되었으나, 이와 달리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된 컴퓨터(도시 생략)가 이동 단말(100)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도시 생략)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열람용 컨텐츠를 제공 받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수정 사항을 입력 받아 수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터(도시 생략)는 생성된 수정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와 웹 열람용 컨텐츠가 상호 동기화 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에 표시되는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와 컴퓨터에 표시되는 웹 열람용 컨텐츠는 서로 포맷을 달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열람용 컨텐츠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종류에 따라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 또는 웹 열람용 컨텐츠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파일(f10)는 사용자 식별자(f11), 컨텐츠 속성 식별자(f12), 시간 식별자(f13), 위치 식별자(f14) 및 데이터 파일(f15)를 포함한다.
사용자 식별자(f11)는 데이터 파일(f15)이 생성된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 식별자(f11)는 컨텐츠 데이터 파 일(f10)을 전송한 이동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컨텐츠 속성 식별자(f12)는 데이터 파일(f15)의 속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속성 식별자(f12)는 데이터 파일(f15)이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텍스트 파일 또는 통신 기록 파일 등 어떤 속성의 파일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시간 식별자(f13)는 데이터 파일(f15)이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f15)이 동영상 파일인 경우, 시간 식별자(f13)는 동영상 파일이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파일(f15)이 음성 통신에 대한 기록 파일인 경우, 시간 식별자(f13)는 음성 통신이 수행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시간 식별자(f13)는 데이터 파일(f15)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식별자(f14)는 데이터 파일(f15)이 생성된 위치, 즉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파일(f15)가 음성 통신에 대한 기록 파일인 경우, 시간 식별자(f13)는 음성 통신이 수행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지역 정보는 GPS를 이용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이 현재 위치한 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식별자(f14)는 데이터 파일(f15)이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업로드될 때 이동 단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파일(f15)은 이동 단말에 의하여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데이터 파일(f15)은 이동 단말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일정, 주소록 또는 통신 기록 등을 포함한다.
이처럼 이동 단말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 파일(f10)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자를 포함하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이러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컨텐츠를 정렬 및 배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정렬된 컨텐츠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정렬된 컨텐츠는 이동 단말에 표시(520)되거나 또는 컴퓨터에 의해 표시(510)될 수 있다.
정렬된 컨텐츠는 이동 단말 및 컴퓨터에 동일한 형태로 표시되거나 또는 이동 단말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정렬된 컨텐츠가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510)되는 형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1 차적으로 컨텐츠의 속성별로 정렬되어, 사진, 동영상, 메모 및 음성 녹음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501), 일정 컨텐츠(502) 및 SMS, MMS 및 음성 통신의 통신 기록 컨텐츠(503)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의 카메라나 녹음기와 같은 기능을 이용해 생성된 컨텐츠 뿐만 아니라, SMS, MMS 또는 통화 기록과 같이, 통신 장치의 기능을 이용해 생성된 기록 데이터까지도 함께 시간적으로 정렬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자신의 일과 중에 발생한 모든 컨텐츠와 기록을 다이어리 형태로 정렬함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다이어리 작성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 도 웹과 이동 단말에서 자신의 다이어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컨텐츠(501) 및 통신 기록 컨텐츠(503)는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적으로 생성된 시간 순서를 기준으로 컨텐츠가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컨텐츠(501 내지 503)는 컨텐츠 제목, 생성 시간 정보, 생성 위치 정보, 업로드 시간 정보 및 업로드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기록 컨텐츠(503)의 경우, 통신의 상대방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정렬 방식은 시간에 따른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예시에 해당하며, 설정에 따라 컨텐츠별 속성을 보다 더 상세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속성이 아닌 위치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1차적으로 컨텐츠가 정렬되고, 그 후 2차적으로 컨텐츠 속성을 기준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컨텐츠의 정렬 및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컨텐츠 송수신부(210), 컨텐츠 처리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컨텐츠 송수신부(21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이동 단말(도시 생략) 또는 컴퓨터(도시 생략) 사이의 컨텐츠 데이터, 열람용 컨텐츠 및 수정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한다. 즉, 컨텐츠 송수신부(210)는 이동 단말(도시 생략)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 처리부(220)에 의해 처리된 열람용 컨텐츠를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컨텐츠 처리부(220)는 컨텐츠 송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정렬한다. 즉, 컨텐츠 처리부(220)는 컨텐츠 송수신부(21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동영상, 이미지, 오디오 데이터, 통화 기록 등으로 분류하여, 이를 시간 또는 위치 순으로 정렬한다. 컨텐츠 처리부(220)는 분류 및 정렬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생성한다. 상기 열람용 컨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오디오 데이터, 통화 기록등을 표시하는 웹 또는 WAP 기반의 문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처리부(220)는, 컨텐츠 송수신부(210)가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로부터 수정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수정 데이터를 반영하도록 열람용 컨텐츠를 변경한다.
컨텐츠 처리부(220)는 생성되거나 변경된 열람용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23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컨텐츠 송수신부(210) 또는 컨텐츠 처리부(22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 수정 데이터 또는 열람용 컨텐츠를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30)는 저장한 컨텐츠 데이터, 수정 데이터 또는 열람용 컨텐츠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 송수신부(210) 또는 컨텐츠 처리부(220)로 요청 받은 데이터 또는 컨텐츠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부(220)는 컨텐츠 데이터 정렬부(222), 열람용 컨텐츠 생성부(224) 및 열람용 컨텐츠 변경부(226)를 포함한다.
컨텐츠 데이터 정렬부(222)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분류한다. 컨텐츠의 분류 기준은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가 생성된 시기, 컨텐츠가 생성된 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종류는, 예를 들어, 사진과 동영상, 통신 기록, 문자 메시지 기록, 일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으로부터 업로드된 컨텐츠 데이터는 속성, 시간, 위치등에 관한 식별자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컨텐츠 데이터 정렬부는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컨텐츠 데이터를 분류 또는 정렬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 정렬부(222)는 분류된 컨텐츠를 정렬하고 배치한다.
열람용 컨텐츠 생성부(224)는 분류 및 정렬된 컨텐츠 데이터를 가공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의 가공은 사용자 열람의 편의를 위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이어리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열람용 컨텐츠는 열람용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포맷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람용 컨텐츠는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의 포맷과 웹 열람용 컨텐츠의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
컨텐츠 변경부(226)는,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수정 데이터를 반영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변경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정 데이터는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열람용 컨텐츠에 대한 수정 사항을 반영한 데이터이다. 상기 수정 데이터는 이미 저장된 열람용 컨텐츠에 대한 수정 요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 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 정렬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데이터 정렬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정렬된 컨텐츠의 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컨텐츠의 정렬 및 제공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Claims (14)

  1.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웹을 통해 접속한 컴퓨터의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상기 열람 요청을 한 클라이언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컴퓨터에서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에서 표시되는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와 상기 컴퓨터에서 표시되는 웹 열람용 컨텐츠를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의 속성 및 생성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속성 및 생성 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정렬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데이터, 주소록, 일정, 메모, 음성 통신 기록,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통신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생성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생성 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업로드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업로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공된 열람용 컨텐츠의 수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자,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속성 식별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 식별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식별자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
    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식별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식별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공된 열람용 컨텐츠의 수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방법.
  9.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정렬하여 열람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처리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웹 공간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로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송수신부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 및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열람용 컨텐츠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가공되며, 상기 이동 단말에서 표시되는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와 상기 컴퓨터에서 표시되는 웹 열람용 컨텐츠는 동기화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속성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정렬하는 컨텐츠 데이터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데이터, 주소록, 일정, 메모, 음성 통신 기록, SMS 및 MMS 통신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의 생성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상기 이동 단말 열람용 컨텐츠의 포맷과 상기 컴퓨터 열람용 컨텐츠의 포맷으로 생성하는 열람용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로부터 열람용 컨텐츠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상기 열람용 컨텐츠를 수정하여, 상기 이동 단말 및 상기 컴퓨터에 제공되는 열람용 컨텐츠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컨텐츠 변경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 데이터의 정렬 및 제공 시스템.
  14. 이동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 다이어리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시간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정렬한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렬된 문서를 일자별로 그룹핑한 다이어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다이어리 데이터를 이동 단말 또는 웹을 통해 접속한 컴퓨터에 상기 이동 단말 또는 상기 컴퓨터를 통해 표시가능한 포맷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 및 컴퓨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다이어리 데이터가 수정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 및 컴퓨터 중 다른 하나로 제공되는 상기 다이어리 데이터에 상기 수정된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이어리 생성 방법.
KR20080027543A 2008-03-25 2008-03-25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4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543A KR100947208B1 (ko) 2008-03-25 2008-03-25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543A KR100947208B1 (ko) 2008-03-25 2008-03-25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236A KR20090102236A (ko) 2009-09-30
KR100947208B1 true KR100947208B1 (ko) 2010-03-11

Family

ID=4135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7543A KR100947208B1 (ko) 2008-03-25 2008-03-25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921B1 (ko) * 2013-09-04 2015-04-10 김지민 이용자 행태에 따른 컨텐츠의 속성지정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150A (ko) * 2003-07-14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의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의 컨텐츠제공방법
KR20050051472A (ko) * 2003-11-27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번호 싱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2240A (ko) * 2005-01-12 2006-07-18 주식회사 레인콤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83742A (ko) * 2007-03-13 2008-09-19 (주) 엘지텔레콤 폰북 사진 설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150A (ko) * 2003-07-14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의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의 컨텐츠제공방법
KR20050051472A (ko) * 2003-11-27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번호 싱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2240A (ko) * 2005-01-12 2006-07-18 주식회사 레인콤 모바일기기용 파일 정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83742A (ko) * 2007-03-13 2008-09-19 (주) 엘지텔레콤 폰북 사진 설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시스템에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236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1757B2 (en) Organizing network-stored content items into shared groups
US9595015B2 (en) Electronic journal link comprising time-stamped user event image content
CN101454988B (zh) 移动应用程序的用户兴趣驱动发射台及其操作方法
CN101110837B (zh) 一种手机博客的实现系统及方法
US20140143247A1 (en) Method and system to curate media collections
EP1630694A2 (en) System and method to associate content types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006921A1 (en) Annotating digital documents using temporal and positional modes
CN102769775A (zh) 覆盖图像提供系统、服务器和方法
CN103875277A (zh) 零点击照片上传
JP2009533780A (ja) マルチメディアモバイル装置によるノートテイキングのユーザ体験
US20130268848A1 (en) User event content,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KR101921201B1 (ko) 단말기의 기능 연동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13253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컨텐츠 검색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단말기
KR100947208B1 (ko) 웹 공간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4090878A (zh) 一种多媒体查找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KR100916817B1 (ko) 이동 단말의 데이터에 매칭되는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JP5041317B2 (ja) 二次元バーコードによる動画配信システム
KR100988120B1 (ko) 디지털 콘텐츠의 효율적인 저장/관리/소비를 위한 통합저장 포맷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만화 콘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N101442596B (zh) 数码相机及图像记录方法
KR101638011B1 (ko)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20140110328A (ko)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2202008A (zh) 一种发送及接收用户上传内容的方法及装置
CN104699729B (zh) 辨识社交网站相片真伪的装置与方法
CN101630318B (zh) 相片浏览系统
CN101635739B (zh) 在数码相框上实现存储介质的虚拟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